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신학 사상에서 물질성의 긍정

        임형권(Lim, Hyeong Kw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6

        그리스도교는 물질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라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실제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이 정신에 비해 물질을 열등하게 보았던 플라톤주의 철학의 언어를 사용해 왔기 때문에 이런 부정적 인상을 조장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경향은 오히려 그리스도교 사상이 그리스 사상을 성경적 관점에서 이용했다고 평가한다. 본고는 그리스 사상으로 훈련된 초대 동방 교부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사상에서 물질성이 어떤 가치를 부여받고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그리스도교 신학과 물질성의 문제를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그레고리우스는 플라톤주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대로 변하지 않는 영원한 관념의 세계와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감각 세계의 이분법을 주권적 의지를 가진 창조자와 그분의 선한 의도로 창조된 피조물의 구도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창조자와 피조물의 구도 속에서 물질세계는 그 가치를 부여받는다. 특히 창조의 정점인 인간의 몸은 플라톤이 주장한 것과 달리 벗어나야 할 물질적 대상이 아니라 영혼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로서 이해된다. 같은 맥락에서 시간적 변화를 부정적으로 생각한 플라톤 사상과 달리 시간 안에서 피조물, 그 중에서도 인간의 변화는 영적 성숙의 점진적 과정으로서 긍정적으로 이해된다. 영적 성숙의 과정은 인간의 자유 의지의 행사를 통해 획득되는 덕성을 통해 나타나는데, 그레고리우스는 이러한 덕성의 획득 과정에서 시공 세계 속에서 일어나는 역사, 물질적, 감각적 상징과 이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 주고 있다. 심지어 그는 아가서의 관능적 표현도 알레고리적 해석을 통해 그리스도교적 수덕(修德)과 연결시킨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그레고리우스가 인간이 초월적인 신적 아름다움에 대한 자연적 갈망을 갖고 있으며 이 갈망은 물질적, 감각적 아름다움을 매개로 하여 충족되고, 이러한 신적 아름다움과의 합일은 곧 신적인 덕성 자체와의 합일로 보았음을 기술한다. It is generally known that Christianity has a negative view of materiality. Indeed, the material world is, for this religion, thought to be the source of human sin. Furthermore, early Christian theology, using Platonic philosophical framework, which gives priority to the spiritual over the material, promoted this negative view of the material reality. However, recent studies reveal that early Christian thought put pagan thoughts in the context of the Bible. This article aims at rethinking the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theology and the materiality in investigating how Gregory of Nyssa gives value to the material. First and foremost, this study shows that Gregory affirmed the material reality by turning the Platonic dichotomy between the timeless, unchanging, intelligible world and the changing, sensual world into that between the sovereign creator and the created. Especially, unlike Plato’s denigration of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is, for Gregory, understood as the mirror of the soul. Second, for Gregory changing and becoming in time regarded by Platonism as evil, is thought to be the process of sanctification. Also, this spiritual growth is achieved through the medium of biblical histories and material symbols including the allegorized sensual images in The Song of Songs play a significant role. Finally, this study reveals that for Gregory human soul has a natural desire for the divine, transcendental beauty and that this desire is satisfied through the symbolic mediation of the material, sensual beauty.

      • KCI등재

        케네스 버크(Kenneth Burke)의 신 수사학 이론을 통한『효경』(孝經) 읽기

        임형권(Lim, Hyeongkwon) 한국수사학회 2017 수사학 Vol.0 No.29

        The “Classic of Filial Piety” (孝經) is a book that brings together the discussions concerning Xiao (孝)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s, while simultaneously reflect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formative period of the Han Empire. The significance of analyzing this book through the lens of Kenneth Burke’s new rhetoric consists of unveiling the ideological character of Xiao. According to Burke, men make symbols that are simultaneously subordinated by them. The characteristic of symbols is their ideal of perfection, by which the moral order in human society is established. Men’s behavior, which supposes the prior existence of society, i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ir use of symbols, that is, in terms of linguistic communication. This also means that we should put every text in a dramatic situation in which it is produced. Furthermore, I attempt to read the “Classic of Filial Piety” as a treatise in which the anonymous author seeks to persuade every man in the empire through identification by means of the symbol of filial piety(xiao, 孝). Lastly, I analyze this book through Burke’s scapegoat theory and the idea of ritual as an Ur-form.

