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중기 한시(漢詩)에서의 전형(典型) 의상(意象)의 계승과 미감(美感)의 확충(Ⅱ) -변새풍(邊塞風)ㆍ유협풍(游俠風) 의상(意象)을 중심으로-

        임준철 ( Lim Jun-chu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3

        본 논문(Ⅱ)은 앞의 논문의 성과를 기반으로 朝鮮中期 漢詩에서 邊塞風ㆍ游俠風 典型 意象 繼承의 특징적인 성취를 林悌(1549~1587)와 鄭斗卿(1597~1673)의 시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林悌가 繼承한 邊塞風 意象들은 상이한 제재와 공간에 놓임으로써 새로운 색깔과 울림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시인의 내밀한 의식세계를 우회적으로 표현해 내고 있다. 林悌는 이런 意象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에서 豪俠한 美感을 擴充하고 있다. 鄭斗卿이 繼承한 游俠風 意象들은 刺客 형상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시인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그는 游俠의 정신과 행동양식의 찬양을 통해 文弱한 當時의 社會風潮를 비판하고 있다. 鄭斗卿의 시에서 游俠의 反社會的 행위와 관련된 意象들은 殘酷한 美感을 구현하고 있다. This essay(Ⅱ), on the base of prior essay, examines the middle Chosun poem's unique achievement in inheritance of typical images of Byeonsae-style and Yuhyup-style, focusing on works of Lim Je and Jung Doo-kyung. The Byeonsae-style images Lim Je inherited, placed in different surroundings with different materials, acquire new colors and sounds. These are kind of example of transformation and appropriation of cliches from Byeonsae poems of Tang Dynasty. Using these images, Lim Je expresses vigorous sense of beauty. The Yuhyup style images Jung Doo-kyung inherited, structuralized stressing on the images of assassinators which he passionately wrote, acquires new meaning in the light of historical context and inclination of his imagination. And his passion for Yuhyup goes further into his mentality and lifestyle, resulting in sensational and cruel expression which were tabooed in poem writing. Using the image of assassinator, he claims to revenge against Qing Dynasty and criticizes Chosun's weakness. Using these images, Jung Doo-kyung expresses brutal sense of beauty, which is relatively unique.

