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밀뱅크(John Milbank)의 아우구스티누스적 선물(gift) 개념: 자끄 데리다(Jacques Derria)와의 비교

        임형권 한국현상학회 2023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8 No.-

        John Milbank, British philosophical theologian set forth a Christian idea of the gift. His idea of the gift is rooted in Augustine’s conception of the gift, which means the reciprocal loving relation within the Trinity. One of the features of Augustine’s conception of the gift is that the receiver is already a gift before he takes a gift. This augustinian idea occupies a central place in Milbank’s thought on the gift. For him, as for Augustine, the gift is reciprocal in character. The central point of Milbank’s criticism of Derrida’s conception of the gift lies in his idea of pure gift. The pure gift is a gift unilaterally given from the giver to the receiver without a recompense. Milbank opposes the idea of pure gift, since this kind of gift is based on the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in which pure will of the subject is emphasized.

      • KCI등재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모세의 생애』(De Vita Moysis)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덕 윤리 연구 ― 플라톤 철학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임형권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3

        카파도키아 교부 중 한 사람인 니사의 그레고리오스(Gregory of Nyssa)의 그리스도교 윤리는 플라톤 사상과의 비판적 대화를 통해서 형성되었다. 존재론적 차원에서 감각적 세계와 지성의 세계를 이원적으로 구분하는 플라톤 사상을 수용하면서도 그레고리오스는 무한한 신과 유한한 피조물 사이의 차이를 우선시하는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자(Christian Platonist)였다. 유한한 감각의 세계가 신의 피조물이라는 생각은 변화와 성장이 피조물의 고유한 특성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레고리오스에게 인간이 신적 덕성을 향해서 변화 성장해 나간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 적극적 의미를 지닌다. 그는 덕을 지식과 동일시한 플라톤과 달리 무한한 신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 인간은 신적 덕성의 완성을 지향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플라톤에게 궁극적 실재인 이데아는 빛으로 표상되는 데 반하여, 그레고리오스의 무한한 신은 어둠으로 표상된다. 신이 어둠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신의 본질은 인간에게 감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인간이 신에게 다가가는 길은 믿음을 통해서 뿐이고, 인간의 지성적 노력으로는 결코 신적인 것에 이를 수 없다. 그레고리오스에게 덕성 자체인 신은 무한하고 어둠 속에 있는 존재이기에 덕성의 완성은 불가능하고, 오직 더 높은 덕성을 갖추기 위한 끝없는 노력만 있을 뿐이다. 이런 입장은 비규정성을 부정적 속성으로 이해했던 그리스 사상과의 단절을 보여준다. 그레고리오스는 플라톤주의와 그리스도교 사상을 조화시키려고 했지만, 둘 사이에 충돌이 일어날 경우 그리스도교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플라톤 사상을 수용하면서 헬레니즘 문화의 그리스도교화를 성취했다. The Christian ethics of Gregory of Nyssa, one of the Cappadocian Fathers is shaped by a critical dialogue with Platonic thought. He is a Christian Platonist who gives priority to the distinction between infinite God and finite creatures, while embracing the Platonic dualism which sharply distinguishes the sensible world and the intelligible world. The idea that the finite sensible world is the creation of an infinite God implies that change and growth are integral parts of creation. Therefore, for Gregory of Nyssa, growth into the divine virtue has positive implications. Against Plato who claims that virtue is identical with knowledge, Gregory thinks that by the meditating on faith man becomes perfect in virtue. For Gregory perfection of virtue is impossible since God, virtue itself, is infinite being. This marks a separation from the Greek thought in general which regards the infinite as negative and defective. Though Gregory tries to reconcile Platonic thought with Christian thought, he radically transforms Platonic ideas into Christian ones.

