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流配案’ 자료를 통해 본 島配 양상-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자료의 통계적 분석 사례-

        임학성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2 島嶼文化 Vol.- No.5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는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섬으로 流配된 죄인들의 유배지(섬 이름)․죄목․형량(유배 기간)․배소로 출발한 날짜, 그리고 移配․減刑․解配․도망․사망 등과 같은 다양한 유배 관련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流配案’ 자료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들 유배안 자료에서 300명의 島配人 정보를 추출하여 이들의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19세기 말~20세기 초의 島配 지역은 총 20곳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유배간 곳은 황해도 황주의 대동강 하류에 위치한 鐵島(전체 도배인의 18%)였다. 그 다음은 전라(북)도의 古羣山島(17%), 황해도의 白翎島(12%)였으며, 이밖에 도배지는 거의 전라(남)도에 위치한 섬들로 나타났다. 그런데 도배지로 확인된 섬들은 황해도 鐵島의 경우를 제외하면, 18세기 후반에 작성된 『典律通補』에서 규정한 絶島定配處와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둘째, 도배인들의 죄목은 국가의 대역 범죄에 해당하는 ‘謀反’, ‘國事犯’, ‘壞損國權’, ‘內亂’ 등을 비롯하여 살인죄 및 그 미수죄인 ‘謀殺’, ‘謀殺未行’ 등과 방화, 사기, 위조, 절도 등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19세기 말~20세기 초에 작성된 자료의 성격상 ‘을미사변’(1895년)과 ‘갑오농민항쟁’(1894년), 그리고 정부 大臣에 대한 시해 사건에 연루된 죄인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분석 자료가 ‘근대’적 개혁이 단행된 1896년(건양 1) 이후에 작성된 자료이기 때문에 전근대적 유배 형량인 거리제 대신 형기제 형량으로 기재되었다. 조선 정부는 기존의 ‘3천리형’, ‘2천5백리형’, ‘2천리형’의 유배 형량을 1895년에 ‘종신형’, ‘15년형’, ‘10년형’으로 개정하였다가 1896년에 다시 ‘7년형’, ‘5년형’, ‘3년형’, ‘2년6개월형’, ‘2년형’, ‘1년6개월형’, ‘1년형’ 등을 추가하여 세분화하였는데 자료에서도 개정된 10등급의 형기제 형량이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종신형이 전체 도배인의 31%로 가장 많았으며, 이밖에 15년형이 18%, 10년형이 27% 등이었다. 섬 지역은 종신형을 비롯하여 중형에 처해진 유배인들이 안치되는 장소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각 섬별로는 濟州島에 종신형이 가장 많이 안치되었는데(18%), 智島(14%)․古今島․楸子島․白翎島(이상, 각 11%)의 경우도 종신형에 처해진 도배인의 안치가 적지 않게 나타났다. 다음 15년형은 황해도 鐵島가 가장 많은 것(29%)으로 나타났으며, 10년형은 古羣山島(22%)와 智島(21%)에서 그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도배인 가운데 처음 판결된 형량을 채우지 않고 減刑과 解配 등으로 형량이 변동된 자들은 약 70% 정도나 되었다. 장기 형량의 경우 유배 기간 동안 서너 차례의 감형과 해배가 진행된 반면, 단기 형량에서는 단 한 차례의 사면으로 해배되는 경우가 많았다. 감형의 경우 대체로 법률로 정한 유배 형량을 준용하여 차례대로 감형이 진행되었음도 확인되었다. 여섯째, 도배 후 赦免으로 해배될 때까지 소요된 평균 기간은 전체가 30개월(2년 6개월)로 나타났으며, 형량별로는 종신형이 57개월(4년 9개월), 15년형이 34개월(2년 10개월), 10년형이 22개월(1년 10개월), 5년형이 5개월, 3년형이 10개월, 2년6개월형/2년형이 6개월, 1년6개월형/1년형이 4개월 등이었다. 따라서 형기 시작 후 해배까지 걸린 소요 기간은 형량에 비해 매우 짧았음을 ...

