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 : 우탁 시조 작품의 창작 맥락과 함의

        임주탁 ( Ju Tak Yim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이 연구는 우탁(1262-1342) 시조 작품의 창작 맥락을 추론하여 창작 의도 를 새로이 해석한 것이다. 우탁의 시조 작품을 3편으로 비정한 다음, 3편의 작품이 다루고 있는 늙음의 문제를 인간이면 누구나 사유하는 상으로 환 원하여 접근했던 방법을 지양하고 작가의 정치적 행보와의 연관성 속에서 창작 맥락을 추론하는 방법을 적용하다. 언어 텍스트 분석을 통해 세 작품 이 사뭇 다른 정서를 아울러 함축하고 있으면서도 상호 연관성을 지니고 있 음을 확인하고, 우탁의 정치적 행보에서 각 작품에 함축된 정서를 가졌을 법한 시기를 추정하다. 그 결과 실제로 늙음의 문제가 보편적 사유의 상 이 아니라 우탁이 자신의 정치적 행보의 결정에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던 문제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의 정치적 행보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한 타자의 공감이 필요할 때마다 시조 작품을 통해 사회적 소통을 시도하음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확인과 추론을 바탕으로 3편의 작품에 함축된 작가의 창작 의도를 새로이 해석했다. 첫째, 시조 <훈 손에>는 “한 손에 도끼들 들고 한 손에 상소를 들고” 충선왕의 폐행을 극간(極諫)했던 우탁이 늙음을 명분으로 내세 워 관직에서 물러나고 또 충숙왕의 재소환에도 응하지 않은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려는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 젊은 시절의 행동에 한 자기 패러디 를 통해 극명하게 비되는 늙은 시절의 무기력한 모습을 자기 패러디를 통 해 우스꽝스럽게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시조 <춘산(春山)에>는 연로(年老)를 관직에 나 가지 않는 명분이라고 천명했던 우탁이 다시 관직에 나가고자 결심했던 시 기에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차원에서 창작되었다. 이전과는 상반되는 자신의 정치적 행보를 합리화하고 그 선택에 해 타자들도 공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시조 <늙지>는 시조 <춘산(春山)에> 에서 나타낸 자신의 의지 표명에 한 자기 패러디를 통해 늘그막에 의리지 학의 실천을 추구했던 정치적 행보가 실제적으로 부적절한 판단이었음을 솔 직히 인정하고 젊은이들에게 부끄러운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자기 합리화를 꾀하는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 결과는 작가 문제를 확정적으로 해결할 만큼 관련 정보가 충 분하지 않고 우탁의 행적이 연기적으로 온전하게 복원할 만한 정보가 충 분하지 않아 상당한 전제를 안고 있기는 하지만 작가 문제와 우탁의 연기 적 행적에 한 논의가 실상에 다가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편의 시조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늙음의 문제가 인간 보편의 사유 상이 아니라 우탁에게 각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제이었음과, 3편의 시조 작품의 함의가 우탁이라는 인물의 정치적 행보와의 관련 속에서 유기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작품에 한 논의를 확대·심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life of U Tak (1262-1342) by interpreting the context in which he wrote his Sijo works. Three works were selected which linked the issue of aging and U Tak’s political life and actions. The first poem “ Han Sone Gasi Deulgo ” (Taking a thorn in one hand), a self-parody, implies U-Tak’s intention to rationalize his early retirement from political office. He once had been faithfully devoted to King Chungseon, “holding an ax in one hand and an appeal in the other hand” but he resigned from his government service by declining the next King’s request for reinstatement on the basis of his old age. The second poem “ C h u n s a n e N u n N o g i n e u n B a r a m ” (The wind melting snow of mountains in the spring) restates U-Tak ’s reason of old age for not reentering into government service however it also implies he later changed his mind and wanted to return to his position but by that time he was too old. The third poem “ N e u l kji M a l r e o i g o ” (Trying not to get older) contains U Tak’s admission that practicing Neo-Confucianism was not appropriate and expresses a sense of guilt through self-parody in “ C h u n s a n e N u n N o g i n e u n Baram ”. Based on the text analysis, the author expresses different feelings at different stages in his political life and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U-Tak tried to communicate with readers in the form of poetry when he needed some social sympathy to justify his political actions.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accurately plot U Tak’s life chronologically it does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his writing through his issues surrounding aging. This study also provides contributions to the literary discussion by interpreting these three poems in more multilateral view in the way of connecting the undertones with the author’s political actions.