      • KCI등재

        환희시(幻戱詩) 통해 본 청대 북경의 환술(幻術) -금진수(金進洙)의 <환희연(幻戱宴> 二十八首를 중심으로-

        임준철 ( Jun Chul L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幻戱詩에 담긴 청대 북경의 환술공연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19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환술을 바라보는 시각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사용된幻戱詩란 용어는 환술 및 환술공연[幻戱]과 관련된 일체의 사항을 제재로 삼아 쓴 시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환희를 보고 쓴 산문은 환술공연 전반을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데 역점을 두는 반면, 시는 환술공연의 특징적 장면들을 포착하여 형상화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하지만, 이 글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은 金進洙(1797~1865)의 <幻戱宴> 二十八首는 일반적인 경우와는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단편적 장면의 형상화에 그치지 않고, 공연 전반에 관한 입체적 조명에 성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김진수는 紀行과 관련된 작품을 많이 남긴 중인계층의 작가이다. 그는 19세기 전반 연행을 한 뒤 <燕京雜詠>이란 燕行詩를 남겼다. 이 <연경잡영>중에 실려 있는 <幻戱宴> 二十八首는 현전 자료 중 환희를 다룬 가장 긴 연작시인 동시에, 시와 自注 그리고 黃鍾顯의 評이란 특징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김진수는 환술 공연 내용만이 아니라, 공연자와 공연환경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특히, 환술사의 비참한 처지에 동정 어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는 일정 부분 그의 신분적 한계와 무관하지 않은 감정이라 보인다. <幻戱宴> 二十八首는 한편으로 환술을 상상력의 문제와 연결시키고 ``幻夢``과 ``開眼``의 문제로 환술을 바라보고 있다. 이는 단순히 환술공연 내용을 형상화한 작품들과는 다른 본격적 환술 담론이라고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최치원의 <鄕樂雜詠> 이래 한국 한문학 자료 중엔 연희를 소재 혹은 제재로 한 많은 演戱詩들이 존재한다. 김진수의 <환희연> 이십팔수는 연희시의 역사에서 환술공연에 관한 가장 집중적이고 수준 높은 연작시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aspects of magic performance in Beijing in the Qing Dynasty and to examine the Chosun scholar``s view of magic in the 19th century. In this article, "poetry on magic performance", or "Hwanhee- poetry" indicates the poetry dealing with magic performances. In general, writings on Hwanhee foreground realistic representation of whole process of magic performance, while poetry emphasize catching and figuration of characteristic moments. But, 28 poems of Feast of Magic Performance(幻戱宴), written by Kim Jinsoo(金進洙), go far beyond simple figuration, and are very successful in full illustration of the whole performance. Kim Jinsoo is a writer from middle class, remaining several works about travel. He wrote a poem called Miscellaneous Poetry on Yanjiing(燕京雜詠) after his travel to Beijing in the early 19th century. Beside the content of magic performances, Kim Jinsoo is deeply interested in the performers and performing surroundings. Especially he felt sympathy for miserable condition of performers. This may be related to his own situation as a middle class. The works of Feast of Magic Performance(幻戱宴) relate magic performance with a problemetic of imagination, and regardit with concepts of ``magical dream(幻夢)`` and ``eye-opening(開眼)``. This is very valuable differing from the works which simply representing the contents of magic performances. There are many Korean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regarding with magic performance. Among them, 28 poems of Feast of Magic Performance(幻戱宴), written by Kim Jinsoo, are one of the most outstanding works.

      • KCI등재

        연행록 환술기사(幻術記事)를 구성하는 세 가지 층위와 환사(幻史)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이 글은 연행록 환술기사를 구성하는 세 가지 층위와 조선 사행원들이 관람한 환술 공연의 역사를 살펴본 것이다. 연행록의 환술기사는 크게 환술을 불교·도교·천주교 등 이단 종교와 관련된 것으로 보는 시각, 백성들을 현혹하여 세상을 어지럽히는 사기 수법으로 보는 시각, 그리고 공연물로서의 마술로 보는 시각 등 세 가지 층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선시대는 환술 공연이 금지되었고 이에 따라 그에 대한 인식태도 역시 부정적이었다. 18세기 이전 연행록에서는 환술 공연을 보았더라도 매우 소극적인 기술을 하는 데 그쳤다. 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층위와 관련된 이 시기 사행 지식인들의 환술 인식태도는 자연 견문한 환술을 상당 부분 은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런 태도는 18세기에 들어 환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점차적으로 변화하였다. 일부 지식인들은 세 번째 층위에서 환술을 받아들이면서 기록방식과 내용에서 이전과 다른 면모를 보였다. 홍대용이 공연원리에 관심을 둔 것이나 박지원이 환술을 가치 있는 경험대상으로 삼아 幻影에 관한 논의를 펼친 것 등이 그 대표적 예이다. 이런 진전된 관심은 한편으로 환술사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19세기 김진수는 환술공연을 주제로 한 연작시에서 공연장과 환술사에 대한 관심을 보여줬다. 특히 환술사의 비참한 삶에 주목하였는데, 이 시에 평을 단 황종현 역시 이에 대한 공분과 동정을 표시하였다. 이는 환술 속에서 공연하는 사람들을 발굴한, 또 그들의 삶에 관심을 둔 매우 드문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필자는 이런 ‘구경’ 속에서 심도 있는 인문적 성찰을 끄집어내는 것이 한문학 연구자의 소명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한갓 심심파적의 유희 속에서 조선조 몇몇 지식인들은 ‘구경’을 통해 새로운 성찰을 시작했고, 그것이 바로 우리가 환술공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이다. 필자는 앞으로 ‘구경의 인문학’이란 타이틀 아래, 이질적 문물 구경을 주제로 한 한문학 자료 속에 담긴 인문적 성찰들을 탐구해 나갈 예정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ree aspects of Yeonhangrok documents about watching magic performances and their diachronic change. There are three aspects of documents written after watching magic performances. First, relating magic performances to religious cult, like Buddhism, Daism, or Catholicism. Second, regarding them as a kind of fraud to delude the world and deceive the people. Third, regarding them as a kind of show performance. Chosun dynasty prohibited magic performance, and people had negative perceptions toward it. In Yeonhangrok documents written before 18th century, writers are passive in describing magic performances. But after 18th century, documents showing interests in magic performances increased. Hong Dae Yong showd interest in principle of magic and Park Ji Won regarded magic as a valuable experience and discussed illusion. And such interests in magic performances extended to interests in performers. In the 19the century, Kim Jin Soo wrote serial poetry about magic performance, and in these works he paied attention to miserable life of magicians. This is known as the first work that depicted magicians and their conditions of human rights abuse.

