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철학과 교육> ; 기술산업시대 어린이 철학교육의 의미와 과제

        임채광 ( Chai Kuang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현대 기술산업사회를 통해 발생하게 된 어린이나 청소년문제의 해결을 위해 철학교육은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그것은 규범교육이며, 소통을 가르치는 일이고 인류와 기 술과의 화해로서의 생명교육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철학교육의 요체는 인격교육이다. 인격교육이란 첫째, 아동이 균형된 사고와 판단력을 갖출 수 있도록 총체적 성장을 돕는 교육이다. 둘째, 인격교육의 주요 요소는 "자유교육"이다. 자유는 학습되어야 한다. 자유를 다루는 삶, 자유를 누리는 삶을 배우는 과정이다. 인격교육의 세 번째 요소는 "진정성 교육"에 있다. 세상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가꾸어 가는 교육이다. 마지막으로 "책임성 교육 "이다. 자유와 책임은 규범교육에 있어서 동전의 양면과 같다.

      • KCI등재

        라신의 『앙드로마크 Andomaque』의 극적 전개

        임채광 ( Lim Chae-kwa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2 No.-

        라신의 『앙드로마크』는 모든 인물들의 상이한 관심사들을 긴밀하게 조직하여 그 인물들이 주된 줄거리의 구상을 형성하도록 만든다. 이 극적 구성의 긴밀함은 탁월한 서정성의 실현에 크게 기여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극작품의 서술적 통일성과 필연성은 극작품의 탁월한 서정성의 형성에 어떻게, 얼마나 기여했다고 볼 수 있을까? 라신의 『앙드로마크』의 창작 과정을 역구성해 보면 먼저 앙드로마크의 여왕등극과 에르미온느의 자살, 그리고 오레스트의 광기를 피뤼스의 살해와 결부시키고, 다음으로 본디 개인적 복수에 지나지 않았던 오레스트에 의한 피뤼스 살해에 앙드로마크에 대한 에르미온느의 질투의 광폭함이라는 동기를 부여하며, 끝으로 에르미온느의 살인적인 질투를 앙드로마크에 대한 사랑으로 인한 피뤼스의 이중의 변심의 결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피뤼스의 변심과 에르미온느의 질투가 필연적 연속성이라면 에르미온느의 피뤼스에 대한 분노와 오레스트에 의한 피뤼스 살해는 심리적 연결성에 지나지 않으며 피뤼스의 죽음과 뒤를 잇는 앙드로마크의 등극과 에르미온느의 자살, 그리고 오레스트의 광기의 관계는 당대 관객들의 예법과 사고에 부합할 수 있는 사건들의 연결성, 즉 진실임직함에 든다고 할 수 있다. 이 일련의 극적 전개의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사랑의 에피소드를 제공하는 에르미온느와 오레스트 커플이라고 할 수 있다. 에르미온느-오레스트 커플은 피뤼스가 에르미온느에 기울었다가 앙드로마크로 되돌아오면서 사랑의 고통의 공유자라는 관계를 형성한다. 자신을 사랑하는 남자에게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의 배신에 대해 복수를 요구하는 덕분에 에르미온느와 오레스트 간의 이 로마네스크한 에피소드는 결국 피뤼스의 살인을 공모하기에 이르면서 이차적인 줄거리로 위상이 격상된다. 피뤼스의 살해 이후 에르미온느-오레스트 커플은 역설적 비련의 공유라는 비극적 운명의 길을 끝까지 걸으면서 피뤼스-앙드로마크 커플의 이야기에 버금가는 주된 줄거리의 위상을 획득한다. 이처럼 오레스트와 결부되는 에르미온느의 줄거리는 앙드로마크의 줄거리와 에르미온느의 줄거리의 서술적 통합의 어려움을 드러내면서도 극적 전개에 순수하고 비장한 사랑의 차원을 더하여 극작품에 깊은 내적 일관성을 부여해준다. 극작품의 4막과 5막 역시 논리적인 사건 전개에 바탕을 두지 않고 심정적 내면의 토로와 성격적 추이의 묘사 그리고 목격담의 진술에 치중하고 있는 것도 비장함이라는 정서적 기저 구조의 형성이라는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라신의 『앙드로마크』의 서정적 깊이를 성취한 것은 논리적 긴밀함과 정서적 감응 간의 내적인 통일성, 즉 “거대한 차원들과 미세한 차원들의 직조를 담보해주는 진실임직함과 필연적인 것의 상보적인 원칙”을 존중했기 때문일 것이다. Ce qui retient notre attention par rapport à l'Andromaque de Jean Racine, le premier succès de ses tragédies, c'est que le dramaturge mêle deux intrigues distintes - celle d'Andromaque et celle d'Hermione - si bien pour en retirer la mort de Pyrrhus, son dénouement, ceci par le moyen de la contrainte qu'Hermione impose à Oreste, fidèle d'amour depuis son enfance, de venger de sa fureur jalouse contre Pyrrhus qui trahit, amoureux d'Andromaque, Hermione, sa fiancée. On se demande alors comment il a envisagé de rejoindre les deux intrigues logiquement impossible à lier dans la mesure où le mariage de Phyrrus avec Andromaque donne l'occasion à Oreste, amant d'Hermione et ambassadeur de la Grèce, de partir d'Épire heureux avec Hermione et aussi avec une cause polique juste. Il est intéressant de noter que Racine élabore l'idée de la double trahison amoureuse de Pyrrhus contre Hermione en tant que moteur de la jalousie violente d'Hermione et de la déception d'Oreste dans l'espoir de la retrouver, et, de ce fait, de la demande implacable d'Hermione auprès d'Oreste d'intervenir dans le complot meurtrier tramé contre Pyrrhus au nom commun de l'amour outragé et brisé. De la sorte, Racine est amené à dresser le plan global du développement dramatique qui part, suivant le modèle de la construction