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첫 도읍 위치 비정에 관한 검토

        임찬경 ( Chan Kyoung 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414년에 세워진 < 광개토왕릉비 >의 기록에 의하면, 고구려가 처음건국될 때의 도읍은 “홀본”이다. 1145년에 완성된 『삼국사기』에는 고구려가 처음 건국한 지역이 “졸본”으로 기록되었다. 이들 사료를 통해, 고구려 첫 도읍의 명칭이 “홀본” 혹은 “졸본”임을 알 수 있다. 중요한 문제는 고구려 첫 도읍인 “홀본” 혹은 “졸본”이 어디인가 하는 것인데, 현재 학계에 정설(定說)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고구려 첫 도읍이 어디인지에 대해, 사학계 및 고고학계에 이미 기본적으로 공통의 인식이 형성되었는데, 그 도읍이 현재의 중국 요령성 환인현 경내에 있었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고구려 첫 도읍에 대한 일종의 통설(通說)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설은 사실에 근접한 것일수도 있지만, 정확히 역사적 사실 그 자체라고 할 수는 없다. 필자는 고구려 첫 도읍에 관한 기존의 통설이 고구려 첫 도읍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지도 못하며, 오히려 고구려 초기 역사의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본고는 고구려 첫 도읍에 관한 인식의 형성과 변천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 한다. 본문에서, 역사문헌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환인현 일대는 고구려 첫 도읍이 아닐 수 있음을 밝혀보고자한다. According to records of ‘Gwanggaeto Stele(廣開土王陵碑)’ which was set in 414,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高句麗) was ‘Holbon(忽本)’.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which was written in 1145,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is ‘Jolbon(卒本)’.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is “Holbon” or “Jolbon”. The important question is where “Holbon” or “Jolbon” are. Now there is no settled opinion regarding this issue in the academic world. Of course, there is already basically formed a common perception about the local situation of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at the academic circles of archaeology and history, the common perception is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was Huanrenxian(桓仁縣, Liaoning, China)”, this cognizance is the so-called ‘common view’ about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The common view is closer to fact, but it exactly can not be called the exact historical fact. I have an opinion that an existing common view about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does not reflect for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Contrariwise, I recognize that the common view is distorting the facts about the early Goguryeo history. Regarde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manuscript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wareness about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and critically examine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awareness. In the text,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historical literatures, I will disclose the new fact that the Huanrenxian was not the first capital of Goguryeo.

      • KCI등재후보

        독립운동가의 고대사 인식

        임찬경(Chan-kyoung Im)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본고에서는 우선 독립운동가들이 연구 및 저술한 역사학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이 역사를 연구 및 저술한 목적은 전적으로 독립운동을 위한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독립운동가들의 역사학을 특별히 ‘독립운동사학’으로명명하였다. 본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독립운동가의 역사 적폐 청산 노력에 대해 검토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은 사대사관과 식민사관이라는 두 가지의 역사 적폐를 동시에 청산하고, 우리의 역사를 정립(正立)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들의 역사 적폐 청산 시도는 철저하게 좌절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좌절의 원인도 살펴보았다. 본고의 세 번째 부분은 독립운동가 고대사 인식의 계승에 관한 논의이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독립운동가의 역사 인식 중에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할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계승할 부분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역사 적폐 청산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2017년에 들어선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사학계의 적폐 청산은 어떻게 시도되어야 할지, 그 적폐 청산의 과제와 방법을간략하게 검토해보았다. In this paper, first, I analyzed the character of History that independent activists have studied and written.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research and writing of History is entirel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 named the History of independence activists as ‘Independent movement History(Histor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icular.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reviewed the effort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Independent activists tried to liquidate both the historical view subordinated to Chineseism and the historical view subordinated to colonialism as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at the same time tried to establish our right history. But the independence activists’ attempt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was thoroughly frustrated. In this paper, I also looked at the cause of the frustration.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is the discussion about the success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ancient history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What we can say for sure is that there is a part of the history awarenes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that we must inherit. In this paper,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uccession to be mentioned, and it refers to the liquidation of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Finally, in Moon Jae-in Government Established in 2017, briefly explained how to try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of Korean historical academia, reviewed the tasks and methods of liquidating the cumulative evils briefly.

