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소맹출하는 견치의 상악 전치로의 대체사용 : 증례보고

        임지은,최성철,박재홍,최영철,김광철,안효정,Lim, Jieun,Choi, Sungchul,Park, Jaehong,Choi, Yeongchul,Kim, Kwangchul,Ann, Hyoj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0 No.4

        Impacted maxillary canines are the most frequently impacted teeth after the third molars. The exact etiology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is unknown, but several complications may result from impacted maxillary canines. An early detection of ectopically erupting teeth can lead to performing interceptive treatment such as early extraction of primary canine and provide the best long-term results. In the absence of prevention, clinicians should consider orthodontic treatment followed by surgical exposure of the canine to bring it into occlusion. However, in cases when the finding ectopically erupting teeth and severe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are found late, malposed canine can replace the injured teeth. In these presented case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ectopic eruption and root resorption were not performed. The maxillary incisor replacement with ectopically erupting canine can be the alternative treatment of choice with successful results. The reconstructed canine is planned to be checked periodically for the condition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rthodontic treatment and dental implant are planned. This report shows that when early diagnosis was not done, maxillary incisor replacement with ectopically erupting canine could prevent uncertain prognosis of the adjacent teeth with root resorption and provide esthetic satisfactory with time saved and cost reduced. 매복된 상악 견치는 제 3대구치 다음으로 호발하는 매복치아로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매복된 상악 견치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소맹출하는 상악 견치는 초기의 진단을 통하여 유견치의 조기 발거와 같은 차단 교정을 시행하는 경우 가장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으나 초기치료를 시행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술적 노출과 교정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소맹출하는 치아가 말기에 발견되어서 인접치아의 심한 흡수를 보인다면, 견치가 손상된 인접 치아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이소맹출과 치근흡수의 조기 진단을 통하여 치료되지 못한 증례로 이소맹출하는 견치를 사용하여 상악 절치의 대체사용이 대안으로 선택되었고, 현재까지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다.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견치는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서 수복물을 평가할 예정이며, 추후 교정치료와 임플란트의 식립이 계획되어있다. 본 증례는 초기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견치를 절치로 대체 사용하여 치근 흡수된 치아의 불확실한 예후를 피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심미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임지은 ( Jieun Lim ),최진 ( Ji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고찰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D광역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내면적 경험 및 관계적 경험의 양상을 도출한 뒤, 학습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점차 아바타를 나와 연결된 현존으로 인식하고 둘째, 자기검열로부터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나타났으며, 셋째 타인의 시선에 노출되는 외모에 대한 부담감 없이 자신을 드러낼 수 있었고, 넷째 화면을 매개로 하지만 살아있는 누군가와 소통하는 실재감을 느낄 수 있음을 도출해내었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낯선 사람과 만날 때의 거리감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바타를 매개한 이러한 학생들의 감각과 지각이 학습과 맺는 관계로는 첫째, 적절한 수준의 긴장감과 책임감 부여를 통해 집중도가 향상되고 둘째, 규범적 답변이 아닌 솔직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셋째, 수업 외적인 것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어 효율적이라고 느낄 수 있었고 넷째, 실재감을 느껴 토론 참여에 몰입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비롯될 수 있는 경계짓기에서 벗어나 물리적 접근을 넘어선 학습공동체로 확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면 상황에서도 그 친밀감이 연장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적용될 때, 기존의 교육적 한계를 보완하는 특정 기술의 단선적인 효과 분석을 넘어 미디어가 학생들이 감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떻게 달라지도록 매개하는지 탐색하면서, 그것이 교육적이기 위해 어떤 노력과 전략이 필요한지 고민하는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through the lens of media ecological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perform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ix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course which conducted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a focus of the inner and rel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awareness of the avatar as a connected representation of oneself, 2) freedom of self-expression, 3) self-disclosure without the fear of sharing one’s appearance, 4) feeling social presence by perceiving others as real people, and 5) addressing the sense of distance with students in other groups. Our findings also reveal how these experiences are interconnected and impact students’ learning, including: 1) enhanced concentration by facilitating an appropriate level of tension and responsibility, 2) sharing trustful responses rather than normative ones, 3) efficiency in learning without being distracted, 4) more immersive discussions through an enhanced sense of presence 5) creating an expanded learning community.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new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from a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This can help us understand how media mediates students’ sensations and emotions and what strategies are required to create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is environment.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임지은 ( Jieun Lim ),양혜리 ( Hye Ri Y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2020년도 1학기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과정에서 교수자들이 경험한 어려움, 교수자들이 발견한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및 전략,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들의 태도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온라인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역량 함양 및 실질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8명의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시행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즉시성 및 비언어적 소통의 제한, 교수자 존재감 상실 및 교수 동기 저하, 온라인 환경의 한계로 인한 협동학습 및 실습의 어려움, 평가의 공정성 및 정확성 확보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들을 경험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의 효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의도적 개입, 수업에 대한 기본 정보의 구체적, 체계적 전달, 다양한 활동을 통한 학습자 참여 및 적용 기회 제공, 수업 매체 준비 및 실행에서의 신중한 접근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를 종합해보면 이번 온라인 수업 상황은 교수자들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한계점 및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학습환경으로써 온라인 공간을 다시 생각하는 전환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수업의 여러 한계점을 극복하고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을 시작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hat challenges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faced in online instruction and what strategies they suggested as important to improve online courses. We also explored how instructors’ attitudes toward online courses were shaped by the online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data collec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and all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instructors were not fully ready for online teaching. In particular, they faced a variety of challenges including the lack of immediat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low instructor presence and teaching motivation, redesigning the collaborative and hands-on learning activities, and conducting reliable and valid online assessments.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llenges, the instructors put much emphasis on the active and practical efforts and intervention for online interaction, specific and systematic organization and announcement for course structure, providing activities for promoting learner engagement and application, sharing course materials relevantly and avoiding instructor misbehaviors in online courses. Finall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believe that online teaching will be inevitable, even post Covid 19. In the study, we also identified that these online teaching experiences made the instructors more interested in blended learning for their future courses. Covid 19 is not only a great challenge for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but also an important turning point to move to new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More systematic efforts and supports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high-quality online learning and help instructors improv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호텔직원의 팔로워십이 서비스회복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지은(Lim, Jieun)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7

