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대화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 분석

        임태운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7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역할극 대화에서 나타난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실험 집단은 한국어 학습자이고, 비교 집단은 한국어 모어 집 단이다. 역할극은 네 개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대화자 간의 사회적 관계와 대화 장소, 대화 목적을 달리하여 다양한 담화표지의 출현과 기능 사용을 유도 하였다. 첫 번째 대화는 두 대화자가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상황이다. 구매자는 상품의 가격을 깎기 위한 흥정을 하고, 판매자는 물건을 적절한 가격에 판매하 는 것이 역할이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자신의 의도와 발화 목적을 수행하는 과 정에서 전략적으로 담화표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한국어 학 습자의 경우 자신의 발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담화표지의 사용보다는 청자 와의 관계를 위한 사용이 많았다. 두 번째 상황은 상사와 평사원이 출장을 가서 같은 호텔 방을 사용하는 상황 이다. 평사원은 늦게까지 전화를 하는 상사에게 불평하는 것이 대화의 목적이 다. 이 대화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는 자신의 체면을 유지하면서 청자에게 자신 의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 담화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한국어 학 습자의 경우 본 대화에 대한 맥락 파악과 사회문화적 지식의 부족으로 자신의 역할에 맞지 않은 담화표지를 사용하였다. 세 번째 상황은 서로 가깝지 않은 관계에서 칭찬을 주고받는 상황이다. 한국 어 모어 화자의 경우 대화자 간의 친소 관계를 고려하여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 지 않는 범위에서 칭찬하고자 담화표지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였다. 반면 한국 어 학습자의 경우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적극적인 칭찬의 용 도로 담화표지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상황은 아주 가까운 친구 사이에서 노트북을 빌리는 전화 대화이다. 한국어 모어 화자의 경우 활발한 발화순서 교체 과정에서 적절한 담화표지의 사용을 보였으나,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친한 친구 사이 관계에 적절하지 않은 담화표지 사용의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the use of discourse markers in role-play dialogues by Korean learner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study comprises Korean learners, and the comparative group is composed of native Korean speakers. The role play consisted of four situations. Social relationships, places, and purposes of the conversation differed among dialogue participants, inducing the use of various discourse markers. The first conversation was a situation where the two speakers were buying and selling things in the market. The buyer negotiates to reduce the product’s price, and the seller sells the product at a reasonable price. Native Korean speakers were found to use the discourse markers strategically to fulfill their intentions and purpose of speaking. For Korean learners, however, there were more uses of relationships with the listener than uses of discourse markers to carry out their purpose of speaking. The second situation depicted a situation where a boss and an ordinary employee go on a business trip and use the same hotel room. The purpose of the conversation is for the employee to complain to the boss who makes a late phone call. In the dialogue, the native Korean speaker actively used discourse markers to express their intention to the listener while maintaining his face. However, Korean learners used discourse markers that do not suit their role due to a lack of context and social and cultural knowledge. The third situation involved people praising each other in a relationship that is not very friendly. Native Korean speakers considere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s and used discourse markers strategically to praise each other to the extent that they did not burden the other speaker.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 did no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used discourse markers to express active compliments. The last situation is a phone conversation in which a very close friend borrows a laptop. For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use of appropriate discourse markers was shown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order of turn-taking. However, Korean learners tended to use discourse marker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relationships between close friends.