      • KCI등재

        우주파편 초고속충돌에 의한 위성구조체의 손상에 관한 연구

        강필성(Pilseong Kang),임찬경(Chan-Kyung Im),윤성기(Sung-Kie Youn),임재혁(Jae Hyuk Lim),황도순(Do-Soon Hw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0 No.7

        지구궤도 상에는 무수히 많은 우주파편(Orbital debris)이 존재하며 매우 높은 속도로 선회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가동중인 인공위성과 충돌 시 위성구조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자완화유체동역학(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SPH)을 이용하여 우주파편과의 초고속충돌로 인해 발생 가능한 저궤도 위성구조체의 손상분석을 수행하였다. 위성구조체의 본체 패널(Panel)로 사용되는 허니콤샌드위치패널(Honeycomb sandwich panel, HC/SP)에 대해 충돌속도에 따른 손상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위성구조체 내부부품의 안전성 분석을 위해 전자박스가 HC/SP에 직접 부착된 경우와 10㎝ 오프셋 된 경우에 대한 초고속충돌해석 및 손상분석을 수행하였다. 고도 685㎞의 저궤도에서 2% 정도의 충돌확률을 갖는 우주파편들을 고려할 때, HC/SP 자체에 관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착형 전자박스의 경우와 오프셋형 전자박스의 경우에는 전자박스에 관통이 발생하지 않고 미소 크레이터(Crater)만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earth orbit, a great number of orbital debris move around in extremely high velocity, and they become serious threats to satellites. In this study,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SPH) is used to analyze the damage of a low earth orbit satellite due to the hypervelocity impact with orbital debris. The damage of honeycomb sandwich panel(HC/SP) used for walls of a satellite is analyzed with respect to impact velocities. For the additional analysis to examine the safety of interior components of the satellite, an attached electronic box and an offset electronic box ar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orbital debris having a probability of collision more than 2% at altitude of 685km, it is shown that the HC/SP can be perforated but only small craters are formed on both the attached electronic box and the offset electronic box.

      • KCI등재

        근대 독립운동과 역사연구 출발점으로서의 단군인식 검토

        임찬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근대의 한국이 일제의 식민지로 전락하였을 때,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은 제국주의에 맞서는 방법으로 ‘저항적 민족주의’를 발견하였다. 또한 독립운동가들은 독립운동의 정신적 구심점으로서의 단군을 발견하였다. 독립운동에 민족 구성원 다수를 참여시키기 위해, 단군이란 민족적 동원력이 강한 역사적 소재를 찾았던 것이다. 한국 근대 독립운동의 모색과 전략화 과정에, 독립운동은 물론 그에 필수적인 역사연구의 출발점은 모두 단군이 되었다. 본고는 독립운동가들의 독립운동과 역사연구의 출발점인 단군인식을 검토하였다. 본고의 첫 부분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의 단군인식이 형성되는 역사적 배경, 독립운동은 물론 역사연구의 출발점으로서 단군이 설정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부분에서는 고대의 중국에서 형성된 사대주의의 산물인 기자조선 논리가 한국역사에서는 어떻게, 언제, 누구에 의해 만들어져서 고려-조선시대 이후의 사회를 지배하게 되었는지를 먼저 검토하고, 그의 극복을 위한 독립운동가의 노력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독립운동가와 단군 그리고 대종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요양 영수사벽화묘의 고구려 관련성에 관한 두 편의 논문

