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기업과 공기업간 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비교연구

        임준철 한국인사ㆍ조직학회 199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지금까지의 공정성이론들은 근로자들의 직무성과는 불공정한 성과(outcomes)의 인지로 인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조직내 상황적 특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확히 결정짓기 어렵다. 여기서는 이러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과거의 연구들과는 달리 사기업과 공기업으로 조직의 상황적 특성을 달리했을 때 나타나는 공정성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했다. 기존의 사기업과 공기업의 조직특성에 대한 비교연구들은 사기업에 비해 공기업은 상대적으로 모호한 성과측정과 보상체계를 가지며, 의사전달체계가 복잡하고, 관료주의적 풍토로 인한 조직권한의 집중과 직무에 대한 공식적 규제가 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사기업은 상대적으로 공기업보다 이러한 특성이 적다는 것을 보고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기업의 특성으로 인해 이론변수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직무공정성이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사기업이 공기업보다 클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했다. 이와 같은 가설을 사기업인 S 기업의 1456명과 공기업인 H 기업의 1041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검증해 본 결과 직무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과 절차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사기업이 공기업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기업과 공기업의 경영관행상에서 이와 같은 비교 연구결과들이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그 함축적 의미를 토론하였다.

      • KCI등재

        죽음교육의 측면에서 본 자만시의 가치

        임준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1 No.-

        이 글은 自挽詩를 현대 죽음학과 죽음 교육의 시각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그 가치를 탐색한 것이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사회의 전통적 죽음 인식 일반과는 변별되는 글쓰기지만, 자신의 죽음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사례라는 점에서 오늘날의 죽음교육에도 시사하는 점이 많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übler-Ross)가 말한 죽음 수용 단계들을 기반으로 자만시를 살펴보면, 자만시는 대체로 죽음 수용의 마지막 단계에서 지어지며, 의연히 죽음을 수용하려는 의식을 보여주거나, 죽음을 부모 및 조상과의 만남으로 받아들이는 의식이 많이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상장례에 대한 구체적 실행 방식의 제시는 남은 이들을 배려하는 자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퀴블러 로스가 제기한 ‘사후생’의 문제는 동아시아 고유의 영혼관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만시에선 ‘三不朽’와 같이 또 다른 관점에서 존재의 영원성을 고민했으며, 드물게 근사체험에 가까운 내용이 담기기도 했다. 이는 자신의 ‘소망 투사’(wishful thinking)라고도 볼 수 있지만 현대인의 죽음 터부를 깨는 데도 활용할 여지가 충분하다. 자만시를 활용한 죽음교육은 기존의 유언장 써보기와도 유사하지만 자만시 쓰기가 좀 더 자신의 죽음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언장의 내용이 대개 자신의 신변을 정리하고 가족과 주변 인들에게 남기는 말로 구성되는 반면, 자만시는 나의 죽음 자체에 좀 더 집중하여 죽음을 통한 ‘마지막 성장’이란 덕목에 좀 더 충실한 과정이 될 수 있다. 자만시는 관성적 죽음인식을 벗어나 있거나 전혀 다른 시각에서 죽음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죽음 교육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현대인들의 죽음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을 걷어내기 위한 교육 자료로서 자만시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value of self-elegy from the perspective of thanatology and death education. Self-elegy is a type of writing that is distinct from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death in East Asia, but there are many implications for today's death education in that it is an example of taking issue with one's own death. Based on Elizabeth Kübler-Ross's death acceptance stages, self-elegy is generally written at the last stage of accepting death, showing a sense of willingness to accept death or accepting death as a meeting with parents and ancestors.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ways of one’s own funeral as an consideration for the bereaved. Kübler-Ross’s concept of "post-life" differs from East Asia's unique view of the soul, but in self-elegy, we can find the thoughts about the eternity of existence from another perspective, such as "Sanbuxiu(三不朽)", and some statements about near-death experience. This can also be seen as one's own "wishful thinking," but it also can be used to break the taboo on death of modern people. Death education using self-elegy is similar to writing will testaments, but self-elegy can lead people to focus more on one's own death. While the contents of the will usually focus on organizing one's life and leave the last words to family members and frinds, self-elegy can be a more faithful process to the virtue of "last growth" through death by focusing more on one’s death itself. Self-elegy is highly valuable as a material for death education in that it deviates from inertial perception on death and illuminates death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erspective. Self-elegy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remove excessive fear of death for the modern people.