      • KCI등재

        투고논문 : 한국 화상자찬(畵像自贊)의 전형(典型)과 변주(變奏)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이 글은 한국 畵像自贊전반을 대상으로 전형적 특성과 변주 양상을 살핀 것이다. 화상자찬과 함께 自挽詩·自祭文·自撰墓誌銘·自傳등 스스로 자기인식을 재구성하고 세상에 각인시키는 글쓰기들은 예외적인 變格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글쓰기가 조선후기 들어 많은 문인들의 호응을 받아 이전보다 많이 창작되었다. 畵像自贊의 경우도 그런 예 중의 하나이다. 이런 현상의 배후에는 타인에 의해 의례적으로 지어진 畵像贊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작가의식이 개재한다. 그들은 자아형상에 대한 의미 부여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세상에 각인시키고자 했다. 畵像自贊의 글쓰기를 통해 그들은 세상에서 오해받아온 자신의 진면모를 드러내거나 알아주지 않는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알리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는 총93편에 달하는 현전 畵像自贊의 목록을 제시하고, 발굴된 자료를 중심으로 작품구조와 글쓰기 투식, 그리고 주제의 유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화상자찬의 작가들은 그림 속 정형화된 자기 형상보다는 보이지 않는 내면의 자아를 부각시키고자 노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修己를 목적으로 하는 자기성찰적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때론 의도적인 자기비하와 과시를 통해 자아를 부각시키는 방식을 취하기도 했다. 특히, 趙龜命, 權櫶, 姜世晃, 李彦琠 화상자찬은 전형적 글쓰기 방식과 주제를 의도적으로 비틀어 자신이 목적하는 새로운 자아형상을 수립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요컨대 화상자찬은 자아형상에 관한 시각적 경험을 자의식의 磁場안에 끌어들여 새롭게 표현해낸 독특한 글쓰기 방식이었다고 규정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rchetypal feature and varition of Korean self-praise on portrait. Self-praise on portrait, along with self-eulogy, self-epitaph, self-funeral oration and autobiography, is a very excep- tional type of writing that reshapes the recognition on oneself. Writers in Chosun Dynasty were interested in these types of writings and created a lot works. This phenomenon is based on writer`s will to overcome the limits of conventional writings on portrait. They tried to express themselves as the way they wanted. With creating self-praise on portrait, they wanted to show their real value that were not fully appreciated. I listed 93 existing self-praise on portrait works, and analyzed the structure and traits of them. The writers of self-praise on portrait denied the self-image reflected in the portrait and struggled to emphasize the inner-self. They usually showed the tendency of self-reflection, while sometimes trying to show off themselves.