        박지영 · 임찬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조선시대에 청(淸)으로 향했던 사신들의 연행(燕行) 기록을 보면, 다수의 사신들이 하룻밤 묵어가는 영수사(迎水寺)란 지명이 있다. 조선의 사신들이 태자하(太子河)를 건너서 영수사에 도착했다고 기록했듯, 영수사는 현재의 요양시(遼陽市) 태자하를 서쪽과 남쪽으로 끼고 그 북쪽에 위치해 있다. 1918년 8월 요양 일대에 폭우가 쏟아져 전답과 가옥이 물에 잠기는 홍수가 발생했다. 영수사촌(迎水寺村)으로 불리던 그 지역도 큰 피해를 입었다. 1919년 5월 이후 제방을 복구하기 위해 땅을 파던 중 벽화가 그려진 고분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영수사벽화묘(迎水寺壁畫墓)라 부른다. 영수사벽화묘의 발굴에 대해 리우웨이(刘未)는 그의 논문에서 “1918년 야기 쇼자부로(八木奘三郎)04) 등이 요양 동북 교외의 영수사벽화묘를 발굴하였다. 이는 요양은 물론 중국에서 첫 번째로 발견된 한(漢)의 벽화묘이다.”라고 서술했다. 전호태는 그의 저서에서 “1920년 5월 요양시 동북쪽 영수사읍(迎水寺邑) 근처에서 태자하 제방공사를 진행하던 도중 발견되었다.”고 서술했다. 위의 두 서술에서 벽화의 발견 시점은 모두 틀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실 야기 쇼자부로는 1921년 『동양학보(東洋學報)』에 관련 논문을 발표하면서, 그 논문의 끝에 “다이쇼(大正) 9년 7월 10일에 썼다.”고 특별히 밝혀놓았다. 영수사벽화묘에 대한 논문은 1920년 7월에 쓰여진 것이다. 그리고 그 논문에서 “작년 5∼6월 경에 장춘(長春)과 길림(吉林) 방면의 유적을 시찰하고 돌아오는 길에” 요양에서 벽화를 직접 확인하고 그 논문을 썼다고 밝혔다. 그러므로 야기 쇼자부로가 벽화를 직접 확인한 시점은 1919년 6월 무렵인 것이다. 그 논문과 당시 요양에 대한 지방지(地方志)의 기록을 연관시켜 보면, 1918년에 8월 요양 지역에 큰 홍 수가 났고, 1919년 5월 이후 제방을 복구하는 작업이 진행되면서 그 과정에 한 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1919년 6월 무렵에 야기 쇼자부로가 현지에 가서 석곽의 윗부분만 노출된 상황을 보고 토양을 걷어내고 들어가 석실(石室) 안의 구조와 벽화를 처음 확인하였으며, 1920년 7월에 관련 논문을 작성하여, 1921년 2월에 발행된 『동양학보』11권에 게재한 것이다. 야기 쇼자부로는 이 논문에서 벽화 속 인물의 민족관계를 서술하면서, 벽화 속 인물이 “고구려족의 유형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고 다음과 같이 분명하게 언급한다. 벽화에 보이는 부부상(夫婦像)은 예로부터 중국식 석벽화(石壁 畵)에는 없는 것이다. 이는 부여족의 선조인 주몽(朱蒙) 부부를 기리는 상태와 매우 비슷한 바가 있고 또 그 계통은 조선의 고분 벽화와 연관을 지니고 있기에 이를 고구려족(高句麗族)의 유형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야기 쇼자부로가 보기에도, 벽화의 주인공은 고구려족 유형이 분명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조선의 고분벽화는 그 예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고분의 석각 화상(石刻畵像)과 일치하는 바가 많다. 따라서 중국 벽화의 실례가 향후 세상에 드러나게 되면 이러한 종류의 풍속을 나타내는 것이 없으리라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요양 벽화가 우연히 그 일단을 찾을 수 있는 실례가 될지도 모른다.”는 ‘가정(假定)’으로 판단의 방향을 바꾸어 간다. 앞으로 있을지도 모를 “향후 세상에 드러나게 될 중국 벽화의 실례”에 그런 유형이 많을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그 벽화 고분의 고구려 관련성 규정을 회피하려 시도한 것이다. 야기 쇼자부로는 벽화에 그려진 종복(從僕)도 역시 한족(漢族)이 아닌 만주식(滿洲式) 인물임을 분명하게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그러나 이러한 종복만으로는 주인공의 민족론을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필자는 이를 중요시하지 않고, 그 전반을 관찰하여 이 벽화와 인물은 후한(後漢) 시대 혹은 삼국시대 초기를 지나지 않는 한족(漢族) 관계의 것으로, 특히 대관(大官)의 분묘에 속하는 것임을 주장하고자 한다.”