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준호 작곡의 아쟁협주곡 <흰두루> 분석 연구 : 아쟁 독주 선율을 중심으로

        장문정 추계예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작곡가 이준호의 ‘아쟁협주곡 <흰두루>’를 분석 연구한 논문이다. 이 곡은 2014년 3월 20일 KBS국악관현악단의 제21회 정기연주회 ‘젊은 풍류Ⅲ’에서 동 악단의 아쟁수석인 이문수에 의해 10현소아쟁으로 초연된 곡이다. ‘아쟁협주곡 <흰두루>’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총 15개의 단락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아쟁협주곡 <흰두루>는 󰆲단락부터 󰇀단락까지 15개의 소단락으로 총 273마디로 구성되어있는 협주곡이다. 각 소단락은 조성과 박자를 기준으로 다섯 개의 단락으로 구분되며 각 단락별 구분은 다음과 같다. 제1단락은 󰆲부터 󰆶까지 다섯 개의 소 단락으로 이루어진 총 102마디이며 12/8박자이다. 빠르기는󰁜=110 의 ‘밝고 경쾌하게’로 연주하라 제시되었으며 자진모리로 시작하여 장단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선율로 진행된다. 조성은(c minor 다단조)로 선율을 이루고 있다. 제2단락은 󰆷부터 󰆹까지 세 개의 소 단락으로 이루어진 총 41마디이며 12/8박자이다. 나타냄말은 서정적으로(그리움)으로 제시되어있고 빠르기는 󰁜=45의 굿거리장단으로 산조아쟁 특유의 선율인 애절함과 관현악의 밝은 선법 구조가 대칭된다. 세 개의 단락이 모두 동일한 박자와 빠르기로 진행되며 󰆹단락은 서정적으로(풍부한 감정으로)의 나타냄말이 제시되었다. 이 단락은 전조연결구로 다음단락의 조성변화를 예비하는 연결구의 기능도 함께 한다. 제3단락은 󰆺부터 󰆼까지 세 개의 단락으로 총 41마디이다. 12/8박자로 󰁜=52로 제시되어 있고 연주 나타냄말은 ‘화려하게’로 제시되어있다. 조성은 바단조(f minor)와 병행조인 내림가장조(A♭ Major)조가 한 단락 차이로 변화를 이루며 진행된다. 세 개의 단락은 동일한 박자로 진행하지만 󰆻단락의 속도가󰁜=110으로 제시되어있고 자진모리장단으로 구성되었다. 󰆻단락은 관현악으로 구성된 연결구의 역할과 단조 선율에서 장조선율로 전환하는 연결구의 기능도 수행한다. 제4단락은 󰆽부터 ~ 󰆿까지 총 세 개의 단락으로 구분되어있으며 총 76마디로 이루어져있다. 세 개의 단락 중 󰆽단락은 전 단락들에서 제시된 12/8박자로 빠르기는󰁜=110으로 제시되었다. 조성은 바단조(f minor)의 선율로 이루어져 있다. 󰆾단락 역시 박자와 속도가 동일하게 진행되며 3분박과 2분박의 리듬이 혼합된 박으로 진행된다. 선율의 진행이 특정 음을 기준으로 음정의 폭을 넓히며 진행하거나 음정의 폭이 좁아지며 순차 하행하는 선율로 진행된다. 󰆿단락은 Cadenza부분으로 12/8박자로 두 번의 속도 변화를 보이며 진행 후 (󰁜=110/ 󰁜=50) 다시 원래의 빠르기로 복귀한다. 제5단락의 소단락 󰇀는 종지단락으로 총 13마디이다. 12/8박자로 속도는󰁜=120이며 작곡자는 ‘박진감 있게’라는 나타냄말을 제시하였다. 조성은 바단조(f minor)의 선율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듬이 2분박으로 분할된 소아쟁 독주선율이 진행 된 후 3분박으로 분박된 선율이 관현악과 함께 진행되며 이 곡은 마무리 된다. 둘째, 각 단락의 세부형식은 다음과 같다. 제1단락의 󰆲는 (a-b-a1)의 형식이다. 󰆳는 (c-c1-연결구-d-d1-연결구-d2)의 형식이다. 󰆴는 (e-연결구)의 형식이다. 󰆵는 (c3-관현악 연결구)의 형식이다. 󰆶는 (e1-a1-d3-d4-종지구)의 형식이다. 제2단락의 󰆷는 (f- f1- f2)의 형식이다. 󰆸는 (g형연결구 – g)의 형식이다. 󰆹는 (h- g형 연결구)의 형식이다. 제3단락의 󰆺는 (관현악연결구- i – 연결구- i1)의 형식이다. 󰆻는 관현악연결구(전조연결구)의 형식이다. 󰆼는 (k-k1-관현악연결구)의 형식이다. 제4단락의 󰆽은 (l- g1- 관현악연결구)의 형식이다. 󰆾은 (l1-k2-k3-전환연결구)의 형식이다. 󰆿은 Cadenza 부분으로 (n-n1-n2-연결구)의 형식이다. 제5단락의 󰇀는 (종지연결구-종지구)의 형식이다. 셋째, 전통음악의 조성체계와 서양음악의 7음계를 혼용한 조성이다. 제1장과 2장의 조성은 다단조(c minor)와 c본청 계면으로 구성되어 선율이 진행된다. 제3장부터 5장까지의 선율은 바단조(f minor)/ 내림가장조(A♭Major)/ 바단조(f minor)의 순으로 진행되며 각 단조의 선율에서는 전통 조성인 계면의 선율과 서양조성의 화성단음계의 선율이 자연스럽게 혼용되어 진행되고 있다. 넷째, 전체 15개 단락의 다섯 개 악장은 도입- 주제제시 –주제의 변형-연결- 발전의 구조로 전개된다. 이 곡은 서양음악의 선율발전법과 전통음악의 형식 중 메기고 받는 형식이 관현악과 아쟁 독주선율에 적용되었다. 전체 선율의 형식은 <빠른악장>- <느린악장>- <빠른악장>이 교차 배치되며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 전환을 이끌며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 색채는 물론 현대적 감각에 부합할 수 있는 10현 /12현소아쟁의 연주법을 살펴보고 민속악적 선율에 기반을 둔 창작곡의 악곡구조와 곡의 형식 등을 파악하는데 두고 있다. 또한 앞으로 이 곡을 연주하고자 하는 아쟁 연주자들에게 작곡자의 의도를 알고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연주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써 본고의 필요성을 두고 있다. This theis has analyzed composer Lee Joon-ho’s Ajaeng Concerto <White Crane>. This song was first played by KBS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on 2014, March 20th on the 21st Concert ‘Young PoongryuⅢ’ by the principal Ajaeng player Lee Moon-soo with his 10 string small Ajaeng. The result of anaylzing the Ajaeng Concerto <White Crane> is as same as follows. Firstly, total of 15 phrases can be divided in these ways. Ajaeng Concerto <White Crane> consists of A Paragraph from O Paragraph and total of 15 small paragraphs so this concerto consists of total of 273 phrases. Each small phrases can be divided into 5 paragraphs based on its melody and beat and the dividing of each paragraph is as same as follows. The first paragraph consists of total of 5 small paragraphs from A to E and the total is 102 phrases and 12/8 meter, Tempo is 󰁜=110 ‘bright and lightly’ played and it starts with jajinmori and the melody goes on with the method that you can feel the beat. Tonality(c minor) consists of this. The second paragraph consists of 3 small paragraphs from F to H total of 41 phrases and 12/8 beat. It is indicated to be played as lyrical as possible and the beat is gutgrori tempo of ♩.