      • KCI등재

        漢詩 分門纂類의 전통과 조선 전기 <風騷軌範>

        임준철 근역한문학회 201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4 No.-

        이 글은 한국 한시의 분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한시 ‘分門纂類’의 전통 속에서 <風騷軌範>의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풍소궤범』은 학습자가 古詩의 詩體와 제재/주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돕기 위해 편찬되었다. 『풍소궤범』은 前集에서 詩體別로 23體 6格으로, 後集에서 類別로 21類 57賦로 분류하였다. 이 글의 초점은 제재/주제별 분류의 연원과 특징에 맞추어져 있다. <풍소궤범>의 제재/주제별 분류방식은 類書 및 한시와 시화에 대한 分門纂類書와 관련이 있다. 특히 송대 이후의 한시 分門纂類書의 분류방식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풍소궤범』은 분문찬류서와 유서의 분류방식을 종합하고 부연 혹은 심화시킨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례적으로 시체별과 제재/주제별 분류를 각각 병행했을 뿐 아니라, 기존 분류를 좀 더 엄밀하게 구조화하여 대분류와 소분류를 새롭게 설정하거나 조정하였다. 시체별 분류에서는 <元詩體要>를 참조하면서도 수사기법을 고려한 하위 格을 설정하여 보완했으며, 제재/주제별 분류에서는 송대 이후 분문찬류서를 주로 참조하면서도 제재/주제가 겹쳐지거나 모호한 항목들을 통합한 뒤 하위분류(賦)을 두어 범주와 위계를 분명히 하였다. 동아시아 전통 분류의 계보 속에서 볼 때 類書式의 분류와 한시 分門纂類書式의 분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풍소궤범>은 기존 분류항목을 의도적으로 제외하거나 類를 새롭게 설정하기도 했다. 심지어 기존 분류 명목을 가져다 쓴 경우에도 독자적 분류 인식을 적용하여 기존 분문찬류서와 다른 選詩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類의 배열순서도 조정하여 類間의 有機的·連環的 관계도 새로운 방식으로 설정하고자 했다. <풍소궤범>이 기존 분류체계를 답습하지 않고 새로운 모색을 하였음이 잘 드러난다. 조선 지식인에 의한 독자적 한시 분류라는 점에서 앞선 시기 安平大君이 편찬한 <匪懈堂選半山精華>와 함께 거론될 만하다. 다만, 選詩 대상과 분류방식에 있어서 좀 더 포괄적이고 진전된 면모를 보여준다. 한편, <풍소궤범>이 보여주는 제재/주제 분류의 특성은 편찬자의 選詩觀과 당대의 문학경향을 설명하는 데도 일정 부분 활용될 수 있다. <풍소궤범>에는 상대적으로 天·地 보다는 人이, 物보다는 人事에 관련된 類別 분류항목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송대 분문찬류서의 분류방식이 송대 문학의 제재/주제 경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상대적으로 宋詩的 특성과 가까운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송대 이후 분문찬류서의 분류항목에 있지만, <풍소궤범>에서 공통적으로 제외한 邊塞와 宮詞 항목 등은 후일 조선 중기 문인들이 學唐의 기치를 걸고 새로운 노래(新聲)로서 邊塞와 宮詞類 작품을 창작했던 것과 대비된다. <풍소궤범>의 편찬자들은 이런 주제/제재 유형이 중요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작품들로 인식했던 듯하다. 한시 분문찬류가 갖는 일정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풍소궤범>이 보여주는 분류방식의 특성은 향후 한국 한시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류에 활용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ungsogwebum(風騷軌範)” in the tradition of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分門纂類)’ in order to search for the best categorization system in Sino-Korean poetry. “Pungsogwebum” was compiled to help learners effectively understand and utilize style and theme of old style verse(古詩). A large number of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were published in the Song period, many of them were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Pungsogwebum” classified poems by type in the first book, and by theme in the second book.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on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ization by theme. Thematic categorization of the “Pungsogwebum” was influenced by Chinese literature and poetry such as “Moonsun(文選),” “Yeongkiuyulsu(瀛奎律髓)”, “bunliudushi (集千家註分類杜工部詩)”, “Bunliudongpaseonsangshi(增刊校正王狀元集註分類東坡先生詩)”.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category and rank are classified in two stages, with the sub-category being placed after the subject overlaps and vague and ambiguous items are put into the class, while mainly referring to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was clarified. When viewed in the genealogy of the classification, it can be said to be located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leishu format(類書式)' and the 'fenmenzuanlei format(分門纂類式)'. “Pungsogwebum” adopts a two-level classification system, unlike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that simply list the classification items. But Pungsogwebum's classification items are rarely seen in the leishu(類書). A lot of classification items are adopted from the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There were also new items and details. Even when adopting existing classification titles, it uses its unique sense of classifi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elec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ventional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In this wa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lasses was adjusted, and the organic and linked relationships of the classes were tried to be set using a new method. It can be understood well that “Pungsogwebum” did a new search without imitating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Pungsogwebum” is a distinctive example in terms of diversity, precision, and systematic classification. Although there is a certain limit to the Chinese poetry categorization 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method presented by “Pungsogwebum” need to be used fo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Sino-Korean poetry.

