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남북 화법 표준화를 위한 한 모색 -호칭과 지칭을 중심으로-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언어예절은 만남의 시작이고 끝이기 때문에 동질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분단 이후 주체사상에 바탕을 둔 북한의 언어 정책은 이념을 기반으로 언어 예절을 변화시켰고, 남한은 무분별한 외래문화의 수용으로 인해 언어 예절이 변화되어 언어 예절에서 남북의 차이는 자못 심각하다. 이 글에서는 호칭과 지칭을 중심으로 남북 화법 표준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북한의 호칭과 지칭 실태를 정리하여 통일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 삼았다. 북한은 봉건 잔재 사상이 남아 있다고 생각한 호칭과 지칭을 사용치 않도록 규범화하고 있다. 그러나 서북지역의 방언 조사에 의하면 현재에도 여전히 이런 호칭과 지칭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의 언어 규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언중 사이에서는 언어 관습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주체사상은 집단적 관계를 조장하고, 주체사상에 입각한 언어 규범은 집단적 관계를 가족 관계로 확장하여 인식하도록 호칭과 지칭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호칭은 일정한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넷째,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해서는 특별한 호칭과 지칭이 존재한다. 이런 북한의 실태를 바탕으로 표준화의 방향을 몇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규범이 아니라 현재의 사용 실태를 기초로 삼아야 한다. 규범과 달리 시골지역의 일반 언중은 여전히 언어적 전통을 지키는 호칭과 지칭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다름을 인정하고 단계별로 표준화 한다. 하나의 규범으로 전체를 통일하려고 하는 것보다 방언권별로 다양한 사용의 실제를 인정하여야 한다. 전체를 아우르는 표준형과 함께 방언권별 표준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말 뭉치와 같이 화법 뭉치를 구축하여 가장 많이 쓰이고 널리 쓰이면서 생산력이 높은 표현들을 찾아 기본 표현으로 정해야 한다. 이 기본 표현은 전체적인 표준형 결정이나 새로이 요구되는 표현 결정에 기본이 될 것이다. 넷째, 언어의 전통을 표준의 원리로 삼아야 한다. 언어의 전통은 언중의 인식에 깊이 자리 잡은 표현이면서 남북이 쉽게 합의할 수 있는 통합의 원리이다. 다섯째, 강제와 권고의 두 유형으로 표준화한다. 강제 표준화는 현재 쓰이고 있는 표현 중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권고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표준화이다. 규범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언중의 언어생활을 한 가지로 재단하는 것은 언어의 사회성을 인정하지 않는 꼴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말, 바른말, 쉬운 말이라는 국어 순화의 원칙에 따라야 한다. 다만 우리말이라는 개념을 고유어라기보다 언중에게 아주 익숙한 말의 개념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Since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in north Korea the language prescription based on the Juche ideology has changed their language etiquettes. In south Korea those have been changed by unquestioning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s. So the difference of the etiquettes has been being more critical. In this paper, I show principles for language etiquettes unification of both sides, centered on call names. I organized actual condition of call names in north Korea through researching some movies, dramas and books of and about north Korea. The Juche ideology has made no use some names those reflect feudalistic idea, such as `-ssi, seobangnim, halabeom, doryeonnim`. But some rural areas they still use some of those names. The ideology has promoted group relationship in their society and has made people use some family names among people in groups, such as, dongmu, dongji, daejangdongjiajumeoni(`a wife of leader`; `ajumeoni` means aunt), seadaeju(`a husband`; `seadaeju` means householder). There are systems in social call names. And they call Kimilseong(the old leader) and Kmjeongil(the present leader) using special names such as `Great leader Kimjeongil dongji`. Based on the research, I suggest some ways for unification principles of language etiquettes. First, they have to based on actual condition. Because prescriptions of both sides are so different and actual conditions in both sides still maintain traditional customs. Second, they should be unified step by step. First, they will be &led in each dialect region. South Korea should accept differences of north Korea caused by ideology. Third, they should decide some basic call expressions which are used frequently and widely and have productive capacity. Fourth, they need to value traditional principles as being important. Fourth, there should be two types of unification, type of rule and type of recommendation. At last, they should obey the principles of pur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principles of proper expressions, correct expressions and easy expressions.