      • KCI등재

        미국 Hawaii대학 소장 准戶口 寫本을 통해 본 18세기 중엽 通津府 거주 昌寧 成氏 일가의 소유 노비 양태 -해외 소재 ‘동아시아한국학’ 자료의 조사 및 분석-

        임학성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nd introduce some materials on Korean studies which are held abroad, and to get historical understanding by studying them. The author gives a brief introduction to a book named Hojeokbusa (戶籍簿寫) which is in the possession of the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Hawaii. He selects the “Extract of Family Registers, Sung Gyu-Hae, Tongjin, 1765” among eighty-eight family registers and examines the three hundreds and forty-five servants listed in it. First of all, the data divided the servants owned by the Changnyeong Sung Family into three categories:live-in, live-out, and runaway. Among them, live-in accounted for about 25%, live-out about 65%, and runaway about 10%. Males accounted for about 52% and females about 48%. It is likely that the sex ratio was relatively balanced. The live-out servants lived all over the country except Hamgyeong Province. They lived in a total of fifteen areas:three towns i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respectively, two in Gyeongsang and Hwanghae Provinces respectively, and one in Gangwon and Pyeongan Provinces respectively. Especially, about 43% of all live-out servants lived together in Gangneung. This shows that the members of Changnyeong Sung Family lived in Tongjin had a special connection to Gangneung. The data shows that the average age of the all servants was about forty-five years old. It was forty-three for men and forty-seven for women. It was thirty-one for live-in servants (twenty-nine for men and thirty-three for women), fifty-one for live-out servants (forty-nine for men and fifty-four for women), and forty-eight for runaway servants (forty-two for men and sixty for women). Female servants were older than male servants. Regarding the age distribution, the youngest (live-in) was three years old and the oldest (live-out and runaway) were ninety-two years old. 13.3% were in their teens, 11.3% in their 20s, 10.7% in their 50s, 10.1% in their 30s, 9.5% in their 40s, 8.6% in their 60s, 8.3% in their 70s, 5.3% in their 80s, 1.8% were under the age of 10, and 1.5% were in their 90s. It was stated that the ages of the sixty-six servants were unknown. Sixty-three (96%) of them were all live-out servants except three live-in servants. It must have been difficult for their owners to determine the age of them living far away. On the contrary, ages of the runaway servants were all stated. It shows that their owners made clear that they belonged to the Changnyeong Sung Family lived in Tongjin. Regarding marriages of the servants, 70% of them were same-class marriages and 30% of them were interclass marriages. About 23% were a marriage of two servants both belonged to Sung Gyu-Hae, about 46% were a marriage of Sung Gyu-Hae’s servant and a servant owned by others, about 10% were a marriage of a male servant and a female commoner, and about 21% were a marriage of a female servant and male commoner. Finally, about 86% of the servants were in familial relations. It shows that servants owned by the noble families in the later period of Joseon were in familial relations. However, the familial relationship between live-in servants and live-out servants was not confirmed. This suggests that in the 18th century, Sung Gyu-Hae's family managed servants by separating them by ministry type. 이 연구 논문은 해외에 소재한 한국학 자료를 조사, 소개하고 더 나아가 자료를 考究하여 역사적 이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미국 하와이대학교의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戶 籍簿寫』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이 자료 책에 수록된 88건의 호적 자료 중 “1765년通津 成奎海 准戶口”를 택하여 자료에 기재된 소유 노비 345명의 양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된 내용 및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에는 소유 노비의 使役 형태를 ‘率奴婢秩’ㆍ‘外方奴婢秩’ㆍ‘逃亡奴婢秩’로구별하여 기재하였는데, 전체 노비 가운데 솔노비가 약 25%, 외방노비가 약 65%, 도망노비가 약 10% 정도의 비율로 존재하였다. 성별로는 노가 약 52%, 비가 약 48%로 나타나소유 노비의 성별 분포가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유 노비 중 가장 많았던 외방노비는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경기도ㆍ충청도ㆍ전라도에 각 3개 고을, 경상도ㆍ황해도에 각 2개 고을, 강원도ㆍ평안도에 각 1개 고을 등, 총 15개 지역에 분포하였다. 그 가운데 강원도 江陵에만 외방노비의 약 43%가 集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도 通津에 거주한 上典 창녕 성씨 일가가 강릉과 매우 특별한 연고가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전체 소유 노비의 평균 연령은 약 45세였으며, 성별로는 노가 약 43세, 비가 약 47세로 나타났다. 사역 형태별 평균 연령은 솔노비가 약 31세(노 29세, 비 33세), 외방노비가 약 51세(노 49세, 비 54세), 도망노비가 약 48세(노 42세, 비 60세)였다. 따라서 노와 비교해 볼 때 비가 다소 고령화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연령별 분포는 최연소 3세(솔노)에서 최연로 92세(외방노와 도망노)였으며, 연령대로는 ① 10대(13.3%), ② 20대(11.3%), ③ 50대(10.7%), ④ 30대(10.1%), ⑤ 40대(9.5%), ⑥ 60(8.6%), ⑦ 70대(8.3%), ⑧ 80대(5.3%), ⑨ 10세 미만(1.8%), ⑩ 90대(1.5%) 등의 순서를 보였다. 다섯째, 연령을 모른다고(‘不知’) 기재한 노비 총 66명이었는데 솔노비는 3명의 불과하였고, 나머지 63명(약 96%)은 모두 외방노비였다. 아무래도 외방노비의 경우 상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연령 파악이 용이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고 하겠다. 반면 상전의 통제로부터 벗어나 있던 도망노비의 경우 모두 연령을 기재하고 있어 소유 재산인 노비에 대한 창녕 성씨 일가의 강한 집착을 엿볼 수 있었다. 여섯째, 혼인 유형은 노비 간의 혼인이 약 70%, 良賤 간의 혼인이 약 30%로 나타났다. 노비 간의 혼인에서는 주인 成奎海의 소유였던 ‘班奴’와 ‘班婢’ 간의 혼인이 약 23%, 成奎海 소유 노비(班奴ㆍ班婢)와 타인 소유의 노비(私奴ㆍ私婢)와의 혼인이 약 46%로 나타났다. 양천 간의 혼인에서는 반노와 양녀 간의 혼인이 약 10%, 반비와 양인 간의 혼인이 약21%로 나타났다. 끝으로, 전체 소유 노비 중 가족 관계가 확인되는 경우는 약 86% 정도로 나타나 조선후기 양반가에서 소유하고 있었던 노비의 경우 대다수가 가족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그런데 솔노비와 외방노비 간에는 서로 가족 관계가 확인되지 않고 있어18세기 성규해 일가의 경우 소유 노비를 사역 형태별로 단절하여 관리하고 있었다는 점을살필 수 있었다.