=45, and the main characteristic of Sanjo Ajaeng which is sadness contrasts with that of the orchestra’s bright way of playing. Three paragraphs are proceeded all in three different rhythm and speed, H paragraph was indicated to be played lyrically(with deep emotions). This paragraph is a connecting paragraph to the next paragraph and also functions as the connector that prepares the change of composition of next paragraph. The 3rd paragraph consists of 3 paragraphs from I to K and in total there are 41 bars. 12/8 beat has been presented as tempo of ♩.=52 and it was indicated to play colorfully. Tone proceeds by f minor to A♭ Major changing through one paragraph after another. Three paragraphs are continued with the same beat but the tempo of 󰆻 paragraph is presented as ♩.=110, Jajinmori beat. J paragraph functions as a connector which consists of Orchestra and the connector which helps to change from minor scale to major scale. The 4th paragraph consists of L to N in total of three paragraphs and there are 76 bars, Out of all three paragraphs L Paragraph consists of 12/8 beat and tempo of ♩.=110. The tone consists of f minor melody. Also, M paragraph tone and speed proceeds the same way and it is performed with a mixture of 3 small meters and 2 small meters. The melody proceeds based on the certain melody that is played in a higher pitch melody and then to a lower pitch melody. N paragraph is a Cadenza with 12/8 beat with two changes of speed and then after it has been played it returns of its original tempo that are♩.=110/ ♩.=50. The 5th paragraph is O paragraph which is the end of the paragraph and there are in 13 bars. It is 12/8 beat with the tempo of ♩.=120, and the composer has requested its players to play this concerto rhythmically. The tone is mainly composed of f minor melody, after small Ajaeng solo melody divided into 2 small beats has been played, small melody that is divided into three small beats is played with its Orchestra leading this sone to its end. Second, each paragraph may look like following in detail. The 1st paragraph A is in the form of (a-b-a1). B is in the form of (c-c1-connector-d-d1-connector-d2). C is in the form of (e-connector). D is in the form of (c3-orchestra connector). E is in the format of (e1-a1-d3-d4-ending phrase). The 2nd paragraph F is in the form of (f- f1- f2). G is in the form of (g type connector – g). H is in the form of (h- g type phrase). The 3rd paragraph I is in the form of (Orchestra connector– i – connector- i1). J is in the form of Orchestra connector(modulation phrase). K is in the form of (k-k1-Orchestra connector). L of the 4th paragraph is in the form of (l- g1- Orchestra connector). M is in the form of (l1-k2-k3-changing connector). N is Cadenza part in the form of (n-n1-n2-connector). The 5th paragraph O is in the form of (ending connector- ending phrase). Third, this musical piece has the tonality of both traditional music’s tonality and the western music’s tonality of heptatonic scale. The first movement and the second movement tonality consists of c minor and C key note Gyemyungil. From the third movement fo the fifth movement the melody proceeds in the order of f minor/ A♭Major/ f minor, and at minor of each melody traditional tonal melody of Gyemeon and western tonal melody of harmonic minor scale are mixed and played naturally. Fourth, five movement of all 15 phrases develops starting from Beginning – Presenting the theme – Change of the theme – Connect – Advance. This song’s method of how western music’s melody progresses and the form of traditional music was applied in Orchestra and Ajaeng solo. Overall melody consists of <Fast movement>-<Slow Movement>-<Fast Movement> allocated one next to another offers the change of atmosphere with all music. This research took place to take a closer look upon 10 string/ 12 string small Ajaeng which has both traditional and modern taste. Also this research aims on helping the future Ajaeng players to know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to reinforce their understanding upon this musical piece.