      • KCI등재

        국어교과의 고전시가 작품 수용에 대한 비판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Ta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이 논문은 국어교육의 장에서 고전시가 작품이 소통의 매개로 기능하는 길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현행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시가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의 전제가 되는 작품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지를 살폈다. 그 결과 해당 작품들은 언어 텍스트 자체가 부적절하게 제시되어 있거나(, , , , ), 비교적 적절하게 제시되어 있더라도 작품에 대해 가지는 기본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는 일차적으로는 국어교육의 주체, 특히 교과서를 제작하는 주체가 고전시가 연구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수용하는 과정이 결여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되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고전시가 연구 주체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고전시가 작품이 학습자의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언어 텍스트가 학습자의 조건에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수준의 주석 및 주해 작업과 아울러 연구 부분에서 제기된 이론의 정합성과 적합성을 따지는 검증 작업이 무엇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cultivate how teacher and students communicate their own thoughts about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 each others in class of Korean education of highschool course. For it, I scrutinize if they are able to understand the lingual texts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 texts put in the textbooks, for appreciating their meanings. As the result, there is no work which meaning is sufficiently understood by teachers and students by themselves. So teacher and students could not find ways in which they have their own thoughts about thouse works, Seodong-yo, Cheongsan-byeolgok, Eobusasi-sa, and etc. I find out that the reason is as follows, (1) researchers who have studied the same work have seldom communicated their own thoughts each others (2) researchers and course-makers have not understand each others. Thus, I propose the way in which teacher and students communicate their own thoughts about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 each others in class of Korean education like this, (1) We should seek more textbooks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 which meanings teachers and students could appreciate by themselves (2) Not only researchers but also teachers should try to verify all the assumption or theories which have been cultivated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 (3) All the subjects who are related to it have to broaden the way in which they communicate their thoughts each others.

      • KCI등재

        이야기 문맥을 고려한 황진이 시조의 새로운 해석

        임주탁(Yim Ju-tak) 우리말글학회 2006 우리말 글 Vol.38 No.-

        Ji-ni Hwang(黃眞伊) has not only been a favorite female author but also been a skillful writer of Korean poems in the period of Joseon(朝鮮) dynasty up to now. But what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have made her and her works been famous is not elucidated so clearly. Thus I tried to read 5 works of her newly considering with their story contexts along which they have been transmitted. As the results, I could find out two facts; one is that when we approach to her works without such notion that most of her works are love or farewell songs we can catch their meaning more deeply and more accurately, the other is that she had a extraordinary capacity(mental perception) with which she could scan the other man's mind and its stream. So I suggest that we should evaluate her authority in Korean classical poetry with the two results.

