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작과 비평』과 김수영

        임지연 ( Ji Yeon Im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창작과 비평』 창간부터 80년 언론통폐합 조치에 의해 폐간될 때까지 김수영과 『창작과 비평』의 담론적 맥락화 양상 및 『창작과 비평』의 김수영 독해의 변화의 변곡점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창작과 비평』과 김수영의 관계는 문학이념의 동질성을 공유하면서도 잡지의 문학이념이 변화되는 지점에서 김수영의 의미는 달리 해석되었다. 김수영은 살아있는 텍스트이면서 잡지의 문학이념의 의제를 생산하는 전략적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그 시기를 구분하여 의미화 과정을 포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과 비평』 창간부터 김수영이 작고하기 전까지 필진으로 활동하던 시기. 김수영은 백낙청의 잡지 창간 이념의 동질성을 공유하였다. 순수참여논쟁을 벗어나는 진정한 참여의 의미와 시인의 현실에 대한 소명의식을 강조하는 백낙청의 초기 비평은 김수영을 비평가와 번역가로 호출하게 한다. 이 시기 김수영은 숭고한 소명의식을 다하는 진정한 참여문학의 표본으로 정위된다.둘째, 김수영 사후부터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이 게재된 69년 여름까지. 김수영은 참여시인에서 이상적 시민 시인으로 고평된다. 백낙청의 목적론적 진보주의는 ‘참’의 수사를 활용하면서 미래적 시민개념을 제출한다. 여기에 김수영의 타자적 사랑이 배치되면서 김수영은 이상적인 시민시인으로 등극하기에 이른다. 셋째, 1970년대 『창작과 비평』이 민족문학론을 전개하면서 김수영은 끊임없이 재호출되었다. 특히 모더니즘과 난해성을 비판의 표적이 되면서 김수영은 청산 안 된 모더니즘 시인, 반민중적 시인으로 배치되었다. 염무웅과 김지하는 전면 비판의 입장에서, 백낙청은 옹호와 비판이라는 양날의 구도 속에서 민중성 결여의 시인으로 재평가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scursive contextualization of Soo-yeong Kim and 『Changjak and Bipyeong』 from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issue of 『Changjak and Bipyeong』 in the 1960``s to the discontinuance in 1980 following the Measure for Forced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the Press and trace the inflection points of the changes in the interpretation of Kim``s works in 『Changjak and Bipyeong』. 『Changjak and Bipyeong』 and Kim showed homogeneity for literary ideas until the literary ideas of the magazine changed when the meaning of Kim was interpreted differently. Kim was used as a strategic concept which is the living text producing topics for the literary ideas of the magazine. The following focuses on the signification process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First, when Kim was a member of the writing staff from the foundation of 『Changjak and Bipyeong』 to his death, Kim showed the homogeneity with Nak-cheon Paek``s idea for the foundation of the magazine. Paek``s initial criticism which discussed the true participation deviating from the dispute over pure participation and emphasized the sense of calling that the poet has toward reality calls Kim as critic and translator. In this period, Kim is defined as the example of true engagement literature who fulfills the loft sense of calling. Second, from the death to the summer of 1969 when Paek``s 「Civil Literature」 is published. Kim``s status elevates from participatory poet to ideal civil poet. Paek``s teleological progressiveness submits futuristic concept of citizen by using a rhetoric, ``True``, alongside Kim``s selfless love and Kim ascends to the position of ideal civil poet. Third, Kim continuous recurred while .Changjak and Bipyeong. developed the theory of national culture in the 1970``s. Particular, as modernism and esotericism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Kim was considered as the surviving modernist and unpopular poet. Moo-woong Yeom and Ji-ha Kim were reevaluated as the poets who lack popularity in the aspect of overall criticism and Nak-cheong Paek, in the polarized aspect of protection and criticism.