      • KCI등재

        잠바티스타 비코(Giambattista Vico)의 반계몽주의적 종교와 신화 이해: 『새로운 학문』(Scienza Nuova)을 중심으로

        임형권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종교와 문화 Vol.- No.42

        Giambattista Vico is regarded as an anti-Enlightenment thinker who sought to show the central role of religion and myth in the 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and civilization. He challenged René Descartes, his central intellectual target, who constructed a model of science based on mathematical knowledge. According to the Cartesian model of science, myth is considered to be a mere fiction of primitive humankind who are less intelligent and more ignorant than modern man. Against Descartes’s model of science, he endeavored to establish the new model of science based on human memory, imagination (fantasia), which is, for him, the basis of myth and religion. He asserts that even mathematical knowledge is not objective truth, but a product of human-making (poesis). Therefore, the distinction between myth and reason is, for him, not valid, since myth embraces rational thinking. He holds that myth is an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human experience of the sacred, which is the basis of religion. This means that myth is not a fictional story as Enlightenment thinkers like David Hume believed, but a way of understanding (Weltanschauung) the world of primitive men. The significance of Vico’s theory of religion and myth consists in his consideration of religion in its own terms, not from an outside point of view. His perspective prefigures the modern theory of religion such as phenomenology, hermeneutics, and sociology of religion.

      • KCI등재

        에라스무스(Erasmus)의 우신예찬(愚神禮讚, Moriae Encomium)의 상승 모티프로서 그리스도의 철학(Philosophia Christi)

        임형권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39

        Erasmus’s The Praise of Folly is a work more than a satire, which criticizes the corrupt social, ecclesial state of the age to which the author belonged. This work can be best understood in continuity with the author’s other works, which are centered around the idea of philosophia Christ, the central notion of Erasmus’s religious thought. Erasmus’s philosophy of Christ summerizes his Christian humanism, synthesizing Greek and Roman culture and Christian Bible. Classical mindset, especially Platonic philosophy and Christian piety are merged into this idea. Since the problem of the unity of The Praise of Folly have been put into question, not a few scholar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article holds that this work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as a unified whole. And the underlying principle giving a unity to this structure is Erasmus’s idea of Christian philosohy. Although the foolishness is variously manifested according to each layer, the various meanings of foolishness are converged into Erasmus’s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In the first layer, rationalistic philosophy is confronted by Epicurean philosophy, which puts an emphasis on the ataraxia and happiness which is foolish to the Stoic wisdom. In the second layer, materialistic Epicurean philosophy is confronted by dualistic Platonic philosophy which admits a intellectual realm, in which real wisdom is located. In the third layer, the foolishness of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is treated. These three layers are not separate from each other, but organically related. And the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is an ascending motif which encompasses three layers, that is, Epicureanism, Platonism, and Christian Bible. 그리스도의 철학은 데시데리우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의 그리스도교 휴머니즘 사상을 요약하는 이념이다. 이 개념에는 그리스-로마 고전 문학과 성서, 지식과 종교적 경건, 이성과 신앙 사이의 화해와 종합이 응축되어 있다. 에라스무스의 인기 저술인 우신예찬 (愚神禮讚)은 그의 시대상을 비판하는 풍자문학이지만, 이 작품은 그의 다른 작품들처럼 그리스도교 휴머니즘 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작품은 세속적 어리석음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보여주고, 진정한 어리석음은 그리스도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는 것을 궁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신예찬 에서는 주로 우신이 대변하는 에피쿠로스의 기쁨의 철학이 스토아철학의 합리주의를 공격하지만, 이 두 유물론 철학은 플라톤 철학으로 고양(高揚)되고, 플라톤 철학은 다시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신비, 즉 그리스도의 철학으로 고양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작품에는 구조적으로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주장에 반대하고, 오히려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단일한 주제가 작품 전체를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그리스도의 철학이 세속적 지혜에서 그리스도교적 지혜에 이르는 상승의 운동을 견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구원 경륜(經綸) 속에서 유대인 — 아우구스티누스의 유대인에 대한 입장

