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최근 논쟁에서의 몇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임채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9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말의 학자이자 중국에서 도사로 명성을 떨쳤던 全秉薰(1857-1927)의 철학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고찰해보고, 특히 최근에 등장한 논쟁점을 분석하면서, 앞으로 우리학계가 가져야 할 바람직한 연구윤리 문제를 논의했다. 전병훈이 썼다는 󰡔道眞粹言󰡕이란 저술은 이름만 남아있을뿐 지금까지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다. 필자는 󰡔仙佛家眞修語錄󰡕 속에 들어있는 전병훈의 글을 발굴해서, 이 글과의 관계를 고증해낸 바 있다. 또한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생애와 漢詩에 대해서도 문중자료속에서 찾아내서 고증한 바 있었다. 전병훈의 1차자료 자체가 온전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자들간의 해석이나 견해상 차이가 생겨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해 최근에 제기된 비판에 대해 재검토하면서 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을 고찰해보았다. 근현대 격동의 시대속에서 중국에 망명해서 도사로 변신하는 그의파란만장한 생애 속에서 그가 남긴 저술들은 원형을 잃고 흩어지거나 없어진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전병훈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부딪히는 첫 번째 난점은 먼저 맥락을 잃어버린채 파편화된 문장들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작업이다. 두 번째 난점은 원전자료 자체가 제대로갖춰져 있지 못하기 때문에 자칫 오독하거나 오해할 수 있는 소지가적지않게 발견된다는 점이다. 전병훈 연구에 있어서는 이런 부분에대해 충분히 유의해야 하고, 또 기존 연구성과에 대해 평가를 할 때는 분명하게 인용을 하고 정확하게 평가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우리 사회에는 표절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다. 이중에서 특히 우리 학계에서 더 시급하게 논의할 문제는 이런 형식적인표절문제보다는, 잘 표시가 나지 않는 내용 표절이나 아이디어 표절같은 부분이다. 이는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호 논란이 야기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본질적으로 연구윤리의 문제와 관계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연구자는 자신의 독창적 주장을 수립하는데 게을러서도 안되지만, 또한 자신을 뒷받쳐주고 있는 선행연구들에 대한 평가와 인용에 인색해서도 안될 전병훈 연구의 문제와 쟁점(2)ㆍ임채우 281 것이다. 주제어 : 󰡔정신철학통편󰡕, 󰡔도진수언󰡕, 󰡔선불가진수어록󰡕, 연구윤리,표절, 아이디어 표절

      • KCI등재

        17세기 조선 도교의 탈중화의 이념적 전환: 양란(兩亂) 이후 유교 중화주의 세계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임채우 한국도교문화학회 2019 道敎文化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왜란과 호란 및 당쟁등으로 혼란을 극했던 17세기 조선 도교사에 등장했던 소중화(小中華) 의식과 고유 선도론의 이면에 흐르고 있는 탈중화주의적 이념의 변화문제를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 설명하였다. 첫째 임진왜란 이후 관왕묘(關王廟) 건립과 관제신앙의 유행이 당시 조선중기 유학자 및 지배층의 도교에 대한 인식 전환을 가져왔고, 이를 통해 도교가 다시 부흥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고찰하였다. 둘째 병자호란 이후에 중화주의 세계관이 크게 동요하면서, 한국도교사에 소중화론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어서 명의 멸망과 청의 등장을 목도하면서는 탈중화주의의 경향이 대두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고유의 선도에 대한 자각이 일어났는데, 이런 탈중화/고유 선도 사상이 다수였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 이후로 선도사상이 이어지면서, 한국도교의 이념이 전환되는 계기를 맞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임진왜란 이후에는 관제신앙의 도입으로 완고했던 조선 성리학의 대(對) 도교 인식이 바뀌게 되었고, 병자호란이후에는 명의 멸망으로 소중화론을 거쳐 탈중화주의로 바뀜으로써, 한국선도가 독자적인 이념과 노선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and explains the matter of change in Desinicization that existed in the back of Minor Sinocentrism and native leading that appeared in the history of Joseon Taoism in the 17th century when confusion was severe due to Japanese invasion, Manchu War and party strife in two sides. First,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was considered that construction of Guanwangmiao(關王廟) and trend of Guandi Cult were the crucial chance that brought a change of recognitionon Taoism of Confucian scholars and ruling class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econd, the process where Minor Sinocentrism appeared in Korean Taoism as Sinocentrism was shaken after the Manchu War was considered. Subsequently, it is written that, as witnessing the collapse of Ming, the trend of Desinicization was on the rise, and it became the chance that the ideology was changed from Chinese Taoism to Korean native Sundo(仙道). In conclusion,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tubborn awareness from Neo-Confucianism toward Taoism was chang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Guandi Cult, and with the collapse of Ming after Manchu War, it became Desinicization, passing Minor Sinocentrism, which became the opportunity that Korean Taoism established its ideology and route.