        본 연구는 호텔직원의 팔로워십과 서비스회복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서울소재 5성급 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SPSS룰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성성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의 팔로워십의 하부 구성개념 중 모범형과 실무형은 서비스회복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응형과 소외형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호텔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원의 팔로워십 유형 중 모범형, 실무형과 서비스회복의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호텔 직원의 팔로워십과 서비스회복의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followership with hotel employees and service recovery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deluxe hotel in Seoul. The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PS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dimension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persona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two hypotheses were examin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ffective followers and pragmatist followers of followership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rvice recovery intention, but conformist followers and alinated follow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psychological ownership behavior of hotel employees were found to have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followers, pragmatist followers of followership and service recovery intention. The study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sense of psychological ownership in the organization. It also emphasiz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 KCI등재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Lim, Jieun),이민혜(Lee, Minhye)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로 대표되는 능동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능동적 동기요인이 실재감과 학습성과 사이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 전면 온라인 강의를 수강 중인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자기조절효능감, 주도적참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은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성취도만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실재감 중 설계와 조직의 학습성과에 대한 직접효과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사회적 실재감 하위구인 중에는 정서적 표현만이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모두 매개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재감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도적 참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수업과 같이 학습자의 학습자율권과 통제권이 강화된 상황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의 학습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능동적 동기요인으로서 중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능동적 동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습성과를 높이는 잠재적 동기기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 전략 활용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We aimed to investigate how onlin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associated with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We also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arguably the most important agency motivation in online learn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A total of 204 college students taking online courses due to the COVID-19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online survey items asking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gentic engagemen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Two path models were analyzed: one with mean score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nd the other one with subdimension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both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social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only achievement. More precisely, the direct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design & organization on both learning outcomes were remarkable and the direct effect of social presence: affective expression on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lso positively predicted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both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were found, but none of agentic engagement was found. The current findings replicated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arning settings, where learners autonomy and controllability is maximized. For this reason, online learners agentic motivational belief that they can control and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plays a critical role. Our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learners perceived presence can enhance students agency motivation, which in turn boosts their effective learning.

      • KCI등재

        비실시간 토론 중심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 탐색: 인격적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임지은 ( Jieun Lim ),최진 ( Ji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비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통해 CMC 기반의 환경에서 맺는 인격적 관계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인격적 관계 형성의 의미는 인간이 서로 자신의 의견을 드러냄으로써 자신의 누구인지를 드러내고 타자를 인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철학자 한나아렌트의 관점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이 관계의 형성이 컴퓨터를 매개한 문자기반 소통방식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 학기 동안 비실시간 토론중심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D광역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온라인에서 대면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온라인용 자아의 노출 현상이 발견되었다. 둘째, 동료의 외양보다 그의 생각에 집중하고 소통하는 인지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보였다. 셋째, 모든 동료의 의견을 살펴보기 보다는 선별적으로 취하면서 선택적 관계를 맺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동료의 의견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거나 남의 비판을 수용하는 데 있어 대면상황에 비해 심리적 저항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타인의 실재감을 점차적으로 느끼게 되었고, 사회적 친밀감보다는 인지적 친밀감 형성이 용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섯째, 수업이라는 맥락이 익명성을 제거하기 때문에 얼굴을 보지 않은 동료 학습자들에게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보이게 하는 방식은 내용적으로 우수한 의견을 제시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온라인 자아의 진정성에 대한 교육적 성찰의 계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으며, 동료의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그의 개성이나 내면을 드러낼 기회를 마련하여 온라인에서도 공통감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고, 선택적 관계 맺기를 방지할 수 있는 의견 게시 방식의 다양화, 인지적 도전을 주는 적절한 과제의 제시와 같은 교육적 개입과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nvironment by analyzing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s of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This research explored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based on Hannah Arendt arguing that people can disclose their identity within the context of the world through speech and dee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Fiv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were recrui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We found the following six themes: 1) disclosing online persona which is different from face-to-face identity; 2) cognitive interaction focusing more on content than on appearance; 3) selective relationship formation through reading other students’ discussion posts; 4) reducing psychological resistance toward raising and accepting criticism in discussions; 5) gradual formation of friendships and greater ease in forming cognitive friendships than social friendships; 6) expanded learning possibilities while trying to show themselves as a better person through sharing well-written a pos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following implications: 1) helping students to perceive other people as real and achieve common sense in the online environment; 2) preventing students from having biased perspectives by forming selective relationships; 3) designing effective tasks and activities to facilitate cognitive thinking in a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atmosphere.