        임형권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8 신학연구 Vol.55 No.1

        아우구스티누스는 반유대인 전통에 속해 있으면서 그 안에서 유대인에 대한 사고의 혁신을 가져온 인물로 인정된다. 이 글은 이 사고의 혁신의 배경에 그가 강조하는 역사를 통한 하나님의 구속 경륜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그는 여러 저술에서 다른 맥락에서 유대인 문제를 언급하고 있지만, 그의 유대인 신학은 그의 다른 해석학적 논쟁의 맥락과 통합되어 이해될 수 있다. 이 글은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유대인과 관련한 하나님의 구원 경영은 알레고리를 통한 신구약 성서의 통일, 구속의 시간적 진행 속에서 유대인의 의미와 위치, 그리고 하나님의 진리에 대한 유대인의 증언이라는 주제를 통해 표현되고 있음을 밝힌다. It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that st. Augustine, working within the Adversus Iudaios tradition, brought innovation into the Christian reflection on Jews and Judaism through his positive appraisal of the Jews. This article tries to show that the economy of God's salvation underlies Augustine's innovative approach. Though Augustine deals with the Jews in different contexts, his theology of the Jews can be understood within other polemical issues. This study brings to light the theme of the unity between Old and New Testament, that of the place and significance of the Jews, and that of the Jews as witness people in terms of God’s economy of salvation related to the Jews.

      • KCI등재

        성스러운 역사와 구속사: 엘리아데의 유대-기독교 서사 해석

        임형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8 문학과종교 Vol.23 No.2

        엘리아데의 종교 현상학에서 성스러움은 초역사적 개념이지만 역사와 전혀 무관하지 않다. 왜냐하면 성스러움은 여러 역사적 조건에 의해서 제약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엘리아데에 따르면 성스러움은 역사적 조건을 뛰어넘는 종교 현상의 핵심적 상수이다. 따라서 엘리아데의 종교 연구의 목표는 여러 종교 현상들에서 성스러움이 드러나는 일반적인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필자 의 관심은 엘리아데의 성스러움의 변증법이 그의 유대-기독교 서사를 해석하는 데서 어떻게 해석학적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엘리아데는 유대- 기독교 서사가 순환론적 역사 이해를 극복하고 직선적 역사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함과 동시에 그 역사 자체가 창세기 1-11장의 성스러운 역사를 여러 상징을 매개로 반복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그는 성스러운 역사의 전개는 성스러움의 변증법에 지배를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는 유대- 기독교 전통의 한 특징적 요소인 믿음이라는 범주가 유대교와 기독교 역사의 형성에서 추동력이었음에도 주목하고 있다. For Eliade, the sacred manifests itself only in history. However, the sacred is viewed as independent of historical conditions. Therefore, the goal of Eliade’s study of religion is to illustrate the general patterns of the sacred across various religious phenomena. This paper focuses on showing how Eliade’s dialectic of the sacred serves as a hermeneutical framework with which to understand religious phenomena,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Judo-Christian tradition. While estimating that the Judeo-Christian narrative offers a linear view of history overcoming cyclical view of history, Eliade holds that Judeo-Christian salvation history repeats the sacred history of Genesis 1-11 through the mediation of various religious symbols. Moreover salvation history has, in his view, developed as described in his central thesis of the dialectic of the sacred. However, he also notes that faith, which constitutes a peculiar element of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serves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formation of Jewish and Christian history.