      • 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 교육

        장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novel education that enables learners to understand death and live their future lives based on positive introspective awareness. Understanding death is no different from understanding life. Death is not separate from life, but is an extension of life. Death cannot be experienced directly; it can only be experienced indirectly through others. The definition of 'reflection' in the reflection on death refers to Jaspers' self-reflection. Jaspers emphasized self-reflection through self-observation, self-understanding, and self-reve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lf-clarification of existential identity.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eath, to understand oneself through awareness of existence, and to reflect on one's life in the world. In other words, learners can imagine their own death or have ontological refle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death triggered by the death of others. In Chapter 2, the reflection on death wa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theories of Heidegger and Derrida. Bruner's narrative theory and Paul Ricoeur's descriptive identity theory were combined to design a specific process of reflection on death. Reflecting on death in reading novels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 character’s reaction and attitude towards mourning’, ‘understanding one’s own experience of death experience’, and ‘reflection on one’s life and existence in the world’. The specific process of reflecting on death in reading novels is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analysis of death representation’, second,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focalization of death experiences’, and third, ‘reflection on death through the formation of narrative identity’. Readers who have indirectly experienced death through novels com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finitude of life and the irreversibility of death that death can come to anyone. Afterwards, they focus on specific situations, scenes, and characters in the novel and try to mak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Learners grow into subjects who can reflect on their lives and society as a whole based on existential awareness. Based on this theoretical framework, the aspects of learners reflecting on death while reading novels were analyzed. First, the learners understoo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death based on relationships. While they easily sympathized with those close to them, they could not easily empathize with those far away from them. In this process, the learner misunderstood the text or formed a distorted perception of death and analyzed the character's reaction incorrectly. Next, learners showed a pattern of reflecting on their own death experience by reducing it. Learners without prior experiences with death tended to withhold responses to novels or imagine death experiences more than learners with prior experiences. Next, based on the perception of death, there was an aspect of reflecting on one's own ontological life or introspecting oneself in relation to the world by extending it to ethical or social issues. However, there was a limit that some misunderstood the novel through distorted perception or focused only on the subject matter of death and could not lead to reflection on lif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learner patterns, it was concluded that the expansion into life experienc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Regarding this, the goal of education in reflection on death is as follows. It is to expand the experience of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death and provide positive reflection