      • KCI등재

        호적관련 고문서를 통해 본 조선 후기의 가족구성 양상 : 한국가족사의 실체를 구명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

        임학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이 연구는 조선 후기의 가족규모와 가족유형 양상이 어떠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戶籍관련 고문서 자료 383점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는데, 자료에 기재된 내용에만 국한하지 않고 가족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가족 구성은 매우 동태적인 것이기에 어느 한 시점의 양상만을 놓고 파악하기보다는 전후 양상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호적자료의 거의가 미성년 가족원을 기재하지 않고 있다가 이들이 성년이 되어야 비로써 호적에 기재하는 특징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 결과, 조선 후기의 가족은 4인 이하로 구성된 夫婦家族 및 核家族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었다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5인 이상으로 구성된 直系家族 및 擴大家族이 일반적인 양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가족수가 15명이 넘는 가족뿐 아니라, 결합 범위가 8寸이 넘는 가족도 적지 않게 확인되었다. 그런데 직계가족 및 확대가족화의 경향은 대체로 18세기 후반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가족규모 및 가족결합 범위는 신분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양반 상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그 양상이 多大하게 나타났던 것이다. 특히 가족결합의 범위에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향촌지역 간에는 가족 양상의 큰 차이가 없었으나, 京·鄕 간에는 약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대체로 한성부보다는 향촌에 거주한 가족의 규모 및 결합 범위가 多大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family size and patterns of family type of the late Joseon practically. It set the 383 pieces of data related to the historical manuscripts on the census register, and it chose the method to 'recompose' the family not limiting it to the enlisted contents on the data. The family make-up is a very dynamic thing, so rather than grasping while searching the figure of one period, it had to consider pre-and post-pattern. Besides it, it is also because almost all of the historical manuscripts on the census register data unlisted the minority family member, and only after they became adults, they were enlisted on the census register. As a result, the famil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were generally family in a direct line and enlarged family made up of more than 5 members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understanding that most of the families were married couple family and nuclear family made up of under 4 members. Even the family of members more than 15 people and the family of over the eighth degree were found quite a few. But, the tendency of families being family in a direct line and enlarged family were shown remarkably since the late 18th century. Meanwhil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mily size and the family conjunction according to the status, and in case of upper Yangban class, the pattern was relatively great. Especially, it could be discovered of remarkable differences in family conjunction. And big difference didn't exist according to the region, but it could be discovered of difference among trends. That is, mostly the size and conjunction scope of family resided in the country rather than a capital were grea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호적 자료를 통해 본 경상도 무당들의 세습양상: 17~19세기 단성현(丹城懸)의 사례분석