      • KCI등재

        조태일의 민중시론과 민중시의 남성성

        임지연 ( Im,Ji-yeon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1970년대 초반 조태일은 신경림, 김지하, 최민, 김준태와 함께 민중시계열을 형성하면서 초기 민중시를 주도해갔다. 이 시기 그의 개성은 선이 굵고 씩씩한 남성적인 시인으로 평가받았다. 문학사에서 조태일의 남성성은 무의식적으로 인정되었지만, 그것의 의미와 특징이 어떤 것인지 회피되어 왔다. 이 논문은 1960-70년대 초반에 이르는 조태일의 민중시 개념과 민중시의 남성성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조태일의 민중시는 당대 민중시계열과 함께 시론을 형성하였는데, 특히 민중적 삶을 자각한다는 방법론과 민중은 역사발전의 주체라는 이념을 공유하였다. 그는 민중을 역사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관점을 분명히 하면서 민중에 대한 신념을 확고히 하였다. 그것은 양질의 민중인식과 진짜 문학이라는 강박 속에서 형성되었다. 조태일의 민중시에 나타난 남성성은 첫째, 남성-폭력의 역설과 윤리적 감정 주체의 특징을 갖는다. 조태일은 헤게모니적 남성권력인 박정희체제에 대해 저항하는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저항적 남성성이 갖는 폭력성은 남성일반의 폭력성을 공유한다. 특히 분노의 감정을 남성화할 때 저항의 윤리가치는 남성이 특권으로 전환된다. 이는 여성을 배제하는 재위계화의 역설과 마주하게 된다. 둘째, 강간의 수사와 ‘처녀막’을 단 남성 주체의 특징을 갖는다. 조태일의 강간의 수사는 수난 받는 국토(민중)를 표현하기 위한 저항적 방법이다. 그럼에도 남성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강간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여성을 타자화 한다. 민중의 개념에 여성이 부재함으로써 그가 추구한 이상적 민중은 스스로를 위반하는 역설에 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조태일의 남성적 목소리가 저항의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그가 싸우고자 했던 헤게모니 남성권력과 일정부분 공모하고 기대는 지점이 있음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자 하였다. In the early 1970s, along with Shin Kyung-lim, Kim Ji-ha, Choi Min and Kim Jun-tae, Cho Tae-il led the early people’s poetry by forming a group of people’s poet. During this period, his personality was evaluated as a bold and strong masculine poe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is masculinity has been unconsciously recognized, but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avoided. This paper explores how Cho Tae-il’s concept of people’s poetry and the masculinity of people’s poetry constructed in the early 1960s and early 1970s. The people’s poetry of Cho Tae-il formed a poetic discussion together with the contemporary people’s poet group. In particular, they shared the methodology of awareness of the people’s life and the idea that the people are the subjects of historical development. He clarified the view that the people are the driving forc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secured the belief in the people. It was formed in the obsession of recognition of good quality people and genuine literature. First, t he masculinity i n t he p eop le’s p oetry o f C ho T ae-il h as t he characteristics of male-violent paradox and ethical emotional subject. Cho Tae-il presents a ‘new masculinity’ that resists the hegemonic male power, the Park Jung-hee regime. However, the violence of resistance masculinity shares the violence of the male general. Especially when masculinizing the feelings of anger, the ethical value of resistance is converted to privilege by man. This confronts the paradox of re-hierarchy that excludes women. Seco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rhetoric of rape and the male subject with a ‘hymen’. His rape rhetoric is a resistive way to express the suffering country (people). Nevertheless, women should have become the other in the sense that it assumes rape for male domination. In the absence of women in the concept of people, the ideal people pursued by him is in a paradox of violating himself. Through this,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ally read that Cho Tae-il’s male voice is positive in terms of resistance, but that he has a side to conspire with and depend on the hegemonic male power he tried to fight against.

