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원으로 살펴본 ‘아름다움’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임홍남,김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아름다움의 어원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름다움이란 모든 대상이 자신의 본디 성질을 다 할 때 드러나는 것으로, 주체가 여유를 갖고 대상과 접하여, 대상이 지닌 유의미한 가치를 발견하게 될 때 느껴지는 감정 혹은 가치이다. 이러한 아름다움의 어원적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같다. 첫째, 유아교육은 개별 유아가 지닌 본성의 아름다움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유아가 삶속에서 대상과 직접 만나 어우러지는 가운데 유아 스스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셋째, 유아가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 있는 여유를 주는 유아교육이 되어야 한다. 즉, 아름다움의 어원적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궁극적 함의는 유아의 아름다운 본성에 주목하고유아가 아름다움을 스스로 느끼는 것의 가치를 알게 하며, 유아가 아름다움을 향유할 수 있는 여유로운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는 것이다. 아름다움이라는 단어가 한국인의 문화 속에 형성된 한국인의 미의 본질을 반영한 어휘임을 생각해볼 때, 한국적 정서 속에 의미지워진 아름다움의 의미가 아름다운 유아기를 찾아주는 유아교육에 대한 단초를 제공한다는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tymology of beauty and to identify its implications and effec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l objects are considered beautiful when they fulfill their inherent roles or duties. Therefore, main agents are able to feel beauty when they are faced with an object and find meaningful value in it. The meaning of beauty's etymolog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beauty of the individual child's nature. Second, children should meet and mingle directly with objects so they are able to feel the value and beauty inherent in those objects. Third, children should be given sufficient time and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value of an object and enjoy its inherent beauty. In other words, the ultimate implication of the etymological meaning of beau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o pay attention to the beautiful nature of children, to let children know the value of feeling beauty for themselves, and to give an implication about leisurely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enables children to appreciate beauty. Considering that the word "beauty" is a word reflecting the essence of Korean beauty formed in Korean culture, this study can find it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meaning of beauty implied in Korean sentiment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finds beautiful childhood.

      • KCI등재

        성인이 기억하는 ‘유년기 가장 즐겁게 논 경험’ 탐색: 유아교육기관 재원 경험이 있는 성인을 중심으로

        임홍남,김은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enjoyable experiences of childhood that adults remembered from their past.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The greatest number of adults recalled that the play itself, which was just free play in childhood, was good.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remember their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adults also recollected those specific experiences where the play was distinctively different retained memories of particular instances of play in which they had excelled or won. The participants of study did not recall the plays in detail, but were able to revive their feelings of happiness, fun, and enjoyment of that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playing experience in childhood should be reexamined. The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needs to be reestablished, and reevaluation of the current ‘play-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indispensable. It is time to ponder upon the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that children can experience a happy childhood to cherish throughout their lifetime, which would in turn serve as a support for an enriched life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first step toward that goal.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을 다닌 성인들의 어릴 적 가장 즐겁게 논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개방형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대다수의 성인들은 유년기에 그저 자유롭게 뛰어 놀았던 놀이 그 자체가 좋았다고 회상한 반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논 경험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또한 성인들은 일상과 달리 특별하게 놀았던 경험이 기억에 남는다고 하였으며, 자신이 잘해서 기분 좋았던 놀이가 기억에 남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성인들은 놀이들이 구체적으로 기억나진 않지만, 그때의 행복하고 재밌었던 느낌과 감응은 그대로 느껴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년기 즐겁게 논 경험의 중요성이 재조명되어야 함을 함의하며, 이를 위해 행복한 유년기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역할이 재정립되고, 현재의 ‘놀이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이들이 자신만의 행복한 유년기를 지니고 풍부한 삶을 부유해나갈 수 있도록 지지해주기 위해 유아교육의 본질에 대해 숙고해볼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가 그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유아생명존중교육의 새로운 방향 고찰: 『논어』의 ‘禮’에 나타난 생명사상을 중심으로

        임홍남,김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2

        본 연구는 「논어」의 예禮에 나타난 생명사상의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유아생명존중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논어」에서는 만물과의 조화와 공생을 위해, 마주하는 모든 대상에게 마음에서 비롯되는 공경과 예禮의 태도로 다가가야 한다는 생명사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어」의 예禮에 나타난 생명사상은, 유아생명존중교육이 낱생명 교육을 넘어 온생명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인지교육을 넘어 마음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타생명을 기르는 교육을 넘어 공경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모색케 하였다. 본 연구는 종래에 변질되었던 예禮의 의미를 되짚어봄으로써 우리 전통 생명존중교육의 철학적 배경을 검토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마주하는 생명의 범위가 역동하게 될 미래 사회를 위해 새로운 유아생명존중교육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by examining the meaning of life thought 禮 in Analects. Therefore, in the Analects, we could observe the life idea that we should approach all the objects facing each other with the attitude of honor and loyalty originating from the mind for harmony and symbiosis with all things. The implication of life ideology in 禮 of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must be done through individual-life education beyond global-life education. Second,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hould be done through mind education beyond cognitive education. Third,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respects life, not education to raise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raditional life-esteemed education by reviewing the meaning of 禮. It seems to be worthwhile in that it attempt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new young children's life-esteemed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만 2세반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또래관계 탐색