        임학성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9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se the aspects of Saesupmu(hereditary Shamans) based on the census registers of Danseong-hyeon, Gyeongsang-do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re are generally Saesupmu that have succeeded from father to son and from mother in law to sister in law in the Gyeongsang-do. So,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is research was tested the common view by actual proof. The result of census registers analysis, the family of Mudang(Korean shamans) of Danseong-hyeon had acceded to the Muda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wever, some of the families have worked another things that is not related to Mudang. And also there are the descendants of Mudang who make an effort to free themselves from the Mudang. But some of them became eventually Mudang. In conclusion, this study certifies that Mudang has transmission by heredity based on the case study of Danseong-hyeon, Gyeongsang-do. 일반적으로 무당[巫覡]의 성무(成巫) 계기를 강신과 세습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이 학계의 통념이다. 그리고 양 측면이 혼합혼재된 유형도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양분법적, 이에다가 혼합형을 추가한 기왕의 유형 구분이 과연 무당의 양태를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세세하고 정치한 실증적 연구가 축적되기 전에 일부 사례양상만을 놓고 이론적 틀을 서둘러 구축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이 연구는 문헌자료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무당 생활상, 특히 ‘무업’의 세습 양상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었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자료는 조선시대에 살았던 다양한 계층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 호적대장이며, 대상으로 삼은 지역은 경상도의 작은 산간벽촌 단성현(丹城縣)이다. 그리고 분석 시기는 17세기 말~19세기 말이다.통상 경상도 지역은 강신보다 세습에 의해 성무과정을 겪으며, 부자 또는 고부간에 무업을 이어 나간 지역으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왕의 통설통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서 그 의미가 있다고 본다.호적대장의 분석 결과, 단성현에서 거주한 대부분의 무당 일가는 몇 대에 걸쳐 후손이 무업을 세습하면서 生計를 이루어 나가는 모습을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일가의 경우, 무업과 무관한 일에 종사하면서 생계를 이루어 나가거나, 신분을 상승시켜 무업뿐 아니라 良役에서도 벗어나려고 하는 후손의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형제간에 한쪽은 ‘무당계’로, 다른 한쪽은 ‘非무당계’로 생활을 영위하였던 것이다. 그렇지만, 무업과 무관한 일에 종사하다가도 나중에 무당이 되어 무업에 종사하는 경우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경상도 단성현에서 거주한 무당들은 대체로 강고한 세습성을 보이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사례 연구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 서간도(西間島) 거주 조선인(朝鮮人)의 거주 양태-‘변계호적(邊界戶籍)’ 자료의 분석 사례-

