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산지역 일부 성인들의 나트륨, 칼륨의 섭취 및 소변중 배설실태에 관한 연구

        임화재(Hwa Jae L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urinary sodium/potassium excretion (UNa/UK) to the status of anthropometric, blood pressure, urine analysis, and nutrient intake of subjects. Nutrient intake by 24-h recall, 24-h UNa/UK were measured with 87 adults aged 20-59 yrs (42 men and 45 women). The mean intakes of sodium and potassium were 3915.4 mg and 3093.9 mg, respectively. The mean 24-h UNa/UK was 3457.0/ 1680.4 mg. UN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dium intake (p < 0.001, p < 0.001), sodium/ potassium ratio (p < 0.001, p < 0.01), UK (p < 0.001, p < 0.001), and UNa/UK ratio (p < 0.05, p < 0.01) in men and women and with age, BMI,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women (p < 0.05, p < 0.05, p < 0.05, p < 0.05). The UK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odium intake (p < 0.001, p < 0.001), UNa (p < 0.001, p < 0.001) in men and women and with sodium density in men (p < 0.001) and with age, intakes of protein and potassium in women (p < 0.01, p < 0.05, p < 0.05). Mean SBP was lowest in the second quartile and highest in the fourth quartile of UNa. Mean UNa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rtiles were 2821.1 mg, 3621.3 mg, and 5456.4 mg, respectively. Mean SBP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quartiles were 115.8 mmHg, 120.7 mmHg, and 125.9 mmHg,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UNa was related to sodium intake, UK, and SBP. We conclude that nutritional education for the reduction of high sodium intake is needed in the general population to prevent and control adverse blood pressure levels. (Korean J Community Nutr 17(6) : 737~751, 2012)

      • KCI등재

        부산지역 일부 성인들의 칼슘 및 나트륨의 섭취와 소변중 칼슘배설실태에 관한 연구

        임화재(Hwa Jae L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excretion of adults in Busan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calcium excretion (UCa) and the status of anthropometric, blood pressure, urine analysis, and nutrient intake of subjects. Nutrient intake by 24 hr recall, 24 hr urinary calcium and sodium excretion (UNa) were measured with 87 adults aged 20-59 yrs (42 men and 45 women). The mean calcium intake was 88.0% for men and 103.0% for women of Recommended Intake. The mean sodium intake was 283.4% for men and 250.5% for women of Adequate Intake (AI). The mean 24hr UCa was 127.4 mg in men and 107.3 mg in women. The mean 24 hr UNa was 3650.6mg in men and 3276.4mg in women. The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sodi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UCa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dium intake and UNa in men (p<0.001, p<0.05) and women (p<0.001, p<0.001) and with ag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sodium density in women (p<0.05, p<0.05, p<0.01). The UCa/creatinin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ge, sodium intake, sodium density, and UNa in women (p<0.05, p<0.01, p<0.01, p<0.01). When UCa was stratified into quartile (Q1-Q4), age, SBP, UCa, UNa, sodium intake, and AI percentage of sodium (p<0.01, p<0.05, p<0.001, p<0.001, p<0.001,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Q4. The mean intake and AI percentage of sodium in Q4 were 4768.8mg and 329.0. Based on the results, UCa was related to age, SBP, UNa, and sodium intake.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of decreasing sodium intake for decreasing UCa is needed. (Korean J Community Nutr 16(2): 215~226, 2011)

      • KCI등재