      • KCI등재

        명칭가곡 수용의 양상과 의미

        임주탁(Yim, Ju-Tak)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1 No.-

        명나라 태종대에 제작된 명칭가곡이 우리나라에 수용된 과정과 논리, 그리고 끼친 영향 등을 살핀 논문이다. 억불숭유를 정책기조로 삼은 조선이 세종대에 이르러 불교를 수용하고 궁궐에까지 사찰을 창건하는 등 종교사상적 측면에서 포용적인 정책을 추진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노래 특히 신이한 사적을 담은 노래를 제작하는 등 문학 문화사적 측면에서 유가적 합리주의에 배치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그 원인이 명칭가곡을 비롯한 불서의 수용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유학을 신봉하는 관료들이 명칭가곡과 같은 불곡의 수용 여부를 둘러싼 논쟁의 과정에서 종교적 내용보다 이소사대(以小事大)의 원칙을 더 중시하여 수용을 표방하는데, 이는 종교사상에 대한 세종의 포용적인 정책 추진을 가능하게 했다. 단박에 모든 인민의 신앙을 바꿀 수 없다면 비록 이단이라 하더라도 인정하고 포용할 수밖에 없다는 논리가 힘을 얻으면서 세종은 불교와 도교 등 다양한 종교사상을 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포용 정책은 유학자들로 하여금 부분적인 반발을 싸게 했지만 대부분의 유학자들은 유가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사상을 통합하는 길을 모색하게끔 했다. 그 과정에서 부각된 것이 한림별곡이다. 명칭가곡의 수용은 또한 신승전을 비롯한 불서들의 수용으로 이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유학자들은, 신승전이 명승들이 성(聖)이 되고 신(神)이 되는 까닭을 인민들에게 이해시킬 목적에서 지어졌듯이, 조선 왕조를 연 새로운 왕실의 조상들이 성이 되고 신이 되는 까닭을 이해시킬 목적에서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그에 조응하여 세종은 한문을 깨치지 못하고 한어로 노래를 부를 수 없는 인민들이 부처를 존숭할 수 있도록 부처가 성이 되고 신이 되는 까닭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사적인 이야기를 노래로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월인천강지곡이다. 이렇게 명칭가곡의 수용은 세종대의 통치 방향은 물론 문화 상황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how the Mingcheng-gequ (名稱歌曲), which had been created by King Taizong (太宗), the second of Ming China (明), in 1417, was accepted and what influences there were in Joseon Korea (朝鮮). The Mingcheng-gequ was a sort of Buddhist music, but different from other ones. Its texts were composed of all the names of Buddha who had been appeared in the world with different names by the times. Ming China could not exercise religious influences to Joseon Korea because of its toadyism toward it, but by giving many copies of Mingcheng-gequ to Joseon Korea, it did so. It gave King Taejong (太宗), the third of Joseon Korea, troublesome problems because he had declared to his people that he would cherish Confucianism by laying restraint on Buddhism. He, however, could not say no. Most Confucian bureaucratic governors could not say no too because they all had cherished worshipping Ming China much more than laying restraint on Buddhism. Joseon Korea under King Sejong (世宗) regime, accepted all the copies of Mingcheng-gequ and spread to most temples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By here, there were several phases through which he cultivated several logics against most Confucianists. An important logic was that if they could not reject Mingcheng-gequ nor keep the people from all the teachings of Buddhism, they had to invent a new way of reign, the way which include all of them. Owing to this logic, many new songs of different forms were made even by Confucianists under King Sejong regime. Through this paper, we know why most new versions of Hallim-byeolgok (翰林別曲), like Sangdae-byeolgok (霜臺別曲), Hwasan-byeolgok (華山別曲), and etc. were created in the period, why Confucianists at that times participated in creating such new songs and Yongbieocheon-ga (龍飛御天歌), and why and how King Sejong made a version of Buddhist song like Worincheongangjigok (月印千江之曲).