      • KCI등재

        역사문화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 연구

        임준철(Junchul L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9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개발 사업에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별 지자체들이 권역 내 역사문화 소재를 활용한 브랜딩 및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역사문화 소재는 오랫동안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가치와 연동하면서, 일반인들이 생활문화 속에서 쉽게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자체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면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차별적인 지역 문화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력적인 소재임에 틀림없다. 현재 개별 지자체들이 버링고 있는 역사문화소재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 사업 은 권역 내 문화자원을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서 콘텐츠로 구상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수익모델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 역사문화 소재의 경우, 특정 지자체에 독점적으로 귀속된다기 보다는 다양한 지자체가 활영할 수 있는 개연성을 가지며, 이에 개별 지자체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이를 다루는 양상이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공공재 성격을 가지는 역사문화 소재를 특정 지자체가 독점하려는 과정 속에서, 하나의 소재를 가지고 지역 간 치열한 소유 경쟁을 벌이는 모습마저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역사문화 소재를 다루는 관점 및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며, 현재 시점에서 지자체 간 상생발전의 의미를 재정위하고, 그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 볼 필요 또한 가지게 한다. 본 연구는 시대 가치를 담은 미디어로서 역사문화 소재가 지니는 핵심 테마와 콘텐츠를 복수의 지자체들이 공유하고, 이를 차별적으로 개별 도시마케팅에 활용하는 지자체 간 유기적인 공동체 운영모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국내 지자체들이 역사문화 소재 핵심 테마를 공유하면서 유기적으로 연합할 수 있도록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의 개념을 독일 테마가도 및 메르헨스트라세 사례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국내 지자체 및 미디어 환경에 맞게 수용하면서 역사문화 소재 뉴콘텐츠를 활용한 한국형 도시연합 테마 공동체 운영모델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기로 하겠다. As public interest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planning and developing projects using local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s growing,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branding and marketing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ir regions.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 material that ordinary people can easily relate to in life and culture while linking with the values that dominate our daily life for a long time. In addition, for local governments, it is undoubtedly an attractive material in that it can solidify their identity and elicit the sense of beloning of community members. The cultural content developing project us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s to shape cultural resources in the region into contents as a tool for revitalizing cultural tourism, thereby creating a business model that can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in the case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historical facts, it is possible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can utilize it rather than being exclusively attributed to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it is true that the handling of them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a specific local government trying to monopolize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good, fierce competition for ownership of one material is even seen between region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dealing with the existing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mutually beneficial development.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organic community operation model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local governments share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as media containing the values of the times, and use them for individual city marketing differently. The concept of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model was derived from the German case so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organically unite while sharing the core themes of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t could show operating model of K-style inter-city theme sharing community .

      • KCI등재

        지류(支流)와 환류(還流): 자전문학(自傳文學)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자만시(自挽詩)

        임준철 ( Lim Jun Chu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6 No.-

        이 글은 자전문학의 관점에서 조선시대 자만시의 특성을 살핀 것이다. 자만시를 자전문학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느냐란 문제는 분명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문제다. 하지만, 현대 학계의 자전문학 규정 방식이나 동아시아 문학전통의 실상에 비추어 볼 때 자전문학과 자만시는 매우 가깝거나 동종의 문학양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하지만 자만시는 다른 자전문학과 차이도 있다. 자만시에서 시적 화자인 `나` 와 죽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나`는 시를 쓰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텍스트 내적 자아이지만, 그 가공의 내가 현실을 살아가는 `나`를 규정하고 만들어낸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시인의 삶과 자만시가 서로 맞물려 있다는 의미에서 자만시라는 글쓰기는 일종의 자기형상 창조라고 볼 수 있다. 이런 특성이 십분 발휘될 때 다른 자전문학에서 보기 힘든 복합적인 혼성(hybrid)의 자아가 형성되고 그것이 독특한 자아표현 방식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자만시는 동아시아 한문학사에서 자전문학이란 흐름 속에서 갈려 나온 支流이다. 하지만, 그 지류는 본류와는 다른 문학적 환경과 수사적 특성으로 인해 나름의 변화된 흐름을 형성하였다. 특히 남효온의 「자만 4장」과 후기에 들어 점증한 예외적 작품들은 조선시대 자만시의 還流的 성격을 잘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 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re is disagreement am ong researchers regarding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can view self elegy poetry as a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However, in light of contemporary scholars ` rules of defining literature and the traditions of Asian literatur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and self-elegy poetry can be regarded as a very near literary form. However, self-elegy poetry has its own way of self expression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author, "Me" and anothe r "me", who is set to be dead, are the egos inside the text, but these fictional "me "s can define and produce the "me" in the real world. When this characteristic is fully attained, a hybrid alter ego of self-elegy poetry is formed in a more complex form of hybrid than other forms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Self-elegy poetry is a kind of tributary divided from the mainstream of autobiogr aphical literature. At the same time, self-elegy poetry of the Joseon Dynasty also is a tributary of the main stream of self-elegy poetry tradition since Wei, Jin, Souther 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However, the tributary formed their own v aried streams due to differing currents and sources from that of the origin. In parti cular, Nam Hyo-on(南孝溫)`s work “Self-elegy Chapter 4(「自挽 4章」)”and the incre asing of these exceptional works represent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self-el egy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일반논문 : 『陶靖節集(도정절집)』과 조선시대 自挽詩(자만시) -<擬挽歌辭三首(의만가사삼수)>의 수용 경로를 중심으로-

