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장환 시에 나타난 ‘병든 몸’의 의미와 윤리적 신체성

        임지연(Yim, Ji?yeon)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이 글은 오장환의 시세계에서 신체성이 핵심적인 내적 동력이며, 일관된 시적 방법이라는 차원에서 ‘병든 몸’의 의미와 그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현실을 포괄하는 윤리적 주체구성의 시적 여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해방기를 기점으로 하여 초기시와 후기시를 분화하여 검토했을 때 신체성의 변화과정을 첫째, 비판하는 병리적 신체에서 치유되는 윤리적 신체로, 둘째, 부정적 시선 주체에서 행동하는 생명 주체로 변환되어 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장환 시에서 신체성은 전기 후기를 통틀어 일관된 시적 기제로 작용하면서도, 해방기를 기점으로 그 성격이 변화되는 과정을 겪는다. 특히 오장환의 신체성 인식은 일관되게 자기를 ‘병든 몸’으로 구성하는 태도를 통해 나타나는데, 병리성의 차원에서 볼 때 초기시에서는 자신을 병든 육체로 인식 하면서 사회적 현실을 비판하고, 후기시에서는 병든 몸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나’를 ‘우리’로 인식하면서 병든 현실 역시 극복될 수 있다는 윤리적 신체로 나아간다. 또한 시선 주체의 차원에서 볼 때 초기시에서는 부정적 자기 인식을 통해 사회현실을 비만한 육체로 규정하면서 비판적 시선을 유지하고, 후기시에서는 행동하는 몸을 통해 소시민성을 극복하면서 병이 치유되고 생명을 발견하는 시선 주체로 변환된다. 오장환의 시에서 신체성의 문제는 이처럼 일관된 시적 방법론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변화지점과 방법적 다기성들이 우연적이고 파편적인 미적 행보가 아니라, 신체성을 일관되게 밀고나간 시적 방법이었고, 현실 대응이었으며, 윤리 주체 구성 방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oetic journey of ethical subject constitution including the reality by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sick body" and the changes in the meaning based on the idea that corporality was the essential inner force in the world of Jang Hwan Oh"s poems and consistent poetic method. The early poems and latter poems divided based on the liberation period were separately examined, and it confirmed the process of changes in cororality; first from the criticized pathological body to the healed ethical body and second, from the negative subject of sight to the active subject of life. In Oh"s poems, the perception of corporality consistently acts as the poetic mechanism throughout former and latter periods,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its characteristics appear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In particular, Oh regarded himself as the ‘sick body’ in Oh"s perception of corporality, and this has been consistent from early poems to poems written after defection to North Korea. The self?awareness about the body strongly intervenes in the subject constitution when the body becomes ill. Through this, Oh criticized the reality through the perception that himself as well as the world in reality are diseased and gained the perception of reality that the disease of the world can be overcome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curability of the sick body. In this point, the problem of corporality to Oh was an essential poetic turning point and acted as an important poetic methodology.

      • KCI등재

        1960년대 지식장에 나타난 `신체성` 개념과 시적 전유 -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문제를 중심으로