      • KCI등재

        『시경』 시학의 맥락을 통해 본 시와 노래의 특성

        임주탁(Yim, Ju-Tak)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6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lication of discussions on poetry and song in the Shijing poetics for understanding Korean classic poems and songs. The Shijing psalms were things that were used to creat the message of the King (World head) with abstract symbols used for cognitive communication and that were transformed into the speech of song adapted to the rule of the King’s music, media of emo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 people. The mind of King who was the only person who correctly interpreted Heaven’s message, implied informs of the interpreted message, poem, was made to be accepted by the people of the world through the sense and perception of objects and matters, an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leasure implied in the rule of music. The Shijing was a legacy created to communicate and create the way to harmonize with everything in the world. For the monarchs who dreamed of a world order centered on one country, the Shijing was admired as Bible, because it seemed to imply what neutralizable physical properties embodyed by King Wenwang 文王 who had been evaluated a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opening of the Zhou dynasty,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time when the dream came true, were, and how they were expressed as reflections on the ruler while changing the people’s habitual personalities from region to region. Of course, the reality that the monarchs who had dreamed of such a dream faced wa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times, and the music rule that was the basis of the psalm was not fully transmitted later. However, with such a dream, the monarch made an effort to restore the music rules of the King, and pass on his intellect as new one of the King’s to the people of the world to keep them. As a result, it seems that poetry and song were actually separated, but it was not different in that they used poetry and song as a means to change people’s minds and capture their repercussions. In successive Korean dynasties, the King’s music was determin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in Chinese ones and used as means of up-and-down communication. In this respect, Korean classic songs with speech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particular, seem legacy of the Kings’ rule of music by which they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in the dynasties where they dreamed of becoming one of the King, change the people to have a heart that conformed to the will of the King, and capture repercussions of the people about their ruling. 이 글은 『시경』 시학의 시와 노래에 관한 논의가 시각적 텍스트로 전하는 근대 이전 한국의 시가를 이해하는 데 시사하는 바를 탐색해 본 것이다. 우리는 시와 노래를 구분하지 않고 있지만 시가 곧 노래가 아니고 노래가 곧 시는 아님도 분명하다. 『시경』 시편은 인지적 소통에 쓰던 그림을 추상화한 기호로 메시지를 만들어내던 시를 ‘왕자(王者)의 악(樂)’의 절도에 맞춘 노래의 말소리로 변환하도록 함으로써 인지적 소통과 감정적 소통 기능을 극대화한 ‘가시(歌詩)’였다. ‘왕자’는 하늘의 메시지를 바르게 해석하는 ‘유일’한 사람인데, 그 해석된 메시지에 함축된 ‘왕자’의 마음 곧 지(志)를 천하 인민이 물상(物象)과 물사(物事)의 감각과 지각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고 악의 절도(節度)에 함축된 쾌락 원리에 따라 상하 소통하며 천하 만물과 서로 어울리는 길을 만들기 위해 만든 유산이었다. 그런 까닭에 일국 중심의 세계 질서를 꿈꾸던 군주들에게 『시경』 시편은 그 꿈이 실현된 시대로 평가하는 주나라 시대를 여는 기초를 다졌다고 평가되는 주문왕(周文王)이 체화했던 ‘중화(中和)의 물성(物性)’(덕(德))이 무엇인지, 그것이 지역에 따라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민의 습성을 변화하면서 통치자에 대한 반향으로 표현되었는지를 탐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경전이었다. 물론 그런 꿈을 꾸었던 군주들이 맞닥뜨린 현실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사뭇 달랐고, 『시경』 시편의 바탕이 되는 악률은 온전하게 전승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런 꿈을 군주는 그 악률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새로운 ‘왕자’로서 자신의 지(志)를 천하 인민에게 전하여 간직하게 하는 노력을 경주했다. 그 결과 시와 노래가 실제로는 분리된 듯하지만, 시와 노래를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그 반향을 담아내는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았다. 한국의 역대 왕조에서도 중원에서와 흡사한 방식으로 ‘왕자의 악’을 정하여 상하 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런 점에서 고시가 특히 중원의 시와 다른 말소리 특성을 가지는 노래 또한 ‘왕자’의 꿈을 꾸던 왕조에서 인민과 소통하며 인민을 ‘왕자’의 지(志)에 부합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변화하고 그 반향을 담아냈던 가악(歌樂)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고시가를 이해하는 데에는 특히 새로운 가악이 만들어지는 맥락을 세밀하게 살피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홍낭 시조의 평가ㆍ해석과 창작 맥락