à rebours, du dénoument, assasinat de Pyrrrhus par Oreste et intronisation d'Andromaque en reine, conduit à l'exposition, amour de Pyrrhus pour Andrmaque, en passant par le noeud en deux étapes, d'abord jalousie vegeresse d'Hermione et, ensuite, acceptation, par Oreste malgré lui, du meurtre de Pyrrhus. Racine s'attache, au cours de cet agencement des faits en système, à souligner l'enchaînement des actions contraires de Pyrrhus et des réactions contrastées de ses deux héroïnes selon la loi du nécessaire, à assurer la dérivation naturelle du couronnement d'Andromaque, de la suicide d'Hermione et de l'accès à la folie d'Oreste selon la loi de la vraisemblance, autrement dit la loi des comportements de personnages qui correspondent à la norme sociale et morale de l'époque, et, surtout, à mettre en valeur la ‘causalité psychologique’, c'est-à-dire l'illusion du lien logique ou vraisemblable entre la jalousie d'Hermione pour Pyrrhus et la décision chez Oreste de participer au meurtre de Pyrrhus. Du coup, ce qui joue le rôle central dans les tentatives de rendre crédible et émouvant la conduite de l'action tragique jusqu'à la grande péripétie et aux retournements conséquents du destin dans les personnages, c'est que l'amour entre Hermione et Oreste, un simple épisode à côté de l'intrigue principale, celle d'Andromaque, au moment de l'exposition est, ensuite, promu au statut de l'intrigue secondaire lorsque Hermione et Oreste s'accordent sur le meutre de Pyrrhus, et, enfin, couronné du stade de l'intrigue égale à l'intrigue principale, car ils font souffrir tous les autrs personnages et souffrent d'eux-mêmes en tant qu'agents et victimes à la fois du conflit entre intrigue tragique et personnages à la quête de la plénitude du bonheur à travers la conquête de l'amour. Ce qui est intéressant de constater dans la progression dramatique de l'épisode amoureux entre Hermione et son amant fidèle, c'est que l'épisode offre une cohérence profonde en y ajoutant une dimension de l'amour pur et pathétique, tout en révélant pas mal de difficulté dans l'intégration narrative entre l'intrigue d'Andromaque et celle d'Hermione. Le dramaturge semble tâcher à donner à Oreste l'image de l'amant innocent, victime de tous les incompréhensibles de l'amour en partageant la responsabilité de la mort de Pyrrhus entre lui et les grecs. C'est auprès de la sacrifice tout inutile de son amour inconditionnné qu'Hermione jalouse aggressive et Pyrrhus menaçant d'orgueil se rendent pathétique et même élégiaque. Dans cette tonalité de base pathétique établie au-dessous de l'intrigue ‘nécessairement’ acheminée se poursuit naturellement tout le développement dramatique de l'acte IV et de l'acte V après la préparation logiquement faite du meurtre de Pyrrhus grâce à l'épanchement du coeur des personnages, à la peinture l'évolution de leurs caractères et au récit lyrique des témoins, ceci sans obligation de recourir à la liaison rationelle des faits, comme on le voit bien dans le dénoument où se mêlent librement le vraisemblable dérivé de la mort du roi Pyrrhus au cours de cérémonie officielle de noces, accession au trône d'Andromaque, et le nécessaire causé par le meurtre de Pyrrhus, mort voulue d'Hermion et accès à la folie d'Oreste. Si Racine parvient à matérialiser une densité lyrique par le biais de la combinaison de la précision logique et de la sympathie émotive, c'est qu'il respecte pleinement, selon les termes de Bénédicte Louvat, “des principes complémentaires du vraisemblable et du nécessaire, qui assurent le tissage des faits aux plans macro- et microstructuraux” en tant que poète dramatique.

