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주의적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능력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임청환,김진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1998 초등과학교육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lesson using constructivist instruction. In this study, 108 students of sixth graders from four classes were intentionally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ungsan city, Kyungsangbukdo. Two classes of 54 students were used by the constructivist teaching program and the other two classes were handled by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wo teachers who have twenty years' careers guided the program prepared by researcher to the students and this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8 weeks (total 20 class hours). In pretest and posttest, both groups were tested in the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nalyzed the responses about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cience inquiry skills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p$gt;.05). The ability of formulating probl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mparative group at 0.05 level. In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lassifying, formulating problem, interpreting data,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significant on those. Second, we can fi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more positive effect on forming the desirable science-related attitudes than the comparative group(p$lt;.05).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e attitudes about the science curriculum than the comparative group at 0.05 level Third, constructivist instruction has more affirmative tendency of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y. Constructivist instruction generated much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cience for the students, and this method prompted students' expression and discussion.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요구

        임청환,오보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5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pre-service and in- 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TEAM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160 pre-service teachers and 191 in-service teachers who were sampl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knowledge and necessity on STEAM, first, on the understanding related knowledge, most respondents have heard of STEAM education(97.7%), and well aware of STEAM(91.4%) thro ugh the teacher training course(80.3%). Second, on the necessity, 60.4% respondents were located in “very nece ssary” and “necessary” entry.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applying STEAM, first, on the reasons of applying STEAM was to help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Also 67.3% respondents would like to apply STEAM on their science class. The reason was necessity on STEAM, and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blending with science of applying to STEAM was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most difficult subject was art. Second, on the effect of STEA M, most respondents had positive awareness on the all categories. Third, on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also had positive awareness on the all categories of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On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blending ways of STEAM and improvements, first, on the blending ways of STEAM, topic centered blending related to real life had a majority. Second, on the improvements, to improv e the STEAM education, many respondents pointed ou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TEAM prog ram and dissemination of related resources.

      •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현행 7차 초등학교 과학과의 교육 목표를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 목표 분류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3학년부터 6학년까지 수업 목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영역의 비중이 다른 영역에 비해서 월등히 높은 빈도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지식, 이해, 적용 능력과 같은 저수준의 교육 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분석, 종합, 평가 능력과 같은 고수준의 목표가 차지하는 빈도와 비율이 매우 적다. 둘째, 탐구 과정 영역의 수업 목표 빈도와 비율이 낮고, 특히 대부분이 관찰, 측정, 분류와 같은 저 수준의 영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이나 이론적 모델의 설정 검증 및 수정 능력과 같은 통합적인 탐구 능력에 대한 비중이 낮다. 셋째, 대단원의 수업 목표와 차시별 수업 목표가 상급 학년으로 갈수록 각 영역의 목표가 하위 수준에서 상위 수준으로 빈도수와 비율이 적절히 높아져야 되지만 초등학교 과학과의 수업 목표에서는 이런 현상을 찾기 어렵다. 넷째, 대단원과 차시별 수업 목표 간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 목표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과학적 창의력 계발과 교수 전략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교육 현장에서 구성주의적 교수 접근을 통한 과학적 창의력 계발과 교사의 교수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창의력이란 무엇인가? 둘째,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과학 창의력 문제해결 수업 모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셋째, 구성주의적 교수 접근을 통한 과학적 창의력 계발을 위한 교사의 교수 전략은 어떤 것이 있는가? 각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자료 대신에 지금까지의 어떤 연구자들에 의해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분석 종합하고 평가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 진자의 운동에 대한 초등 영재학생들의 탐구 활동 분석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과학·수학교육연구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an solve problems on the pendulum motion inquiry activity tas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science-gifted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cit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xperimental set in the explo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pendulum, 50% of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observe carefully and accurately had difficulties in the next step or failed to perform the task. In order to master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observational skills that students need to mast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most possible observation opportunity so that they can master in-depth and sharp observation skills. Many students had a hard time thinking about how to accurately measure the time of one reciprocating movement in measuring the period of a pendulum. Methods and tools for accurate periodic measurement require high-level thinking skills to make judgments about what is available. When teaching students to measure, they should be able to think and decide on their own measurement methods and tools, so that they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skills. Regarding the search for potential variables affecting the period of a pendulum, finding as many predictable variables as possible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divergent thinking, but did not appear in the actual explo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pendulum. The students who designed and performed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hypothesis were more than half, but most of the failed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systematically control multiple variables. Therefore, in order to acquire the systematically controlling variables, the single variable controlling skills should be learned. 42.5% of the gifted students came to an appropriate conclusion. 27.5% of the students presented nothing. Most of them had difficulties in integrated inquiry skills such as operational definition, formulating hypothesis, identifying and controlling variables, data interpretation, experimenting, and drawing conclusions. Many opportunities to master not only basic inquiry skills but also integrated inquiry skills should be requir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자의 운동 탐구 활동 과제를 분석하여 초등 영재학생들 스스로가 문제인 식 단계부터 결론도출 단계까지 조작적인 활동을 통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어떻게 문제 해결을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D교육대학교 영재교육원 과학 영 재 6학년 40명이다. 진자의 운동에 대한 탐구 활동에서 실험 세트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50%의 학생이 어려움을 겪었으며, 세심하고 정확하게 관찰하지 못한 학생들은 다음 단계에서도 어려움을 겪거나 과제 수행에 실패하였다. 학생들이 숙달해야할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관찰 기능 숙달을 위해서 가 능한 최대의 관찰 기회를 제공하여 심도 있고 예리한 관찰 능력이 숙달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많은 학생들이 진자의 주기 측정에서 한번 왕복 운동하는 시간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에 대 한 사고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정확한 주기 측정을 위한 방법과 도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고등 사고를 요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측정을 지도할 때 스스로 측정 방법과 도구를 생각하고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창의적이고 확산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주기에 영향을 주는 잠재적인 변인 찾기에 대해서는 예상되는 가능한 변인들을 많이 찾는 것 이 확산적인 사고를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데도 진자의 운동에 대한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한 실제 탐구 활동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설에 맞게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한 학생이 과반수를 넘었으나 실패한 학생의 대부분은 다 변인을 체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체계적인 변인 통제 기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단일 변인 통제 기능이 선수되어야 할 것이다. 전체 영재 학생들의 42.5%의 학생들이 적절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27.5%의 학생은 아무것도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조작적 정의, 가설 설정, 변인 찾기 및 변인 통제, 자료 해석, 실험 수행, 결론 도출과 같은 통합 탐구 기능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초 탐구기능 뿐만 아니라 통합 탐구 기능을 숙달할 수 있는 많은 기회가 요구 된다.