        임주탁(Yim, Ju-Ta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이 논문은 홍낭의 시조 「묏버들」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남성중심주의에 바탕을 둔 미학주의의 시각과 논리에 따라 이루어져 왔음을 확인하고, 창작 맥락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들을 새롭게 분석하여 그러한 시각과 논리에서 벗어나 작품에 접근하는 길을 모색해 본 것이다. 「묏버들」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예술성, 작품성에 집약되었고, 그러한 논의는 예기(藝妓)로서의 홍낭의 존재를 드러내는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묏버들」의 예술성, 작품성에 관한 논의들은 충분한 근거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창작 맥락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에 대한 분석이 소홀하였다. 그런 까닭에 그러한 논의들에서 부각시키고 있는 핵심 논거들은 해당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와 상충되는 것이 적지 않았다. 해당 자료들을 분석하고 종합해 본 결과, 「묏버들」은 짧지 않은 동안 최경창의 시기(侍妓) 생활을 하였던 홍낭이 그와 이별한 뒤에 찾아온 미래 생활(기녀로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창작되었다. 자신을 잊지 않고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함으로써 그 불안감을 해소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한때 정인(情人) 관계에 있던 관료에게 기녀들이 꺾어 건넸던 버들을 꺾어 보내고자 하였지만, 이별한 곳이 산속이고 이별한 시기가 버들에 새 잎이 나기에는 이른 때였기에 산버들을 골라 꺾어 보내면서 자신의 심경을 담담하게 토로한 것이다. 최경창은 그러한 홍낭의 심경을 읽어냈고, 오로지 홍낭만이 심중에 자리하고 있음을 「번방곡」을 통해 우회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불안감을 해소해 주고자 하였다. 이후 가첩(家妾)으로 삼은 홍낭을 돌려보낼 때 지어준 「증별」을 통해서는 더 이상 불안감에 휩싸이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반응들은 「묏버들」이 최경창의 마음을 확인하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음을 말해 준다. 이 논문이 홍낭 시조뿐 아니라 기녀시조 연구의 시각과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새로운 논의의 길을 열어가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identifies contradictions in perspective and logic of aestheticism based on androcentrismn in academic discussions on the Sijo 時調 piece entitled Moet-Beodeul 묏버들(wild willow) and seeks to resolve these contradictions by analyzing the materials used to communicate and context for reception of this communication. The focus of discussion on Moet-Beodeul in academic circles has converged on artistry, literary value, and has provided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Hongnang 洪娘 as an artistic gisaeng. However,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an insufficient analysis on the turning of the season, information about material used to communicate, and the context for the reception of this communication. For these reasons, the key arguments emphasized in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contradictory information.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Moet-Beodeul was created in order for Hongnang, who had served as a maid and lover under Choi Gyeong-Chang 崔慶昌, to relieve her anxiety towards pursing a life as a young kisaeng 妓生 after she broke up with him. She tried to reduce her nervousness by conveying a message to him that she wanted to be remembered. She wanted to break off a willow branch which kisaengs used to send messages to their paramours working as government officers. However the last farewell took place in the mountains and was too early for the new leaves to bud on the willow trees. Thus by picking a wild willow branch and sending it to him, she revealed her true heart in a calm voice. Choi Gyeong-Chang read Hongnang’s mind, so sought to relieve her trepidation by expressing his strong love indirectly through Beonbanggok 飜方曲. Afterwards, when he sent back Hongnag, his concubine, he wrote Jeongbyeol 贈別 in hopes that she no longer had any feelings of anxiety. These actions proves Moet-Beodeul was kind of a litmus test for Gyeong-Chang to express his mind. It is hoped that the ideas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help guide the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the academic discussion on female poetry, or kisaeng Sijo incliding Moet-Beodeul by Hongnang.

