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의 대안세게화운동: 새로운 공간의 정치

        장대업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7 No.3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different forms of manifestation of struggles against the expanding circuit of capital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globalisation.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 will try to identify the dual impact of neoliberal globalisation, whcih expands the basis of solidarity among different social movements by integrating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to value-relations and at the same time creates divisions between social movements by building up hierarchical relations through different social mediations such as gender, region, and nationality. In the second part I will trace the making of inter-Asia solidarity during the anti-WTO protest in Hong Kong in 2005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scaling-up strategies. In the third part, I will argue despite the success of Asian social movements in creating ‘Asia’ as a new space for solidarity, Asia as a tool to overcome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social subjects of anti-value struggle is a highly contested space, for more effective utilisation of which is subjected to efforts to overcome nationalist approaches as well as vulgar globalist approaches to solidarity for social emancipation. 이 글은 하나의 계급적 기획으로서의 신자유주의세계화가 반자본적 운동에 미친모순적이고 이중적 영향을 아시아의 사회운동들이 극복하는 과정을 2005년 홍콩에서 벌어진 WTO회담 반대투쟁에 대한 독해를 통해서 추적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한편으로 사회관계의 가치적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삶의 주체들을 가치주체(Value Subjects)로 전환하고 다양한 자본의 순환의 계기들에서 삶의 요구들과 가치관계가 충돌하는 운동의 전선 (戰線)들을 확장함으로써 이종적 운동 간의 연대성의 사회적 기반을 확장한 반면, 확장된 자본순환의 다양한 계기 간의 분절을 지역·국적·젠더·고용 등의 매개를 통해 극대화함으로써 그 계기에 포섭된 개별 주체들을위계적으로 대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모순적 상황 속에서 사회운동들은그들의 운동을 제한하고 있는 공간적 규정을 재구성함으로써 대안세계화운동으로자신을 구축하고자 한다. 우리는 아시아에서 이러한 시도들이 아시아라는 대안세계화운동의 전략적 공간을 구성하고 지역투쟁에 기반을 둔 다층적 스케일의 사회운동으로 발전하면서 일정 정도 성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지만 동시에 이 공간이 지구적이고 일국적 도전들에 둘러싸인 지극히 유동적이고 유약한 공간임을 발견한다.

      • KCI우수등재

        발전의 발명과 변태(Metamorphosis): 인공적 구성물로서의 발전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대업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20

        Academic discussions on development are no longer rare in South Korea as South Korea has grown to become one of the main acto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impact of Korea’s international engagement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veloping countries has increased. However, in these scholarly discussions, the meanings of development and its influence in world history have not been discussed much. Consequently, the concept of development is used at various commentators’ convenience without substantial debates. In many cases, development appears to be ambiguously positive so that it can be equated to progress and, therefore, cannot be denied. In so doing, the various meanings of development are mixed without any distinction in academic and daily discussions about development.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the notion of development (both intentional and immanent development), which is often unclearly associated with diverse social phenomena. This paper traces the history of the notion of development and the metamorphosis of the notion in world history by tracing the origin of the concept and various meanings attached to it. This paper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development is not a natural product or a modern invention but based upon an orthodoxy formed through a long historical process. I argue that the social relation of development that maintains this orthodoxy has also undergone long controversy to have trusteeship at the centre of the relation. We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ories and policies regarding this concept emerged and have been debated and politicised through conflicts between social groups with different positions. The critical conceptual history of development presented in this paper contributes to solving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development and proposes a critical paradigm in contemporary discussions abou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한국이 국제개발협력의 일주체로 성장하고 개발도상국의 발전과정에 미치는 영향이크게 증가하면서 발전(development)에 대한 학문적 논의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학문적 논의들에서 발전 혹은 개발의 개념은 논자에 따라 편의적으로 쓰이고 있는것이 현실이며 이들 개념이 정확하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세계사에서 어떤 영향력을 행사해왔는지는 풍부하게 논의되지 않고 있다. 많은 경우에 발전은 모호하게 긍정적인 개념으로 진보와 등치되거나 거부할 수 없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여겨지며 여러 가지의미의 발전개념이 구분 없이 혼용되기도 한다. 이 글은 이렇듯 불분명하면서도 여러현상에 대해 가장 흔하게 붙여지는 발전 혹은 개발(영어로는 모두 development)이라는 개념을 문제 삼고자 한다. 이 글은 발전이라는 개념의 기원과 그 개념 위에 덧붙여진여러 가지 의미를 추적함으로써 발전이 가지는 의미의 역사성과 세계사적 변태(Metamorphosis)과정을 추적한다. 그럼으로써 이 글은 현재의 발전개념이 자연적인산물이거나 현대의 발명품이 아니라 오랜 역사적 형성과정을 거쳐 형성된 발전정설(development orthodoxy)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정설을 지탱해주는 발전의 사회적관계 역시 오랜 쟁투를 거쳐 형성된 신탁적 관계임을 밝힌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이 개념에 대한 이론과 정책들이 역사적으로 어떤 맥락에서 등장하고 어떻게 서로 논쟁했으며, 각기 다른 입장을 수용한 사회적 집단들의 충돌을 통해 어떤 식으로 정치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이 글이 제시하는 발전의 비판적 개념사는 발전개념에 대한 모호함을해소하는 데 공헌하고 국제개발협력을 둘러싼 논의에 하나의 비판적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Informal Exploitation and Unregulated Expansion: Assessing the Construction Labour Regime in Contemporary China

