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퍼서사의 복합양식적 재현 양상

        장노현 ( Jang Nowhyu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하이퍼서사는 하이퍼링크를 아주 의도적,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만든 ‘잘 구조화 된’ 서사물이다. 그것은 기존 인쇄 서사물과 다른 여러 형식적 특성들을 가진다. 본고는 그 특성들 중 하나인 복합양식적 특성이 실제 작품의 서사 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참조하고 분석한 하이퍼서사 작품은 < 그래마트론 Grammatron >, < 크바드레고 Quadrego >, < 지하철 이야기 Subway Story >, <99인의 최종전차> 등의 국외 작품들과 39인 공동작 <두 가족 이야기>, 윤서연·이금영의 < Fugue >, 김민진의 <자화상>, 문홍연·정다슬의 < Truth > 등의 국내 작품들이다. 하이퍼서사의 가장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재현 수단은 문자언어이다. 하지만 인간이 가지는 서사 욕망을 다차원적 감각을 통해 표현하기 위해 하이퍼서사는 문자언어의 도상적 시각성을 받아들인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서구의 구체시 운동에서 이미 실험된 바 있지만 하이퍼서사에서 보다 본격적으로 활용된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1) 기본 글꼴의 종류나 크기 및 색깔 위반하기, (2) 기본 정렬방식 위반하기 (3) 배경색이나 배경이미지 차용하기, (4) 문자텍스트의 애니메이션화 등이 그것이다. 문자언어의 시각적 재현은 문자의 일렬 배열이라는 전통적인 글쓰기를 약화시키고, 하이퍼서사 독서를 사이버네틱하고 유희적으로 변하게 한다. 하이퍼서사는 이미지, 소리, 동영상 등을 활용하는 멀티미디어적 재현의 방식도 자주 사용한다. 초기 작품들은 지도, 순서도, 지하철 노선도, 일러스트 등의 시각적 도상들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는 하이퍼서사를 미로 같은 구조물로 이해했던 초기적 생각의 반영이다. 이에 비해 최근 국내에서 창작된 하이퍼서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직접 서사 구성과 현실 재현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된다. 작품을 통해 확인된 바로는 시각적 이미지의 서사 구성과 현실 재현의 능력은 문자언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다. 반면 소리나 동영상 등을 활용하는 재현 방식은 좀 더 실험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Hyper-narrative is a well-structured narrative created by using hyperlinks very systematically and intentionally. It has various formal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print novels. This paper explores how multimodal characteristics, one of its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actual works. The hyper-narrative works that are referenced or analyzed for this are as follows : Mark America’s Grammatron, Stefan Maskievicz’s Quadrego, David Yun’s Subway Story, Inoue Yumeito’s 99 persons’ last train, and Korean works such as Stories of Two Family, Fugue, Self Portrait, and Truth. The most basic and preferred means of representation of hyper-narrative is character language. However, in order to express narrative desires of human beings in multidimensional sense, hyper-narrative introduces the graphic visuality of the language of the character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 language has already been experimented in the concrete poetry of the West, but it is used more fully in the hyper-narrativ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character language in hyper-narrative appears in four aspects. (1) Violating the type, size, and color of the default font, (2) Violating the default alignment, (3) Borrowing a background or background image, and (4) Animating text.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language weakens traditional writing which is a linear arrangement of text, and changes the hyper-narrative reading to cybernetic and playful. Hyper-narrative often uses multimedia representation methods that utilize images, sounds, and videos. Early works used a lot of visual icons such as map, order, subway map, illustration, etc. This is a reflection of early thought that understood hyper-narrative as a maze-lik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in recent works created in Korea, visual images are used for narrative composition and reality representation, not as a guide for searching. Visual images can be as good as a text language to represent characters, events, narrative situations and moods. Unlike visual images, multimedia representation methods that utilize sound or video in hyper-narrative need to be further experimented and developed.