      • KCI등재

        루터-에라스무스논쟁에 대한 성경 해석학적 조명

        임형권 ( Hyeong Kwon Lim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5 역사신학 논총 Vol.28 No.-

        Luther- Erasmus debate on free will has been usually examined in terms of soteriology. However,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controversy in connection with their biblical hermeneutics. In fact. The hermeneutical difference between Luther and Erasmus was already recognized by them. 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presented in a systematic way in their writings. ``This paper makes am emphasis on the difference of their interpretive frameworks, First, their different interpretive frameworks are concerned with the status and limits of reason in interpreting the Scriptures. Although the two theologians protested against scholastic theology, they revealed nuanced views on reason. Luther understands reason as OPPOSL"``CI to faith. "INs understanding is parallel to his view on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gospel. On the contrary, Erasmus, unlike Luther, does not contrast reason with faith. For him, reason is a preparation for faith. and faith perfects reason. Erasmus`` s reason is rhetorical in character. That is. human reason can help man to morally grow by way of persuasion. While Luther had a dogmatic concern in this debate. while Erasmus remains a scholarly investigator, Second. Luther and Erasmus diverged over the interpretation or the letter-spirit antithesis, For both letter and spirit are inseparable. Yet. while Luther thinks that tile literal sense of Scriptures itself is the spiritual sense of Scripture. Erasmus thinks that the literal sense of Scripture is perfected in the spiritual sense. Third. their difference of the view on free will is related to tile problem of tile clarity and obscurity of Scripture, For Luther. God s mystery is so fully disclosed in Christ``s cross, that the Scripture is clear to the reader, if illuminated by the Holy Spirit, For Erasmus, there are many obscure subjects, including free will, which are not accessible to human intelligence. These subjects are to remain unknown. This debate is vet)`` suggestive for the contemporary discussions concerning biblical hermeneutics such as the role of tradition and community and the use of reason in biblical interpretation.

      • KCI등재

        앙리 드 뤼박(Henri de Lubac)의 불교 연구

        임형권(Lim, Hyeong Kw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1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 신학자 중 한 사람인 앙리드 뤼박(Henri de Lubac)은 세 권의 전문적인 불교 연구서에서 자연과 은총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틀을 통해 타 종교를 접근하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방식을 최근 논의되기 시작한 비교신학(comparative theology)의 방법론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비교 신학은 객관적 중립적입장을 표방하면서 종교 현상을 탐구하는 근대 세속 학문 분야로서 비교 종교학(comparative religion)과 달리, 특정 종교 전통의 입장에서 타 종교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종교 연구 방법론을 말한다. 드 뤼박이 비교신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본고에서는 실제로 비교 신학의 방법론을 통해 불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드 뤼박의 『불교와 서양의 만남』(1951), 『불교의 여러 측면들』(1952), 『불교의 여러 측면들: 아미타불』2(1955)을 주 자료로 삼고 드 뤼박이 타 종교에 대한 역사적 교리적 문화적 연구의 방법론으로 비교 신학의 모델을 사용하고 있음을 상세하게 밝힌다. 먼저 불교와 서양 그리스도교 세계와의 접촉에 대한 문제를 다루면서 드 뤼박의 비교 신학적 중심 관심사는 역사적으로 두 종교 상호 간의 영향이나 관계가 없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드 뤼박에 따르면, 두 종교 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점들은 상호 발생론적 원인을 갖고 있지 않다. 이어서 그는 그리스도와 붓다를 교리적으로 비교함을 통해 자신의 비교 신학적 입장을 또한 드러내고 있다. 그에 따르면, 그리스도와 붓다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리스도교 내에서 그리스도는 육화한 역사적 인격적 구체적 구원자이지만 불교 세계에서 붓다는 우주적 진리(Dharma)에 대한 깨달음의 한 모델로서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드 뤼박의 비교 신학적 관심은 염불을 중심으로 한 정토 신앙에 대한 체계적 연구에서 나타난다. 정토 신앙은 그리스도교의 신의 은총을 통한 구원 모델과 유사성을 드러내 주고 있으나, 여전히 불교의 업(業) 사상에 의해 제한되는 신앙임을 드 뤼박은 지적하고 있다. Henri de Lubac, who provided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Second Vatican Council, proposed an approach to other religions, based on his assertion of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grace. His theological point of view could be called a position of comparative theology. Comparative theology, unlike comparative religion as a modern secular study of religion, is a theological discipline that studies relig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ular religious traditions. This article, employing de Lubac’s three studies of Buddhism[Aspects du Bouddhisme (1951); La rencontre du Bouddhisme et de l’Occident(1952); Aspects du Bouddhisme: Amida, t. 2(1955)], aims at making clear that Buddhism is critically examined by de Lubac’s particular theological perspective. First and foremost,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de Lubac’s study of the encounter of Buddhism and the Western Christian civilization, concluding that there is historically no actual contact between the two religions. That is, according to him there is no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ligions. Second, this article gives thematic comparisons between Christ and Buddha from the perspective of de Lubac’s comparative theology. While Christ is regarded to be the incarnated, historical, and personal savior in Christianity, Buddha exists as a model for enlightenment, the awakening of cosmic truth(Dharma). Lastly, this article treats de Lubac’s special study of Pure Land Buddhism engaged with from his theological perspective. Although Pure Land Buddhism, centered on a prayer to Buddha, suggests a salvation model similar to that of Christianity, de Lubac pinpoints that Buddhism suggests a faith which is determined by the doctrine of karma.