on life through novels. The specific contents of death introspection through reading novels were set as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 of death in novels', 'mourning the death of others through death in novels', and 'ontological reflection through imagining death'. Specific methods of reflecting on death through reading novels include 'revitalization of prior organizers', 'expanding death reflection through intertextuality', and 'self-narrative writing' to reflect on life experiences and share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We have designed what can be done. Death introspection education through novel reading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deal with personal consciousness of death, breaking away from Gazon's literary education that dealt with death only at the macro level. The attitudes that learners can cultivate through reflection on death are as follows. First, you can understand life by facing your feelings about death. Looking back on one's past experiences, one can reflect on one's previous experiences and continuously reflect on one's future life. Second, in novels, various reactions to death experiences are revealed, and by understanding them, you can cultivate an attitude that can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Third, death reflection can foster an attitude toward the social values of the community society to live in the future based on one's new identity, keeping in mind the life with others from an ethical point of view. 본 연구는 학습자가 죽음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삶을 긍정적인 성찰 인식을 기반으로 살아나갈 수 있도록 하는 소설 교육을 구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죽음을 이해한다는 것은 삶의 이해한다는 것과 다름없다. 죽음은 삶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삶의 연장선에 있다. 죽음이라는 것은 직접 경험할 수 없으며 오직 타인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죽음 성찰에 있어 ‘성찰’의 정의는 야스퍼스의 자기 성찰을 참고하였다. 야스퍼스는 실존적 정체성의 자기 해명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 관찰, 자기 이해, 자기를 드러냄을 통한 자기성찰을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죽음 성찰이란 죽음을 이해하고 실존에 대한 의식을 통해 자기를 이해하고 세계 속의 ‘나’의 삶을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학습자는 스스로의 죽음을 상상해보거나 타인의 죽음으로 촉발된 죽음 경험을 통해 존재론적 성찰을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하이데거와 데리다의 이론을 기반으로 죽음 성찰을 개념화하였다.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과 폴 리쾨르의 서술적 정체성 이론을 결합하여 죽음 성찰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계하였다. 소설 읽기에서 죽음을 성찰한다는 것은 ‘인물의 애도 반응 및 태도 이해’, ‘죽음 경험에 대한 자신의 경험 이해’, ‘세계 속 자신의 삶과 존재 성찰’하기의 과정을 거친다. 소설 읽기에서 죽음 성찰의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 표상 분석을 통한 죽음 이해’, 둘째, ‘죽음 경험의 초점화를 통한 자기 이해’, 셋째,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통한 죽음 성찰’. 소설을 통해 죽음을 간접적으로 체험한 독자는 죽음이 누구에게나 다가올 수 있는 삶의 유한성, 죽음의 비가역성과 같은 특성을 이해하게 된다. 이후에 소설 속 특정 상황, 장면, 인물 등을 초점화하고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의미화를 시도한다. 학습자는 실존적 인식을 기반으로 자신의 삶과 사회 전체를 성찰할 수 있는 주체로의 성장을 이룬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근거로 학습자들이 소설을 읽으며 죽음을 성찰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들은 관계를 기준으로 죽음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였다. 관계가 가까운 대상에게는 쉽게 공감을 하는 반면, 관계가 먼 대상에 있어서는 거리를 두고 쉽게 공감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습자는 이 과정에 있어서 텍스트를 잘못 이해하거나 죽음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형성하여 인물의 반응을 잘못 분석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는 학습자들이 자기의 죽음 경험을 환원하여 성찰하는 양상을 보였다. 죽음과 관련한 선행 경험이 없는 학습자는 선행 경험이 있는 학습자들보다 소설에 대한 반응을 보류하거나 죽음 경험을 상상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자신의 존재론적 삶을 성찰하거나 윤리적 혹은 사회적인 문제로 확장하여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성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는 왜곡된 인식을 통해 소설을 잘못 이해하거나 죽음이라는 소재에만 치중하여 삶의 성찰까지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학습자 양상 분석을 통해 삶의 경험으로의 확장이 비교적 부족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죽음 성찰에 있어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죽음 경험을 통해 삶의 경험을 확장하고 삶에 대한 긍정적 성찰을 소설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소설에 나타난 죽음 표상 이해’, ‘소설 속 죽음을 통해 타인의 죽음 애도’, ‘죽음 상상을 통한 존재론적 성찰’로 설정하였다. 