      • KCI등재

        온라인 도구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한국어 협력적 쓰기 수업 사례 연구

        임태운 배달말학회 2023 배달말 Vol.73 No.-

        이 연구는 패들렛을 활용하여 진행한 한국어 협력적 쓰기 수업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는 ○○광역시 A 대학 44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수업은 7주로 구성되었으며 각 주 2시간씩 운영하였다. 첫 주에는 쓰기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하였다. 학습자 의견을 수렴하여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동료 학습자와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수업을 구성하였다. 둘째 주에는 실제 수업할 협력적 수업 방법을 설명하고 유의 사항을 안내하였다. 셋째 주부터 여섯째 주까지는 계획한 협력적 쓰기 수업을 실제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주에는 수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수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패들렛 사용 능력과 패들렛의 상호작용 효과, 패들렛 사용 수업 만족도가 5점 척도에서 평균 4점 이상을 보였다. 그리고 서술형 문항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협력적 쓰기에 대한 만족, 자기효능감 상승, 적절한 교사 피드백을 긍정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cooperative Korean writing classes conducted using online tool padlet. The study was conducted on 44 foreign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 Metropolitan City. The class consisted of 7 weeks and was operated for 2 hours each week. In the first week,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writing classes, and the class was designed based on this. The class was organized to arouse interest by collecting learners' opinions and to enable immediate feedback from fellow learners and teachers. In the second week, the teacher explained the actual cooperative teaching methods and guided the precautions. From the third to the sixth weeks, the planned cooperative writing class was actually conducted. And in the last week, class participants evaluated the class. As a result, the ability to use padlets, the interaction effect of padlets, and satisfaction with padlets in class averaged more than 4 points on a 5-point scale. In addition, in the narrative question, Korean learners presented satisfaction with cooperative writing, increased self-efficacy, and appropriate teacher feedback as positive aspect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개인 정보 처리 분석 -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

        임태운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n the corpus of Korean learners. The current status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of the corpus of Korean learners was identified, and the transcription direction for the corpus to be built was presented. This study is noteworthy because it dealt with the protection of learners’ human rights and privacy, which was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earner corpus.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learner corpus, basic information regarding the learners is required. This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extent agreed by the learner, and the anonymity of the corpus provider should be guaranteed.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cess large-scale personal information data on a consistent basis. Second, how the Korean language learner corpus processes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was confirmed as actual corpus data. It was found that the extent of personal information to be processed as “<name>” should be clarified in the transcription guidelin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ubdivide the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name. There are two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in the corpus of Korean learners. The first is an example of failure to follow transcription guidelines. The personal information presented includes learner names, peer names, learning institutions, phone numbers, and e-mail IDs. The second is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information in the corpus content even though there is no violation of transcription guidelines. Finally, the direction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 corpus to be built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re should be sufficient education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caused by violations of transcription guidelines. Second, the scope of items to be processed for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explicitly defined. Third, since personal identification is possible by combining information in the text,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cessed while considering the entire content.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개인 정보 노출 양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개인 정보 노출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구축될 말뭉치의 전사방향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학습자의 인권과 사생활 보호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학습자 말뭉치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습자 말뭉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기본 정보가 필요하다. 이 정보는 학습자가 동의한 범위 내에서제공되어야 하며 말뭉치 제공자의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규모의 데이터에포함된 개인 정보를 일관성 있는 기준으로 처리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에서 학습자의 개인 정보 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실제 말뭉치 자료로 예를 들어 확인하였다. 전사 지침에 ‘<name>’으로 처리할 개인 정보의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여야 하며, 이름의 종류에 따른 형식의 세분화도 필요함을 알 수있었다.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개인 정보 노출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는 전사지침을 따르지 않아 생긴 예이다. 노출된 개인 정보에는 학습자 이름, 동료 학습자 이름, 학습 기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있었다. 두 번째는 전사 지침을 위반하지 않았음에도 말뭉치 내용 안에 있는 정보와 정보 간의 결합으로 생기는 개인 정보 노출이다. 이를 잠재적개인 정보 노출로 보고 예를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구축될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개인 정보 처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첫째, 전사자를 충분히 교육하여 전사 지침 위반으로 생기는 개인 정보 노출이 없어야 한다. 둘째, 개인 정보 처리할 항목 범위와 세부 항목을 명시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셋째, 텍스트내에 있는 정보나 정보 간의 결합으로 개인 식별이 가능하므로 전체 내용을 고려하면서개인 정보를 처리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가족 구성원에 나타난 고정 관념 요소 분석