      • KCI등재

        교육문법의 교육 방향 연구

        임칠성 ( Chil Seong 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우리 교육문법 교육은 문법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의 목표를 달성시키기 보다는 학문문법의 지식 체계를 간략화하여 이해하도록 지도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학문문법과 교육문법은 그 교육의 구조가 엄연히 다르다. 교육문법, 즉 초중등학교의 국어나 문법 시간의 문법에서는 일상의 언어를 분류하거나 분석하여 그 사용 원리를 발견한 다음 그에 따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문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학문문법과 달리 언어의 내적 구조와 주체의 언어 사용이라는 두 축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 두 축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이 7가지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1) 자국어 문법 교육의 교육 목표에 부합하여야 한다. (2) 결과 중심 교육과 과정 중심 교육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3) 다양성을 허용하는 탄력적인 규범 언어 교육을 하여야 한다. (4) 귀납적 수업 활동을 연역적 수업 활동과 조화롭게 사용한다. (5) 교육적 가치가 있는 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가르친다. (6)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따라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야 한다. (7) 국어의 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가르친다. The education of academic grammar, which are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teaching the result of linguistic studies in brief. But the goal of academic grammar is different to that of linguistics. The goal of academic grammar is to develope the ability to explore learners` language and to use correctly. For teaching academic grammar, we should consider the structure of a language and a learner as a user of those language. In this paper, I show 7 directions for teaching academic grammar as below: The education of academic grammar should. (1) be correspondence with the goal of the education of nation language, (2) be balanced between the result centered learning and process centered learning, (3) be learned the rule as a dynamic prescription which accept diversity of language use, (4) be taught balanced between the inductive activities and deduction activities, (5) teach some principles which are worthy to learn, (6) consider learners` ability and interests for selecting teaching contents, and (7) teach to understand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과 수업 자가 평가 연구

        임칠성(Im Chil-seong)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In this paper explore self-evalu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class on the bases that Class is a process for learner's achieving the learning objectives by tasks and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as below. 〈표 삽입〉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음장 오류 연구-상해 지역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칠성 ( Chil Seong Im ),곽일성 ( Yi Cheng Guo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3

        이 논문은 상해 소재 F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12명의 발표에서 사용된 2,283개 어절의 음장 오류를 분석하여,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초급 학습자들의 음장 오류의 양상과 성격을 밝히고, 그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체 어절 중 40.30%에 해당하는 919개 어절에서 오류 현상이 나타났는데, 오류는 네 가지 방식으로 나타난다. (1) 어두 장음 오류, (2) 어두 단음 오류, (3) 2음절 이하 장음 오류, (4) (2)+(3). 각 유형별로 18.50%, 36.80%, 35.50%, 7.80%의 분포를 보인다. 오류 발음의 방식을 성조가 가미된 오류 두 방식과 성조가 없는 오류 두 방식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자료와 분석을 통해 네 가지의 해석을 할 수 있다. 첫째, 오류의 분포로 볼 때 장음을 단음오로 발음하는 단음화 오류가 가장 많다. 둘째, 오류 발음을 중국어의 성조와 대비해 볼 때 중국어 성조가 개별 단어의 음장 오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학습자가 의식적으로 발음하게 되면 이 음절 이하 음을 장음으로 발음하면서 일정한 성조를 더하게 된다. 넷째, 오류 발음 유형 (3)의 발음 방식은 중국어 성조의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이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과 이들을 지도하는 강사들에게 국어 음장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paper, we aim to analyze and to interpret the length errors of Korean words for Chinese beginning level learners` in KFL. We analyzed 2,283 syllables those were collected from 3 minutes speeches which were performed by 12 freshmen at a university located in Shanghai. Their length error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those are (1) error pronouncing the first syllable as long sound, (2) the first syllable as short sound, (3) non-first syllable as long sound, and (2)+(3). Learners made pronunciation errors of 919 syllables among 2,283 syllables . That is 40.30%. From error type (1) to (4), the percentages of error are 18.50%, 36.80%, 35.50% and 7.80%. We compare high frequence words with each Chinese word which has same meaning and similar sound. We observed 4 types of error pronouncing way. Two of them are pronouncing a syllable long or short without tone. The rest are pronouncing a syllable long or short with second or fourth Chinese tone. Based on our analyses, we can make 4 interpretations about the length error. First, the learners prefer short pronunciations to long pronunciations. Second,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word do not effect on the pronunciation of each Korean word which has same meaning and similar sound. Third, when learners pronounce a syllable long with consideration, they pretend to pronounce it with a rhythm similar to Chinese second tone. The last, a regular rhythm of all words in error type (3) is a influence of Chinese tone.

