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로그(Blog)를 통해 본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인식

        장민지,최정민,Jang, Min-Ji,Choi, Jung-Mi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거들이 전달하는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한 정보와 소감을 통해 관람객들의 인식(認識)을 파악함으로써 국제정원박람회장의 활용이나 유사한 계획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나타난 상위 300건의 블로그를 대상으로 하였다. 블로거들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특정 정원이나 공간에 대한 인상과 선호를 그 이유와 함께 가감 없이 기술하고 있어 관람객들의 인식을 선명하게 포착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정원에 대한 선호는 네덜란드정원, 한국정원, 중국정원, 프랑스정원 순이었다. 전반적으로 세계 정원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고, 실망감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블로거들이 많았다. 둘째, 참여 정원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 정원은 새로운 소재와 실험적인 디자인을 통해 정원 예술을 소개하는 정원박람회 본래의 취지를 대변하는 장소로서 보다 중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많은 블로거들이 세부 경관과 일시적 경관 같은 미시 경관에서 깊은 인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람회장 같은 넓은 대상지에서도 미시 경관은 중요한 경관 체험 요소로 중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관람객들은 '순천호수정원'과 '꿈의 다리'를 가장 인상적인 장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의 아이콘이자 대표 경관이기도 하지만 세계 정원과 참여 정원에 대한 인식 약화의 원인이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부분의 관람객들은 입장료가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우리 사회가 비용을 지불하고, 정원을 관람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아직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정원 문화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반적으로 블로거들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대해 만족감을 표현하지만, 실망한 점이나 개선 사항과 같은 비판적 인식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로거들도 많았다. 이러한 비판적 의견은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블로거는 '시민 비평가'라고 할 수 있고, 블로그는 일반들의 '격식 없는 담론의 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인식 조사 방법으로써 블로그는 주관적이고 개인적이라 해석에 어려움이 있고, 자료를 정량화하여 분석하는 데에는 비록 한계점이 있지만, 다양하고 구체적인 인식을 포착할 수 있는 통로이기도 하다. 블로그의 이러한 측면은 향후 박람회장 활용이나 유사 프로젝트의 계획을 위한 인식 조사의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useful implications in its next application or similar planning by assessing visitor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To do this, blogs acknowledged as powerful communication media in modern information society were used. After searching for blogs related to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in the portal site ranked first in the domestic market share, this study classified 300 cases. This study was able to grasp the consciousness as bloggers gave descriptions of information and impressions and experiences of spaces without making any adjustments.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tch gardens were the most preferred, followed by Korean gardens, Chinese gardens and French gardens; in general, visito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national gardens. Inquiry is needed into the method of determining diverse cultural identity rather than a sample garden type through blogs delivering regret regarding the world gardens. Secon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designers' gardens was low. This study judges that mor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ir roles as places speaking fo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garden exposition which introduces gardening art and design through experimental design. Third, it was understood that many bloggers were deeply impressed by ephemeral landscapes like the change in landscape consequent on the elapse of time, distinctive atmosphere, and detailed-landscapes. These aspects are important landscape elements, and those elements should be addressed with weight in a subsequent study. Fourth, the most impressive places are 'Suncheon Lake Garden' and 'Bridge of Dreams', which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icons of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However, relatively, public attitude towards the world gardens and designers' gardens are weak. Fifth, bloggers were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like transportation, events schedules, ticket purchasing & prices, discount information, etc. Ticket price was commented on the most, and most of the bloggers thought ticket prices were 'expensive'. This study understands such a phenomenon as a result of the general population's non-establishment of the perception that it's proper to view gardens at visitors' own expense. Generally, blogger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Suncheon Bay Korea 2013, but with criticism as well. Their criticism included disappointing matters, to be improved upon and wishes without any distortion, providing meaningful implications deserving reference for similar cases. In this context, a blogger could be called a citizen-reviewer while a blog could be referred to as 'a field of informal discourse' for the public.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blogs are difficult to interpret as they are subjective and personal, and have limited data analysis through their quantifications; however, blogs as methods of recognition survey are channels for varied, concrete and detailed awareness which are hard to grasp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r interviews. This study judges that such an aspect of a blog could be a useful means of grasping and reflecting upon visitors' attitude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미소년을 기르는 여성들

