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騎驢與騎牛 : 中韓詩人比較一例 중·한 시인 비교의 한 실례

        張伯僞 중한인문과학연구회 1999 국제학술대회 Vol.- No.4

        중국 시인과 나귀는 풀 수 없는 인연을 맺었는데, 唐代에 이르러 비로서 그렇게 되었다. 나귀 타기로 후세에 이름을 남긴 唐대의 시인들로는 孟浩然, 社甫·가오·李賀·정계 등이다. 宋대에 이르러 시인과 나귀의 관계가 이미 사람들에게 확인되었으므로 남방의 시인 陸遊는 <劍門道中遇微雨>라는 시에서 의미심장하게도 “此身合是時人未? 細雨騎驢入劍門”이라고 물음을 제기했다. 북방에서 金源 詩人 李純甫는 <파륙풍운>이라는 시에서 “蹇驢馳着盡時仙, 短策長鞭似有綠.”이라고 썼다. 아울러 “騎驢上揚州”라는 세속적인 추구와 비교하면, 시인은 비록 물질적으로 빈곤하지만 정신적으로 고귀함--“蹇驢大勝揚州鶴”--을 두드러지게 하였다. 宋大 이후 시인과 나귀를 쓰게 되면, 흔히 종합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林和靖이 “疏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이라는 詠梅 佳句를 써낸 후부터 매화와 시인도 풀 수 없는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리하여 절름발이 나귀와 매화도 흔히 한데 連繫되어 있다. 요컨대 唐대 이래로 나귀 타기는 중국 시인의 한 표징으로 되었으며 줄곧 淸대 말엽까지 依然하였다. 이와 같은 결론은 응당 역사적 사실에 부합될 것이다. 그런데 한국 고대의 시인들은 다수가 소를 탔다. 가장 이른 실례로는 고려 중엽의 시인 최당과 金克己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눈 속에서 소를 타고 시구를 더듬던 미담은 얼마 후 시인 李劑賢의 가창을 거쳐 비로소 후세에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이백여 년 이후의 李行은 더욱이 소를 타고 시를 지어 유명했는바, 그는 自號가 騎牛子일 뿐만 아니라 “騎牛”로써 묶음 집을 이름했다. 權近은 또 특히 그를 위해 《騎牛說》이라는 글을 지었다. 이 때에 이르러 소는 시인들이 특유하게 타는 짐승으로서 고려 이후 사람들의 눈에도 대체로 確立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정계의 “시사재파교풍설중여자상”이라는 말과 서로 어울릴 수 있는 것은 한국 시인들이 흔히 詩思를 ‘牛背’또는 ‘雪中友背上’에 두어 두기 때문일 것이다. 이로부터 시인들이 소 타기는 영원한 진리이었으며 시인과 소도 밀접해서 나눌 수 없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시인들이 소 타기를 쓴 작품들은 너무 많아서 일일이 다 들 수가 없다. 시인들은 어째서 나귀 타기 또는 소 타기를 선택하였으며 심지어 나구나 소가 시인들의 專用적인 타는 짐승으로 되었을까? 생활 환경이나 경제적 조건에 의한 원인을 내놓고 가치적 관념상의 의미도 내포되어 있었는지? 이는 가일층 연구 토론할만한 문제이다. 일종 신분적 표징으로서의 말은 흔히 고급 관리들이 타지만 나귀는 하급 관리나 일반 백성들이 탄다. 시인은 대부분이 빈한한 선비들이므로 절름발이 나귀·삿자리·감투 따위가 그들의 일생을 동반한다. 宋代에 이르러 시인들의 나귀는 노상 준마와 相對되어 시인들의 눈에는 그것이 在野와 在朝·布衣와 縉紳·빈곤과 부귀의 대립을 상징하고 있었을 것이다. 위대한 문학은 오로지 “蹇驢 波帽”를 상징으로 하는 뜻대로 되지 않는 생활 속에서 태어난다. 소와 한국인의 생활은 관계가 밀접한바, 시인의 소 타기는 우선 이러한 생활 환경과 당연히 관련되겠지만 그러나 중국 魏晋·南北朝부터 唐代까지 사회 차 타기 풍습의 변천과도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시인들이 볼 때, 소 타기는 말타기와 相對되는 것이다. 소 타기는 탈용·悠閑·隱逸의 상징이지만 말타기는 入世·躁進·名利場을 대표한다. 조선시대의 시인들은 이 뜻을 발휘한 것이 퍽 많다. 가장 이른 문장은 權近의 《騎牛說》이다. 이밖에도 宋純의 《騎牛圖》와 金昌翕의 《騎牛歌》와 그 형인 金昌集의 《次子益騎牛歌韻》이 있다. 말과 소의 대립은 바로 ‘俗’과 ‘野’의 대립인 것이다. 말 타는 자는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소타는 자는 들에서 마음껏 즐기는 것이다. 시인들의 눈에는, 在朝者가 부귀 영화에 미련을 두는 것이 바로 世情俗務에 미련을 두는 것이었다. 따라서 ‘俗’과 ‘野’는 곧 ‘在朝’와 ‘在野’의 대립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말하면, 시인들의 소 타기는 단지 하나의 외적인 표징만은 아니라 시인들이 영예와 利益을 부러워하지 않고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인격적 경지를 상징하는 것이다. 騎驢和騎牛是古代中國詩人和韓國詩人的外在標志之一. 這兩중坐騎旣有區別, 同時又貴注着相同的精神追求. 本文在全面網??中韓兩國相關文史典籍的基?上, 一方面描述了騎驢和騎牛這兩중不同現象在兩國文學史上的展開討程, 又進一步分析其形成原因之所在. 最后, 文章揭示出這兩중現象背后所??涵的中韓古代詩人以在野的身빈, 堅持席帽布衣品格的共同追求.