        임학성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20세기 초 西間島 지역에서 거주했던 조선인들의 거주 양태를 戶籍 자료를 통하여 考究한 것이다. 17세기 후반 淸정부는 자신들의 발상지인 滿洲(東北)지역을 封禁區로 정하여 기타 민족의 거주를 엄금하는 ‘封禁’ 정책을 실시하였다. 또한 朝鮮정부도 조선인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간도 지역으로 潛入·이주하는 것을 엄금하는 ‘越江禁止’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다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봉금’과 ‘월강금지’ 정책이 폐지됨에 따라 수많은 조선인이 間島 지역(압록강 對岸의 西間島와 두만강 대안의 東間島)으로 이주해 갔다. 이주 조선인의 대부분은 평안북도와 함경북도에 거주하던 주민들이었다. 생계를 모색하기 위한 新天地의 개척(농지 개간)이 그 이유였다. 호적 자료의 분석 결과, 20세기 초 西間島에 거주한 조선인들은 1호당 평균 2.4명의 인구수를 보였는데, 이는 미성년 여자 인구가 거의 호적에 등재되지 않은 때문이었다. 이에, 남녀 姓比도 162.5로 심한 불균형을 보였다. 家戶 내의 인적 구성이 이러하다보니 戶主 夫婦로만 이루어진 2인 가족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45%)나 되었다. 이에다가 戶主 혼자 거주하는 1인 가족(16%)을 합치면 그 비율이 무려 60%나 되었다. 직업은 98%가 農業이었다. 조선인들이 間島로 이주한 이유가 농토 개간 및 소작에 있었던 사실과 부합되는 결과였다. 그런데 교육, 통역, 문서 대리 작성, 祭儀·占卜, 상업 등에 종사하는 자들도 확인되고 있어 서간도 지역의 조선인 사회는 나름대로 ‘정착형’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서간도 거주 조선인들의 가옥의 형태는 모두 草家였으며, 남의 집을 빌어서[借有] 사는 자가 무려 절반 가까이(45%)나 되었다. 가옥의 크기는 己有와 차유 모두 3칸이 가장 많은 것(32%와 28%. 합 60%)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sidential situation of Koreans living in the West Kando in early 20th century through the Census Register. In the late 17th century Q’ing government designated its own birthplace, North-east Manchu as the forbidden district and forbade other tribes to live there, the policy that was called "Ponggŭm [Seclusion and Prohibition]". The Chosun government did not permit Koreans to cross the Yalu and Tuman River to secretly enter and stay as well, the policy that was called "Wŏlgang gŭmji [No Cross the River]" policy. As the above mentioned policies were abolished in the late 19th century, many Koreans moved to Kando which were composed of Western and Eastern part, corresponding to the areas across the Yalu and Tuman River each. Most Korean immigrants came from North Pyŏngan and North Hamgŏyng Province. Therefore, the reason of Korean immigration was to cultivate new lands for the liv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ensus register, I found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West Kando Kore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1) Average household member was very few like 2.4 persons. It seems that the non-marital women were not registered, therefore, the sexual ratio was uneven: 1.625 male versus 1 female. 2) The family type having only husband and wife was the half of the whole numbers like 45% while single household was also 16%; both two types were 60% of the whole population. 3) Almost all the occupation, 98% was agriculture, the fact that shows that most Korean immigrants came to the region for land cultivation and tenancy. There are some people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 translation, document writing agency, ritual ceremony and fortune-telling, commerce. It means that the West Kando Korean society shows somewhat 'sedentary' aspect. 4) All the residential building type was a thatched cottage. The rent type was almost half of the population, 45 %. The size of the house was mostly 3 kan: 60 % of the whole houses, Holding (32%) and Rent (28%) each.

      • KCI등재

        조선 후기 京畿 島嶼지역의 水軍鎭 설치와 주민 생활 양태-水軍防禦營이 설치된 永宗島의 戶籍 자료 분석 사례-

        임학성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이 논고에서는 조선 후기 조선 정부의 도서지역에 대한 인식 및 정책의 변화 결과 나타난 도서지역에서의 水軍鎭 설치 배경 및 과정을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경기지역의 도서는 수도 漢城으로 들어가는 마지막 海路에 위치하였을 뿐 아니라, 17세기 중엽 이후 ‘保障之處’로 건설되는 江華島를 사방 인근에서 衛護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요충지에 해당하였다. 이에 17세기 중엽을 시작으로 영종도(자연도), 덕적도, 주문도, 장봉도, 대부도, 영흥도 등 경기지역의 여러 도서들에 수군진이 설치(移置 및 創設)되기에 이르렀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군진이 설치된 도서지역은 정부의 적극적인 入島정책에 기인한 주민수의 급증, 屯田 등의 개간에 기인한 농토의 확장, 그리고 특히 무엇보다 호구조사 및 부세 수취에서의 수군진영의 관할 등, 적잖은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수군진 설치 도서지역에 거주한 주민들의 생활 양태도 적잖은 변화와 특징을 보였을 것이다. 이에, 1867년(고종 4)에 작성된 ‘永宗鎭戶籍大帳’을 통하여 水軍防禦營이 설치된 영종도지역 주민들의 ‘19세기 중엽의 생활사’를 복원해 보았다. In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recognitions and policies of the islands of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installation of naval bases on the islands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Gyeonggi province. The islands of Gyeonggi province were not only located on the last sea route to the capital city Hanseong(漢城), but also as a key point for escorting Ganghwa island(江華島), a major national defense since the mid-17th century. Since the mid-17th century, naval bases has been installed on several islands in Gyeonggi provinc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island area where naval bases were installed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government’s aggressive recruitment policy, and the agricultural land increased due to the reclamation of military land(屯田). In particular, the naval base has undergone major changes in the census and tax collection. Therefore, the inhabitants of the island area where the naval bases were installed would have seen many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ir way of life. Thus, through the census data(Yeongjong-jin Census Register. 永宗鎭戶籍大帳) produced in 1867, the “life history of the mid-19th century” of Yeongjong island residents was restored.

