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격장애의 약물치료

        강병조(Byung-Jo Kang),장기용(Kee-Yong Jang)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3 No.2

        This artical is based on the review of many papers about psychopharmaco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such as schizotypal personality disprder, borderline personlity disorde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y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nd depressive personality disorder by DSM-Ⅳ. The auther concluded that personality disorders can be treated when psychiatrists treat earnestly the disorders with new drugs such as atypical antipsychotics, SSRIs and RIMA disregarding the belief that personality disorders are not curable diseases.

      • KCI등재

        Triple X 증후군(47,XXX) 환자에서의 강박장애 1례

        김종훈,진영호,장기용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Triple X 증후군은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성염색체이상증후군으로 아직까지 특정 정신병리현상과의 연관성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저자들은 핵형 분석으로 검증된 47, XXX triple X 증후군에서 강박장애가 동반된 증례 1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불완전한 성적발달, 내분비적 이상, 무월경과 함께 복합적인 강박증상, 강박행동을 나타내었다. 뇌자기공명영상촬영 결과 환자의 좌측 후두엽피질하 백질 부위에서 고신호 광도 병변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강박증상, 강박행동들은 고용량의 fluoxetine과 buspirone약물요법 및 인지행동치료에 부분적 반응을 보였으나, 환자의 전반적인 심리 사회적 기능은 치료후 크게 호전되었다. 본 증례 및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 저자들은 triple X 증후군과 같은 X염색체의 이수배수체질환(X chromosome aneuploidy)이 강박스펙트럼장애(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s)혹은 강박장애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Triple X syndrome is a relatively rare sex chromosomal anomaly, and its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is not well understood. The authors report one cas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with karyotype-confirmed triple X syndrome, 47, XXX. She had incomplete sexual development, secondary amenorrhea and multiple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revealed left occipital white matter hyperintensity lesion. The patient's multiple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ere responded partially with fluoxetine and adjunctive buspirone treatment, however, her overall psychological functions were much improved. With the literature reviews, the author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a certain type of sex chromosome aneuploidy might be susceptible to obsessive-compulsive spectrum disorders(OCSDs) or ODC.

      •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 유무와 연성 신경학적 특성

        김은남,장기용,강병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2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알아보고 또한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95년 7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국립부곡정신병원에 입원치료중이며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병록지와 환자 가족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1차 인척 중에서 정신분열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을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Buchanan과 Heinrich의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가족력이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20명, 가족력이 없는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 그리고 정상대조군 20명 사이의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성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23.93±6.66, 정상대조군은 3.55±2.46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감각통합 영역, 운동조정 영역, 복합활동순서화 영역, 그리고 기타 영역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001) 2)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이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모든 영역에서 가족력이 없는 환자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생물학적 표지로서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 생물학적 표지가 trait marker인지 state marker인지는 좀더 연구를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eurologic soft sign(NSS) in schizophrenics a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NSS and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Bugok Nation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5 to October, 1995 and diagnosed as schizophrenia based on DSM-IV criteria. Schizophrenics were classified as familial schizophrenics if at least one first-degree relative had a clear history of schizophrenia, based on review of any medical records and reports of family informants. The authors evaluated NSS using the structured tool for measuring neurological abnormalities, 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NSE-K). A comparison of NSS score was made among three groups subjects consisting of 20 familial schizophrenics, 20 non-familial schizophrenics and 20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normal controls on total scores of sensory integration, motor coordination,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and other areas(P<0.0001). 2) NSS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Mean item scores of familial schizophrenics were higher than non-familial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normal NSS may be one of possible biological markers of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NSS scores between familial schizophrenics and non-familial schizophrenics. therefore,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NSS is a trait marker of schizophrenics.