      • KCI등재후보
      • KCI등재

        論朝鮮時代女性文學典範之建立

        장백위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8

        This paper mad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female literary canon in the Chǒsun Dynasty. It could enhance us the general awareness on this issue. For example, the value of literary works, affirmation by authority, role of the anthology, the impact of ideology, the number of printed, critics reviews and imitation of future generations, these are all helpful the canon’s formulation, but its not ultimate goal of the paper.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Western theoretical circles caused a Canon transformation, on the road of the opening-up the canon, there were full of sharp crying, provocative declaration and bitterest scorn. In contrast to this, the canon’s formulation or transformation in the Chinese cultural circle, it always showed a gentle, friendly manner. The world of today full of clash of sex, race and different civilizations we could get some inspiration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anon in the East Asia literature.

      • KCI등재

        조선의 書目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한문 서적 교류

        장백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4 No.-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book exchanges and trades among East Asian counties based on bibliographies complied in Chosun Dynasty. The bibliographies complied in Chosun Dynasty includes four categories: imperial bibliography, regional bibliography, private bibliography, and bibliography in official history, which reflect different perspectives of book and cultural exchanges in East Asiain premodern period. For example, we can have overall survey of collections in the imperial library of Chosun Dynasty, and how Chosun literatibrought books from China step by step, and the book exchanges among Korea, Japan and Vietnam at that time. Regional bibliography consists of the bibliography of printing blocks preserved in provincial governments and bibliographies of local schools, academia, and temples. The bibliography of printing blocks can tell us the reprinting of Chinese books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which reflects the popularity of Chinese books in local level. The academia in Korea not only has great collections of books, but prints books also, and served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books written in Chinese. Though the private bibliography did not has huge collections, it has annotated notes to the book, from which we can see the size of collections, basic cultivation, and intellectual structures of literati family in Chosun Dynasty, furthermore, we can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i and Chinese Classics from it. Bibliography in official history mainly extracts from documents within and outside Korea, and sets forth the history of book exchanges in East Asian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