      • KCI등재

        19세기 중엽 仁川 永宗島 주민의 通婚 양상-“1867년 永宗鎭戶籍” 자료의 분석 사례-

        임학성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4

        Joseon Government strengthened its maritime defense system based on Ganghwa Island during the mid-seventeenth century. As part of this, in 1653, Yeongjong Military Base, also known as Yeongjong-jin (永宗鎭) was relocated from Yeongjong Harbor (永宗浦), Namyang (南陽), to Jayeon Island (紫燕島), present-day Yeongjong Island (永宗島). Since then, Yeongjong-jin had taken shape as a naval base: it was upgraded to Independent Military Base (獨鎭) in 1758; it even carried out migration plans in order to increase inhabitants. Independent Military Bases were allowed to manage their population and land as well as military on their own; they were able to collect taxes and use them for them-selves. Therefore, it appears that Yeongjong-jin carried out census and made census register once every three years. Currently, there remains only one register titled “Census Rregister of Yeongjong-jin, 1867.” This paper reviews it and analyzes marriage patterns of residents of Yeongha-myeon (營下面) (Jayeon and Wolmi Islands), Sammok-myeon (三木面) (Sammok and Shinbul Islands), and Yongryu-myeon (龍流面) (Yongryu and Muui Isl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ose who resided in the islands under the jurisdiction of Yeongjongjin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most men as a family head and their wives came from a few numerically strong families. Marriages happened between one numerically strong family and another, and numerically strong families got related by marriage with certain famil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umerically strong families which got related by marriage with certain families generally belonged to the upper class. Also, a case study of the brothers shows that residents’ network by marriage was spread all over the area under the jurisdiction of Yeongjong-jin, that is, Yeongha-myeon, Jeonso- myeon, Huso-myeon, Sammok-myeon, and Yongyu-myeon. In conclusion, it seems that intermarriage between insular residents and preference for certain families when choosing someone to marry was relavant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t was not easy for them to have relations with people on land. Also, the author analyzes that these marriage patterns were the outcome of policy and custom, which aimed to help stable supply of human resources for the naval base. 17세기 중엽 조선 정부는 江華島를 중심으로 海防 체제를 강화하는 일환으로 南陽都護府 永宗浦에 있던 永宗鎭을 1653년에 인천 앞바다에 있는 紫燕島(현 永宗島)로 이설하였다. 이후 영종진은 몇 차례의 변천 과정을 거쳐 1758년 獨鎭으로 승격되어 해방 체제의 중심지로 변모하였고, 섬으로 주민들을 이주시키는 등의 정책을 실시하면서 水軍防禦營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獨鎭은 軍政뿐 아니라 戶政 및 田政 등도 독자적으로 운영하여 그에서 거둬들인 稅收를 수군진의 자체 재원으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영종진에서는 3년마다 戶口 조사를 실시하여 戶籍을 작성하였을 것인데, 현재 그 소재가 확인된 호적 자료는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 소장된 1867년도 호적대장 한 책만이 유일하다. 이 글은 “1867년 永宗鎭戶籍”을 분석하여 자료에 수록된 營下面(紫燕島와 月尾島)․三木面(三木島와 薪佛島)․龍流面(龍流島와 舞衣島) 거주 주민들의 通婚 양상을 考究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19세기 중엽 영종진 관할 섬들에서 거주한 戶首와 妻의 상위 姓貫 분포는 거의 일치하고 있었다. 둘째, 영종진 관할 섬들에서 거주한 거대 성관들은 서로 중첩된 통혼 관계를 맺고 있었다. 셋째, 거대 성관들은 戶首 당대뿐 아니라 累代에 걸쳐 특정 성관들과 집중적으로 통혼 관계를 맺고 있었다. 넷째, 특정 성관과 집중적으로 통혼 관계를 맺은 거대 성관은 대체로 상층 신분의 출신들이었다. 다섯째, 어느 형제의 사례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듯이 주민들의 통혼망은 영종진 관할 영하면․전소면․후소면․삼목면․용유면의 전 지역에 망라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1867년 永宗鎭戶籍” 자료에서 나타난 ‘지역 內婚’과 ‘특정 성관끼리의 중첩된 통혼’ 양상은 육지 사람들과 쉽게 관계를 맺기 어려운 섬 지역의 특성(즉, 고립성? 기피성?)이 반영된 것이며, 이와 아울러 섬 주민들 간의 통혼을 통하여 水軍鎭의 軍役 자원을 원활하게 충당하려는 정책 및 관례가 지속된 결과였다고 해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19세기 후반 인천(仁川) 도서(島嶼)지역의 주민 구성-1867년도 ‘영종진호적대장(永宗鎭戶籍大帳)’의 사례 분석-