      • KCI등재

        EU GMP 실사 부적합 영향 요인 분석연구 : Active Substance, Human Medicinal Product를 중심으로

        임지은(Jieun Lim),조혜경(Hea-Kyoung Cho) 대한약학회 2021 약학회지 Vol.65 No.1

        To export medicinal products to Europe, EU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MP) inspection is a critical step. Using the EudraGMDP database from 2009 to 20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noncompliance in the EU GMP inspe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EU GMP inspections has steadily increased in both EU and non-EU countries. The latter showed higher non-compliance rates compared to the former. For active substances, analysis of observations from non-compliance inspections indicated that “Documentation and records,” “Quality management,” and “Equipment” are common items observed as non-compliant. For human medicinal products, “Pharmaceutical quality system,” “Production,” and “Premises and equipment” are frequently observed as non-compliance items. “Building and facilities” and “Contract manufactur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causing GMP qualification failure for active substances. For human medicinal products, “Quality control”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GMP qualification fail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non-compliance rates for OECD and non-OECD countr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 KCI등재

        전문가 FGI를 통한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 연구

        임지은(Jieun Lim),박용호(Yongho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 도출을 목표로 한다. 특히, 건설기술자 경력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건설기술자 역량지수(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ICEC)에 기초한 등급제도와 실제 업무현장에서의 능력 개발의 이슈를 중심으로 현 운영제도를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 경력개발의 주요 흐름과 이론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향후 건설기술자 경력관리 방안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FGI에는 경력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공공기관 담당자 6명과 기업체 담당자 6명 등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향후 건설기술자의 경력관리와 관련하여 첫째, 신규인력의 적극적인 유인책 마련, 둘째, 현재 활용되고 있는 직무/전문분야의 제도적 보완, 셋째, ICEC의 최종 등급산정에서 현장경력의 중시, 넷째, 건설기술자 경력 평가 시 다양한 경력구성 요소의 고려, 그리고 다섯째, 특급인력의 실질적 업무 전문성 제고 등의 발전방안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 the developed future plan for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the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ICEC) and issues for workplace competency development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engineers and proposes the advanced strategies for operating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the developing the future strategy of the current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tal 12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GI. The study results identify the six key issues for advanced construction engineers’ career management system. Those six issues include 1)preparing in the inducement of new human resources, 2)institutional modification of the current job/expertise fields, 3)attaching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e in the workplace, 4)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of individual career, and 5)developing the highest level’s workplace competenc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 KCI등재

        광고 모델의 긍정·부정적 행동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Lim, Jieun),유은아(Yu, Eunah)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4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유명인의 행동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유명인의 행동에 대하여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는 광고 모델인 유명인의 행동은 자사의 브랜드나 기업 이미지에 전이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과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광고 모델의 긍정적 행동은 광고 모델 및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광고 모델의 부정적 행동은 광고 모델 및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광고 모델의 행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 연결감과 자기 감시성이 광고 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연결감과 자기 감시성은 광고 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연결감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광고 모델의 긍정적 행동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부정적 행동에는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감시성도 마찬가지로 광고 모델의 행동과 광고 모델 태도,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 있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광고 모델 효과에 대한 이론적 범위를 확장하고, 기업에게는 광고 모델 선정 전략뿐 아니라 광고 모델의 관리 전략에 있어서 광고 모델의 행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어떠한 소비자들이 광고 모델의 행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점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기업이 광고 모델을 관리하는 데에 있어 효율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Celebrity endorsers involved in publicized scandals have become issues lately. The company whose brand is endorsed by a celebrity involved in a scandal is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impact it may have on their brand image. The current study is interested in consumer responses to a celebrity endorser’s positive or negative behaviors and the personality traits related in consumer response.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role of consumers’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as a moderator. When a celebrity is shown involved in positive events, consumers react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s and the endorsed brands. Also, when a celebrity is shown involved in negative events, consumers react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s and the endorsed brands. Additionally, the findings showed that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influenced consumer reactions. They showed that positive/negative news articles in high self-monitoring (socially-connected) situations had bigger positive/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 and brand attitude than in low self-monitoring (socially-connected) situ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 response to the celebrity endorser’s actions is intensified by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These findings have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