      • KCI등재

        유목 공동체(nomad city)로서의 교회

        임형권(Hyeong?Kwon Lim)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존 밀뱅크의 포스트모던 신학적 기획이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러티브 교회론적 견지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성경 속에 드러난 하나님의 역사적 계시에 근거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내러티브 신학은 밀뱅크가 폴 리꾀르, 조지 린드백, 한스 프라이와 같은 포스트모던 내러티브 이론가들과 자신을 차별화하게 한다. 그에게 이 내러티브 사상가들은 데카르트에서 시작한 철학적 토대주의에 여전히 붙잡혀 있다는 점에서 근대성을 극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밀뱅크는 순수자연이란 것은 없다고 주장한 앙리 뤼박을 통해서 배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을 수용함으로 근대의 자율적 이성에 뿌리를 둔 철학적, 사회학적, 신학적 근대성을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근대 사회 이론에 반대해 밀뱅크는 교회란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의 최종 목적이라고 하는 아우구스티누스적인 교회론을 제안한다. 아우구스티누스를 따라서 밀뱅크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서 교회는 다가오는 하나님의 왕국을 향해서 순례 중에 있는 유목 공동체 그리고 첫 창조 때 하나님이 의도하셨던 존재론적 평화를 모방하는 평화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아우구스티누스적 교회론은 세속 철학에 물든 현대신학, 특히 현대 복음주의 신학의 개인주의적 교회론을 교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John Milbank’s postmodern theological project can be best understood in terms of Augustinian narrative ecclesiolog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eks to find Augustine’s ecclesiological thought in Milbank’s postmodern theological project. Augustine’s narrative theology, grounded on God’s historical revelation manifested in the Scriptures, leads Milbank to distinguish himself from other postmodern narrative thinkers such as Paul Ricoeur, George Lindbeck and Hans Frei. For him, these narrative thinkers did not overcome modernity in that they are still captured by philosophical foundationalism initiated by Descartes. However, Milbank’s appropriation of Augustine’s theology, mediated by Henri de Lubac who asserts that there is no such thing as pure nature(natura pura), enables him to thoroughly criticize philosophical, sociological and theological modernity rooted in modern autonomous reason. Against modern social theory, Milbank suggests Augustinian ecclesiology in which the Church is understood as the goal of the story of God’s salvation. Following Augustine, Milbank contends that the Church in God’s salvation history should be a nomad city on a pilgrimage toward the coming Kingdom of God and exist as a peaceful community which imitates the ontological peace God willed in His original creation. Milbank’s Augustinian ecclesiology this paper deals with will help contemporary theology, especially modern evangelical theology, imbued with the modern secular philosophy, in such a way as to correct its individualistic ecclesiology.