      • KCI등재

        이조년 시조 작품의 분석과 해석

        임주탁(Yim, Ju-tak)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이 연구는 14세기 시조의 하나인 이조년 시조 <다정가>의 창작 맥락을 추론하고, 그 맥락에서 함축된 의미를 해석해 보이고자 한 것이다. 특히 모순어법의 사용 의도와 ‘자규’의 관습적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맥락을 추론하였다. 그 결과 ‘다정가’는 작가가 은퇴 후 처음 맞은 봄날 배꽃이 달빛을 받으며 밝게 피어 있던 밤에 절규하는 듯이 울어대는 자규가 군주의 안위와 미래에 대한 불길한 예감을 촉발했던 정서 체험을 바탕으로 창작되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그 맥락에서 한편으로는 중립적인 정치적 입장을 드러내고 다른 한편으로는 군주의 안위와 미래에 대한 불길한 예감과 불길한 상황을 조장할지도 모르는 정치세력에 대한 우호적 · 관용적 태도를 표명한 것이 ‘다정가’라고 해석하였다. 충혜왕이 직면할지 모를 비극적 상황이 초래되지 않기를 바라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 ‘다정가’는 가참(歌讖)으로 수용되었을 가능성도 있어 보였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interpretations of sijo ‘Dajeong-ga’ (多情歌, Song of Warm Heart without Any Worldly Desire) written by Yi Jo-nyeon (李兆年, 1269-1343) and to suggest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e previous explanation of Dajeong-ga was based on intuitive interpretations or faulty analysis of the materials which were used to identify unified meanings of the context in the text and the meanings of vocabulary which are composed of lingual text. In addition, there existed a misunderstanding of the previous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peated misconceptions have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cceptanc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unified meanings of lingual text which was written by heung (興,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writing methods in the East; describing the situation which aroused poetic inspiration by foregrounding first, and, in sequence, expressing poetic feelings by figurative or bald statements) can only be achieved when creative contexts are restorable, I made external contexts corresponding to internal contexts. The oxymoron in “dajeong do byeong in yang hayeo jam mot deureo hanora ” (phonetic transcription) can reasonably be explained and creative contexts can be induced in order to reveal the conventional meanings of ‘jagyu’ (子規, lesser cuckoo). As a result, it can now be interpreted that at a night with flowers of pears blowing on the first spring after his retirement, Yi Jo-nyeon wrote Dajeong-ga based on his emotional experience, inspired by cries of a lesser cuckoo which triggered a gloomy foreboding for the safety of the King and the future. In the context, the lingual text can have the unified meanings for sure. Additionally, by utilizing oxymoron, on the one hand the writer of Dajeong-ga showed his inner personality and politic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he expressed amicable and tolerant attitudes toward certain political force which might have encouraged ominous presentiment and gloomy situations about the King’s safety and the future.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reflection of the writer’s intention to wish not to cause tragic situations which the King Chunghae (忠惠王) might confront.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hat Dajeong-ga might have been regarded as a prophetic song. I believe that this thesi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writer Yi Jo-nyeon and his Dajeong-ga through the critical altern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towards the previous analysis and interpretations.

      • KCI등재

        우리말 노래 창작의 사상적 기반: 주체와 타자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임주탁(Yim, Ju-Tak) 국문학회 2007 국문학연구 Vol.16 No.-