        장민지(Min-Gi Jang),윤태진(Tae-Jin Yo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9 No.-

        이 연구는 인디/동인게임인 <어이쿠 왕자님>을 생산/소비하는 여성 게이머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여성들의 주체 위치와 젠더 정체성 및 섹슈얼리티의 유동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게이머 11명을 심층인터뷰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게이머들은 ‘보이는 대상’에서 ‘보는 주체’로서의 여성, 그리고 ‘이성애 중심의 젠더체계 전복’이라는 이중적 패러디를 생산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유희적이고 해체적이면서 창조적인 특성을 보였다. 한편 인디/동인문화에 참여하는 여성들은 텍스트를 자신들의 방식으로 변형시켜 풍부하고 복잡한 텍스트를 재창조해내고 공유하는 적극적인 문화생산을 실천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디/동인게임을 소비하는 여성 게이머는 현실의 성 질서를 위반한 동성애 게임텍스트를 시뮬레이션화하고 그를 통해 다면적이고 가변적인 성 정체성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iences of female gamers who produce and consume 〈Oops! Prince〉 which is Indie/Dongin Games in Korea. The researchers also aim to delineate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certain female gamers who make their own text and community with male-homoerotic narrative spinning of 〈Princess Maker〉, a well-known raising simulation game focused on existing male-centered ideologies. As a result of combining a variety of methods, in-depth interview and text analysis among others, researchers could highlight a few findings. Female gamers of 〈Oops! Prince〉 overcome gender trouble. This process induces double parody, which is subversion of women as a seeing subject from showing object, while asserting compulsory heterosexuality. Under the new set of parodied gender rules, women gamers realized that male gender can be dis-powered to empty signifier articulated as the versatile identification given to the ‘father’ and ‘son’ character of game in parodied gender order. From male gender to female, accessibility of flexible sexual identification through same channel is maintained in the new text. Women gamers overthrow conventional binary gender system and substitute or identify own gender in a unique text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mother and father. Eventually, female gamers draw conclusions to perform the game through critical approach of decomposing male gender, which appears as key characters in the game by playing 〈Oops! Prince〉. Female gamers occupy user position, but they consume the text and to create new complicated text and actively share cultural production. In cyberspace where Indie/Dongin games are both produced and consumed, female gamers incessantly takes part in this cycle. Women’s imagination determines the creative result of interactive activity in cyberspace. Female gamers consume Indie/Dongin games as fantasy device, which defy conformed sex order of reality and invite variable gender identities.

      • KCI등재

        오디션 프로그램의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미디어 수행성

        장민지(Mingi J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3 No.3

        이 논문은 〈프로듀스 101 시즌 2〉의 TV 프로그램 형식(format) 및 투표 참여자로서의 시청자 경험 분석을 통해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과 미디어 수행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게이미피케이션이란 게임이라고 호명되지 않았던 다양한 텍스트를 게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 혹은 조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게이머는 게임에서의 능동적인 조작행위를 통해 즐거움을 획득하며 이러한 조작행위는 게임 생산자가 만들어 놓은 스토리 라인 내부에서 다양한 결과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작용성’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이란 비-게임의 상황에서 게임 디자인 요소를 이용’(Deterding, S., Dixon, D., Khaled, R., & Nacke, L, 2011)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즐거움을 얻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특히 본문에는 〈프로듀스 101 시즌 2〉 프로그램 형식과 확장된 미디어 장치가 시청자를 어떻게 ‘게이머’와 유사한 ‘국민 프로듀서’의 위치로 호명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gamification of audition programs and medial performance by analyzing TV program format of 〈Produce 101〉 and the experiences of audience as voting participants. Gamification refers to a way of designing or organizing various texts that are not considered as games into methods similar to games. In general, a gamer gains pleasure through active operation acts in a game, and the operation acts have ‘interactivity’ in that they can cause change of various results inside of the storyline that the game producer created. As a result, ‘gamification’ means the method that provides users with pleasure by ‘using game design elements in the non-game situation’ (Deterding, S., Dixon, D., Khaled, R., & Nacke, L, 2011). Especially, this study specifically covers how the program format of 〈Produce 101 Season 2〉 and the expanded media device refer to audience as ‘citizen producers’, which are similar to ‘gamers’.