        임준철 ( Jun Chul L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는 주로 조선시대 간행되거나 通行本으로 유통된 도연명 문집을 통해 조선시대 문인들에게 수용되었다. 중국본의 유입상황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간행된 도연명집의 판본은 전기가 5종, 후기가 2종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유형원 개인이 편찬한 필사본이 1종 전한다. 또 도연명의 문집은 아니지만, 그의 시와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精刊補註 東坡和陶詩話』가 전기 <擬挽歌辭> 수용에 一翼을 담당했다. 이 글에선 조선시대 刊本 및 通行本에 수록된 도연명의 <擬挽歌辭三首>에대한 문헌적 검토를 바탕으로, 이 작품이 조선 전기 문인들에게 수용된 경로와 그것이 자만시 창작에 미친 영향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 비해 후기 간본이 가진 한계로 인해 후기 자만시 창작이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전기의 경우 蘇軾의 和陶詩에 대한 주석과 비평서 성격의 『精刊補注東坡和陶詩話』가 도연명에 대한 재인식은 물론 자만시 창작에 미친영향이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조선시대 문인들의 도연명 <의만가사> 수용 경로가 모두 이같이 분명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글은 <의만가사삼수>에만 초점을 맞추어 검토했던 까닭에 거시적인 부분에선 충분한 논의를 진행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런 문제점들은 앞으로 조선 간본 도연명집에 대한 종합적 검토와 함께 보완될 필요가 있다. Tao Yuanming`s Trilogy of Pseudo Self-elegy(擬挽歌辭三首, hereinafter “Trilogy”) were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mainly through several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 some were published in Joseon, some were imported from China. Though it is not known exactly how Chinese versions were imported, according to the data until now, there are five versions of Tao Yuanming Anthology published in early Joseon and two in late Joseon. And there also is a manuscript by Yoo Hyong-won. In addition to it, Comments on Dongpo`s Responsive Poetry to Tao Yuanming with Fine Print and Supplemented Notes (精刊補註東坡 和陶詩話, hereinafter “Comments”) had an influence on reception of Trilog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ao Yuanming’s Trilogy in several editions in Joseon to figure out how this work was introduced to Joseon literati and how it influenced on Self-elegy writings of Joseon. As a result, I assume Self-elegy writings in late Joseon are biased due to the limits of versions distrubuted in that era. And in early Joseon, the Comments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of Tao Yuanming and Self-elegy writings. But it need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how Joseon literati received Tao Yuanming`s Trilogy.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Trilogy, so did not fully progress discussion from the wider perspective. These problems will be complemented with further examinations on Tao Yuanming Anthology publications in Joseon Dynasty in progress.