      • KCI등재
      • KCI등재
      • 이순신 擲字占辭의 原型고증 연구

        임채우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8

        난중일기에는 충무공 이순신(1545-1598)장군이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 및 公私간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점을 쳤던 기록들이 남아있다. 이중에서 충무공이 직접 친 점은 擲字占으로 난중일기에는 10여개의 자세한 점사가 기록되어있다. 본고에서는 척자점 점사의 내용에 대해 고증하고 그 원모를 밝히기 위해, 이와 관련한 판본을 비교 교감해보았다. 충무공의 척자점에 관한 기록은 난중일기에 적혀있는데 그 내용을 민간에서 전해지던 윷점관련 판본들과 비교해보았다. 난중일기 초고본에 적혀있는 원래의 기록을 기준으로 삼아, 이를 유득공(1749-1807)의 『경도잡지』와 소강절척자점 그리고 필자 소장본 『六十四卦象例』를 비교한 결과 충무공의 척자점사는 판본에 따라 약간 다른 형태로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중에서 상례본이 가장 유사한 판본이며 이를 중심으로 이순신 척자점의 정체를 밝히고, 그 점법의 체계와 원형을 복원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충무공이 친척자점은 바로 우리 민간에서 만들어져 전승되어온 전통의 윷점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윷점 판본들 간의 비교 교감을 통해 난중일기에서 쳤던 척자점의 원형을 고증해낼 수 있었다. The War Diary by Chungmugong Admiral Yi Sun-Sin (1545-1598) recorded that he had his fortune told on progress of a battle war situation during Imjin War and many different problems related to public and private matters. Out of these, a fortune telling theory which Chungmugong took in person was letter-divination, which was left with 10 detailed practice records in the War Diary. For this study herein, relevant block books were compared and cross-analyzed to conduct historical research on contents of fortune telling of letter-divination and reveal a scheme of them. A comparison was conducted on records on Chungmugong’s letter-divination written in the War Diary with block books related to Yut-divination handed down among ordinary people. Based on the original record written in the first manuscript of the War Diary, a comparison conducted on Yu Deuk-Gong (1749-1807)’s KyungDoJ apJ i and SoKangJ eolCheokJ aJ eom (letter-divination) and the author’s (六十四卦象例) shows that Chungmugong’s letter-divination were recorded in a slightly different type depending on block book versions. In particular, out of these, 64 hexagrams’ Image & Case is the most similar block book, and this served to reveal the identity of Yi Sun-Sin’s letter-divination and restore systems and archetype of the fortune telling theory. In conclusion, Yi Sun-Sin’s letter-divination was identified as traditional Yut-divination handed down among ordinary people, and this could conduct bibliographical research on archetype of letter-divination written in the War Diary by comparing Yut-divination block book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의보감』 痾‧瘵 개념의 철학적 의의 - 도가 우주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임채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4