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선행조직자의 활성화’,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죽음 성찰 확대’, ‘자기 서사 글쓰기’를 통해 삶의 경험을 반추하고 보다 더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소설 읽기를 통한 죽음 성찰 교육은 거시적 차원에서만 죽음을 다룬 가존의 문학 교육을 탈피해 죽음의 개인적 의식을 다룰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학습자들이 죽음 성찰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태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자기의 감정을 직시하여 삶을 이해할 수 있다. 자신의 지난 경험을 돌아보며 자신의 선행 경험을 성찰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삶에 있어 지속적인 성찰이 가능하다. 둘째, 소설에서는 죽음 경험의 다양한 반응이 드러나는데 이를 이해함으로써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셋째, 죽음 성찰은 윤리적 관점에서 타자와 함께하는 삶을 염두에 두며 자기의 새로운 정체성을 기준으로 앞으로 살아가야 할 공동체 사회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

        장문정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 의료 환경의 변화와 함께 국민들은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고 이에 간호조직은 ,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새로운 인적 자원관리가 절실하게 되었다. 인적자원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리더십이다. 최근에는 감성지능이 조직의 변화를 주도할 새로운 패러다임의 리더십으로 대두되면서,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 정도를 파악하여 감성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 즉,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12년 5월6일부터 2012년 5월31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상급병원의 간호사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감성리더십 측정도구, 직무만족도구, 직무스트레스도구와 조직성과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ver 9.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결과 :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정도는 평균평점 3.34±0.55점으로 나타났고, 감성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자기인식능력(3.66±0.56)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인식능력(3.56±0.56), 자기관리능력(3.47±0.50), 관계관리능력(3.16±0.59)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리더십요인은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및 관계관리능력이었고,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리더십 요인은 관계관리능력이었으며,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리더십 요인은 사회적 인식능력과 관계관리능력이었다. 결론 : 감성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조직성과등의 각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영역은 관계관리능력으로 나타났고, 이는 간호리더가 다른 사람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능력이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리더들의 감성역량을 강화시켜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고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성리더십 프로그램개발과 교육 및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 : 간호리더,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조직성과

      • SNS 스타 파피장(Papi醬)의 네트워크 유력자 연구 : 중화권 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장문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페이스북 팬페이지 같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인기가높은 SNS 스타 파피장(Papi酱)에 대해 이야기하는 주요 행위자를 규명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력자를 도출하고 앞으로 SNS 스타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SNS 홍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SNS 스타 파피장의 페이스북 팬페이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SNS 유력자의 존재에 대해 설명한 후 파피장의 페에스북 팬페이지 유력자가 누구이며 네트워크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SNS 스타 파파장의 페이스북 팬페이지 주요 유력자는 개인, 비파피장 팬, 파피장 팬, 유명인, 홍보 계정이었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존재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유력자로서 기능했다. 세분화 된 유력자 중 발언자는 개인과 비파피장 팬이었다. 지지자와 위세자는 개인, 파피장 팬, 비파피장 팬 블로그 계정이었다. 교섭자는 개인, 유명인, 홍보 계정이었다. 종합하자면 SNS 스타 파파장의 페이스북 팬페이지 네트워크는 개인, 유명인, 파피장 팬, 비파피장 팬 및 홍보 계정을 조합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그 중에서 개인과 비파피장 팬 블로거는 주요의 유력자로 나타났다. 페이스북 특성에 따라 SNS 발언자와 지지가 서로 관계성을 가진다. 즉 SNS 발언자와 지지자는 댓글하기, 타인 에게 댓글하기, ‘좋아요’ 누르기, 댓글에 ‘좋아요’ 누르기 등의 속성을 통해 측정되었기 때문에 관계성이 발생한다. 또한 중심성 지표를 통해 개념화하여 분석한 SNS 스타 파피장의 페이스북 교섭자, 위세자는 서로 관계성이 있다.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의 값이 동시에 높게 나타날 수 있다.