      • KCI등재

        『分類補注李太白詩』의 조선시대 수용 양상Ⅰ ―전·중기를 중심으로―

        임준철 ( Lim Jun-Chu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3 No.-

        이 글은 한국에서의 이백 시 수용 연구 일환으로 현전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이백시집 판본이자 주석서인 『分類補注李太白詩』의 조선 전·중기 수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백은 우리 한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작가 중의 한 사람이지만, 개별 문인들이 어떤 책을 통해 수용하였던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검증된 바가 없다. 이 글에서는 조선 초기 이래 이백 시 주석서 및 시집으로 큰 영향을 미쳤던 『分類補注李太白詩』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여 다음 네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판본 간 수록된 내용에 차이가 있는 작품들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조선 중기까지 『분류보주이태백시』의 내용이 주로 수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점은 이 책이 조선시대 문인들의 이백 이해에 주요한 준거가 되었음을 증명한다. 둘째, 『分類補注李太白詩』와 다른 이본 계열이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발견되었다. 조선 전기 金安老가 『希樂堂稿』에 自註할 때 활용한 이백 시는 현재 전하는 異本들과도 차이가 있다. 셋째, 『風騷軌範』과 같은 이백 시 선별 작업에 『분류보주이태백시』가 기준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풍소궤범』에선 『분류보주이태백시』의 분류방식을 제한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대체로 새로운 방식으로 이백 시를 재분류하였다. 넷째, 조선 중기 『지봉유설』과 『오산설림』의 이백 시 비평 내용을 통해 『分類補注李太白詩』의 주석이 이 시기까지 이백 작품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도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들이 本注라고 말한 것은 모두 楊齊賢이나 蕭士贇의 주석을 가리켰다. 하지만 이수광과 차천로는 주석의 문제점들도 함께 지적하였으며 나름의 주석을 추가하기도 했다. 『지봉유설』의 경우 명나라 唐汝詢의 『唐詩解』 같은 새로운 이백 시주석이 『분류보주이태백시』의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Classified and Annotated Poems of Li Taibai(CAPL: 分類補 注李太白詩)", the earliest commentary that is currently in existence, was accepted in the early and mid-Joseon period. This is a part of the study on the acceptance of Li Bai(李白)’s poetry in Korea. Li Bai is one of the writers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our Sino-Korean literature, but it has not been specifically verified through what books individual writers accepted.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ere reached by approaching this issue, 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CAPL", which had a great influence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First, I reviewed several editions of works that differ in the cont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CAPL" were mainly accepted until the mid-Joseon Dynasty. It proves that this book served as a major criterion for the understanding of Li Bai to the lierati in Joseon Dynasty. Seco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ries of editions that differ from "CAPL" were introduced. The poem Kim Anro (金安老) quotated to annotate " Heelakdanggo (希樂堂稿)" is different from the various other editions present until now.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APL" set the standard for selection of Li Bai poetry such as "Pungsogwebum(PSWB: 風騷軌範)", "PSWB" accepted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CAPL" in a limited way, to reclassify Li Bai’s works in a new way. Fourth, through and "Osanseollim (五山說林)" and"Jibongliuseol (芝峯類說)" , it was confirmed that CAPL's annotation wa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tool to understand Li Bai works until that period. What they call “original annotation” were comments of Yang Qixian (楊齊賢) or Xiao Shiyun (蕭士贇). However, Lee Soo-kwang (李睟光) and Cha cheon-ro (車天輅) also pointed out problems of annotations and even added their own annotations. "Jibongliuseol (芝峯類說)" even suggested Tangruxun (唐汝詢)’s "Tangshijie (唐詩解)" as an alternative to "CAPL".