고 서술하였다. 그 벽화 속 인물들의 고구려 관련성은 분명하게 인정하면서도, 벽화고분의 ‘전반’을 살펴서 한족(漢族)의 고분으로 주장한다 는 것이다. 이에 앞선 시기인 1919년 말에 쓰카모토 야스시(塚本靖)는 만철 건축부의 관계자로부터 요양의 태자하 유역에서 발견된 벽화고분을 보러 오라는 제안을 받았고, 직접 현지에 가서 고찰하였다. 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쓰카모토 야스시는 1920년 6월에 열린 고고학회 월례회에서 영수사벽화묘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였고, 이 내용은 1921년 3월 5일에 발행된 『고고학잡지』11권7호에 실렸다. 쓰카모토 야스시는 1921년 3월의 그 논설에서 “고분의 연대에 대하여, 야기씨(八木氏)는 한대(漢代)의 것이라고 하고, 교토대학 모씨는 고구려시대라고 했다고 전해 들었다. 야기씨가 가지고 돌아간 토기는 보지 않았으므로 모르겠지만, 발굴된 고전(古錢)은 사출오수(四出五銖), 반량(半兩), 화천(貨泉)이다. 사출오수는 동한의 영제(靈帝) 시대에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고전(古錢)만으로 시대를 단정하는 것은 위험하다. 나는 오히려 벽화의 성질로 보아 고구려시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 여긴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1919년 후반에 영수사벽화묘를 고찰한 하마다 고사쿠(濱田耕作)도 1921년 7월에 그 벽화와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이 논문은 뒤에 그의 저작집인 『동아고고학연구(東亞考古學硏究)』(1930)에도 게재되었다. 이 논문에서 하마다 고사쿠는 영수사벽화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벽화의 성질은 조선의, 이른바 고구려의 고분과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쓰카모토(塚本) 박사 및 나이토(內藤) 박사 등의 설(說)에 따라 고구려라고 해도 좋다고 본다. 후한(後漢)이건 고 구려이건, 연대적으로 말하자면 모두 서기 1∼2세기 무렵의 것 으로 두 가지 설(說)이 같을 뿐만 아니라, 조선의 고분벽화도 물 론 한대(漢代)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이것이 닮아 있다고 해 도 직접적으로 고구려설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요양 부근의 것은 기와무덤과 석관, 이렇게 두 가지 종류로서 전자는 중국 각 지의 무덤과 비교했을 때 보통 한인(漢人)이라 하고, 후자는 조 선의 고구려와 같은 석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고구려인으로 하 는 것이 정설이다. 그리고 이 논리로 말하자면 고구려설이 옳다 고 보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보면, 이 기와무덤이나 석관에 서 발견되는 유물은 완전히 동일하여 그 차이를 전혀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기와를 사용했던 한인들도 이 적절한 석재가 많이 있었던 요양 부근에서는 석관을 만들었다고 해도 결코 불합리하 지 않다. 그러한 점으로부터 생각해 보면, 이 문제는 오늘에 있 어서도 거의 결정하기 어렵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단지 고구려설 이 조금 더 온당하지 않을까하고 생각할 뿐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 1919년에 요양에서 발견된 벽화고분인 영수사벽화묘에 대해 직접 현지를 고찰한 세 명의 일본학자가 1921년에 남긴 관련 논문들에서 모두 고구려 관련성을 언급하였다. 이는 한국사학계의 고구려 벽화고분 연구뿐만 아니라, 고구려사의 전반 연구에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는 위에 소개한 세 편의 논문 중 두 편의 논문을 번역하여 실었는데, 이는 고구려 혹은 벽화고분 관련 연구자들의 지속되고도 심층적인 논의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