      • 인공지능의 유머 사용이 사용자의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장민지(Min Ji Jang),윤재영(Jae Young Yun)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는 유머가 정서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여, 인공지능의 유머 사용이 사용자의 정서적 경험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인터랙션 상황별로 조사하였다. 실험은 인터랙션 상황별로 인공지능의 유머 응답과 유머가 없는 기본 응답에 대한 정서적 경험(인지된 즐거움, 호감도, 친밀감, 유용성, 재사용의도)를 설문 평가한 뒤, 두 응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인지된 즐거움, 호감도, 친밀감은 유머 응답이 높게 나타나는 차이가 발견되었고, 유용성과 재사용의도에는 두 응답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터랙션 상황에 따른 차이는 호감도, 친밀감, 재사용의도가 에러 상황에 한하여 유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지된 즐거움은 모든 상황에서 유머 응답이 높게 나타나고, 유용성은 모든 상황에서 두 응답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며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에서는 인터랙션 상황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능의 유머를 설계하고 긍정적인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 여/성주체(Digital Native Fe/male Subject)의 운동 전략

        장민지(Min-Gi J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3

        본 연구는 미디어 공간 내의 젠더질서와 여/성주체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혐오와 이에 저항하는 사회적 현상을 미디어 경험을 매개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여/성주체가 스프레더블 미디어 환경을 바탕으로 여성혐오에 저항하는 담론을 어떻게 생산하고 유통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메갈리아에서 생산되는 미러링 텍스트는 미디어 공간 내부에서 여성혐오를 가시화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는 여/성주체의 참여와 연대를 가능하게 했다. 디지털 네이티브의 미디어 경험은 혐오 발화에 있어 권력의 변환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여성혐오에 저항하는 여/성주체의 집단적 시민운동을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starts off from concerning the gender order and fe/male subject in media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social phenomena of misogyny and the resistance against misogyny through media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how digital native fe/male subject creates and distributes discourses resisting misogyny with the basis of “spreadable media”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Consequently, mirroring texts produced in “MEGALIA” visualized misogyny inside the media space and enabled the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of fe/male subject to resist misogyny. The media experience of digital natives has its meaning since it not only brought power shifts in terms of abhorrence speech, but also enabled group citizen movements of fe/male subject resisting misogyny.

      • KCI등재후보

        유동하는 세계에서 거주하는 삶 : 여성청년 이주민의 장소 만들기

        장민지(Min Gi Jang) 한국문화연구학회 2016 문화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집의 장소화 과정이 젠더적인 감수성에 따라 어떻게 서사화되는지 국내이주를 경험한 여성청년 이주민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소화란 인간이 공간을 점유하고 의도적으로 경계를 만드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소는 주체에 따라 다양한 장소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이 글은 오늘날 서울로 이주를 결심하고 자신의 집을 장소로 만들어나가는 여성청년들의 장소화 과정을 ‘유사가족’과 집 밖의 ‘장소 소속감’을 통해 구체화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여성청년들은 사회에서 허용하는 집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 자신들의 ‘불완전한’ 집을 주체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 장소 생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일차적으로 집이 주체에게 부여하는 장소성의 요소들을 분리하고 전유하며 시작된다. 집은 안정감이나 친밀감, 따뜻함만을 제공하지 않는다. 집은 모든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감각들을 느끼게 해주었기 때문에 인간에게 중요한 ‘장소’가 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ways to narrate place-making processes of homes with gender sensibility, from perspectives of female youth in-migrants who experienced domestic migrations. The term ‘place-making’ refers to an invention of constructing boundaries with occupying spaces, and place is formed from the process of place-making which varies from subject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specifies place-making processes of the female youths who decided to move to Seoul and making their homes as their places - with concepts of ‘pseudo-family’ and ‘sense of place-belonging’. In conclusion, female youths subjectively performs production of places with transforming their ‘incomplete’ homes, which do not fit into the social meaning of homes, into various types with their subjectivity. Such practices primarily begins from separating and appropriating requisites for sense of places which homes authorize to subjects. This means that roles of homes are not confined to providing stability, closeness, and warmth. In effect, homes have all senses, and this let people perceive their homes as important ‘places’ while feel such senses.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진로결정 동기요인 분석