      • ‘피리 부는 사나이’를 활용한 독일 하멜른 도시마케팅 연구

        임준철,조규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하멜른은 독일 니더작센(Niedersachsen)주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 6만의 중소도시이다. 하멜른은 13세기 이후 베저(weser)강을 중심으로 한 중계무역의 거점도시로 성장하였으며, 중세·근대도시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하멜른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대변하는 이야기가 ‘피리 부는 사나이(Pied Piper)’이다. ‘피리 부는 사나이(Pied Piper) 는 1284년 하멜른 지역의 아이들이 실종된 역사기록을 중심으로 한 독일의 전설(sagen)이며, 그림형제의 ’아이와 가정을 위한 메르헨 ‘(1812)에 수록된 이후 전 세계에 소개되어지기 시작하였다. 이후 현재까지 ‘피리 부는 사나이(Pied Piper) 는 전 세계적인 인지도로 바탕으로 하멜른이 도시마케팅에 활용하는 지역이야기 소재이며, 이는 독일메르헨가도에 참여하는 지자체 중에서도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본고는 ‘피리 부는 사나이’를 활용한 독일 하멜른의 도시마케팅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중소도시의 테마마케팅과 도시연합테마공동체의 의미를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독일 하멜른이 지방의 중소도시로서, 자신의 문화적 자산을 어떻게 활용하고, 이를 위해 어떠한 구체적인 전략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는 그 자체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21세기 디지털과 문화융합의 시대, 글로벌 문화교류를 통한 지자체간 문화교류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고, 콘텐츠를 통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이들의 도시연합과 테마공동체 개념을 활용하여, 한-독 지자체간 문화교류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고, 이를 통해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활용 등 다각적인 방법론이 모색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游俠詩의 類型的 傳統과 17세기 朝鮮詩壇의 游俠詩