        부산지역 일부 성인들의 신체활동, 식습관 및 영양소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임화재(Hwa Jae L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physical activity,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by gender and age groups in 193 adults aged 20-59 years (84 men and 109 women) in Pusan. Data for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survey was assessed by a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The mean BMIs of men and women were 24.0 and 22.2 respectively and BMI of women in the 20-29 years group (20.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women in the 30-49 and 50-59 years group (22.7, 23.2) (p < 0.01). 56.0% for men and 44.0% for women exercised regularly. The mean exercise duration per once of men (69.7 minu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omen (52.4minutes) (p < 0.01). The mean exercise duration per day was 36.0 minutes for men and 29.9 minutes for women. 67.9% for men and 78.0% for women often skipped meals and 68.4% for men and 69.4% for women skipped breakfast in the main. The mean energy intake of men was 2067.2 kcal and that of women was 1783.1 kcal comprised of 87.2% and 92.1%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EER). The mineral intakes of men and women were over Recommended Intake (RI) and Adequate Intake (AI) except calcium and potassium. The mean calcium intake was 88.3% for men and 84.0% for women of RI. The mean potassium intake was 63.3% for men and 59.2% for women of AI. The mean vitamin intakes of men and women were over RI and AI except vitamin C and folic acid. The mean vitamin C intake was 92.5% for men and 85.6% for women of RI. The mean folic acid intake was 76.6% for men and 70.0% for women of RI. The mean energy, protein, sodium and zinc intakes of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women (p < 0.01, p < 0.05, p < 0.05, p < 0.05). The mean vitamin B6, vitamin C and folic acid intakes of men in the 20-29 year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en in the 30-49 and 50-59 years group (p < 0.01, p < 0.05, p < 0.05). For energy,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90% EER were 64.3% for men and 56.0% for women. For calcium,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were 52.4% for men and 59.6% for women. For folic acid,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EAR were 78.6% for men and 83.5% for women. For iron and phosphorus, proportions of women (36.7%, 14.7%)with intake levels less than E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n (6.0%, 1.2%) (p < 0.01, p < 0.001). For men,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akes of potassium, vitamin B6, vitamin C and folic acid (p < 0.05, p < 0.05, p < 0.05, p < 0.01). For men, weight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intakes of carbohydrate, phosphorus, potassium, zinc, vitamin B6 and folic acid (p < 0.01, p < 0.05, p < 0.05, p < 0.05, p < 0.01) and BMI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rotein, lipid, phosphorus, potassium, zinc, vitamin E and folic acid (p < 0.05, p < 0.05, p < 0.05, p < 0.05, p < 0.05, p < 0.05, p < 0.05) For men, exercise duration per onc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zinc,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vitamin C and folic acid (p < 0.01, p < 0.05, p < 0.01, p < 0.05, p < 0.05, p < 0.01, p < 0.01, p < 0.01, p < 0.05).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adult health management is needed by gender and age group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4): 460~474, 2010)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학령전 아동의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평가에 관한 연구

        임화재(Hwa-Jae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6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만 1세에서 6세의 아동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습관과 세끼식사와 간식을 통한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영양소 섭취를 기준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아동의 63.1%가 자주 결식하였으며, 주로 결식하는 끼니로 아침결식이 72.1%로 가장 많았다. 51.1%가 불규칙적인 식사를 했으며, 33.5%가 편식하였다. 94.5%가 적어도 하루에 1회이상 간식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간식이 아동들의 식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전체아동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406.4kcal였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 구성비율은 평균 57.7 : 13.7 : 28.6으로, 지방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1~3세군에 30.0%로 높았다. 단백질과 칼슘은 동물성 급원에서 각각 54.9%, 71.7%을 섭취하여 질적으로 양호하였으나, 철분은 식물성 급원에서 73.5%를 섭취하여 질적으로 문제가 되었다. 4~6세군의 경우 동물성 급원의 칼슘 섭취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전체아동의 경우 칼슘, 철분, 나이아신, 1~3세군의 경우 철분과 나이아신, 4~6세군의 경우에는 에너지, 칼슘, 비타민 B₂, 나이아신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는데 특히 4~6세군의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의 74.3%로 크게 미달하였다. 