      • KCI등재

        하이퍼서사의 가능성과 국내 창작 사례 연구

        장노현 ( Jang Nowhyu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3

        하이퍼서사는 다양한 서사적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진 디지털 시대의 주요한 서사 형식 중 하나이다. 하이퍼서사는 `링크를 통한 연결`을 중요한 작동원리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링크를 통한 연결`은 웹과 모바일을 막론하고 모든 디지털 매체의 핵심적인 작동방식이며, 사람들의 사유 방식도 이를 닮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만들어진 두 편의 `잘 구조화된` 하이퍼서사 < Fugue >와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을 대상으로 표상의 추출과 연결의 문제를 설명한다. 이것은 각각 단위텍스트를 만들고, 링크를 설계하는 작업과 관련된다. 단위텍스트를 만드는 작업은 우선 창작자의 머릿속에 생겨난 어떤 주제나 사건에 대한 흐릿한 생각의 덩어리(최초 표상)를 지속적으로 해체하고 분해하는 재기술 과정에서 시작한다. 재기술 과정을 거치고 나면 구체적인 형상과 분위기를 가진 여러 개의 구체 표상들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구체 표상들은 문자언어화 및 시각화, 청각화 작업을 통해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단위텍스트들로 만들어지고 저장된다. 이때 창작자는 종합적, 통합적 사고가 아닌 개별적, 계열적 사고 패턴을 보인다. 논문에서는 2016년 작 < Fugue >의 단위텍스트가 만들어지는 창작 과정을 설명한다. 구체 표상으로부터 단위텍스트가 만들어지고 나면 창작은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 창작자는 단위텍스트 형태로 가시화된 구체 표상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링크구조를 설계한다. 링크의 설계는 서사의 내용적 지속보다는 변화에 기초한 연관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가운데, 6가지 기본 링크 모형을 혼합 활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진다. 하이퍼링크가 완성되면 비로소 하이퍼서사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독자의 선택과 호출에 따라 잠재된 것과 현재화된 단위텍스트들이 지속적으로 교체되면서 다양한 의미를 생성한다. 논문에서는 < Fugue >와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을 중심으로 링크의 설계 양상을 설명한다. Hypertext narrative is one of the major narrative forms of the digital age with various narrative potentials and possibilities. But in Korea, hypertext narrative creation has not been active yet. Related research has also been about introducing foreign theories and works. Fortunately, this situation has changed recently. Between 2015 and 2016, six hypertext narrative works were produced through the “Hyper-narrative creation project” conducted at Hannam Universit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reative process of hypertext narrative based on the creative experience of the project. Hypertext narrative is a narrative form consisting of a unit text and a hyperlink. That is, several unit texts are linked through hyperlinks. Thus, the study of the method of creating a hyper-narrative becomes a problem of how to make unit text and how to connect it. In this paper, we divided it into two stages. Unit text is an important criterion in creating, as well as the acceptance of hyper-narrative. The process of creating a unitary text begins by consistently disassembling and decomposing a chunk of fuzzy ideas about a subject or event that occurs in the creator`s mind. In this paper, it is called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extraction. After this process, concrete representations with specific shapes and moods are created. Concrete representations are described and stored in independent, individual unit texts through a real writing process. At this time, the creator shows individual and sequential thinking patterns rather than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thinking.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extraction of representations and the determination of unit texts, focusing on the process of creation of < Fugue > in 2016. After the unit text is created through the extraction process of representation extraction, the creation proceeds to the next step. In the next step, the hypertext narrative creator prepares various types of hypothetical signs and hyperlinks them to interconnect the subdivided representations. At this time, the creator considers the relation based on the change rather than the continuation of the contents of the unit texts. Once the hyperlink is complete, the hypertext narrative becomes operational. And as the reader selects and calls, the potential and current unit texts are constantly replaced, creating a variety of meanings. In this thesis, we describe creative experience related to the design of links, focusing on < Fugue > and < the Situation of the Male and Female >.

      • KCI등재

        신소설 작중인물의 가치유형 분석 방법과 적용 - 김교제 신소설에 대한 적용 사례 -

        장노현 ( Jang Nowhyu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6

        This paper explored new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Sinsoseol`s Characters. First, it addresses what Schwartz`s universal value theory is, and how does the theory conjugate to analyze value of characters from Sinsosels. The value analysis goes through the process to extract necessary value indictors from character`s actions and dialogues, to infer character`s value domain, value item, and initiative on value. In this process, what is important is to have to consider narrative context sufficiently. This analysis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three Sinsoseols by Kim Gyoje.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lls us that the second volume of Chiaksan is not a story of the sufferings of female main character, but a revenge story of some people centering Hong Chamui. Different from the first volume of it, he became a main character in it. The result of analysis also makes us know that female characters in his novel are much more open to change than male characters. What`s more, female characters have more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n mal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