        From the era of the Silla Dynasty through that of the Joseon Dynasty, the cultural elite of Korean society had been deeply involved in the composition,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the songs composed and sung in Korean, adjusting their attitudes whenever their ideological stance o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idea of the self changed. A rough chronological outline of significant historical moments in this regard is as follows: 1. Gyunyeo ( 均如) and Iryeon (一然), renowned Buddhist monks from the Goryeo Dynasty, recognized and emphasized that universal truth could be learned and reached through Korean vernacular, as well as through the Chinese language. Owing to this endorsement, the cultural elite of the nation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Hyanga (鄕歌), popular songs orally transmitted in Korean, especially during the periods of national crisis, such as the invasions of the Kitans (契丹族) and the Mongols (蒙古族). 2. King Sejong (世宗) of the Joseon Dynasty was working on this very legacy when he invent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and used it to compose Yong-bi-eo-cheon-ga (龍飛御天歌) to glorify his royal ancestors. In doing so, he provided his people, who could speak only Korean, with an opportunity to read and learn about the ancestors of the new dynasty, who, he believed, were now immortalized in heaven. 3. The idea that Gyunyeo and Iryeon shared with Sejong had gradually weakened since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when two Confucian scholars, Tweghyeh ( 退溪) and Yulgok (栗谷), developed alternative discourses on the Korean language. While Tweghyeh denied the value of Korean as a language for philosophical truth, Yulgok seems to have been more optimistic about the capacity of his mother tongue. Nevertheless, they both composed songs in Korean ―respectively, Do-san-sib-i-gok (陶山十二曲) and Go-san-gu-gok-ga (高山九曲歌)―to describe the self-sufficient lifestyle of the Junzi (君子), or man of virtue, seeking truth in the world. Their emphasis on a premeditated set of rhythm in composition, however, provided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syllabic verse known as Sijo (時調), which became popular among the cultural elite in subsequent generations. 4. Between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eighteenth century, another group of Confucian scholars noted that the popular songs sung by the common people might be in some sense more appropriate to express natural emotions of the Koreans than the highly artificial syllabic verse form of Sijo. Damheon ( 湛軒), for instance, maintained that the Koreans shoul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Chinese as they were the subject of their own thoughts and emotions. It was under the influence of him and his colleagues that the once-disregarded genre of Hyanga was rediscovered and revitalized to appear frequently in contemporary song collections. The history of the Korean songs had thus been affected by the ways in which the cultural elites of Korean society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nd the Chinese language, and, consequently, by the ideas of the self or subject that they had cultivated. When they were able to widen their idea of the self to embrace the common people, the cultural elite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did not hesitate to recognize Korean as a poetic and philosophical language, whereas, when they need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common people, they disregarded the very linguistic medium that their social inferiors used to communicate and compose songs, as well.

      • KCI등재

        한국고전시가의 영어 번역의 양상과 문제점 -고대가요 작품을 대상으로-

        임주탁 ( Ju Tak Yim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고대가요의 영어 번역 양상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대안적 번역을 모색해 본 것이다. 고대가요 작품은 한시 형태로 전하기 때문에 영어 번역은 불가피하게 우리말글로 번역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런데 고대가요 작품의 우리말글 번역은 다양하다. 우리말글 번역 가운데에는 작품 해석의 관점과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원 텍스트의 문면과 사뭇 다른 것도 있었다. 고대가요 작품의 영어 번역은 이렇게 다양한 우리말글 번역 텍스트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우리말글 번역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었다. 우리말글 번역에 큰 차이가 없는 <공무도하가>와 <해가>의 영어 번역은 비교적 문제점이 적은데 비해, 우리말글 번역에 논란이 많은 <황조가>와 <구지가>의 영어 번역은 우리말글 번역 가운데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였기 때문에 문제점이 많았다. 그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대안적인 번역을 제시해 보았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aspects and problems of translating Early Korean song into English, and to search for the alternative translation. Because Early Korean songs are passed down as the original Chinese four-syllabic four-line verse, inevitably the text in Korean became the object of English translation. However, Korean translation of Early Korean song come in many different texts. Among Korean translation texts, there is also the Korean translation text tha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This is because the perspective and results of interpreting the original work are actively reflected. Early Korean song is translated into English on the basis of these various Korean translation texts, so translation of Korean poetry-song into English still has the problems of Korean translation text. The English versions of <A Melody for the Chinese Harp: Don`t Cross the River, Milord!> and <Song of the Sea>, which are not quite different in Korean translation texts, had comparatively few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English versions of <Hwangjo-ga; Song of Golden-Brown Birds> and <Song of the Top Guji>, which are controversial works in Korean translation, had many problems because the English versions are based on one text selected in many Korean translation texts. In order to minimize these problems, I proposed the alternative translation in way that any kind of adjustments are minimized and the result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is not reflected.