      • KCI등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임청환,Lim, Cheong-Hwan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nature, rol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considered: 1) What are the nature and the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2) What is the valu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are there any routes and paths to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nstead of analyzing empirical data, former research literatures are review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 special amalgam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science method knowledge in a special context of science teaching that is uniquely the province of teacher based on their own special form of professional understanding. As a part of one's own distinctive bodies of knowledg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n important basi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mpetent teachers. It is knowledge of how to teach specific content in specific contexts, also it depends on each teachers' distinctive knowledge structu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s composed of five components: orientations toward science teaching,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of specific topic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assessment for teaching science, knowledge and beliefs abou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The development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es not start until teachers have acquired a deeply principled conceptual knowledge of content, also it is promoted by the constant us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teaching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역할이 무엇이며 어떻게 발달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가치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데이터에 의한 문제해결보다는 문헌 연구를 통한 접근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은 첫째, 교사 개인이 특정한 과학 수업 상황 속에서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데 사용하는 과학의 내용 지식과 과학 교수방법 지식의 합성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수를 위한 독특한 지식체로서 과학 교사 전문성의 요체가 되며, 자질 있는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이다. 셋째,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특수한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관한 지식으로서 이것은 각 교사마다 독특하게 구성된 지식 체계에 따라 달라진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구성 요소는 과학 교수에 대한 지향,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신념, 특수한 과학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관한 지식과 신념, 과학에서 평가에 관한 지식과 신념, 과학 교수를 위한 수업전략에 관한지식과 신념이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은 교과 내용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충분히 형성되어야 하며, 이 내용 지식을 실제적인 교수 경험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달한다.

      •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임청환 大邱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9 과학·수학교육연구 Vol.3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주제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이 교사 경력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세부 요소별로 비교하고,세부 요소간의 상관관계와,경력에 따른 상관관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는,기존의 도구를 참고하여,전기회로에 대한 내용으로 개발되었으며 8개 세부 영역 당 3문항씩 전체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교 교사 131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전체적으로 보면 전기회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은, 경력이 많을수록 증가하지만,과학 교과교육학 세부 요소에 따라 경력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지식, 경력이 많아질수록 어느 정도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지식, 경력이 많아질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지식과 같이 상이한 유형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역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과 주제 한정적인 교과교육학 지식의 특정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세부 요소들 중에는,다른 요소들과 많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요소도 있으며,그렇지 않은 요소도 있다. 이는 학교 수업 장면에 밀접한 정도와 사용되고 축적되는 빈도에 따른 차이로 생각된다. 경력에 따른 상관관계의 차이를 보면,경력이 많을수록 세부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가 좀 더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경력이 많아질수록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세부 요소들이 균등해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fic topic, electric circuit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by their term of teaching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components of the PCK. The instrument to measure PCK on electric circuits was developed with a basis on those existing and was composed of 24 items, 3 items per each sub-components. The data from 13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ly conside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on electric circuits increased by their term of teaching but three patterns were found as discussing on sub-components; increasing pattern, decreasing pattern and the pattern in which PCK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by term of teaching.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on characteristics of domain-specific and topic-specific PCK. Second, some sub-components of PCK had correlations with other sub-components and others not.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relation to classroom situations and of frequency of being used and accumulated. As the difference of correlations between sub-components of PCK by term of teaching, it was found that, much term of teaching, more correlations among sub-components of PCK. This may indicates that sub-components of PCK might develop equally as the term of teaching incr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