      • Sertraline이 Bleeding Time에 미치는 영향

        박현숙,장기용,김은남,강병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8 생물치료정신의학 Vol.4 No.2

        본 연구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s), 특히 sertraline이 출혈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안전성과 혈액학적 부작용 측면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치료적 적응증에 해당하는 95명의 환자를 무작위 할당으로 sertraline 50mg 투여군, sertraline 200mg, 투여군, nortriptyline100mg 투여군, 위약(thiamine 100mg)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정해진 양을 4주간 투여한 후 출혈 시간을 약물 투여 전, 약물 투여 2주 후, 약물 투여 4주 후의 3회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95명의 환자 중 78명이 실험을 마쳤다. Sertraline 50mg 투여군에서 실험 전과 비교하였을 때 시간에 따르는 출혈 시간의 증가가 있었다. 다른 군에서는 실험 전과 실험 2주 후, 4주 후의 출혈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시간에 따르는 출혈 시간의 증가가 없었다. 연구 기간 동안 지혈 이상을 보인 환자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Sertraline 투여 초기에 정상 범위 내에서 출혈 시간의 증가가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safety and hematological complications of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by examining the effect of sertraline on bleeding time. Method : Ninety five patients included in therapeutic indications of SSRIs were divided into sertraline 50mg, sertraline 200mg, nortriptyline 100mg, placebo(thiamine 100mg) groups. Bleeding time was measured at baseline, and repeated 2 and 4 weeks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sertraline, nortriptyline and placebo 78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protocol. Result : Bleeding time was prolonged within normal range after 2 and 4 weeks of treatment in sertraline 50mg administration group. Bleeding time was not prolonged in the other groups. No patient developed clinical signs of abnormal hemostasis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 : Bleeding time was prolonged within normal range at initial period of treatment with sertraline.

      •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연성 신경학적 특성

        김은남,장기용,강병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6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선분열형 환자가족들의 연성 신경학적 징후를 살펴봄으로써 연성 신경학적 징후가 체질 표지(trait marker)로서의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군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1차 인척 중 정신병에 이환되지 않은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성 신경학적 검사는 Buchanan과 Heinrich의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가족군 20명과 정상대조군 20명에게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1) 연성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은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군이 13.55±6.12, 정상대조군은 3.55±2.46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각 하위영역인 김각통합 영역, 운동조정 영역, 복합운동활동순서화 영역, 기타 영역에서 가족군이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2) 정신분열병 환자 부모군과 형제군은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에서는 감각통합 영역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eurological soft sign(NSS) in schizophrenic's relatives a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NSS and trait marker. Method : The study sample of relatives consisted of 20 nonpsychotic subjects, each of whom was a biological parent or sibling of a proband meeting DSM-Ⅳ criteria for schizophrenia. The authors evaluated NSS using the structured tool for measuring neurological abnormalities, 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NSE-K). A comparison of NSS score was made between 20 relatives and 20 normal controls. Results : 1) The schizophrenic's nonpsychotic relative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normal controls on total scores(P<0.0001) and on scores of sensory integration, motor coordination,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and other areas(P<0.05). 2)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 in NSS total scores between schizophrenic's nonpsychotic parents and siblings. Schizophrenic's nonpsychotic parent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siblings on scores of sensory integration(P<0.05). Concul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normal NSS may be one of possible trait markers in schizophrenia.

