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서사 창작교육의 필요성과 사례 소개

        장노현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2

        디지털서사는 디지털 매체 상에서 창작·유통·소비되는 새로운 서사 양식을 말한다. 이 논문은 대학의 창작교육이 근대소설의 재생산을 넘어서 디지털서사 창작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디지털서사 창작교육의 한 사례로 HCEP(하이퍼서사 창작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HCEP은 (3+1) 단계로 구성된 교과·비교과 연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하이퍼서사 창작교육 프로그램이다. HCEP은 하이퍼서사 작품을 실제로 창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이를 위하여 디지털 매체기술 활용 능력을 제고하고, 하이퍼서사의 개념과 원리, 창작 방법과 서술기법 등을 학습하면서, 작품 창작을 동시적에 병행한다. 이후, 창작된 작품은 비교과 활동을 수행하는 HN2 프로젝트팀을 통해 관리되고 홍보된다. HCEP을 통해 현재까지 50편 이상의 하이퍼서사 작품이 창작되었고 웹상에서 공유되고 있다. 이 작품들은 하이퍼서사에 대한 디지털 서사이론을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다양한 사례와 근거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또한 HCEP은 참여 학생들에게 디지털 매체기술 활용의 경험과 창작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진로와 취업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Digital narrative are a new form of storytelling that are created, distributed, and consumed on digital media. This paper argues that creative education in universities should be expanded beyond the reproduction of modern novels to the creation of digital narratives. It also introduces HCEP as an example of digital narrative creative education. HCEP is a hypernarrative creative education program that is conduct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3+1) stages. HCEP aims to actually create hypernarrative works. To this end, students improve their ability to utilize digital media technology, lear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hypernarrative, creative methods and narration techniques, and simultaneously create works. After that, the works created online are managed and promoted by the HN2 project team, which engage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HCEP, more than 50 hypernarrative works have been created and shared on the web. These works provide various cases and grounds needed to develop a new narrative theory for hypernarrative. In addition, HCEP is working as a positive factor for career and employment by providing participating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using digital media technology and opportunities to create at the same time.

      • 전홍준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

        장노현 한국언어문화학회 ( 구 한양어문학회 ) 2002 한국언어문화 Vol.22 No.-

        Jang No Hyun. 2002. An Unerstanding of the Real Reflected Jeon Hong Jun' Novel. Jeon Hong-jun was an unnoticed novelis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e depicted the real of the Liberation period with a critical eye in the <Dawn(새벽)> and <Wriggling(준동)> which are filled with an abominable intellectual. In the <The History of Big Gate House(큰 대문 집의 역사>, the writer described the real of those days and Korean modern history using allegory. He showed that the gloomy real was caused by the power of foreign country and Korean followers. The characters of this novel are all well delineated satirically. By using allegory and satire in combination, the writer reflected the real of the Liberation Period adequately and substantially. <Itinerary(노정)> differs from the other works. It was based on Lofty Realism that is Bukjoseon Munyechong's creative methodology. The writer found the most suitable creative methodology to solve the historical issues the society of the time faced. His understanding of the real changed more affirmative side.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서사의 서사 구성 원리 : 99인의 최종전차

        장노현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8 No.-

        People are grow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digital narrative when Internet has attained attention as tool and space for artwork.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narrative constitution of 99 Persons’ Last Train that is hypertext narrative. 99 Persons’ Last Train includes many stories of 103 characters taking the subway train. These stories got mixed up in unfamiliar form. On the principal of narrative constitution, that is different with that of object constitution that appear upon the historical storybook before modern times and that of linear constitution of modern novel. In 99 Persons’ Last Train, Refocalization takes place continuously. All characters become focal narrator and make other characters into focal object. Focal narrator and focal object exchange a role constantly. Therefore relations of characters are not fixed and tie of them is changeable. Tie of characters is divided into two forms, indirect tie and direct tie. Indirect tie is weak tie such as seeing, observation, while direct tie is strong tie which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rchange between characters is possible. Therefore direct tie forms the basis of formation of cluster. Story Cluster is relationships that direct ties got entangled intricately. Story Cluster in 99 Persons’ Last Tra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itution of character’ identity. In conclusion, narrative in hypertext narrative is made on a principle of cluster constitution. The collected unit texts constitute a character’s story and character’s stories constitute a story cluster. And each cluster, which holds the weak tie, constitutes a larger hypertext narrative. 인터넷이 예술 작업의 도구와 공간으로서 지니는 잠재력이 주목받으면서 디지털 서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하이퍼텍스트 서사인 99인의 최종전차을 분석하여 디지털 서사에 나타나는 서사 구성 원리를 밝히려는 시도이다. 99인은 지하철 긴자센 마지막 열차를 탑승한 103명에 관한 이야기들이다. 완결성이 다르고 장르가 상호 이질적인 이야기들이 아주 낯선 방식으로 한데 어울려 있다. 서사 구성 원리에서 볼 때, 그것은 전통시대 야담집의 개체적 구성 원리나 근대소설의 선형적 구성 원리와 다른 특징을 보인다.99인에서는 지속적인 재초점화가 이루어진다. 모든 인물들은 스스로 초점화자가 되어 다른 인물을 초점화 대상으로 만든다. 초점화자와 초점화대상은 끊임없이 교체된다. 이에 따라 인물들의 관계는 어떤 것도 고정적이지 않고, 인물 간의 결속의 양상은 가변적이다. 인물 간의 결속은 크게 직접적 결속과 간접적 결속으로 나누어진다. 간접적 결속이 바라보기나 관찰하기 등의 약한 결속인데 반해, 직접적 결속은 상호 대화나 감정 교류가 가능한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결속이다. 강한 결속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토대가 된다. 이야기 클러스터는 직접적 결속이 상호 복잡하게 얽혀진 관계망이다. 99인에서 이야기 클러스터는 서사적 인물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역할을 맡는다.