        임지연 ( Yim Ji-yeo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은 60년대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시적 방법이 개별 시인의 특성이나, 60년대적 모더니티의 한 양상이라는 관점을 넘어 당대 지식장 및 비평장의 교차지점에서 창출된 복합적 미의식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학적 휴머니즘과 구조주의라는 세계적 이론이 `여행하는 이론`으로서 한국의 지식장 및 비평장, 시창작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탈맥락화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당대 `과학적 휴머니즘`은 정신/육체로 이분화된 근대적 인간을 극복할 수 있는 생물학적 신체성 개념을 제시하고, 생물학적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며, 인간을 현실적·경험적 존재로 인정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60년대 후반 구조주의는 변증법적 진보주의에 대한 반발과 의식과잉형의 근대적 인간을 비판하고, 사물과 인간의 평등한 세계와 독립한 사물의 자율적 구조를 제시하며, 푸코의 `인간의 죽음` 개념으로 특징화되었다. 60년대 비평장의 변동은 두 여행하는 이론에 의해 재배치되었으며, 재배치의 과정에 김주연의 비평이 개입되었다. 특히 김주연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전거로 들어 `자기세계`라는 세대의식을 구성하면서 이들 시를 특권화하였다. 김주연은 이들 시를 `자그마한 의지의 인간`으로서의 평가하면서 60년대 다른 시들에서 포착되는 의식과잉이나 낙관적 현실인식을 오류로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김주연의 세대론적 욕망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60년대적 문학이념으로만 묶어냈다는 한계를 보인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에 나타나는 사물간의 역동적 관계성, 사물과 인간의 평등함, 사소한 주체들의 자발적 겸손과 비권력적 의지, 죽음의 사물화를 통한 생명의 재발견과 같은 미덕은 배제되었다. 배제의 과정은 누락이라기보다 배제를 활용함으로써 선택의 의미를 특권화하는 효과를 낳았다. 그가 누락한 미학적 가치는 60년대의 자유주의적 개인의 의미화를 특권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텍스트에서 풍부하게 읽어낼 수 있는 몸과 사물의 미학에 있다. 정현종의 시에 나타나는 몸을 갖는 사물들의 독립적이고 평등한 관계와 무경계적 침투, 확장된 생명에 대한 무심한 환호, 사물들의 살을 통한 윤리적 관계성과 시의 정치성, 윤리적이면서 육화된 사랑의 문제들. 마종기의 시텍스트에 나타나는 생명정치를 벗어나는 비권력적 의지, 사물화된 죽음을 통한 역설적 생명성, 생물학적 몸을 통한 일상화된 죽음의 미학들. 이는 지식장과 비평장이 누락한 긍정적 가치를 보충하거나 또는 초월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적 전유는 여행하는 이론에 대한 수신자의 현실적 욕망을 재현하면서도 한계를 보충하거나 뚫고 나가며, 자기의 개성적 미학으로 창조되었다. This study approached the poetic methods of `Body` and `Object` in Hyeon-jong Jeong`s and Jong-gi Ma`s poems with the view that they are the compo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creat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intellectuals and critics of the time beyond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ets or an aspect of the modernity of the 1960`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global theory such as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of the 1960`s intervene in Korean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as the `Travelling Theories` and decontextualized.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in Jeong`s and Ma`s poems is not their unique concept but was related with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that led the changes in the intellectual society in the 1960`s. The `Scientific Humanism` of the time introduced the concept of biological physicality to overcome modern man who is disdifferentiated into mind and body, understood biological man as an ethical being, and acknowledged man as realistic and experiential being. The structuralism in the late 1960`s criticized the resistance toward dialectical progressivism and hyperconscious modern man, introduced the world where objects and man are equal alongside the autonomous structure of independent objects, and was characterized by Foucault`s `Death of Man.` The change in the critical world in the 1960`s was relocated by the two travelling theories, the process of which generated the Hyeon Kim and Ju-yeon Kim style of criticism. Particularly, Ju-yeon Kim privileged Jeong`s and Ma`s poems by forming a generational consciousness called `Self-World` by referring to their poems. Ju-yeon Kim evaluated their poems as the `Man of Little Will` and understood the hyperconsciousness or optimistic awareness of reality sensed in other poems of the 1960`s as errors. In summary,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of Jeong and Ma is deemed to be under complicated circumstances of creation while having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1960`s and taking a specific position at the cross point of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of the time. Nonetheless, Ju-yeon Kim`s generational desire has the limits for it only used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1960`s to bind Jeong`s and Ma`s poems. The virtues appearing in Jeong`s and Ma`s poems such a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equality between object and man, autonomous modesty and non-authoritative will of trivial entities, and rediscovery of life through the objectification of death. The process of exclusion resulted in the privileging of the meaning of choice by using exclusion rather than in the omission. The aesthetic value that she omitted was to emboss the signification of liberalist individual in the 1960`s. What is significant, however, is the aesthetics of body and object abundantly sensed in the poetic text of Jeong`s and Ma`s poems; the independent and equal relationships between embodied objects in Jeong`s poems and their boundaryless infiltration, indifferent cheer toward extended lives, ethical relativity and political nature of poems through the skin of objects, and ethical and incarnated issues of love as well as non-authoritative will deviating from the bio-politics appearing in Ma`s poetic texts, paradoxial life through objectified death, and aesthetics of death generalized through biological body. They are deemed to supplement or transcend the positive values that intellectuals and critics have missed out. Jeong`s and Ma`s poetic appropriation supplements or breaks through the limit while rekindling the realistic desire of the receiver for traveling theories and was created by their own individual aesthetics.

      • KCI등재

        광용적맥파 및 머신러닝 기반 통증 평가 분류기 성능 비교

        임지연(Ji Yeon Yim),신항식(Hangsik Shin) 대한전기학회 2019 전기학회논문지 Vol.68 No.12

        This study examines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for pain assessment using photoplethysmogram. The presence of pain was assessed using waveform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hotoplethysmogram obtained from 73 patients before and after surgery. Classifica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multilayer perceptron, and 1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was validated with nested kfold cross validation. As a result, pain classification accuracy was highest in order of logistic regress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ultilayer perceptron, and random forest classifier. In addition, logistic regression, random forest, multilayer perceptron,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ere shown to be robust to overfitting i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