        장민지(Jang, MinJi),정태섭(Jung, TaeSub),장영환(Jang, YoungHwan),맹희주(Maeng,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The stud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gi from March to June, 2017 to investigate motive factors to career decis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ternal motivation factors than femal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vocational aptitude and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internal motiv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in external motivation factors.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tutoring, academy, and education service professors other than teacher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did not have teaching experience,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showed that the administrative task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factor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motivation factors tha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had no teaching experience.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nal motivation factor and external motivation factor according to grade. In general,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and especially charm and teaching charm were the most positiv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In addition, stability as a vacation and civil servant was posi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but preparation and acceptance of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was analyzed as negative external motivation factor. 본 연구는 교직을 선택하는 동기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소재 사범대학교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예비과학교사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내적 동기요인이 여성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더 높았으며, 내적 동기요인 중 직업적 적성과 교수효능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적 동기요인에 대한 성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현장실습 이외 과외나 학원, 교육봉사 교수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교사들보다 내적 동기요인 중 교직의 매력에 대한 요인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교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예비과학교사들은 외적 동기 요인 중 행정업무가 교수경험이 없는 예비과학 교사들보다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내적 동기요인과 외적 동기요인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사로서 내적 동기요인은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보람과 교직의 매력이 가장 긍정적인 내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학과 공무원으로서 안정성이 긍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이었으나 중등 교원 임용시험에 대한 준비와 합격여부는 부정적인 외적 동기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젠더/무의식과 장소

        장민지(Min-Gi J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0 No.4

        본 연구는 청년 세대의 거주 공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폭발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국내 이주를 경험한 청년 세대들이 거주하는 집을 단편적으로 서술하는 경향에 대해 젠더적 문제의식을 갖고 접근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오늘날 개별적으로 서울로 이주하여 일상을 경험하는 여성청년들의 집의 장소적 의미를 살핀다. 이주를 경험한 여성청년들은 이주 전 집에서 비가시화되었던 젠더규범을 다시금 의식하며 가사노동에 대해 자율성과 다양한 섹슈얼리티 경험을 수행한다. 또한 그들은 불완전한 경제적 주체로서 다양한 소비행위를 보여준다. 결론 적으로 이주를 경험한 여성청년들의 집은 젠더/무의식이 떠오르는 장소이다. 여성청년들은 일시적으로 억압되어 가시화되지 않았던 젠더규범을 이주 후 집에서 표면화 하고, 이러한 규범의 안과 밖을 유동하며 집의 의미를 구축해나간다. Recently, the habitation issue of the youth generation who experienced in-migrations has become a social concern. A number of critiques have cast light upon this issue, fragmentary attitude, nevertheless, lacked critical perspective. In this regard, based on the gender perspective, this article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youths who personally moved to Seoul and have experienced everyday affairs in the city for finding spatial meanings of their homes. Throughout interviews, research participants found themselves doing household chores with genderized habits, thereby reminding ‘invisible’ gender norms, while enjoying autonomy from their families. At the same time, since their economic status are not independent,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consumption.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homes of female youths moved to Seoul are places represents gender/unconsciousness. The female youth reveals gender norms which were concealed temporally in their homes after the in-migration. Then, they formulate meanings of their homes within and without n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