      • KCI등재

        1960년대 후반 (소)시민 개념에서 "사랑"의 의미

        임지연 ( Ji Yeon 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논문은 60년대 후반 시민-소시민 논쟁에서 사랑이 주요한 의제로 작용하는 과정을 주목하고, 그것의 개성적 전개와 문학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60년대 사랑 담론의 특징은 타자성의 발견에 있다. 특히 부버의 ‘나-너’ 철학의 대중화와 구조주의 수용과 함께 제기된 평등한 사물 개념은 60년대 타자 인식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60년대 후반 시민-소시민 논쟁에서 사랑이 의제화되는 데는 타자 담론과 연관되어있다. 김주연 비평의 특이성은 ‘인식’론이었다. 김주연에 의하면 시인의 지성적 거리 에 의해 시적 대상은 주체로부터 독립한 사물로 탄생한다. 김주연은 정현종의 시를 사물성 발견의 텍스트로 삼고 그의 시를 특권화했다. 그러나 김주연의 타자성은 지성적 거리 인식에 의해 구성한 소시민적 자기세계 안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협소하고 폐쇄적인 성격을 갖는다. 사랑의 타자적 구조를 인식했지만, 그것의 이자구도나 연대성의 에너지를 포착하지 못했다. 백낙청은 시민문학론에서 소시민의 왜곡된 사랑의 형태를 비판하면서 시민정신의 동의어로서 ‘사랑’을 제시하였다. 시민적 사랑의 비전은 로렌스와 김수영이었다. 로렌스는 “함께 자유로움”이라는 새로운 사랑의 제도를 파악하고, 김수영의 사랑은 위계화된 이분법적 대립항들이 통합되는 원리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백낙청의 시민적 사랑을 미지·미완의 이념이었다. 사랑의 개별성은 무화되고 집단성이 강조되었으며, 타자는 계몽의 대상에 불과했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a process in which love played a role as an important subject of the citizen-petit bourgeois argument in the late 60s, and reviews its unique development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Characteristics of love discourse in the 60s were in a discovery of otherness. There were, in particular, critical elements to have built a recognition of others in the 60s, which are the popularization of Buber`s philosophy of ``I and Thou`` and the idea of equal object suggested with the acceptance of structuralism. Where love functions as the subject of the late 60s`` citizen-petit bourgeois argument, the contemporary discourse of others becomes contextualized.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Kim Ju-yeon``s criticism was ``the theory of recognition``. Poetic objects, according to the Kim Ju-yeon``s opinion, become independent objects from the subject by poet``s intellectual distance. Kim Ju-yeon considered Jeong Hyeon-jong``s poems as discovery texts of thingness and had them privileged. Kim Ju-yeon``s idea of otherness, however, is somehow narrow and closed in respect of the fact that it can be formed only within the petit bourgeois``s own world constructed by the recognition of intellectual distance. He has been aware of the otherness structure, but not of its dual structure or energy of solidarity. Baek Nak-cheong criticized a distorted form of petit bourgeois``s love in the theory of the civil literature and suggested the word ``love`` as a synonym of citizen consciousness. The vision of civic love is Lawrence and Kim Su-young. Lawrence presented "being free together" as a new love system, while Kim Su-young gave a judgment that love is a principle for hierarchicalized dichotomic counterparts to be integrated together. However, the notion of Baek Nak-cheong``s civic love is an ideology of being unknown and incomplete. Individuality of love became emasculated but its collectivity has been emphasized, and thus others were nothing more than the object of enlightenment.

      • KCI등재

        신동엽의 자연 개념과 비근대적 대지 공동체

        임지연(Im, Ji-yeo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5

        이 논문의 목적은 신동엽의 자연 개념이 1960년대 과학적 교양주의였던 다윈의 생물학과 연동되어 있으며, 종말적 진화론을 통해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함으로써 비근대적 인간-자연의 공동체를 구성하고자 하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신동엽의 생물학적 진화론은 자연도태나 적자생존과 같은 근대적 의미의 다윈주의가 아니라, 사랑에 기초한 성선택적 진화론을 수용함으로써 근대적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한다. 이러한 특징은 시와 시론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나타난다. 첫째, 신동엽의 자연은 지구의 역사에서 반복되었던 대멸종 사건을 내재한 종말적 시간관을 통해 대멸종과 썩음의 시학으로 나타난다. 둘째, 신동엽의 자연법칙은 인간의 동물적 삶을 통한 인간-자연의 평등한 관계를 드러내고, 비근대적 대지의 공동체를 산출한다. 따라서 신동엽의 시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자연 어휘는 인간적 상징성뿐 아니라, 인간-자연이 통합된 자연을 지시하며, 나아가 근대의 자연/문화 구분법을 무화시키는 자연-인간의 비근대적 공동체를 구성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at Shin Dong-yup’s concept of nature is connected with Darwin’s theory of evolution, which was the scientific knowledge in the 1960s, and he intended to form a new human-nature community by criticising anthropocentricism in the viewpoint of eschatological evolution. Shin criticizes modern anthropocentricism by accepting the principle of sexual selection and human’s base in animality rather than natural selection or the survival of the fittest from the theory of evolution. This appears as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his poems and criticism of poems; First, Shin"s concept of nature emerges as the poetics of extinction and rot through the eschatological time view of the repeated extinction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earth. Second, Shin’s law of nature reveals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through the animalistic life of human and produces the non-modern community of earth. The natural vocabulary, which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Shin’s poems, not only plays a symbolic role but also represents nature itself, and forms the non-modern community of nature and human which nullifies the modern ideologies.