      • KCI등재

        한시 의상(意象) 통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해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임준철 ( Lim¸ Jun-chu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3 No.-

        이 글은 향후 한국 한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할 때 참고하기 위해 意象/이미지 통계분석 관련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미국의 Burton Watson은 『唐詩三百首』를 대상으로 樹木類, 草類, 花類, 鳥類, 獸類, 蟲類, 天體類, 날씨류, 山類, 水類, 계절류라는 분류기준으로 이미지 사용 통계를 내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자연 이미지에서 特稱보다 總稱이 우위에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Watson의 통계는 낱글자 어휘만을 기준으로 삼아서 이미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홍콩의 鄭樹森(William Tay)은 Watson의 통계방식으로는 이미지의 구체성을 판별할 방법이 없다고 비판하고, 葉維廉의 영역본 『王維詩選』을 텍스트로 王維 시 자연 이미지에 대한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는 Watson과 달리 수식어가 있는 경우와 수식어가 없는 경우로 나누어 통계를 냈다. 鄭樹森은 왕유의 시에서 묘사어가 없는 ‘구체적인’ 자연 이미지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은 英詩와는 다른 점인데, 이는 한시가 지닌 표현상의 특징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그 역시 이런 한시의 표현 특수성을 드러낼 통계 방법을 찾지는 못하였다. 한편 미국의 Marie Chan은 특정 주제 시의 이미지에 관심을 두었다. 그녀는 Watson의 논의를 바탕으로 『唐詩別裁集』에 수록된 岑參 邊塞詩의 특성을 통계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그녀는 먼저 당대 변새시의 반복적인 패턴을 살핀 뒤, 잠참의 변새시에서도 마찬가지 관습이 발견됨을 증명하였다. Chan은 잠참의 변새시의 독창성이 전통적인 모티브를 나름의 방식으로 수정한 데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정작 그녀의 통계결과는 잠참 변새시의 특색을 드러내는 데 한계를 보였다. 중국의 陳植鍔은 이상 이미지 통계분석 방법을 대표성을 갖춘 시인의 한시 전반에 적용하였다. 그는 杜甫 시 전체를 대상으로 意象의 특성을 다음 세 가지 방면에서 살폈다. 첫째 Watson과 鄭樹森의 연구를 확장하여 ‘花’·‘鳥’·‘山’·‘水’ 유형의 總稱과 特稱 의상을 분석하여 총칭의 사용 빈도가 관련 특칭의 사용 빈도의 합보다 크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둘째 유형별 사용 빈도가 높은 의상들을 분석하여 시인의 의상 활용이 실제 경험을 반영하기보다 主觀象喩性[주관적 비유성], 遞相沿襲性[전대에서 후대로의 계승성], 多義歧解性[다양한 의미와 해석의 개방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남을 증명하였다. 셋째 계절, 시간, 날씨 의상 통계를 통해 일부 작품만을 대상으로 수행한 Watson의 假說을 좀 더 구체적으로 증명해냈다. 다만, 분석대상이 두보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한시 의상의 계보 속에서 두보 시의 특수성을 究明하지는 못했다. 이상 연구의 성과와 한계는 오늘날의 연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시사한다. 첫째, 통계 대상자료의 범위와 성격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낱글자보다는 수식어를 포함한 두 글자 이상의 어휘를 통계내는 편이 효율적이다. 셋째, 의상/이미지를 분석할 때 명사만이 아니라 동사·형용사를 포함한 술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넷째 한시의 典故, 節奏, 用韻과 對仗의 특성을 고려한 의상/이미지 표제어 추출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용 빈도의 많고 적음이 시인/작품의 특성을 판정하는 결정적인 근거가 될 수 없으므로, 작품 실질에 입각한 통계 해석시각이 확보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research results related to statistical analysis of images and derives future tasks for reference when building a Sino-Korean poetry database in the future. Burton Watson compiled statistics on image usage of 300 Tang Poem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four seasons, weather, land formations, water(and related images), heavenly bodies, tree, flower, plant, bird and insect. Based on this, he explained that in the nature image at the time, the generic name was superior to the specific name. William Tay criticized Watson's statistical method for no way to determine the specificity of the image. He supplemented the problems of Burton Watson's statistical method, attempting to analyze statistics on natural images of the poetry of Wang Wei. Unlike Watson, he made statistics by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one with modifiers and one without modifier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natural images without descriptions in Wang Wei's poems is very high is different from that of British poetry, which is characterized by expression due to limitations such as length. Meanwhile, Marie Chan was interested in images of certain topics. Based on Watson's discussion, she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rontier Poems of Cen Shen. She proved that there is some sort of conventional phenomenon in Cen Shen’s works, which has been highly praised by previous critics.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conventional phenomenon found in Cen Shen’s works is found throughout the Frontier Poems of the time, and that there are more depictions of nature in the Frontier Poems than depictions of war. Chen Zhi’e has applied the above image statistical method throughout the target text. H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throughout the city in three ways: First, He extended the research of Watson and Tay to analyze the general images and special images of flowers, birds, mountains and water, proving that the frequency of use of general images is greater than the sum of related special images. Second, he analyzed frequently used images to demonstrate that the poet's use of images tended to be a subjective metaphor rather than a reflection of actual experience,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heritan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penness of various meanings and interpretation were prominent. Third, statistics of season, time, and weather image proved more empirically hypothesis claimed by Watson and others.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image research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or today's researchers.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cope of statistical data. Second, it is more efficient to statize more than two words of vocabulary, including modifiers, rather than single words. Third, the frequency of images does not provide a clear basis for understanding poets or works. Fourth, consideration of verbs/predicates, including modifiers, is essential when analyzing images. Fifth, it is necessary to extract image titl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rhyme and antithesis of Chinese Poetry.