      • KCI등재

        말씀(logos)의 수사학과 공(空)의 수사학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 수사학과 지눌의 선불교 수사학의 비교

        임형권(Hyeong-Kwon L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인간을 설득하여 구원에 이르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종교는 수사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다.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의 기독교적 수사학과 지눌(知訥)의 선불교 수사학 사이의 비교를 통해서 두 종교 전통 사이의 대화를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교의 작업은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우선, 두 종교 수사학에서 진리는 수사학의 목표이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진리는 내면의 교사인 그리스도를 발견함으로써 획득된다. 지눌에게는 불교에서 궁극적 실재의 세계인 진심(眞心)의 세계가 진리의 세계이다. 둘째, 본 논문은 두 종교 수사학에서 역설이 중요한 설득의 양식임을 보여준다. 그들에게 역설은 단지 수사를 넘어 실재 자체의 성격을 특징짓는 말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경우 역설은 자연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것 사이의 유비적 관계에서 발생하고, 지눌의 경우 체(體)와 용(用)의 상관관계에서 발생한다. 셋째, 본 논문은 설득의 효과로서 믿음이라는 주제를 통하여 두 종교 수사학을 비교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믿음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이다. 반면 지눌에게 믿음은 자신의 불성에 대한 확신이다. 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믿음은 지적 이해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동서 종교 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배울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두 종교 사이의 건전한 대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ek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Buddhism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Augustine’s Christian rhetoric and Chinul’s Zen Buddhist rhetoric. The comparison is focused on three themes. First, the two kinds of religious rhetorics both regard truth as the goal of their rhetoric. For Augustine, truth is learned by an inner teacher identified with Christ, whereas the truth is, for Chinul, True-mind(眞心). Second, paradox is fundamental for both religious rhetoric. For them, paradox is not merely a literary technique, but characterizes reality itself. Third, the effect of the two religious rhetorics consists in evoking faith. Although faith has a different meaning for these two religious thinkers, it is, for them, inseparably related to intellec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의 『아가 강해』에서 플라톤적 에로스 개념의 기독교적 수용

        임형권(Hyeong-Kwon L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3 신학사상 Vol.- No.201

        니사의 그레고리오스는 플라톤주의적 존재론을 기독교적 입장에서 수용하여 헬레니즘 문화와 기독교 문화의 종합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독교 사상이 헬레니즘화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그레고리오스의『아가 강해』는 그의 플라톤 철학의 수용이 기독교적 창조관, 구원관의 틀 내에서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그의 기독교적 존재론은 감각의 세계와 지성의 세계를 구분하는 전형적인 플라톤의 이원적 존재론의 틀을 흡수하고 있다. 하지만 존재론적 측면에서 더욱 중요한 점은 그가 기독교의 무한한 창조자와 유한한 피조물 사이의 기독교적 존재론의 틀 안에서 플라톤의 이원적 존재론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또한 물질적 세계를 정신적 세계에 비해 열등하다고 간주한 플라톤의 생각과 달리, 그레고리오스는 성자의 육화 사상을 옹호함으로써 물질세계의 변화와 개선을 제시한다.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은 그의 이원적 존재론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불완전한 물질적 세계의 영혼은 완전한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갈망한다. 그레고리오스도 기본적으로 인간에게 신적인 것을 향한 욕구가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그 욕구는 신적 은총의 산물이다. 따라서 인간을 향한 신의 에로스가 신을 향한 인간의 에로스보다 선행하고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과 달리 그레고리오스의 에로스 개념은 신과 인간 사이의 비대칭적 상호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성을 중시하는 헤브라이즘의 특성이 아가 해석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대로 그리스적 이원론은 공간적 성격을 지닌 반면, 헤브라이즘의 이원론은 시간성을 특성으로 한다. 아가를 해석하면서 그레고리오스는 신의 에로스 그리고 인간의 신을 향한 에로스를 구속의 신비, 즉 구속의 역사적 경영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한다. 종합하면 여러 면에서 플라톤과 그레고리오스는 관심사를 공유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존재론, 구원론, 시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고있다. Gregory of Nyssa, while critically receiving Platonic dualistic ontology, attempts to synthesize Christian and Hellenistic culture.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his reception of Platonic philosophy, especially his central conception of eros, is made in the context of his Christian view of creation and salvation. His Christian ontology is reflective of the typical Platonic distinction between the sensible and intelligible worlds. However, for hi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nsible and intelligible worlds is embrac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infinite God and finite creatures. Furthermore, the Christian idea of the Incarnation gives an affirmation of the material world, which Plato disdains, since the material world is marked by change and corruption. The conception of eros in Gregory of Nyssa’s Homilies on the Song of Songs manifests an affinity with the Platonic conception of eros, which means the incomplete human soul’s desire for the perfect idea of Beaut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Platonic conception of ero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of Gregory of Nyssa. While the Platonic notion of eros is unilateral in character, Gregory of Nyssa’s is reciprocal in that Christian eros means both God’s love for humanity and the human desire for God. Finally, Gregory of Nyssa’s interpretation of the Song of Songs is contextualized by the history of salvation, in which Incarnation occupies a central plac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급진 정통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 신학적 평가와 비판: 존 밀뱅크를 중심으로