      • KCI등재

        소외개념에 대한 프롬과 마르쿠제의 정신분석학적 해명

        임채광 ( Chai Kuang L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7 No.-

        마르쿠제에 의하면 우리사회의 소외문제가 심각히 대두된 배후에는 기술과 과 학의 전체주의적 속성과 자본주의적 산업논리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과 사회를 폭력적으로 지배하는데 그 핵심에 있다고 보았다 아울러 두 철학자간 유사성온 다음과 같다· · l, 사회과학적 방법론과 정신분석학을 접목시키는 학제간 연구를 연구방법론으로 채택 요 존재론적 측면에서 현실과 초월적 세계의 2원론적 구조를 취함, 3. 현대 기술사회를 반이성적이고 반생명적으로 봄 또한 이들은 건전한 사회를 위한 구상 및 전망에 있어서 도, 혁명적 인간상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유사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마르쿠제와 프롬 사이의 이견에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소외” 개념에 있어서 마르쿠제는 일종의 퇴행이자 해결해야하는 사회구조적 병폐로 보고 있는 반면에 프롬은 마르쿠제와 달리 ‘사회적 병폐로서의 소외’ 로만 분류하지 않고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소외’ 로만 이해하고 있다2, “자연” 개념을 두고 볼 때, 마르쿠제는 자연 낙관 주의적 관점을 갖지만 프롬은 인간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부정적 대 상으로 파악한다. 3, 마르쿠제는 “기술” 올 원칙적으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단지, 선진 산업사회의 제도적 합리성이 기술의 사용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보았던 것에 반해, 프롬 온 기술 자체를 일종의 중립적 대상으로 보고 있다. From und Marcuse zufolge richtet sich die Verschlininrung der entfrenxleten Gesellschaft der Moderne im Prinzip des totalitaren Charakt von Technik und Wissenschaft. Die verwitschafthchte Logik der Vemunft soe ssenschaftlich-technologische Pi-inzipien subsuniieren gewaltig den Horizont der Freiheit und Lebensbedeutung von Individuum bzw. Gesellschaft zwar gewaittatig. Diese Untersuchung wurde ueber die gleichen Aspekte bei den beiden Philosoiaen durthgefuhrt: 1, nthocblogisch haben sie mterclisziplimr zwischen Sozialwissenschaft und Psychoanalyse untersuchen, 2, ontologisch gesehen, sie sind Lehre von der Zweiheit, 3, sie waren von den gegenwaertigen Gesellschaft nicht zufrieden. Der Unterschied von beiden bezeichnet sich in folgenden: 1. Unter dem Begriff Entfrondung versteht Maituse als eine Art der gesellschsfthchen Degeneration, aber bei From als em ontologisches Ptoblem. a Indem sich nach Maicuse Natur im Sinne der Positivitaet bezeichnet, ist sie From negativ, a Nach Marcuse gekennzetchnet Technik an sich bloss jxnitiv, tmtz der rruipulierten Lage nach der Fehiverwendung derer, aber From bezeichnet die Technik ais neutral.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기술 산업시대 "생명의 위기"에 대한 마르쿠제의 사회 인간학적 제언