      • KCI등재

        초기 한낙원의 과학소설에 나타난 ‘소년’의 의미

        임지연 ( Im Ji Ye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이 논문은 한낙원의 초기 과학소설인 <잃어버린 소년>과 ≪금성탐험대≫에서 소년이 어떻게 이상적 남성상으로 만들어지고 미래 과학의 지도자로 구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낙원의 과학소설은 당대 세계 과학담론과 연동되어 있으며, 현대과학이 처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예측된 미래를 그린 것이다. 우주시대 ‘소년’은 세계적 난제들을 돌파해나가기 위해 고안된 장치였다. 이때 소년들이 구성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들은 과학지식과 높은 도덕성이 체화된 탁월한 몸의 능력을 통해 만들어진 이상적 존재이다. 소년들은 이상화된 몸을 가진 존재로서, 지구전쟁(냉전)과 우주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세계적 지도자로 성장한다. 둘째, 소년들은 지배적 남성들과의 대비를 통해 우월한 남성의 지위를 획득하고, 소녀들과의 젠더 위계화를 통해 특권적 존재로 승격한다. 즉 소년들은 노과학자, 패권적 남성, 소녀들과의 대비를 통해 미래의 지도자가 된다. 즉 한낙원의 과학소설에서 소년들은 이상적이고 특권화된 남성-과학자-소년들로 범주화되며, 미래세계의 과학적 지도자로 호명되었다. 이 시기 청소년용 창작과학소설은 단지 흥미와 계몽을 위한 독서행위, 부강한 근대과학국가 건설이라는 목적으로 기획된 것만은 아니다. 한낙원은 막다른 위기에 처한 냉전과학과 세계정치에 대한 비전을 소년에게서 찾고자 했다. 초기 한낙원의 과학소설은 특권화된 남성-과학자-소년을 중심으로, 냉전과학과 세계정치, 미래한국에 대한 비전이 균열된 채 결합된 과학적 상상력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the boy was made into an ideal male figure and conceive d as the future science leader in the early science novels of Nak-won Han such as < Lost Boy > and < Venus Expedition >. Han’s scientific novels are interlinked with global scientific discourse of the time and are dealing with the predicted future to solve the dilemma of modern science. The ‘boys’ in the space age were the devices designed to break through global challenges. The way the boys are composed is as follows. First, the boys are the ideal beings created through the outstanding capabilities of the body embodying scientific knowledge and lofty morality. As the beings with outstanding body which embodies scientific knowledge and morality, boys grow into the global leader by winning the earth war (cold war) and space war. Second, the boys acquired the status of superior men through the contrast with dominant men and raised in status as privileged beings through the gender hierarchization with girls. In other words, boys were given the privilege as the future leader through the elder scientists, hegemonic men, and contrast with girls. The youth creative scientific novels at this time were not only designed for reading activities for interest and enlightenment, and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strong modern scientific state. Han tried to find from the boy a new vision of cold war science and world politics, which was at a crisis. Han’s early scientific novels can be said to be the treasures of scientific imagination focused on privileged male - scientist - boy, where the visions for Cold War Science, World Politics and Future Korea are cracked and combined.