권장량의 75%미만을 섭취한 사람들의 비율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나이아신, 비타민 C의 경우 두 연령군 모두 36%이상이었으며, 대부분 영양소들의 경우 4~6세군에서 더 높았다. 영양소 적정섭취비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전체아동과 1~3세군의 경우 철분, 4~6세군은 칼슘으로 0.7이하였으며, 전체아동의 칼슘과 4~6세군의 철분, 나이아신, 비타민 C는 권장량의 2/3수준을 나타내는 0.75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이 칼슘(p<0.05)과 비타민 B₂(p<0.01)의 경우 4~6세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철분의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B₂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평균적정섭취비는 전체아동 0.82, 1~3세군 0.83, 4~6세군 0.80이였다. 에너지 섭취차이를 고려한 INQ값은 전체아동과 1~3세군에서 칼슘(0.87, 0.93), 철분(0.95, 0.78), 나이아신(0.88, 0.86)이, 4~6세군에서 칼슘(0.91), 비타민 B₂(0.98), 나이아신(0.89)이 1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INQ값이 철분과 비타민 A의 경우 4~6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비타민 B₂는 1~3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영양소 섭취량비율을 끼니별로 볼 때 에너지, 지방, 칼슘, 인, 철분, 비타민 B₂, 비타민 C의 경우 두 연령군 모두 간식에서의 섭취비율이 31.6~59.0%으로 세끼식사에서보다 높았다. 간식에 의한 지방섭취비율은 4~6세군 39.5%, 1~3세군 44.8%로 특히 1~3세군에서 높았는데, 본 조사대상 아동의 경우 지방에 의한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은 편이며 이는 주로 고지방 간식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간식으로부터 1~3세군의 경우 에너지,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B₂, 비타민 C를, 4~6세군의 경우 인과 비타민 C를 권장량의 40%이상 섭취하였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권장량의 약 90% 섭취하였다. 영양소 적정섭취비는 1~3세군 나이아신, 4~6세군 비타민 A과 나이아신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높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들은 간식에서 더 높았으며 평균적정섭취비도 더 높았다. 간식에서의 영양소 적정섭취비와 평균적정섭취비는 대부분의 영양소의 경우 1~3세군에서 더 높았다. 끼니별 각 영양소들의 INQ값은 1~3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0.69~0.90)과 철분(0.72~0.83), 간식에서는 철분(0.73), 비타민 A(0.69), 나이아신(0.47), 4~6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0.55~0.76)과 비타민 B₂(0.83~0.94), 간식에서 비타민 A(0.63)과 나이아신(0.55)이 1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조사대상자들의 경우 연령군에 따라 각 영양소의 섭취와 식사에서의 질상태가 다르며, 4~6세군의 경우 많은 영양소에 있어서 영양섭취가 부족한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1~3세군의 경우 철분, 4~6세군의 경우 에너지 섭취를 비롯하여 칼슘, 철분, 나이아신과 비타민 C등 영양소 적정섭취비가 0.75이하인 영양소 섭취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 같다. 특히 1~3세군의 경우 철분섭취 급원이 주로 흡수율이 낮은 식물성 급원일 뿐만 아니라 철분 섭취량도 부족하여 철분영양상태가 우려된다. 4~6세군의 경우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에 크게 미달하였으며, 동물성 급원으로부터의 칼슘의 섭취비율도 1~3세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므로, 이 연령군부터 칼슘급원식품을 중심으로 칼슘섭취에 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철분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이 유의하게 증가하나, 비타민 B₂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영양교육시 이러한 경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식사의 질적인 면에서 1~3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과 철분, 간식에서는 철분, 비타민 A, 나이아신 등의 섭취에 문제가 있으며, 4~6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과 비타민 B₂, 간식의 경우 비타민 A와 나이아신의 섭취에 문제가 있어 주로 철분과 칼슘 그리고 비타민 A, 비타민 B₂, 나이아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섭취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조사대상자의 식생활에 있어서 간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간식에 의한 영양공급량을 줄이고 세끼식사에서의 영양소 적정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식생활의 영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연령별로 볼 때 특히 1~3세군이 간식에 의지하는 비율이 더 높으므로 이 시기에 간식에 대한 식생활관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령적 아동의 영양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각 연령의 영양섭취 특성을 고려한 영양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령별로 각 집단의 영양섭취 특성을 좀 더 자세히 파악하는 연구가 앞으로 많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To assess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aged 1 to 6 in Pusan by their meals and snacks,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76 subjects by a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63.1% of the subjects often skipped meals and 72.1% of those skipped breakfast in the main. 94.5% had snacks over once per day. The mean energy