      • KCI등재

        하이퍼서사의 등장인물과 포스트휴먼적 사유

        장노현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In our daily life, we face numerous posthuman predicaments. This study analyzes posthuman characters appearing in hypernarrative works created through the “HN2 Project” after 2015. A posthuman character refers to a technology-mediated character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ategorically distinguish between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This study begins with a discussion about the “HN2 Project” and the essence of the hypernarrative. In Chapter 3, posthuman beings are explored, whereas Chapter 4 analyzes the unique ways of representing a multiple character with multiple personalities and identities at the same time. Technologically-mediated beings were categorically distinguished from humans as beings that were usually negative and abnormal in the traditional narrative genre. However, in the HN2 hypernarrative, they no longer occupy the position of categorically distinguished “exceptional other.” Rather, they demonstrate a relational subjectivity that first accesses human beings through contingent and transversal connections. Conversely, the hypernarrative uses three techniques to present a multiple character with fluid identities: drawing between characters, drawing between the reader and the character, and connecting the real and fictional worlds. These techniques utilize the function of hyperlink, which is the essence of the hypernarrative.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포스트휴먼적 곤경 상황과 대면하고 있다. 이 논문은 2015년 이후에 ‘HN2 프로젝트’를 통해 창작된 하이퍼서사 작품에 등장하는 포 스트휴먼적 인물을 분석한다. 포스트휴먼적 인물이란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의 범주적 분리와 구별이 힘든, 기술 매개적 캐릭터를 의미한다. 논문은 먼저 ‘HN2 프로젝트’와 하이퍼서사의 본질에 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3장에 서는 포스트휴먼적 존재 즉 인간-아닌 행위자들을 탐색하고, 4장에서는 하이퍼 서사에서 다중적 인물이 재현되는 독특한 방식을 분석한다. 기술 매개적 존재들은 전통적인 서사 장르에서는 대개 부정적이며 비정상적인 존재들로, 인간과 범주적으로 구별되었다. 하지만 HN2 하이퍼서사에서 그들은 더 이상 범주적으로 구별되는 예외적인 타자의 위치에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우연적이고 횡단적인 연결을 통해 인간-존재에게 먼저 접속하는 관계적 주체성 을 보여준다. 그리고 하이퍼서사는 유동적 정체성을 지닌 다중적 인물을 제시하기 위해, 인물들의 사이그리기, 독자와 인물의 사이그리기, 세계 연결하기 등의 3가지 기법을 동원한다. 이런 기법은 하이퍼서사의 본질인 연결의 기능을 활용 한다.

      • KCI등재후보

        다중서술의 변화와 영혼서술자의 등장

        장노현 대중서사학회 2007 대중서사연구 Vol.- No.17

        본 논문은 다중서술과 영혼서술자를 다룬다. 다중서술은 여러 명의 서술자가 필요한 서술 형식이다. 서술자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사건 서술에 참여한다. 다중서술은 크게 다층적 다중서술과 다원적 다중서술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다층적 다중서술은 겉이야기와 속이야기를 복수의 서술자가 각자의 시선과 관점에서 서술한다. 겉이야기와 속이야기가 서로 다른 서술자에 의해 서술될 뿐 아니라 각자 충분하고도 독립적인 서사적 세계를 그려내야 한다. 다원적 다중서술은 복수의 서술자가 동일한 대상이나 사건을 두고 그 전체를 각자의 관점에서 서술하거나, 혹은 각자가 대상이나 사건의 일부분만을 담당하여 서술해 나가는 방식이다. 최근 서사물에서는 다원적 다중서술의 출현빈도가 높아서, 다중서술이 다층적 양식에서 다원적 양식으로 그 선호가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중서술은 인식과 재현의 가능성을 불신하는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을 서사 전략으로 구체화한다. 다중서술의 서술자는 거대 서사의 가능성을 불신하고 작은 서사를 지향하면서, 타자의 시각에 의한 타자의 서사를 수긍하고 그와의 공존을 인정한다. 또한 다중서술의 서술자는 세계 내 존재로서 자신이 서술하는 세계에 어떤 식으로든 연루되어 있는 서사내적 서술자이다.영혼서술자는 전통적인 서술자에게 덧입혀졌던 복잡한 서사적 장치와 구속을 벗어버리고 홀가분한 상태에서 이야기하는 죽은 몸의 서술자이다. 그들은 살아있는 사람(것들)의 입장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데서 벗어나 죽은자, 즉 삶의 저편에 서서 이쪽을 바라보고자 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러한 죽은 서술자는 영상서사물인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문자 서사물인 소설 등에서 두루 나타난다. 영혼서술자는 공간 요인이나 시간 요인과 같은 어떤 특정한 구속 상태에 놓이지 않으며, 전지적인 외적 초점을 견지하기도 하고 내적 초점의 위치를 견지하기도 한다. 그는 거대 서사를 거부하고 작고 단편적인 이야기들의 세계를 추구한다. 즉 영혼서술자는, 다중서술의 서사 전략과 비슷하게, 거대서사를 불신하고 작은 서사를 지향한다. 따라서 전지적 입장의 서술자처럼 보이더라도 언제나 구체적 삶의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루된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주제어다중서술, 영혼서술자, 시각과 관점의 다양화, 초점화자, 권위적인 서술자. 서사외적 서술, 서사내적 서술, 죽은자, 초점화 국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내 이름은 빨강