      • KCI등재

        박태진의 ‘런던’ 경험과 코스모폴리탄 산책자의 현대성

        임지연(Im, Ji Ye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통일인문학 Vol.66 No.-

        이 논문은 박태진의 초기 문학에 나타난 세계 경험을 토대로 외국어 능력과 런던 경험, 후진국 지식인 코스모폴리탄 산책자의 면모를 탐색하였다. 초기 박태진 문학의 현대성은 일본어 버리기를 통해 과거 식민지 기억을 버리고 “조선어도 일본어도 영어도 아닌” 언어인 동시에 ‘세계어’인 “나”의 언어를 형성하는 과정 자체에 있었다. 박태진은 코스모폴리탄 산책자로서 런던 거리를 걸으며 자기 위치를 모색하였고, 영미 작가들과 교류하면서 무비판적 교양주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허구의식일 수 있는 그의 무비판적 교양주의는 역설적으로 열등감이 아니라 탈후진적 아시아 지식인으로 자기를 정위하게 하였다. 그는 런던 시민에게 환대받는 평등한 이방인으로 자기를 인식하였다. 박태진은 실시간으로 영미 문학 텍스트를 읽으면서 이를 한국문단에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과거 소월의 시대와 결별하고 ‘오늘’의 세계문학 동향을 포착함으로써 전후 한국문학의 현대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의 런던 경험의 핵심은 전후 한국문학의 현대성 확보와 유럽 현대문학의 자기화였다. 귀국 후 서울에 거주하는 박태진은 일상성에 천착하는 ‘오늘’의 시학으로 런던 경험을 자기화하였다. 이처럼 그는 김수영, 박인환, 조병화, 최일수 등과는 분명히 다른 지점에서 세계성 및 현대성을 구성한 독특한 시인이었다. 문학사에서 거의 사라져버린 박태진을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ability of foreign languages and london experience under the global experience on the initial literature work of Park, Tae-jin and the aspect of cosmopolitan Flaneur, an intellect of developing country. The modernity of Park, Tae-jin’ the early part literature threw away the memory of colony in the past by wiping out Japanese to form the language not of “Korean, Japanese, or English” and the language of “own”, or the “global language” at the same time. As a Flaneur of cosmopolitan, Park, Tae-jin walked the street of London to find his own position, and he interacted with authors of the U.K. and the U.S. to show the uncritical culturalism attitude. Unusually, Park, Tae-jin was not outcasted by London citizens but was welcomed by them. Though it may be a fictional sense, his noncritical culturalism paradoxically positioned himself not into the sense of inferiority but into the anti-backward Asian intellect. He perceived himself as an equal foreigner to be welcomed by London citizens. Reading literature works of the U.K. and the U.S., Park, Tae-jin delivered them to the literature field of Korea. Through this, he was separated from the era of Sowol in the past and caught the trend of global literature of “today” to try to determine the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The core of his experience in London was assurance of modernity of Korean literature and introjection of European modern literature. Living in Seoul after returning back to Seoul, Park, Tae-jin introjected his experience in London as the poetry of “today” excavating the daily pattern. He surely was a unique poet to compose globality and modernity with the perspective different from Kim, Su-yeong, Park, In-hwan, Jo, Byeong-hwa, and Choi, Il-su. This is the reason to concentrate on Park, Tae-jin, who was almost disappeared from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조병화의 세계 기행시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주체의 정위 방식