        임준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6 한문교육논집 Vol.26 No.-

        이 논문은 17세기 들어 점증된 유협시의 특징적 양상을 유협시 유형의 전통에 비추어 살펴본 것이다. 이시기 조선의 유협시는 성당풍 추구를 위한 의고적 창작방식과 전란 전후의 특수한 역사적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일종의 문학적 현상이다. 지나친 의고성과 관습성으로 인한 한계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 환경의 변화나 시인의 내밀한 의식이 반영된 특징적인 작품들도 탄생되었다. 유몽인과 조찬한의 시에는 왜란 전후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김세렴의 시에는 광해군대의 정국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이 녹아있다. 그리고 조경과 정두경의 시에선 호란 이후 사대부들의 청에 대한 復讐雪恥의 의식이 드러난다. 이 모두는 17세기 조선의 특수한 상황이 낳은 유협시의 특징적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선행연구에 따르면, 18세기 유협전의 성립은 민간의 유협숭상으로부터 비롯된 기층문화의 상층문화로의 전이가 주된 요인이 되었다고 한다. 이와 달리 17세기 유협시의 대두는 일부의 예외는 있지만 대체로 상층문화내의 관념적 유협형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협을 주제로 한 17세기와 18세기 문학간의 이러한 차별성은 추후 검토가 필요한 과제이다. A Typological Tradition of Knight-Errant Subject Chinese Poems and 17th Century Chosun Poetical Circles's Knight-Errant Subject Poems攀 * Peking University / catcher1@hanmail.net攀攀Lim Jun-chul*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 aspects of knight-errant subject po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the Subject-Typology. This study starts from examining its term, concept, origin, trait, content and form to understand the general tradition of the genre of knight-errant subject poem. And with this standard, take a close look at the knight-errant subject poems in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The knight-errant subject poem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is a kind of literature phenomenon which is resulted from the imitation of ancient style and the historical context. Though it has its own limits, some works reflect changes of historical environment or poet's thoughts. Yoo Mong-In and Cho Chan-han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Kim Se-Ryeom expresses the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the tyranny of Kwang-hae Koon. Cho Kyeong and Cheong Doo-Kyeong express their admiration for Ming dynasty and despise of Qing dynasty. These are all resulted from the special circumstance of Chosun in the 17th century.

      • KCI등재

        朝鮮中期 漢詩에서의 ‘奇’

        임준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So far, reading of Sino-Korean poetry in Mid-Chosun Dynasty has been confined in three keywords: Tang-style, Reaction, and Romanticism. Despite of good achievement of studies so far, studies on Sino-Korean poetry in Mid-Chosun Dynasty could not get over persistance of Tang-style, excessive archism, and false romanticism, so now they have reached the limit, and are in the way of full understanding of poetry of this era. This study use ‘unusualness(奇)' as a aesthetic concept to discuss the stream of Siino-Korean poetry in mid-Chosun Dynasty. In this study, ‘unusualness(奇)’ means difference, extraordinariness, peculiarity, which is opposed to ‘rightness(正)', the literary standard of the time. Since the literary history is operated by the mutual relation of ‘rightness(正)’ and ‘unusualness(奇)’, study on ‘unusualness(奇)’ may examine the other part of the literary stream in Mid-Chosun.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dynamics of standards and anti-standards of the poetical circles of the time.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poetry of mid-Chosun also pursued the aesthetic of ‘unusualness(奇)’ through extension of poetic standard, purposal violation of poet-writing norm, and innovation of cliche images. These aspects have literary historical values as they are ‘unusualness(奇)’ compared to the ‘rightness(正)'. Also we can affirm the fallacy of the existing criticism that the Sino-Korean poetry in Mid-Chosun is stereotyped and anonymous. The ‘unusualness' in the poetry of Mid-Chosun Dynasty can be compared with that of other eras. I hope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formulaic literary history writing through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norms and deviations. 이 논문은 朝鮮中期 漢詩에 대한 기존연구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기존 연구가 거둔 상당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唐風 일변도, 과도한 擬古, 진실성 없는 낭만적 정조만으로 재단된 조선중기 한시 연구는 더 이상의 進展을 기대하기 어려운 일정한 限界狀況에 놓여 있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서 조선중기 한시의 共時的 樣相을 ‘奇’라는 미적 특수성을 중심으로 접근해 보았다. 文學史의 공시적 양상이란 결국 ‘正’(전범)과 ‘奇’(일탈)란 두 가지 因素의 拮抗을 통해서 展開된다고 할 때, 이를 究明함으로써 조선중기 한시의 또 다른 흐름을 照明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學詩 典範의 擴張, 作詩 規範에 대한 의도적 違反, 그리고 固着된 이미지의 更新을 통해 ‘奇’한 美感을 추구했음을 究明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선중기 한시가 千篇一律的이고 沒個性하다는 後代의 일부 평가와는 다른 국면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