      • KCI등재

        장기입원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에 관한 조사

        김영미,조병만,장기용,정영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부산지역내 정신보건시설에 1년 이상 장기입원하고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를 조사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기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의료적 요인보다는 주로 간접적인 의료외적인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만성정신질환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연구대상은 1998년 7월1일 현재 부산지역 정신보건시설에서 1년 이상 장기입원중인 3,477명의 만성 정신질환자들이었다. 조사대상기관으로는 10개의 정신병원, 8개의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었다. 조사방법은 저자들이 사전에 작성한 자료조사표의 양식을 부산광역시 보건과의 협조를 받아 이들 정신병원과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에 보내 작성하게 한 다음, 부산광역시의 행정계통을 통해 회수하였다. 자료조사표에는 성별, 연령, 진단명, 정신보건시설의 종류(정신병원, 정신질환자 요양시설), 정신보건법에서 규정한 입원형태(동의입원, 시?? 도지사에 의한 입원, 자의입원). 결혼상태, 교육수준, 요양급여형태, 연고자 유무, 면회횟수 등의 10개의 독립변수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은 입원기간에 따른 대상환자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아 독립변수항목들과 입원기간간 의 관련성을 검증하는데는 비모수 방법인 Spear-man 상관계수, Mann-Whitney 검증, Kruskal-Wallis 검증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본 연구의 대상인 1년이상 장기입원중인 환자는 전체입원환자의 70.7%에 해당하였으며 이들 대상 환자의 입원기간의 중앙값은 5.5년이었다. 2) 정신보건시설별 전체환자에 대한 대상환자의 비율은 정신병원과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 각각 46.3%, 95.1%로서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 정신병원에 비해 장기입원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3) 본 연구에서 설정한 10개 항목의 독립변수 모두에서 입원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이들 변수 모두가 장기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장기입원에는 상당수의 의료외적인 간접적 요인들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국내 정신의료서비스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Objectives :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hospitalization of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a survey on the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who had been staying longer than 1 year in mental health facilities was conducted. Methods : Checklist including some demographic data that were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applied to 3,477 subjects through administration system of Pusan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 analyse were done using distribution-free, non-parametric tests. Results : 1) Subjects who had been staying longer than 1 year were 70.7% of the total inpatients of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median duration of their hospitalization was 5.5 years. 2) In mental hospitals and asylums, the ratio of chronically mentally-ill subjects to the total inpatients in each facilitiy was 46.3% and 95.1%, respectively. 3) All of the 10 independent variables had an influence on the hospitalization dur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ny indirect, extramedical factors had an influence the long-term hospitalization of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and it is likely to reflect the under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 KCI등재

        만성정신분열병환자에 있어 우울, 불안 증상과 양성 및 음성증상간의 관련성 : 장기정좌불능증 유무에 따른 차이

        김종훈,진영호,장기용,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3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호소하는 우울-불안 증상은 양성증상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두 증상간의 상관관걔는 직접적인 관련이라기 보다는 장기정좌불능증 불쾌감(akathisia-associated dysphoria)의 영향에 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관적 보고에 의한 우울-불안 증상과 특징 정신분열병 증상간의 유의한 연관성이 존재하는지를 장기정좌불능증 동반 유무에 따라 각각 검증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국립부곡정신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들 중 기질성 장애가 배제되었으며 자기평정척도항목들을 이해하고 평정할 수 있는 인지상태를 나타낸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57명을 평가대상으로 하였다. 장기정좌불능증에 대한 평가는 Barnes Inventory(BDI), Beck Anxiety Inventory(BA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분열병 증상의 평가는 Manchester scale을 사용하였다. 양성, 음성증상의 총 점수 및 세부 항목 별 점수와 BDI, BAI, 우울-불안 지수와의 연관성을 장기정좌불능증을 동반한 환자군과 동반하지 않은 환자군에 대해서 각각 검증하였다. 결 과 :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BDI, 우울-불안 지수는 양성증상 총 점수 및 양성증상 세부항목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기정좌불능증 환자군의 경우 BDI, 우울-불안 지수는 양성증상 총 점수 및 망상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장기정좌불능증을 동반하지 않은 군에서는 BDI,BAI, 우울-불안 지수 모두 양성증상 총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이번 결과는 장기정좌불능증이 우울 증상과 양성증상간의 상관관계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장기평정척도로 평가한 우울, 불안 증상과 양성증상간의 관련성을 보고한 이전 연구들의 결과 해석에 주의를 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증상평가 및 분석에 있어 약물 부작용 특히 장기정좌불능증의 평가가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장기정좌불능증, 우울감, 특정 정신분열병 증상의 연관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 In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anxiety symptoms and positive symptoms had been reported in schizophrenia.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these correlations reflect the common influence of third variable, and akathisia-associated dysphoria may be the strong mediator of these relationship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anxiety symptoms and the schizophrenic symptoms including direct measures of drug-induced akathis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57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ll patients were functioning cognitively at a level to understand and complete the several self-report inventories. Akathisia was rated using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nd depression-anxiety symptoms were assessed by two self-report measure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Beck Anxiety Inventory(BAI). The symptoms of schizophrenia were assessed using Manchester Scale. Results : In the whole group of subjects, the scores on BDI and dysphoria composite inde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positive symptom scores and all subscale scores of positive symptoms. In akathisia group, the scores on BDI and dyshporia composite index were sti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positive symptom scores and the subscale scores of delusion. In non-akathisia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report depression, anxiety symptoms and total positive symptom scores. Conclust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kathisis is the important factor in correlations between dysphoric symptoms and positive symptoms. Therefore, the caution is necessary in the interpretation of previous studies which report the direc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positive symptom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in akathisia, depression, and the schizophrenic symptom complexes.