      • KCI등재

        토론 지도의 원리와 실제 ; 토론의 본질과 토론 지도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8

        이 글은 토론의 본질에 맞추어 토론 교육의 원리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토론과 응용토론의 공통된 성격을 통해 모든 토론의 공통적인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해 참여자들이 찬반으로 나뉘어 논쟁한다. ·일정한 규칙을 가진다. ·참여자들이 문제 해결에 합의하지 않는다. ·상대가 아니라 청중이 설득 대상이다. 이어 토론을 왜곡하는 현상들을 ``토론=논증``, ``토론=말싸움``, ``토론식 수업=모둠 수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토론의 본질에 기반으로 하여 토론 지도의 원리를 ``1) 합리적인 소통 방식의 원리, 2) 조화를 통한 갈등 해결의 원리, 3) 합리적 사고 능력 신장의 원리``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토론 지도의 방향을 ``1) 토론의 정신에 충실해야 한다, 2) 모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3) 교사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5)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여 지도하여야 한다, 4) 교육 방법을 구조화 하여야 한다, 6) 디지털 매체를 통한 토론도 함께 지도해야 한다.``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aimed to show teaching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debate based on the nature of debate. At first, I explore characteristics of debate as below; The debate · is a argumentation between positive participants and negative participants for problem solving. · is proceeded by some rules. · has not participants` agreement for problem solving. · persuade not opposite participant but audience. I search some present circumstances which distortions debate; ``debate=logic``, ``debate=quarrelling``, and ``teaching through debate=group discussion``. I insist some teaching principles of debate; 1) principal of reasonable communication method, 2) principal of solution to the conflict by harmony, 3) principal of resonable development of thinking power. Finally, I argued the teaching directions of debate; The teacher should 1) follow the nature of debate, 2) make all students experience debate, 3) be thought about debate, at first, 4) teach debate systematically, 5) structuralize the teaching method, 6) teach together the debate through digital media.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설정과 운영 방안

        임칠성 ( Chil Seong Im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we should design and operat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ategorizations of 4th curriculum which based on rhetoric, literature and linguistics of Korean, and the other curriculums which based on language arts were all based on knowledges of scholarship. They could not reflect well present and future learners` needs which curriculum should reflect. Because present language education is dominated by Korean SAT, schools don`t reflect the learners` and their parents` needs on their curriculum and mak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normal. For developing language ability the curriculum should be operate differently by school grade as below; · elementary school: primary language experience · middle school: focused language experience · high school: preferred language experience

      • KCI등재

        바람직한 화법 교육과정 구조와 내용 체계 연구

        임칠성 ( Chil Seong Im ) 한국어교육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1

        In this paper, I show a structure and contents of Hawbeop(a Korean name of a subject of speech communication in highschool) on the base of the character of oral communication and some needs of Korean present society. Oral communication and written communication is basically differ, so the education of oral communication should be differ from that of written communication. The former should focus on communication not language itself. Hawbeop abilities are ability of `discourse perform, interpersonal relation, making decision in group, speech in public, ethics.` The curriculum system of Hawbeop should be something like be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