intake was 1406.4㎉, with 57.7% of energy intake being supplied by carbohydrate, 13.7% by protein, 28.6% by fat. 54.9%, 71.7% and 26.5% of intakes of protein, calcium and iron were supplied respectively by animal food. Most of iron intake came from plant origin. The percent of calcium intake from animal origin was low significantly in a group aged 4 to 6(p<0.05). The mean intakes of calcium, iron and niacin of total subjects were below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RDA) for Koreans. The mean intakes of iron and niacin of a group aged 1 to 3 were below RDA as well as those of energy, caicium, vitamin B₂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4 to 6. For calcium, iron, vitamin A, niacin and vitamin C,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75% of RDA were all over 36%. For most nutrients,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75% of RDA were higher in the group aged 4 to 6 than in the group aged 1 to 3. Nutrient adequacy ratios(NAR) were the lowest in iron in case of the group aged 1 to 3 and in calcium in case of the group aged 4 to 6. NAR of iron increased and that of vitamin Bz decreased significantly along increase in age(p<0.05). The mean adequacy ratios(MAR) were 0.82 for total subjects, 0.83 for the group aged 1 to 3 and 0.80 for the group aged 4 to 6.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of calcium, iron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1 to 3 were below 1 as well as those of calcium, vitamin B₂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4 to 6. Both of the age groups received 31.6~59.0% of daily intakes of energy, fat, calcium, phosphrous, vitamin B₂ and vitamin C from snacks. So snacks clear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etary intake. Both of the NARs of most nutrients and MAR were higher in snacks than in three meals. The INQs of calcium and iron from three meals and those of iron, vitamin A, vitamin B₁ and niacin from snacks of the group aged 1 to 3 were all below 1. The INQs of calcium and vitamin B₂ from three meals and those of vitamin A and niacin from snacks of the group aged 4 to 6 were al1 below 1. In conclus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e adequacy of nutrient intake through meals. And dietary management for snacks is needed especial1y in the group aged 1 to 3.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학령전 아동의 식품섭취평가에 관한 연구

        임화재(Hwa-Jae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6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학령전 아동를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품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식품섭취에 의한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학령전 아동의 식생활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이 섭취한 것으로 나타난 식품은 총 307가지였다. 섭취한 식품항목수가 많은 식품군은 곡류 및 그 제품군, 당류 및 그 제품군, 채소류군, 어패류군 등의 순이였다. 가장 섭취빈도가 높았던 식품은 쌀과 김치이었고, 그 다음으로 우유, 계란, 김, 소고기, 멸치, 양파, 사과, 당근 등과 양념으로 자주 사용되는 식품으로 나타났다. 6가지 주요 식품군(곡류군, 육류군, 유제품군, 과일군, 채소군, 유지 및 당류군)의 섭취패턴의 경우 간식으로 인해 유지 및 당류근 식품을 포함한 6가지 식품군을 모두 섭취한 경우(38.1%)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과일군만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26.7%)였다. 대상자의 80.1%가 유지 및 당류군을 섭취하였으며, 섭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빈도가 높은 식품군은 과일군 41.5%, 당류군 19.9%, 유제품군 16.5%, 채소군 4.5%, 육류군 1.7%의 순이었다. 6가지 식품군의 섭취여부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 식품군점수(DDS)는 평균 5.2였으며, 식품군점수의 분포의 경우 모두 3가지 이상의 식품군을 섭취하였는데 5가지 식품군, 6가지 식품군, 4가지 식품군, 3가지 식품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구과 성별로 볼 때 1~3세군이 4~6세군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유지 및 당류군을 포함한 6가지 식품군을 섭취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루에 평균 13.8가지의 식품을 섭취하였으며, 평균 16.1번 식품을 섭취하였는데, 유지 및 당류군의 식품들을 제외하면 평균 12.5가지의 식품을, 평균 14.7번 식품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하루에 섭취하는 총식품수가 다소 부족한 비교적 다양하지 못한 식품섭취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품군점수가 증가할수록 총식품점수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식품군점수(DDS), 총식품점수(DVS) 그리고 총식품섭취횟수(DFS)별로 영양소섭취상태(NAR, MAR)를 살펴보면 DDS의 경우 5일 때 칼슘, 철분, 비타민 C의 NAR값이 0.75 이하였는데, 가장 높은 6인 경우에는 철분(0.74)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들의 NAR값이 0.8이상이었다. DVS의 경우 11가지에서 15가지 사이일 때 칼슘, 철분 그리고 나이아신의 NAR이 0.75이하였는데, 16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영양소의 NAR이 0.8이상이었다. DFS의 경우 16번에서 20번 사이일 때 칼슘과 철분의 NAR이 0.75 이하였는데, 21번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영양소의 NAR이 0.85 이상이었다. 