        임지연(Im, Ji-yeon)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8

        이 글은 조병화의 세계 기행시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경험과 사유를 통해 초기 조병화 시의 주체인식의 구조를 탐색함과 동시에 1950~60년대 공론장의 주체들이 자기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층적이면서 균열적인 정위 방식에 대해 해명할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코스모폴리타니즘은 주권국가의 권리보다 보편적 정의와 윤리를 우선하며, 국가단위의 시민성보다 지구단위의 인류애를 원리로 한다. 1950~60년대 한국의 코스모폴리타니즘 담론은 한국전쟁의 경험으로부터 확장된 3차 세계대전의 공포와 세계평화에 대한 현실적 요구로부터 출발하여 담론은 무성하였지만, 현실로 매개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코스모폴리타니즘에 대한 세계이해 담론과정에서 그것을 시적으로 전유한 경우가 바로 조병화의 세계 기행시이다. 조병화는 국제 PEN대회 참석을 위한 공적 여행을 통해 세계 기행시를 산출하게 된다. 세계 기행시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감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트랑제의식과 코스모폴리탄적 보편성 인식이 나타난다. 에트랑제란 여행자, 이방인, 외국인을 지칭하는데, 조병화는 여행자인 시적 주체뿐 아니라, 지구상의 인간 전체를 에트랑제로 인식한다는 점에서 인류적 보편성을 확보한다. 탈국경, 탈인종 경험과 보편 죽음의 사유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적 주체를 그려내고 있다. 둘째, 역설적이게도 조병화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은 반공주의에 영역 안에서 이루어지며, 타국의 선진성을 발랄하게 스케치하면서 한국의 후진성을 담지하고 있다. 조병화의 세계 기행시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타니즘은 당대 한국의 공론장에서 생성된 세계이해를 전유하고 있으며, 나아가 세계 기행시를 통해 일국에 갇힌 개인 주체를 세계인으로 보편화한다는 점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중층적으로 정위하고 있다. 그러나 코스모폴리탄적 보편성과 반공주의적 후진국가인이라는 특수성이 논리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봉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This report is to find the structure of sense of subject on poems by Cho, Byeong-hwa at his early age and to find the opportunity to explain multi-level and deviating method composing self-identity by actors of public sphere in 1950s~1960s at the same time through cosmopolitan experiences and reasons on his world travel poetry. Although discussion of cosmopolitanism in Korea in 1950s~1960s was overgrown from expanded fear of the third world war and practical demand for world peace, it was not mediated to reality. Cho, Byeong-hwa’s world travel poetry is the poetic possession of such universal discussion regarding cosmopolitanism. The cosmopolitan sense on Cho, Byeong-hwa’s world travel poetry can be evaluated as follows. At first, the Etranger sense and perspective of cosmopolitan universality are revealed. The word Etranger indicates a traveler, an alien, or a foreigner, and Cho, Byeong-hwa secured panhuman universality by cognizing not only a traveler, or poetic subject, but also the entire mankind on the Earth as an Etranger. Second, paradoxically, Cho, Byeong-hwa’s cosmopolitanism is established within the domain of anti-communism, and while it vividly sketches advancement of other countries, it firmly holds backwardness of Korea. Although Cho, Byeong-hwa’s world travel poetry orients the identity of individual in multi-level by generalizing an individual as the entire world, it is limited by the fact that it is sealed without securing logicality of the generals and the particulars.

      • AHCISCOPUSKCI등재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

        임지연(IM Ji-yeon) 대한의사학회 2017 醫史學 Vol.26 No.2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mergence of new psychiatrists, scientific rationalization, and popular internalization to reorganize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psychological medicine system. Unlike eugenic psychiatry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ocial conditions and contexts forming autonomous system of psychiatry of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have been concentrated. The discussion approach has been tried to secure two perspectives-treatment and criticism-at the same time and to expand the time and scope of study through the extensive text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books, advertisements, and others in the 1960s and 1970s. Through formation of subject, rationalization, and popularization, this study has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psychiatry in the 1960s and 1970s to accentuate complicated conditions and kinetic steps to systemize psychiatry as scientific field to promote treatment of patients by deviating from mental hygiene approaching national mental health from cleanliness and removal. The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ethical models of good doctors, medical paternalistic doctors, and non-authoritarian symmetric doctors have been proposed as good psychiatrists by new medical specialists with experience of globality, a new subject emerges. However, there has been illegalization process of unlicensed medical practitioner excluded by the regulatory authority called “clearness.” Second, the rationalization of psychiatry has been accelerated through the dispute of enactment of Mental Hygiene Law, segmentalization of concept of mental illness, and scientif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disputes over enactment of Mental Hygiene Law focused on criminalization of mental patients brought a result to regulate the patients as the target of humanistic treatment and potential criminals at the same time. Third, popularization of psychiatry has embraced invisible mental illness into popular daily life through visual measure called medicine advertisement, and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social neurosis, a new paradigm for diagnosis of Korean society has been proposed. Moreover, by focusing on autobiographical works with voices of patients, this article reveals a new doctor-patient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