      • KCI등재

        세계관과 성경 해석

        임형권 기독교학문연구회 2016 신앙과 학문 Vol.21 No.1

        All human beings cannot have access to the world and text without interpretation, for it is an inevitable mental activity in human lives. An interpretation is derivative from a worldview. Different worldviews give birth to the conflicts of interpretation. The clarity(claritas) of Scripture for the Reformers, especially for Luther, does not mean the objective clarity of Scripture, but rather the clarity in light of the Reformer’s worldview. Holding a worldview is a good activity in itself. We maintain that the Christian conception of the world is the true understanding of it. So it is necessary to read the Scripture in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This means that we have to read the Scripture through the eyes of Scripture. This principle conforms to the Reformation principle of reading the Scripture, the principle that we must not interpret the Scripture through the ideas alien to the Scripture itself and that we have to read it in following the scriptural narrative. The framework of the scriptural narrative is itself the expression of the Christian worldview. This framework is constituted of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However, this narrative configuration of the Scripture had begun to disappear with the coming of modern worldview and its reading of the Scripture supported by the supremacy of universal human reason. But in the 20th century there arose a revival of narrative theology, a good symptom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reading of the Scripture. We Christian theologians should take this opportunity for the promotion of Christian scholarship and the church’s practices in the secularized modern world. 해석은 인간에게 불가피한 정신 활동이기 때문에 해석을 하지 않고 세계와 텍스트에 접근할 수 없다. 그런데 해석은 세계관에서 출발하고, 해석의 차이는 세계관의 차이에 기인한다. 루터를 비롯한 종교 개혁자들의 성경의 명확성(claritas)에 대한 주장은 객관적인 성경 해석에서 나온 말이 아니고, 세계에 대한 특정한 시각에서 파생된 주장이다. 세계관을 통해서 세계를 보는 것은 결코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자체로 선한 인간의 정신 활동이다. 그리고 우리는 기독교적 세계 이해가 참된 세계 이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통해서 성경을 읽을 필요가 있다. 이 말은 성경을 성경의 관점에서 읽어야 한다는 종교개혁 해석학의 원리와도 부합한다. 성경을 성경의 관점에서 읽는다는 것은 성경 외부의 추상적 원리를 통해서 성경을 읽는 것이 아니라, 성경 자체의 이야기적 흐름에 따라서 성경을 읽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 이야기 자체가 기독교적 세계관을 표현하는 핵심적인 매체이다. 이야기는 시작과 목표 그리고 결말을 가지고 있다. 성경은 창조에서 시작해서 그리스도라는 목표를 향해서 진행되고 심판과 종말로 이야기를 끝맺는다. 바로 이러한 틀이 기독교적 세계 이해의 틀이고, 이러한 세계에 대한 비전은 이교적 세계관에 도전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적인 성경 이해가 근대를 거치면서 보편 이성을 바탕으로 하는 성경 해석의 영향으로 쇠퇴했다. 그러다가 20세기 들어 내러티브 신학의 부흥으로 이야기-세계관적 읽기가 다시 회복될 수 있는 좋은 호기를 맞고 있다. 기독교 신학자들은 이러한 호기를 적극 활용해 교회가 올바로 성경을 해석하고, 실천적 신앙에 이를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지 엘리엇의 『대니얼 디론더』에 나타난 유대 신비주의의 양상

        임형권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조지 엘리엇은 종교적 기반 없는 세속적 도덕관을 작품 속에서 구현한 작가 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에 반대해 본 논문은 그녀의 마지막 작품인 대니얼 디 론더에 나타난 유대 신비주의(카발라)의 양상을 분석하면서 엘리엇을 낭만주 의의 영향을 받은 종교적 작가로서 탐구한다. 유대 신비주의 사상은 인간의 자연적 삶 자체가 초자연적 목표를 향하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 논문은 대 니얼, 궨돌린, 그랜코트, 마이러, 모디카이라는 인물들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 작 품에서 유대 신비주의가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우선 대니얼은 유대 신비주의에서 원형적 인간인 아담 카드몬을 상징함으로써 세계 구원을 위한 메시아적 사명을 가진 인물이다. 이에 반해 그랜코트는 악의 상징이자 화 신이다. 모디카이, 마이러, 대니얼의 연합은 이스라엘의 연합을 상징하고, 대니 얼을 통한 궨돌린의 변화는 이스라엘이 세계의 도덕적 견인차가 됨을 말해준다. 결국, 엘리엇은 이 작품에서 이기적인 자기 추구에 빠져 있는 당대의 현실 앞에서, 공동체와 전통을 매개로 한 도덕의 갱신이라는 목표를 유대 신비주의 비전 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George Eliot is generally known as a writer who defends non-religious, secular morality through her works. Challenging the prevalent view on Eliot’s moral outlook, this article explores her mysticism manifested in her last novel, Daniel Deronda. I argue that her oeuvre, especially Daniel Deronda, is deeply rooted in a romantic, mythological Weltanschauung.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Jewish mysticism manifested in Daniel Deronda, focusing on its main characters. First, Daniel is the messianic figure who brings salvation to the world. Grandcourt, on the contrary, is an embodiment of the evil that is considered in Jewish mysticism not only as a force to be overcome by human moral effort, but also as the first step toward moral awareness. Mirah and Mordecai help Daniel find his ultimate messianic identity. And Daniel’s leading Gwendolen to her moral renewal through her moral and mystical experience represents Israel’s moral vision for the whole world. Faced with the growing secularity of the Victorian era, Eliot suggests in Daniel Deronda her moral vision by incorporating Jewish mystical ideas into the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