      • 韓ㆍ美ㆍ日 성공 CEO의 리더십 능력요인과 유형에 관한 연구

        임준철(Jun Cheol Lim),윤정구(Jeong Koo Yoon) 대한리더십학회 2004 리더십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한ㆍ미ㆍ일 성공 CBO 55명을 선정하여 이들이 가지는 리더십 능력요인의 및 유형분류를 흉하여 성공 CEO들이 가지는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더불어 한 미 일 CEO 리더십의 비교문화적 측면에서 분서결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찾아내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문헌의 고찰을 통해 설제된 49가지 리더십 조사항목에 대해 내용분석 기법을 응요하여 성공 CEO의 리더십 능력요인으로서 기초능력에 대해 인내, 개척, 모탈요인이 업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추진력, 관리력, 위험감수, 인간관계, 학습능력의 8가지가 규명되었다. 그러고 CEO리더십을 CEO가 가지고 있는 기초능력과 업무수행능력이 배경이 되어 나타나는 경영관리 행위의 총체적 특성이라고 정의하고 성공 CEO의 리더십 유행에 관계지향형, 효율, 전략지향형, 글로벌 확대지향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려한 4가지 CEO리더십 유형이 인구통제변수 인 국가, 산업, 세대별로 특징적인 분포를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미일 성공 CEO의 리더십 비교분석 결과들이 한국 기업의 CEO 리더십 관련 경영정책과 관행에 어떤 실용적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토론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55 successful CEOs in Korea, USA, and Japan. The prime goal is to draw some communality underlying their leadership abilities and management styles. Another goal is to examine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se characteristics among CEOs. Through content analysis, each CEO's leadership was evaluated over the 49 variables drawn from various leadership studies. Factor analysis over the evaluation data confirmed three basic personality traits and five task-related abilities the successful CEOs commonly show. The three personality traits include perseverance, pioneer spirit, and strong morality, whereas the five task-related abilities include driving force, administrative skills, risk taking, relational skills, and learning capability. Again built upon each CEO's management styles which are shown by these eight constructs, this study generated a conceptual typology of four distinctive leadership styles: (1) human relation oriented, (2) efficiency and strategy oriented, (3) competency oriented, and (4) globalization oriented styles. This study also subjected these leadership styles to various analyses to examine any cross-cultural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ountries CEOs in addition to generational and industrial differences.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more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