        임채광 ( Cai Kuang L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마르쿠제는 현대사회를 생명의 위기로 특징짓고 그 원인과 양태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1, 경제적 가치의 무분별한 일반화, 2, 인간과 자연 등 모든 과학적 연구대상의 중립적 대상화, 3. 은익된 정치성. 아울러 그는 생명 개념을 자유와 책임을 준수하는 이성의 역사적 성격과 동일시하였다. 마르쿠제가 현대기술사회에서 나타나는 반생명적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인간학적 시선으로 정리하고 있다 : 1. 한편으로는 현실원칙에 의한 쾌락원칙의 억압, 그리고 에로스적 요소의 실종현상으로 인해 인간의 행위는 억압된 욕구로 나타난다. 2. 사람의 몸은 일종의 기술적 처리과정의 도구나 부품으로 전락하고, 자본은 양적 가치에 의해 조작 및 왜곡시킨다. 3. 기술은 사람들의 일상을 구성하고 제재하는 주도적 입안자이다. 생명적 가치나 인간, 자연과 철학이나 인류가 중시하였던 본질적 가치들은 기술적 처리능력에 귀속된다. 이 시대의 기술은 인간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부자유와 파괴의 주체로 만드는 극히 위험스럽고 두려운 괴물이자 영물로 둔갑하였다. The ontological position of human life is identified with "Eros" by Herbert Marcuse who was understood just in partial aspect in Korea mostly. According to Marcuse, the reason why the "Life" issue rears up in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is that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society dominates human and society under the pretense of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he characterizes as below: 1. The dominance and economical valuation of all human conduct ; 2. Denial of human and nature ; 3. Concealment of political characters.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 of Marcuse`s humanism can be summarized; 1. As shown in methodology of Freud, the present generation and complexity of humanism is explained and new "Life" definition is introduced alternative. 2. Erotic society is explained in aspect of openness, play and practice. 3. Value extension of "Eros" definition. In conclusion, I agree that there would be difficult to accept on the logical probability Marcuse`s "Life" definition has in the Eros aspect. But, in this reason, it can be worth enough to study and reach to the ratiocination and conclusion of difference of science and philosoph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마르쿠제의 문화비판과 전쟁담론

        임채광 ( Lim Chai-ku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마르쿠제는 전쟁과 함께 성장하였고 전쟁으로 인하여 망명하게 되었으며, 후기 자본주의의 “전쟁의 문화”를 경험하면서 이와 같은 현상을 연구, 비판하는 것이 그의 주요 관심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에는 “전체주의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전쟁 논리의 배후에 “영웅적-민족 현실주의”가 놓여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이와 같은 세계관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내부에 숨겨져 있는 은밀한 작동 원리로 진화하여 전개 되었다. 복지국가 또는 복지 사회를 표방하는 현대 사회는 전쟁을 통하여 작동하며 전쟁을 준비하는 산업장치로서 지탱하고 유지되는 것이다. 이제 전쟁 산업은 단지 복지사회의 운용과 작동원리로서 긴요한 것이 아닌 개개인의 일상을 지배하게 되었으며 욕구이자 의식체계 저변에 자리하게 되었다. 마르쿠제는 전쟁문화의 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첫째, 인간다움의 회복을 위해 현존하는 문화적 현실에 대한 강력한 부정을 요구한다. 자아에 대한 성찰이자 개인적자유의 확장이다. 둘째, 비록 현재에 기거하지만 과감히 내일을 선택하는 실천행위이며, 폭력적이고 불합리한 전쟁문화의 일상을 거부하는 용기이다. 이는 개인적으로 하나의 희생이고 헌신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연대의 중요함이다. Marcuse grew up in the war and was exiled because of war. It was one of his main concerns to study and criticize this phenomenon by experiencing the "culture of war" of late capitalism. At first, he pointed out that "heroic - national realism" lies (is) behind the logic of war through the study of "origin of totalitarianism". This view of the world was developed to a covert working principle hidden within late capitalism. The modern society identified by a welfare state and a welfare society is working through war and is sustained and maintained as an industrial device that prepares for war. War industry (culture ) now is not required just for welfare society and its working principle but it dominates daily life of people and takes the position in the desires and 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How can we escape from the war culture? First, it calls for a strong denial of the existing cultural reality in order to restore humanity. It is a reflection on self and an extension of personal freedom. Second, it is a practice to take Tomorrow bravely, and it is the courage to reject the everyday life of violent and irrational war culture. This is personally a sacrifice and a dedication. Finally, political solidarity is important.