        임홍남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examined how toddlers build pee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No-Toy Classroom” of the 2-year old cla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 Daycare Center implementing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City, an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4 2-year old toddlers belonging to “A” Class in “P” Daycare Center. In the “No-Toy Classroom,” 2-year old toddlers were shown to build peer relationships as follows. First, toddlers paid closer attention to people than to toys, and actively formed relationships with others. Second, toddlers helped peers and played with them. Third, toddlers engaged in physical interaction during play and communicated with peers, thus creating a closer relationship. This study’s results, contrary to the existing theory that toddlers need more toys for their development, shows that toddlers are sufficiently able to “play” without a concrete or specific object. Moreover,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concerning the existing underestimation of the aspect of toddlers’ pe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s education, and implies that toddlers do not need toys bu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people. Thus, this study is deemed meaningful because it explored, in toddler education, how to overcome the problems of rampant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in the present age. 본 연구는 만 2세반의 ‘장난감 없는 교실’에서 영아들이 또래와 관계 맺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B시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P어린이집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P어린이집 A반에 소속된 만 2세 영아 14명이다. ‘장난감 없는 교실’에서 만 2세 영아들이 또래와 관계 맺는 모습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영아들은 장난감보다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또래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어 나갔다. 둘째, 영아들은 장난감에 의해 나뉘기보다, 모든 놀이가 서로 얽히고, 또래끼리 서로 도우며, 다 함께 놀았다. 셋째, 영아들은 장난감을 매개하지 않고, 직접 몸을 부대끼고, 소통하며 더욱 친밀한 관계를 이어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존에 유아교육에서 도외시되었던 영아의 또래관계 측면 및 영아용 장난감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영아기에 장난감을 제공해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람과의 관계이자, 친밀한 정서를 함께 공유하는 또래임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물질주의 및 개인주의가 만연한 현 시대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영아교육에서부터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장자 읽기 소모임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임홍남,김은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st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a small group reading of Chuang-tzu. As a result of this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told the following story. First, the same education is not suitable for all children. Second, children know their own way. Third, nothing for a teacher can be a big event for a child. Fourth, think about for whom is education and discipline made. Fifth, teachers and children need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as discusse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make up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consideration of agnosticism; children should be able to live in such a nature. In addition, teachers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do the core and to work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that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can directly think about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se findings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teacher before focusing on methodolog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re-deliberating the missing part of the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I think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e direction from that. 본 연구는 『장자』읽기 소모임에 참여하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과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간 5회의 장자 읽기 소모임을 실시하였으며, 소모임에서 나온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아이들이 모두 다른데 똑같이 적용하려니 막힌다고 하였으며, 아이들은 자기만의 방법으로 알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교사에겐 별일 아닌 일이 아이에겐 큰 사건일 수 있었음을 느꼈으며,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훈육을 하게 된다고 반성하였다. 또 유아교사들은 교사도 아이도 소요(逍遙)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는 유아교육과정이 불가지론(不可知論)에 대한 고려에 토대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는 스스로 그러한 모습으로 알아갈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 이를 위해 유아교사는 심재(心齋) 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육과정에 교사와 아이들이 직접 사유할 수 있는 소요유(逍遙遊)의 시간에 따른 일과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유아교사교육이 방법론에 치중하기에 앞서 유아교사의 철학하기가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이 정형화되어 간과하고 있었던 부분에 대해 재숙고하게 함으로써 앞으로의 유아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특히 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현장의 유아교사들로부터 그 방향을 모색해보았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영아들의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임홍남,김은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This study examined outdoor activities of infant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nd found their significance, using ethnograph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contributed to the natural separation of infants and their fosterer. Secon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elped create intimacy between infants and their teachers. Thir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promoted the cre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Forth,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elped convert the sad feelings coming from the separation with their fosterer. Fifth,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encouraged infants’ positive awareness of their daycare cent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s can be discussed. First,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an initial means of adaption considering infants’ holistic development. Secon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lay the foundation of sociality through the cre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 Third,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should be reviewed positively because they reduce the difficulties of infants and help them make a pleasant adaptation. Therefore, outdoor activities during the initial adaptive period are valuable as a way of instruction for initial adaptation an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본 연구는 영아의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미를 찾고자 문화기술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만 1세 영아 10명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와 양육자의 자연스런 분리에 기여하였다. 둘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와 교사의 친밀감 형성에 기여하였다. 셋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에 기여하였다. 넷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가 양육자와 헤어져 슬픈 감정을 전환하는데 기여하였다. 다섯째,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영아가 어린이집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이 영아의 전인적 발달을 고려한 초기적응 방안으로써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사회성을 형성하고 보육기관에 즐겁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초기적응기간 바깥활동은 초기적응지도의 한 방향으로써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