      •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향상 교육방안 연구

        장문정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針對外國人的韓國語敎育是指以母語不是韓國語的外國學生為對象教授韓語的教育課程。這一教學過程的目的不僅僅是使學生知道并了解韓國語,在這之上更重要的是使之能熟練地使用韓國語進行溝通。意思疏通包括流暢精確的运用韓國語和韓國人進行日常對話的能力以及創意的構思運用韓國語的能力,俗談是一個國家的語言的精髓,簡短的俗談可以表現一個國家的文化,思想等,而且深層意義上的比喻給一些韓國語的學習者帶來很多的難點。在韓國和中國相似的歷史,地理的影響下很多相似的文化因素,受這些因素的影響,中韩俗談的對比很重要再加上現在越來越多的中國人在學習韓國語,應該更加重視韓中俗谈的比較。本論文是針對韓國語学习者為對象通過俗談的學習對韓國語能力的提高以及了解韓國的傳統文化。第一章主要介紹本論文研究的必要性以及研究的目的,通過一些先行研究得知韓國俗談研究的必要性以及學生學習的重要性。 第二章主要描述俗談的定義以及特性,俗談的三個特性如下,首先是形態上俗談是由簡短的幾個單次構成的,其次是民眾們在生活中歸納的貼近生活的特性,最後俗談的比喻性強,反映當時社會文化具有教育意義。了解這些特性以後把握學習的重點展開學習。了解特性掌握俗談的教育價值,主要通過意思疏通和文化的側面首先是意思疏通方面上講,不同的水準相對應的學習內容也是有所差別,掌握好各個階段的俗談以及運活用俗談。其次是文化方面上而言,俗談是我們的祖輩流傳下來的具有文化涵養的短句,含有祖輩的智慧以及思維方式,早先生活的表現方式,所以教育價值更加好總要。 第三章主要是對現在正在運用的韓國語教材進行分析研究,通過研究結果找到最好的教學方式,使得學生更好的學習運用俗談。 第四章為了更好使得學生們的韓國語能力的提高具體介紹俗談的學習方法,在本章以初中高級三個階段的俗談學習,首先是選定三個階段的學習內容,著重于初級學習者的教學方法以及實際應用。主要分為12個課時進行授課。 第五章,總結上述內容並對未來關於狀況中心役割劇这类教学方案的內容做了相關提議

      • 폭력을 경험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예측모형

        장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Roy의 적응 모델을 기반으로 폭력을 경험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검정한 공분산 구조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은 즉각적 행위 변화를 일으키는 초점 자극으로, 초점자극에 대한 네 가지 적응모드는 신체생리적 반응,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공감만족으로 설정하였으며, 부적응 반응은 소진으로 개념화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11일부터 2월 29일까지 B 광역시에 소재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 이상의 21개 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무 중 적어도 6개월 이내에 폭력 경험이 있는 간호사 26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GFI=.91, RMR=.04, CFI=.91로 적합하였지만, /df=3.53, AGFI=.84, RMSEA=.10, NFI=.88, TLI=.87로 권장수준에 미치지 못해 가설적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지수(MI)를 이용하여 내생 잠재변수의 오차항을 연결하여 모형을 수정한 결과, /df=2.61, GFI=.93, AGFI=.88, RMR=.04, RMSEA=.08, NFI=.92, TLI=.92, CIF=.95로 모든 적합도 지수가 권장수준을 충족하여 수정한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2)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은 신체생리적 반응과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명력은 각각 6%와 13%이었다. 자아존중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폭력경험 순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이었다. 공감만족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폭력경험 순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7%이었다. 소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 폭력경험, 자아존중감과 신체생리적 반응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95%이었다. 3)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경험은 신체생리적 반응,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공감만족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폭력경험, 신체생리적 반응, 자아존중감과 공감만족은 소진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폭력경험은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직접효과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공감만족에 직접효과와 공감만족을 매개로 소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만족이며, 신체생리적 반응,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은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측면에서,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폭력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만족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강화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소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종편뉴스의 공정성 인식과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태도·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장문정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뉴스의 공정성은 그동안 학계에 꾸준히 논의되어 온 화두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선언적이고 모호한 개념에 머물러있다. 본 연구는 저널리즘의 본령이자 핵심 가치인 뉴스의 공정성을 수용자의 관점에서 조사하고,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뉴스 신뢰도 ․ 뉴스 시청의도 ․ 프로그램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것들이 뉴스 시청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종편채널 4사의 뉴스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는 종편뉴스 시청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30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 종편뉴스의 공정성 인식은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 ․ 뉴스 시청의도 ․ 프로그램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 ․ 뉴스 시청의도 ․ 프로그램 충성도가 뉴스 시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종편채널 4사 모두에서 뉴스 시청의도와 프로그램 충성도는 뉴스 시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뉴스 신뢰도의 경우는 종편채널 4사 중 유일하게 JTBC만 뉴스 시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람직한 뉴스의 핵심 덕목인 공정성 인식과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태도․뉴스 시청량 사이의 관계를 종편뉴스를 대상으로 분석한 이 연구는 공정성이 실제로 뉴스 수용자를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종편채널 4사 뉴스의 보도 특징과 연관지어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구근대의 화단 성립과 발전기 연구 : 1910~1930년대를 중심으로(From 1910s to 1930s)