      • KCI등재

        라신의 초기 비극의 극적 구성: 인물들의 도덕적 진실임직함과 줄거리의 비극적 진실임직함 간의 유기적 연결

        임채광 ( Lim Chae-kwang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1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4 No.-

        극작가 라신은 줄거리의 일치의 원칙을 준수하면서도 주된 줄거리와 이차적인 줄거리라는 사실상의 두 가지 별도의 줄거리를 운용하고 이 두 주요 줄거리를 논리적 연쇄로 연결하는 방식에도 점차로 더 큰 유연성을 부여하여 심리적 개연성, 나아가서는 정서적 교감에 의한 연결시키는 방식까지 도입한다. 그는 난폭함과 고통이라는 상반되어 보이는 사랑의 정념의 혼란을 객관적인 줄거리 차원에서 보여주면서도 내적인 줄거리라고 부를 만한 인물들의 내밀한 심리적 동요의 움직임을 통해서 비극적 반전을 가져올 만한 힘과 정묘한 의미적 일관성을 드러내준다. 인물들 간의 정념의 가해자와 피해자 역할을 모든 인물들에게 번갈아 맡도록 하고 인물들 개개인의 외적 행동과 내적인 행동을 결합시켜 표현함으로써 극작가는 개별적인 성격적, 심리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물들을 정치적인 야심과 사랑의 정념의 저항 할 수 없는 영향력 하에서 이성적 사고와 합리적 행위를 봉쇄당한 탐욕과 맹목의 제물로, 달리 말하자면 인간의 내면적 불완전함의 보편적 희생자로 그려낸다. 라신의 비극에서, 특히 주인공들의 정념의 혼란스러움 자체에 집중하는 그의 초기 비극들에서 인물들은 그들의 정념이 유발한 탐욕과 무지의 압력에 짓눌려서 주저하면서도 불가항력적으로 끝내 불행한 결말을 향해 다가간다는 인상을 준다. 라신의 극작품의 극작술상의 근본 원리가 진실임직함이라면 이는 불합리한 인간의 충동과 욕망에 극작가가 내적인 논리를 부여하면서 인물들의 내면에서 끌어낸 심리적 개연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념의 무질서를 내적 질서로’ 바꾸어놓는 극적 일관성의 구축을 통해서 극작가는 공포를 연민에 접근시키는 비장함을 창조하고, 예법과 도덕성을 위반하는 인물들의 삶에 미적 차원에서 진실임 직함을 부여하기에 이른다. Jean Racine emploie, d’abord, deux intrigues, intrigue principale et intrigue secondaire, toutes deux, en effet, fort indépendantes. et, ensuite, accorde de la souplesse à la manière de les lier logiquement en y introduisant une probabilité psychologique ou, d’ailleurs, une entente émotive. Il parvient à montrer que l’intrigue intérieure, basée sur l’agitation des mouvements psychologiques intimes, a suffisamment de force pour produire un renversement tragique, et une cohérence interne thématique, tandis que l’intrigue extérieure fait voir une trouble passionnelle saillantes, mêlée de violence et de souffrance, toutes deux apparemment opposées. Le dramaturge concrétise ses personnages en tant que victimes générales de l’imperfection humaine intérieure, plus précisément, de la concupiscence et de l’aveuglement bloqué à la pensée raisonnable et au comportement convenable sous l’impact irrésistible de la passion amoureuse et, plus ou moins, politique en dépit de la différence psychologique et caractérielle dans les personnages, et cela en alternant tour à tour rôle d’un agrreseur et rôle d’un agressé dans la peinture des passions de tous les personnnges principaux, et en combinant l’action extérieure à l’action intérieure. De la sorte, la tragédie de Racine, surtout les tragédies de son début centrées sur l’égarement (non la réflexivité) de la passion amoureuse donne l’impression que les personnages avancent irréductiblement vers leurs issues malheureuses sous l’impulsion passionnelle, provocatrice de brutalité et de perversité. Si l’un des principes fondateurs de la dramaturgie racinienne est la vraisemblance, on s’aperçoit que celle-ci est la logique interne fondée sur la probabilité psychologique que le dramaturge est amené à donner au désir des humains foncièrement, voué à la cécité et à l’insatiabilité. Jean Racine semble, en fin de compte, produire le pathétique qui consiste à rapprocher la terreur de la pitié, de plus, atteindre à la vrasemblance esthetique en réalisant ‘l’expression du désordre de la passion par son ordre dramatique’ en s’appuyant sur la crédibilité fictive de l’action dramatique d’ensemble que procure la construction puissante et cohérente de ses actions essentielles.