        임태운(Lim, Tae-woo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0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6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가족 구성원에 나타난 집필진의 고정 관념요소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재이다. 분석 기준은 가족 구성원에 대한 교재 내용과 시각 자료이다. 분석 결과 초급 교재에서는 교재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국적, 인종, 남녀 직업에 대한 고정 관념 요소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교재 내용과 시각 자료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중급 수준의 한국어 교재에서는 교재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반 목적 한국어 교재와 사회통합 한국어 교재에서는 성역할에 대한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사고방식이 반영되지 않았다. 그러나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서는 전통적인 성 역할의 고정 관념이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는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가 사설 기관의 한국어 교재보다 좀 더 보수적인 면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설 기관의 한국어 교재에서도 국적에 대한 차별은 나타나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ereotypical elements used by authors which appeared in the family members of Korean textbooks. The analysis targets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The analytical standard is the text and visuals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lementary-level textbooks reflected stereotypes about nationality, race and men’s and women’s occupations, regardless of the type of textbook. This was found in both the text and visuals. However, intermediate-level Korean textbooks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type. The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and social integration Korean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bout gender roles. However, in Korean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s, the stereotype of traditional gender roles was very severe. Other notable points are that the Korean textbooks of university institutions show a more conservative side than those of private institutions. However,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ity was also emerging in Korean textbooks used by private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영역 실제성 연구

        임태운 ( Lim Tae-woon ),조경순 ( Jo Kyeong-sun ),이유교 ( Lee Yu-gy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최근 한국어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데, 한국어 능력 평가에서도 응시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실제성의 문항 반영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듣기 영역에서 제시하는 대화문에 주목한다. 한국어능력시험 문항은 구어적 특성 반영과 함께 대화의 실제성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대화 원형이 반영되고 적절한 대화이동 연속체 속에서 화행 또는 기능이 적합하게 나타난 대화가 한국어능력시험 문항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본고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영역 대화문의 실제성을 대화분석 방법으로 분석한다. 대화분석은 대화의 구조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분석 단위 간의 상호적인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본고는 한국어능력시험의 대화 구조와 내용의 실제적인 부분 및 대화의 화용적 요소까지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영역 대화문에서 난이도 수준 통일을 위한 발화순서 교체 횟수 제한이 실제성을 떨어뜨리는 측면, 장황하게 명사를 수식하거나 구정보의 신정보화로 대화의 결속을 흐리게 하여 혼란이 발생되는 측면, 대화의 장소를 고려하지 않은 고정적인 문형이 발화에 나타남으로써 발생하는 비현실적인 측면 등이 나타남을 밝혔다.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o enhance Korean languag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enhancing learners’ community ability in Korean, so the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 should evaluate testee’s authentic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In order to investigate a testee’s communication pattern having the authenticity, this thesis analyzed some dialogues in the listening section of TOPIK. As the TOPIK evaluates a testee’s authentic Korean proficiency level, so questions of this test should reflect Korean colloquial characteristics and secure the authenticity of dialogues. Dialogues reflecting their patterns and properly showing speech acts in the dialogue move sequence should be in questions of TOPIK. This thesis analyzed the dialogue’s structures and its authentic parts and even its speech factor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m, it was pointed out as problems to solve that dialogues we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in dialogue texts, and the dialogue-binding was not clear, and a dialogue situation and its context were not 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통 놀이를 활용한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한국어 교육 방안

        이영주,임태운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by using traditional game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Th rough this, it was also confi rmed that cultural implementation is essential in cultural education, and cultural implementation can develop mutual 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Korean culture and learners’ own culture. Yutnori was selected as the game for the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of language and culture. Th rough the sentence of the fi rstdegree target grammar ‘-(eu)seyo’ and the reading text based on Yutnori, it was shown that even beginners can learn Korean as a tool. Th rough pre-reading activities, during-reading activities, and post-reading activities,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Yutnori were obtained, and through the experience of Yutnori, it was possible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of Korean learners. Th 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for language and culture for traditional games that were not deep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