        張文楨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Nevertheless the times limit as a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One of the factors such as the golden age is Gyeongb railroad work on 1903. As Daegu was part of the main cites of kung bu-train between Gyeonggeong and Busan. It became developed domestic center of a colonial policy. Thus many Japanese gathered Daegu and Japanese unvest capital in Daegu, it became quickly industrialized and citified. Because of it, Daegu placed profitable position to accept western culture institutions native Koran painters met western painting, so all over the country's artists gathered Daegu. Some of forerunners in Daegu are part of catalyst of fast development in Daegu art world. The Daegu of artists are different from other region because of Seokje SeoByngo as a leader modern Daegu artists. He was a person who effects central painting circles as a relationship with Dae won geun. Building style formed by him constituted other painting circles compared with central painting circles. A style of painting was instructed by him, apprentices, especially Seo Donggyung. His activities displayed as a 'Gyeonam seuwha research institute'. It was a modern art education organ after kyeong sung, Pyeong yang. Though we cannot call it 'modern' because it has limit as a apprentice system method, we can find out it 'modern' that it was a professional art school and it jointed a work of art together with general public by helding exhibition. Research organization of Gyonam Traditional painting became speed up developing of Daegu painting circles. As new art type, water-color painting on traditional western art foundation occupied, it became soon catalyst new artist in Daegu painting circles. Thus water-color painting boom became a peak of 1930s by Lee Insung supported Seo Dongjin. Also some facts through Daegu painting circles establishment and prosperity are not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painters residence and native Korean painters. Though they are rival, Native Korea painters are friendship to them and participated in Japanese's work ship. For example, They participated in 'Zatohoe' in Japanese painting group. Japanese painter assistance Binchonmunung(濱村文雄) in Seo Dongjin's second individual work shop. Binohonmunung(濱村文雄) put on exhibition as a regular number at 'Hyangtohoe' fifth group work shop. It consisted of orginal Korean painters. It was important that Japanese's art teacher's activities of Daegu educational school. It educated famous artist as Geun Gyeongyon, Kim sumyeong. At the point of them, Daegu modern painting circles may be pro-Japanese. It proved out show good results that was famous after Pyengyang through 'Chosun art exhibition'. It was art exhibition.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Japanese Govenment-General Korea. They were criticized that they could not find out secret purpose the exhibition and deal with independently. As central of 'Hyongtohoe', a native Daegu painters were sensitive 'Chosun Art Exhibition'. They focused on 'Chosun Art Exhibition' about a style of painting. But modern chosun was special environment under Japanese colonial. Our modern painting caused control and regulation and observation under Japanese culture policy. Daegu modern painting circles was not conflict with Japanese, except 'Younggahoe' by Lee Sangchun in KAFE. Our modern period was handled general and value neutral modern under imperialism as a 'Chosun Art Exhibition'. Because of such Daegu painter who adapted imperialism. Daegu developed a city of modern painting. But it is not only Daegu painting circles but also total modern trend. Only Daegu was not free oneself from limit circumstance. But out of view, ironically it could response sensitively about periodic flow or display form of painting. And it could explain complexly character about colonial culture. Such a view, it is important that Daegu painting circles are reported. In this treatise's purpose is an explanation about Korea total modern painting peculi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