        Taoistic cosmology is used as the background for the A(痾symptom) and Cae(瘵illness) concepts in Donguibogam. In particular, theycan be understood as conceptualization of the changing phase of Qi from the Taisu phase, where Qi can have its form, to an incongruous state through the Qi theory. Through consideringthe progressive process of A(痾symptom)→Cae(瘵illness)→disease in detail through this manuscript, we can clearly understand the time order related to the A(痾) and Cae(瘵) concept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current studies. The significance of symptom and illness concepts can be explained from the following 3 aspects. First, originality of oriental medicine is shown in Heo Jun(許浚)’s Donguibogam. Although Donguibogam is not an original creation, it did not simply cite and sample Chinese medical books and through thorough reflection and investigation of Chinese medical theory, it upgraded existing oriental medical science using a method of re-interpreting the continuous works of ancestors. (copying another person’s theory) Second, Donguibogam’s philosophical contributions to medical theory. Heo Jun’s creativere-interpretation of existing medical theory based on our physical constitution opened new prospects of medical philosophy not seen before through higher philosophical discussions, and it also opened a new view from a clinical medical perspective on illness treatment. Heo Jun created a metaphysical system for disease by applying the symptom and illness concepts to the most ideal YiWei(易緯) cosmogony based on Taoism and Qi theory. In terms of philosophy, this can be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ce from a practical and clinical standpoint instead of from an ide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and it can also be considered as achievement in oriental medical science. Third, as metaphysical concept, the symptom and illness concepts most easily show preventive medical science and curing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dical scienc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symptom and illness are states before the occurrence of disease. When considering the idea of controlling disease beforethe occurrence as a characteristic of oriental medical science, symptom and illness concepts look at the person’s body right before the disease occurs and it can be seen as conceptualization of time when we can improve our health and aim for longevity through healing. Previously, Lim Uk(林億), just mentioned them as symptom and illness, but Heo Jun went further and set up 3 steps from Taisu(太素) → symptom → illness → disease following the cosmogony phase. This was an original idea not seen in existing medical theory and he made major contributions to medical philosophy through construction of metaphysics on the occurrence of disease. Furthermore, this can be evaluated as a concept that mos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curing unlike western medical science that aims to cure disease. 동의보감의 痾·瘵 개념은 도가의 우주론을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기론을 통해 형체를 갖춘 태소의 단계에서 기가 부조화의 상태로 변화하는 단계를 개념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痾 → 瘵 → 病으로 진전되는 과정을 세분화해서 고찰하므로써, 기존의 연구나 번역에서 간과하고 있었던 시간적 선후관계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痾·瘵 개념이 보여준 의의는 다음의 세가지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다. 첫째 허준 동의보감의 韓醫學的 독창성이다. 동의보감이 창작은 아니지만, 단순히 중국의서를 발췌인용한 정도가 아니라, 중국의학 이론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검토를 통해 ‘創作은 아니지만 繼述한다(述而不作)’는 방식의 재해석 작업을 통해 기존의 동양의학을 업그레이드시켰다는 것이다. 둘째는 동의보감의 의학이론에서 이뤄낸 철학적 공헌이다. 허준은 기존의 의학 이론을 우리의 체질에 맞도록 창의적으로 재해석해냄으로써, 질병 치료에 대한 임상의학적 차원에서 새로운 시각을 열었을 뿐 아니라, 이를 철학의 고도에서 논의하므로써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의철학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이다. 허준은 가장 관념적으로 보이는 易緯 乾鑿度의 우주발생론에 道家 氣論을 배경으로 痾·瘵 개념을 접목시켜서 질병의 형이상학적 체계를 이루었다. 이는 동양의학의 성과일 뿐 아니라, 철학에 있어서도 관념적 이론차원을 벗어나 실제적이고도 임상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痾·瘵개념은 동양의학의 예방의학 및 養生사상적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란 점이다. 아와 채는 병이 발생하기 이전의 상태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로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린다(治未病)’는 사상이 동양의학의 특징이라고 볼 때, 痾·瘵는 병이 나기 직전 인간의 몸을 바라보고, 치유를 통해 건강과 장생을 도모하는 시점을 개념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전에 林億은 이를 그냥 痾瘵라고 했지만, 허준은 태역 → 태초 – 태시 – 태소의 4단계의 우주발생론에 이어서 태소로부터 → 痾 → 瘵 → 病으로의 3단계를 설정한 것은 기존의 의학이론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사상이자, 질병의 발생에 대한 형이상학을 구축한 것으로 의철학 상의 일대 공헌이다. 또한 이는 질병치유를 목적으로 삼는 서양의학과 달리 養生이라는 특성을 가장 잘 보여준 개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해방 후 단군 인식의 변화와 문제 : -단군영정과 단기연호를 중심으로-