        장대업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4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China’s construction labour regime and its origin, arguing that it features informal recruitment and exploitative labour use, both of which contribute to the hyper-exploitation of the vast majority of workers in the sector. The origin of such a labour regime lies i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local intensific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through the unregulated marketisation and expansion of the industry, the particular corporatisation of construction enterprises, the creation of a hierarchical inter-firm functional division of labour between contractors, institutional segregation between urban and rural-migrant labour, and a lack of socio-political representation of migrant construction work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시아의 대안세계화운동

        장대업(Daeoup Cha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0 No.2

        이 글은 하나의 계급적 기획으로서의 신자유주의세계화가 반자본적 운동에 미친 모순적이고 이중적 영향을 아시아의 사회운동들이 극복하는 과정을 2005년 홍콩에서 벌어진 WTO회담 반대투쟁에 대한 독해를 통해서 추적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는 한편으로 사회관계의 가치적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삶의 주체들을 가치주체(Value Subjects)로 전환하고 다양한 자본의 순환 계기들에서 삶의 요구들과 가치 관계가 충돌하는 운동의 전선 (戰線)들을 확장함으로써 이종적 운동 간의 연대성의 사회적 기반을 확장한 반면, 확장된 자본순환의 다양한 계기 간의 분절을 지역ㆍ국적ㆍ젠더ㆍ고용 등의 매개를 통해 극대화함으로써 그 계기에 포섭된 개별 주체들을 위계적으로 대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모순적 상황 속에서 사회운동들은 그들의 운동을 제한하고 있는 공간적 규정을 재구성함으로써 대안세계화운동으로 자신을 구축하고자 한다. 우리는 아시아에서 이러한 시도들이 아시아라는 대안세계 화운동의 전략적 공간을 구성하고 지역투쟁에 기반을 둔 다층적 스케일의 사회운동으로 발전하면서 일정 정도 성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지만 동시에 이 공간이 지구적이고 일국적 도전들에 둘러싸인 지극히 유동적이고 유약한 공간임을 발견한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different forms of manifestation of struggles against the expanding circuit of capital in the context of neoliberal globalisation. I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 will try to identify the dual impact of neoliberal globalisation, whcih expands the basis of solidarity among different social movements by integrating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to value-relations and at the same time creates divisions between social movements by building up hierarchical relations through different social mediations such as gender, region, and nationality. In the second part I will trace the making of inter-Asia solidarity during the anti-WTO protest in Hong Kong in 2005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scaling-up strategies. In the third part, I will argue despite the success of Asian social movements in creating ‘Asia’ as a new space for solidarity, Asia as a tool to overcome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social subjects of anti-value struggle is a highly contested space, for more effective utilisation of which is subjected to efforts to overcome nationalist approaches as well as vulgar globalist approaches to solidarity for social eman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