      • KCI등재

        입원 남성 및 여성 알코올리즘 환자의 인구학적, 임상적 및 인격적 특성비교

        정원후,김성부,장기용,손진욱,박철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4

        저자들은 1996년 5월 1일부터 1996년 7월 15일까지 부산·경남·대구 소재의 대형정신병원과 종합병원에 입원해 있는 여성 알코올리즘을 대상으로 하고, 또한 같은 기간에 국립부곡정신병원에 입원한 남성 알코올리즘을 비교군으로 해서 사회인구학적 특성, 음주양상, 음주와 관련된 문제점, 성격 및 정신병리등을 비교하여 남녀 알코올리즘에서의 원인과 임상적 특성에서의 차이점을 알고자해서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저자들이 작성한 반구조화된 설문지, MAST(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Zung의 SAS(Self-rating anxiety scale)과 SDS(Self-rating depression scale).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및 EPQ(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등의 검사도구를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samples t-test)와 χ²-test로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여성 알코올리즘에서 남성 알코올리즘보다 더 낮은 교육 수준을 보였으며 초등학교수준 이하가 52.4%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남성 알코올리즘에서는 중학교·고등학교 수준이 76.7%였다.(p〈0.01). 2) 여성 알코올리즘에서 형제들 중에서 더 낮은 서열을 보였으며 세째딸이 1/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외동딸로써 23.8%를 차지하였다. 반면 남성 알코올리즘에서는 장남이 46.7%였다.(p〈0.01). 3) 여성 알코올리즘이 사회경제적 수준에서 더 낮았다(p〈0,01). 4) 여성 알코올리즘의 음주시작동기는 대인관계를 위한 사교목적, 심리적 갈등이나 다른 정신적인 문제, 가족들과의 갈등 등이 비슷하게 많았다. 그러나 남성 알코올리즘에서는 대인관계를 위한 사교목적으로 음주하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많았다.(p〈0.05). 5) 처음으로 음주를 시작한 연령은 여성 알코올리즘보다는 남성 알코올리즘에서 유의하게 더 어린 연령에서 시작하였다.(p〈0.001). 6) 1일 평균 음주량은 여성 알코올리즘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p〈0.01). 7) 금단증상경험, 알코올성 신체장애 및 음주로 인한 법적 처벌경험도 남성 알코올리즘보다는 여성 알코올리즘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5). 8) SCL-90-R에서 PSY척도에서 유의하게 여성 알코올리즘군에서 더 높았고, EPQ에서는 L척도에서 유의하게 여성 알코올리즘이 더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심리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이 남녀 알코올리즘간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성 알코올리즘의 원인에는 심리적 또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더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data, clinical features, and personality in male and female alcoholics and to identify the clin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tiologies and the clinical feature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30 males and 21 females who were recruited into the impatient treatment. The researchers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data and drinking patterns,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MAST), self-rating anxiety scale(SAS)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of Zung,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tested by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sample t-test. Result : 1) Education level of the female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male alcoholics(p〈0.05) and the birth order the female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alcoholics(p〈0.05). 2) The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of female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ale alcoholics(p〈0.01). 3) The initial motivations of female alcoholics were mainly due to social, psychological, and intrafamilial problems while those of male alcoholics were due to social proble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0.05). 4) The onset of initial drinking in female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earlier than that of male alcoholics(p〈0.001). 5) The average amount of daily drinking in female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male alcoholics(p〈0.01). 6) Withdrawal symptoms,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or legal problems induced by alcohol drinking in female alcoholic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male alcoholics(p〈0.05). 7) The mean scores of PSY scale of SCL90R and of L scale of EPQ in female alcohol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alcoholics(p〈0.05). Conclusion :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differed to a significant degree between male and female alcoholism. We suggest that these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female alcoholism than in male one in the etiologies and the clinical features. These differences are due to more complex factors rather than simple ones, thus the further evaluation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differences in the etiologies between male and female alcoh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