        임채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선도문화 Vol.12 No.-

        해방 후 대한민국 건국초기에는 정부나 국민은 모두 단군의 사상과 이념을 계승한다는 정신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제정하고 단기연호를 사용하며 홍익인간을 교육이 념그러나 60년대 근대화의 구호속에서 단기연호는 西紀로 대체되었 다. 80년대에는 정부에서 건립하려던 국조단군성전계획도 취소되었 으며, 90년대에는 시민운동단체에서 건립한 국조단군상도 수난을 겪 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개천절마저 국경일으로서의 위상을 잃 어버리고 일반공휴일의 개념으로 취급되는 지경에 처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경제개발을 최우선시한 급진적인 서구화의 물결 속에 단군은 점점 하나의 특정 宗派에 한정된 숭배물로 축소되었고, 이런 과정 속에서 단군상은 國祖로서의 위상을 상실한채 종교분쟁의 대상 물로 전락되었다고 할 수 있다.으로 채택하였고, 국조인 단군영정을 표준상으로 공인하였다.

      • KCI등재

        선사시대 윷판형 암각화의 고천문학적 의미

        임채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와예술연구 Vol.20 No.-

        In Korea, Yut board petroglyphs are scattered across rocky hills xnrhdlfin coastal areas. In this study, we have proved that these petroglyphs could not be used for board games, i.e. Yut nori. We suggested that the petroglyphs served as lunar clocks, indicating the time of day by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moon in the night sky. Additionally, we suggested that the petroglyphs appear to have played the role of a calendar displaying a monthly cycle while indicating dates of high water and low water; in other words, these petroglyphs were a clock or calendar in pre-agricultural fishing society where they functioned as a kind of astronomical instrument. We inferred that it would serve as the standard for defining the life cycle according to the four directions (east, west, north and south) and four seasons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 by applying the four quadrants of the Yut board petroglyphs to space and time. We postulate that these petroglyphs are evidence of an ancient Korean peninsula civilization that had an impact on the American continent, and formed the basis for a moon-centered culture traversing Korean cosmology, worldview, and lifestyle. 우리나라에는 해안지역의 바위언덕을 중심으로 윷판암각화가 산재해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윷판암각화의 위치와 형태상의 특징에 의거해서 놀이용이 아니라, 밤하늘에 뜬 달의 모양과 위치로 하루의 시간을 알려주는 달 시계의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달의 변화를 주기로 한달간의 날짜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리와 조금의 날짜를 알려주는 캘린더의 역할을 했으니, 이는 농경사회 이전의 어로(漁撈)사회에서의 시계/달력 역할을 수행한 일종의 천문의기(天文儀器)였음을 논증했다. 그리고 윷판암각화의 사분원(四分圓)을 시공간에 적용하므로써 동서남북과 춘하추동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삶의 주기를 규정하는 기준으로 삼았을 가능성을 분석해보았다. 윷판암각화는 고대 한반도에서 일어나 아메리카 대륙에 까지 영향을 미친 고대문명의 자취이자, 그 이후에도 한국인의 우주론·세계관과 인생관 그리고 생활습속 등에 걸쳐서 달중심의 문화를 형성하는 바탕이 되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