      • KCI등재

        구술 생애사 스토리텔링의 분절과 결합 구조

        장노현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3

        이 논문은 서사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된 개인 생애사 스토리텔링에 관한 것이다. 서사인터뷰란 조사자의 개입을 최대한 줄이고 구술자가 자신의 삶 전체를 이야기 형식으로 구술하는 것이다. 서사인터뷰의 구술자는, 잘 짜여진 질문지에 답변하는 구술자와는 달리, 자신의 삶에 대한 창의적인 이야기꾼이 된다. 이 논문은 지난 2007년부터 2009년 사이에 조사된 총 30건의 구술 생애사 스토리텔링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서사 인터뷰를 통한 개인 생애사 스토리텔링은 삶을 재구성하는 행위이다. 이 작업은 일견 근대적 소설가의 창작 작업과 유사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구술자와 소설가의 작업은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차이를 보인다. 구술 생애사 텍스트는 서사적 분절의 원리에 따라 구술되고, 그 결과 크고 작은 분절된 텍스트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텍스트가 분절되는 지점에는 다양한 형태의 분절 표지들이 자리잡게 된다. 분절 표지는 시작 표지와 종결 표지가 있다. 그것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통사적 표지로 나타나기도 하고, 좀처럼 인식하기 어려운 내용적 표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분절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자립적인 자질을 갖는다. 하지만 그것은 상위체험의 관점에서 볼 때, 다시 결합되면서 좀 더 역동적인 이야기 구조를 만든다. 구술자들은 주제 귀속적 관점이나 소재 귀속적 관점에서 다양한 상위체험을 설정한다. 한 개인의 생애사 스토리텔링에서 상위체험은 보통 여러 개가 설정되며, 이런 상위체험들은 상호 대등한 수평적 구조를 갖거나, 중요도에 따른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기도 한다. 개별적인 분절 텍스트들이 상위체험의 관점에서 결합될 때의 양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시간적 순서에 따른 결합, 문제 제기와 해결에 따른 결합, 공간(관심대상)의 이동에 따른 결합, 연상의 기법에 따른 결합 등이 그것이다. 이런 결합 양상들은 구술자의 삶을 대하는 태도, 스토리텔링의 전략이나 능력 등에 따라 쓰임이 선택된다. 예컨대, 삶의 전개 과정을 주체의 의도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는 구술자는 문제제기와 해결의 방식을 선호하고, 변화가 적은 시대나 삶을 살았던 구술자는 공간(관심대상)의 이동 방식을 선호했다.

      • KCI등재

        하이퍼서사의 서술 전략 연구 ─ <함무라비의 밀실>을 중심으로 ─

        장노현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aise our understanding of the genre and form of hypertext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ategies of the hypernarrative work <Hammurabi's Secret Chamber>. The paper focuses on discussing two narrative strategies. One is a segmented narrative strategy. <Hammurabi's Secret Chamber> divides the narrative into three parts, and then further divides them into a total of 83 units. This strategy aims to create narrative meaning through ‘unit operation’, which dynamically and non-linearly connects these discontinuously divided units. The other is an impersonal narrative strategy. <Hammurabi's Secret Chamber> adopts a structure where CCTV cameras observe a murder case in a secret room. CCTV, as a kind of external focalizer, looks at the focalized object as a homogeneous plane without any difference in intensity or density. This homogeneous plane is not in sync with the perspective and perception of any personal narrator, so it easily allows the recipient to become a narrator. These two narrative strategies work in close association with each other, making <Hammurabi's Secret Chamber> a narrative that is centered on the recipient rather than the creator. The recipient experiences becoming a narrator by reconstructing or generating the narrative through unit operation. They become similar to players of digital games. <Hammurabi's Secret Chamber> can be called a “game-type hypernarrative” in that it uses such a gamified narrative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