      • KCI등재

        마르쿠제의 연대성 개념과 민주시민교육75

        임채광 ( Lim Chai-kuang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연대성을 함양하는 교육은 마르쿠제의 개념에 상응하여 크게 세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영역은 자유롭고 건강한 연대를 지향하는 “자유”와 “자율성” 훈련이며, 두 번째 영역은 ‘평등’ 교육이다. 즉, 약자와 소수자를 배려하는 “소수자와의 연대”이자 훈련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교육은 “공동체 살리기 연대”이다. 우선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안에 사회과 또는 정치, 경제 등 관련 교과목을 활용하거나 영국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교과목인 “시민교육(Citizenship)”의 틀 안에서 집중교육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학교 밖 기관들과 연계된 민주시민교육도 교육의 집중력과 효율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Education that fosters solidarit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area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s of Marcuse. The first area is “freedom” and “autonomy” training aimed at free and healthy solidarity, and the second area is “equal” education. In other words, it is “solidarity with minorities” and training that considers the weak and minorities. Finally, the third form of education is “solidarity to save the community”. First,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related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politics, and economy may be used, or an intensive curriculum may be conduct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eparate subject, e.g. “Citizenship” as in the case of the UK. In addi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linked with institutions outside the school will also help the concentration and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사람됨으로서의 "양육"

        임채광(Chai-Kuang Lim)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7 No.-

        게엘렌이 "양육" 개념과 동일시하고 있는 '교육'은 생물학적 결핍존재 인 인간이 세계에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돕는 게기이자 절대적 필요조건이기도 하다. 한편으로 교육은 인간의 생존과정에 문화를 체득하고 그로인해 환경에 길들여지는 자연스러운 절차이다. 동시에 인간에게 있어서 사회나 문화적 환경과의 동화와 학습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개인의 의지와 무관히 의식적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에 참여하고 도구적, 기술적으로 내면화해 나가는 일종의 '실천적 행위'이다. 이 연구에서는 게엘렌의 교육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게엘렌의 양육개념에는 문화교육과 지식교육의 두 차원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자를 제도교육으로 그리고 후자는 기술교육을 의미한다. 단, 기술교육에는 문화적 의미와 가치의 정향성이 요청된다. 둘째, 교육은 철저히 경험의 문제와 내재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경험주의적' 관점에 서 있다. 동시에 경험 가능성은 제1경험과 제2경험의 범주적 분류를 시도함으로서 문화적 진화의 개연성 여부를 논리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