        임형권 ( Hyeong Kwon Lim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본 논문은 영미권을 중심을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는 신학 흐름인 급진 정통주의의 토대를 놓은 존 밀뱅크의 신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개혁주의 신학 입장에서 평가와 비판을 시도한다. 급진 정통주의의 근본적인 특징은 피조물은 하나님에게 존재론적으로 참여한다는‘참여의 존재론‘이다. 세계에 대한 참여적 이해는 급진 정통주의 신학의 여러 측면의 중요한 모티브가 된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인간의 언어성 자체가 하나님께 참여한다는 사상으로, 밀뱅크는 이러한 주장이 교부 신학적 배경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신학이 해석학적이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밀뱅크의 기독론과 윤리학 그리고 교회론은 바로 이 참여적 언어관을 바탕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예수는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기호(sign)이고, 보편 윤리보다는 특정한 언어를 사용하는 기독 공동체를 위한 기독교 윤리가 필요하다. 또, 교회라는 것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필자는 급진 정통주의가 개신교 전통과 상당히 가까운 신학 노선임을 주장하면서 몇 가지 점에서 개혁주의적 비판을 시도했다. 두 노선 모두 강한 창조신학을 견지하고 있으며, 성례적적 세계관을 공유한다. 또한 신앙안에서 합리성을 긍정한다는 점도 공유한다. 하지만 급진 정통주의는 동방 기독교의 핵심 개념인‘신성화’(deification)를 중요 모티브로 삼고 있기 때문에, 창조와 구속의 관계, 칭의와 선화, 그리고 기독론적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필자는 급진 정통주의의 개신교 신학 비판을 개신교 신학이 깊이 성찰해야 하며, 개혁주의 전통의 정체성을 더욱 확립할 것을 촉구하며 글을 맺는다. This article analyzes John Milbank`s theology, the founding father of radical orthodoxy, which is increasingly influential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nd then attempts to evaluate and criticize this new theological current in terms of reformed theology. Radical orthodoxy is marked by so-called ‘participative ontology’ which denotes that creatures ontologically participate in God. This participative conception of the world is the core conviction of radical orthodoxy. Radical orthodoxy interestingly argues that human linguisticality itself participates in God. And Milbank maintains that this idea stems from patristic theology. This understanding backs up the idea that Christian theology is to be hermeneutical. Therefore, we can best understand Milbank`s Christology, ethics and ecclesiology in terms of his participative view of language. For him, Jesus is the sign of God for humanity. He holds that Christian ethics should not be subject to modern universalist ethics, but serves as the norm for the life of Christian community. Furthermore, Church is the community in which the God`s language is performed and is to be the community that reflects God`s nature. In addition to this analysis,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e that radical orthodoxy and reformed tradition have much in common because of the common Augustinian background. Both currents share the robust doctrine of creation and sacramental conception of the world. Furthermore, both affirm a rationality within the bounds of Christian faith. However, radical orthodoxy`s privileging of the idea of ‘deification’ as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ure makes a difference from the Reformed tradition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redemption, and between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death of Jesus.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cessity of reaffirming the truth claim of the Reformed tradition in seriously considering the challenge of radical orthodox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