따라서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6가지 식품군을 모두 섭취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며 더욱 중요한 것은 DVS를 16가지 이상 그리고 DFS를 21번 이상으로 식품을 섭취하면 모든 영양소의 NAR이 0.75이상으로 권장량의 2/3수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식사의 질을 나타내는 MAR은 DDS가 5일 때, DVS는 11에서 15 사이일 때 그리고 DFS는 11번에서 15번 사이일 때 0.75 이상이었다. DDS, DVS 그리고 DFS는 NAR로 나타낸 모든 영양소의 섭취상태와 전체적인 식사의 질을 나타내는 MAR(p<0.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부분 영양소의 NAR값과 MAR은 DDS보다는 DVS 및 DFS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특히 철분은 DDS(0.18)와는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DVS(0.45) 및 DFS(0.46)와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DDS보다는 DVS와 DFS를 증가시키는 것이 철분을 비롯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수준 향상에 더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대상자인 학령전 아동들을 식사에서 하루에 섭취하는 식품수가 다소 부족한 비교적 다양하지 못한 식품섭취를 하였으며, 주요 식품군 섭취패턴에서 간식으로 인해 유지 및 당류식품을 포함한 6가지 식품군 모두를 섭취한 식품군섭취패턴이 가장 많았는데, 1~3세군이 4~6세군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6가지 식품군을 섭취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각 식품군별로 볼 때 열량과 지방의 급원인 유지 및 당류군의 경우 본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섭취하고 있으나, 미량 영양소의 급원인과일군과 유제품군의 경우 적지 않은 대상자들이 섭취하지 않는 식생활을 하고 있으므로 이들 식품군섭취에 대한 식생활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식사의 다양도를 나타내는 DDS, DVS 그리고 DFS별로 영양소섭취상태를 살펴볼 때 일부 영양소의 경우 영양상태가 적정수준에 미치지 못한 대상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으며, DDS가 6보다 작거나, DVS와 DFS가 각각 16가지 이하, 21번 이하일 때 칼슘, 철분, 나이아신 그리고 비타민 C 등의 적정섭취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DDS, DVS 그리고 DFS는 영양소섭취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식사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영양소섭취상태와 전체적인 식사의 질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특히 DVS와 DFS가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수준향상과 전체적인 식사의 질향상에 더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기초 식품군을 모두 섭취하는 것은 기본이며 전체적인 식품의 다양성 즉 섭취식품수와 섭취횟수가 많은 식생활을 하도록 아동 및 부모 특히 어머니나 양육자 또는 보육자에게 영양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각 식품군의 섭취식품수와 섭취횟수가 각 영양소의 적정섭취비율과 전체 식사의 질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 DVS와 DFS를 증가시키는 식생활지침에서 학령전 아동의 각 식품군별 섭취식품수와 섭취횟수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To assess the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in Pusan,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76 subjects using 24hr recall method. Diet quality was assessed by food group pattern, dietary diversity score(DDS), dietary variety score(DVS), and dietary frequency score(DFS). The total number of food items consumed was 307. The foods consumed most frequently were rice, Korean cabbage-kimchi, milk and green onion. When investigat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major six food groups, 38.1% of subjects consumed all six groups. Food group was missed in order of fruit(41.5%), sweet(19.9%), dairy(16.5), vegetable(4.5%) and meat(1.7%). The mean values of DDS, DVS, and DFS were 5.16, 13.82, and 16.07 respectively. Persons who had higher DDSs also had higher DVSs(p<0.001). DDS, DVS and DFS correlated positively with NAR(nutrient adequacy ratio) and MAR (mean adequacy ratio) significantly. Associations between the NAR of most nutrients and MAR with DVS and DFS were higher than those between the NAR of most nutrients and MAR with DDS. People with DDS of above 6 or DVS of above 16 or DFS of above 21 met two-thirds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for nutri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food group intake, the food intake of subjects was not adequate, especially the fruit and dairy groups. When assessing the dietary quality of subjects using DDS, DVS and DFS, many people appeared not to have a desirable food intake.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