        임학성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한국학연구 Vol.19 No.-

        조선 후기에 이르러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된 島嶼지역에는 水軍鎭이 설치되었다. 특히 경기도의 서해 도서는 都城의 길목에 위치하였기에 그 중요성이 더하여 여러 섬에 수군진이 설치되었다. 수군진의 설치는 도서 지역을 적지 않이 변화시켰다. 가장 큰 변화는 섬 주민의 증가였는데, 이는 육지의 주민들을 섬으로 불러 모아 그 땅을 경작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결과였다. 인천 앞 바다에 위치한 紫燕島(永宗島)와 三木島, 龍流島는 위에서 언급한 변화 과정을 그 어느 섬보다도 크게 겪은 지역이었다. 1653년 南陽에 있던 永宗浦 水軍萬戶鎭을 자연도 동쪽의 太平岩 쪽으로 옮기면서 ‘永宗鎭’이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수군진 移設 이후 ‘永宗’지역(영종도ㆍ삼목도ㆍ용유도 등)은 인구 및 농경지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던 것이다. 이 연구는 1867년도에 작성된 永宗鎭戶籍大帳을 통하여 ‘永宗’지역에 살았던 주민들의 구성을 살펴 본 것이다. 그 결과, 첫째, 1867년 당시 ‘永宗’지역에는 908戶·2,781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남녀별로는 1,552명(남)과 1,229명(녀)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323명이 더 많았다. 섬별로는 영종도가 1,976명으로 가장 많았고, 용유도가 637명, 삼목도가 168명 등이었다. 그러나, 호적에 기재된 인구수는 딸이나 손녀 등의 女兒가 거의 누락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남녀별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다고 본다. 둘째, 戶首(현재의 世帶主 성격에 가까움) 908명의 연령은 40대가 2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대가 22%, 50대가 16%, 60대가 15%, 20대가 10%, 10대가 0.9%, 80대가 0.8% 등의 분포를 보였다. 셋째, 戶首의 姓貫은 金海金氏가 1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全州李氏(8%), 慶州金氏(7.7%), 慶州鄭氏(5%), 仁同張氏(4.8%), 靈光張氏(4%) 등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戶首 妻의 성관 분포 또한 호수와 마찬가지로 김해김씨(13%), 전주이씨(8%), 경주김씨(7.6%), 영광장씨(5%), 晉州姜氏(4.4%) 등을 나타냈다. 이로써, ‘永宗’에서는 지역 내의 주민끼리 通婚을 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였음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戶首가 지니고 있었던 직역은 閑良이 3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軍官이 18%, 別隊軍이 5%, 宣略將軍이 4%, 折衝將軍이 2% 등의 분포를 보였다. 水軍鎭이 설치된 지역이라는 특징답게 武業과 軍職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상의 양상 중 대부분은 섬 주민들의 특수성을 전혀 살필 수 없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일부는 ‘永宗’지역 주민들만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그 동안 濟州를 제외하면 섬 지역의 호적대장이 거의 발견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전통시기 도서주민의 구성 양상을 복원하였다는 데에 그 의미를 지닌다.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naval forces defense posts(水軍鎭) were established in islands deemed to be of strategic importance in military terms. Especially the islands in the West sea in the vicinity of the Gyeonggi-do province, which were located upon the path directly leading to the capital city, were considered all the more important, so many naval defense posts were placed there. Establishment of such military installations considerably changed those islands' inner conditions. The biggest chang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slands' population, which was a result of forcing the inland residents to relocate to the islands and cultivate the lands there. Jayeon-do[도(島)](Yeongjong-do) and Sammok-do, Yongryu-do, all islands sitting in the sea in front of Incheon, were islands that went through the aforementioned changes in the most noticeable fashion. In 1653, the Yeongjong-po[포(浦)] Naval force Manho-jin[진(鎭)] post(水軍萬戶鎭), which was originally located in the Namyang area, was moved to Taepyeong-am(east of the Jayeon-do island) to be reestablished as a new post 'Yeongjong-jin’. After this transferring of a naval post, the population, and not to mention the area of cultivatable land,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entire 'Yeongjong' region, which included Yeongjong-do․Sammok-do․Yongryu-do, etc. In this article, the living fashion of the residents who lived in this 'Yeongjong' region is examined through the ‘Yeongjong-jin Census register’, created in 1867. And the results of such examination are as follow: First, in 1867, 908 households(戶) and 2,781 people were living inside the 'Yeongjong' region, composed of 1,552 males and 1,229 females(323 more males). Yeongjong-do showed the highest population(1,976), then Yongryu-do(637) and Sammok-do(168) followed. Yet, this statistics did not include most of the female infants such as daughters and granddaughters, s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males and females would not have been that much. Second, the age of 908 household heads(戶首: similar to today's '世帶主/Saedae-ju') showed 29% in their 40s, 22% in their 30s, 16% in their 50s, 15% in their 60s, 10% in their 20s, 0.9% as teenagers, and 0.8% in their 80s. Third, their last names and regions of origin(姓貫: 'Seong-Gwan') of the household heads also varied. Gimhae Kim House(金海金氏) occupied 15% of the group, then Jeonju Lee House(全州李氏) occupied 8%, Gyeongju Kim House(慶州金氏) 7.7%, Gyeongju Jeong House(慶州鄭氏) 5%, Indong Jang House(仁同張氏) 4.8%, and Yeonggwang Jang House(靈光張氏) 4%. The 'Seong-Gwan' of the household heads' wives also showed a variety of houses in a similar order: Gimhae Kim House 13%, Jeonju Lee House 8%, Gyeongju Kim House 7.6%, Yeonggwang Jang House 5%, Jinju Gang House(晉州姜氏) 4.4%, etc.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 residents of the 'Yeongjong/永宗’ region had a strong tendency of arranging marriages between houses inside the region. Fourth, the most ordinary occupation of the household heads was Hanryang(閑良: 36%). Following that, 18% of the households served as military officers(軍官), 5% of them served as special unit soldiers(別隊軍), 4% of them served as Seonryak generals(宣略將軍), and 2% of them served as Jeolchung generals(折衝將軍). Reflecting the reality of a region where a naval force defense post was established, many of the residents were serving in armed forces and military functions(武業ㆍ軍職). Most of the features mentioned above are ordinary ones that have been normally exhibited by island residents, but some of them mirror the specific reality that the 'Yeongjong' region residents were facing.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with the exception of the Jeju island, a census register for an island area had never been before discovered, this article could hopefully contribute to the task of recreating the living fashions of island residents who lived in the pre-modern era.