      • KCI등재

        <한림별곡>의 맥락과 유선(儒仙)의 상상력

        임주탁 ( Yim Ju-tak )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5 No.-

        이 글은 <한림별곡>이 그려낸 형상이 무엇인지, 왜 그런 형상을 그려내었는지 문자 텍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따져본 것이다. <한림별곡>은 가시적인 텍스트 형식이 독특해서 많은 논란이 되어왔다. 하지만 텍스트가 그려내는 형상들이 전체적으로 어떤 세계를 그리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한림제유(翰林諸儒)가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인데도 ‘한림(翰林)’의 성격과 역할 등에 주목하지 않았다는 점도 중요한 원인이라 생각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당나라에서 제도화된 한림원의 성격과 역할을 먼저 논의했다. 한림은 선진(先秦) 시대 이후 종주(宗周)를 넘어 당우(唐虞) 시대를 재현하고자 한 역대 제왕과 학자들이 만들어낸 유선(儒仙) 형상이 제도화된 이후에 널리 쓰인 이름이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漢) 당(唐) 송(宋)의 제왕(帝王)들이 한림의 보좌를 받으며 치란(治亂)을 통해 태평한 시대를 열어가고자 했던 것과 흡사하게 고려 고종 또한 당대 한림들의 보좌를 받아 고성(古聖)의 꿈이기도 했던 태평한 시대를 열어가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림별곡>은 한림학사 금의(琴儀)의 문생들이 한림원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고종 연간 말기에 그들에 의해 만들어진 방상(坊廂)의 가곡이었으리라 추론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언어 텍스트에 그려진 물상(物象)과 물사(物事)가 전체적으로 그리는 세계가, 제왕을 도와 난세를 치세로 바꾸어 태평한 시대를 열었다고 평가되는 선유(先儒)들이 꿈꾸었던 세계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림별곡> 텍스트는 그 꿈을 이루는 주체, 방법과 절차, 결과적으로 이루어진 태평한 시대를 그려낸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한림별곡>의 바탕이 된 상상력은 유선(儒仙)의 상상력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This essay analyzes and examines what the shape of Hallim Byeolgok (翰林別曲) is and why it was drawn, focusing on the visual text. Hallim Byeolgok has been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unique visual text format.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bout what kind of world the figures depicted in the text represent as a whole.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but this essay considers that it is an essential cause that the character and role of ‘Hallim’ (Hanlin) were not paid attention to even though it was ‘Hallim’ Byeolgok made by ‘Hallym’. Hallim was a widely used since it became an institutionalized name of Yuseon 儒仙which referred to the scholar who was embodyed by Confucianism and Taoism and awaken with the truth that prevailed throughout the contemporary world, created by successive emperors and scholars who wanted to go back to like the world of the Tangyu 唐虞era beyond the period of Zhou 周dynasty after Qin 秦 Empire. Based on this discussion, it is confirmed that King Gojong 高宗 wanted to usher in an era of peacefulness, which was also the dream of an ancient saint, with the help of Hallim of the time, just as the kings of the Han 漢, Tang 唐, and Song 宋dynasties tried to do through terminating unruly period. And it was inferred that Hallim Byeolgok was probably one of the repertories of Bangsang 坊廂, music bands or organizations in charge of transmitting and performing Sogak 俗樂(folk music) of the Goryeo 高麗, made by Hallim who were selected by Geumhaksa 琴學士(Geum Ui 琴儀) and played active parts of Hallim at the end of the reign of King Gojong. In this contex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world depicted in the language texts as a whole and the world depicted by figures of things and affairs are no different from the world dreamed of by the former Confucians who had dreamt of opening a peaceful era by helping their monarchs and turning turbulent times into reign. The text of Hallim Byeolgok depicts the subject, method, and procedure of realizing that dream and the peaceful era that resulted in it. In that sense, the image that became the basis for making Hallim Byeolgok could be classified as the imagination of Yu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