      • KCI등재

        조선시대 奴婢制의 推移와 노비의 존재 양태 -동아시아의 奴婢史 비교를 위한 摸索-

        임학성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1

        한국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조선시대는 奴婢인구의 大擴張期였으며 奴婢制의 最全盛期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노비인구가 늘어나게 된 주요 원인은 고려시대에 마련된 ‘賤者隨母法’과 ‘一賤則賤’의 원칙이 조선왕조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을 뿐 아니라, 특히 良賤交婚이 성행하여 良役인구를 크게 잠식했기 때문이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양역인구의 노비화를 막기 위해 양천간의 교혼을 금지하거나, 그때그때의 사정에 따라 良人과 婢간의 소생에게는 ‘從父法’을, 그리고 奴와 良女간의 소생에게는 ‘從母法’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소유 노비인구의 규모를 늘리려는 兩班士族의 집착에 의해 결국 『經國大典』(1485년 반포)에서는 양천교혼의 소생에게 모두 ‘일천즉천’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으로 규정하게 된다. ‘일천즉천’의 원칙은 18세기에 들어와 수정되기에 이른다. 즉 양역인구의 증대를 위해 고심하던 조선정부가 ‘奴娶良妻所生從母從良役法’을 1731년부터 永久的으로 시행하면서 노와 양녀간의 소생을 모두 양인 신분으로 귀속시켰던 것이다. 더군다나 19세기에 이르러 納貢하던 內․寺奴婢의 從良(1801년), 奴婢世襲制의 폐지(1886년), 노비제의 전면 폐지(1894년) 등으로 귀결되었다. 그런데 1894년 甲午更張에 의한 노비제의 혁파는 법제상의 조치였을 뿐이며, 일제강점 초기까지도 노비는 殘存하고 있었다. 오랜 세월 동안 존재하던 노비가 법제상의 변화로 인해 급격히 사라지기 어려웠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