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흡연이 하부 식도 괄약근에 미치는 영향

        임종채(Zhong Chai Lim),나용호(Yong Ho Nah)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6 No.6

        N/A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cigarette smoking on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LES), LES pressure was studied by the stationary technique of esophageal manometry in 19 chronic healthy smokers who had no symptoms of gastroeophageal disease. Using a Dent sleeve catheter, LES pressure was recorded continuously in four consecutive 10-minute periods-basal, puffing an unlit cigarette, during smoking, and after smoking. LES pressure was measured from the gastric baseline at end-expiration. The mean basal LES pressure was 13.8(±4.7) mmHg, mean pressure during puffing an unlit cigarette 13.4(±5.0) mmHg, mean pressure during smoking 10.0(±4.2) mmHg, and mean pressure after smoking was 12.8 (±6.3) mmHg. Smoking cau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27.5%) in mean LES pressure compared with the basal period. The drop of LES pressure began 2 min 40 sec(±1 min 50 sec) after the initiation of cigarette smoking, and the pressure remained low until smoking was stopped. The pressure then returned to the basal level 4 min 10 sec(±4 min) after finishing cigarette smoking. In 13 subjects, hypercontraction of the LES was noted after smoking and mean peak LES pressure rose to 19.1(±7.1) mmHg. It is concluded that cigarette smoking causes a reduction in LES pressure, After the reduction in LES pressure, the LES pressure rises higher than the baseline pressure, and this may be explained by rebound excitation.

      • KCI등재

        Rapid and Nondestructive Discrimination of Fusarium Asiaticum and Fusarium Graminearum in Hulled Barley (Hordeum vulgare L.)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임종,김기영,모창연,오경민,김건섭,유현,함현휘,김영태,김성민,김문수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바이오시스템공학 Vol.42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riminate between normal hulled barley and Fusarium (Fusarium asiaticum and Fusarium graminearum) infected hulled barley by using the 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 technique. Methods: Fusarium asiaticum and Fusarium graminearum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in hulled barley and the reflectance spectrum of the barley spike was obtained by using a near-infrared spectral sensor with wavelength band in the range 1,175-2,170 nm. After obtaining the spectrum of the specimen, the hulled barley was cultivated in a greenhouse and visually inspected for infections. Results: From a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prediction model developed from the raw spectrum data of the hulled barley, the discrimination accuracy for the normal and infected hulled barley was 99.82% (563/564) and 100% (672/672), respectively. Conclusions: NIRS is effective as a quick and nondestructive method to detect whether hulled barley has been infected with Fusarium. Further, it expected that NIRS will be able to detect Fusarium infections in other grains as well.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장성실,김성아,문재동,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

        소 도체 등급판정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영상 획득 장치 개발

        유현(Hyeon-Chae Yoo),임종국(Jong-Guk Lim),이아영(Ah-Yeong Lee),김밝금(Bal-Geum Kim),서영욱(Young-Wook Seo),김성민(Seong-M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우리나라에서 도축되는 모든 소는 쇠고기로 가공 전 상태인 소 도체에 대해서 개체별로 등급판정이 의무화되어 등급별로 유통되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소 도체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을 위해 다양한 선행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비파괴적인 품질 분석 방법의 하나인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은 현장 적용을 위한 장치까지 개발되면서 큰 발전이 있었다. 하지만 국내의 소 도체 등급 판정은 여전히 숙련된 전문가의 육안 평가 방식으로 등급판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노동집약적이고 장시간 측정에 따른 피로가 누적되어 객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현재 상용화된 해외의 소 도체 등급판정 장치는 큰 부피와 무거운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국내 도축장 환경에서의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축장의 환경을 고려하여 소형 및 경량화된 소 도체 등급 판정용 영상 획득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상 데이터의 접근 및 호환성이 뛰어난 스마트폰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여 좁은 절개 부위에서 영상 획득이 가능하도록 장치의 높이와 무게를 최소화했으며, 근접에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어안렌즈를 부착하여 제작하였다. 어안렌즈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은 방사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바로잡기 위해 체커보드를 이용한 방사 왜곡에 필요한 매개변수를 구하였다.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고 소 도체 등급판정에 최적화된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앞으로 다양한 도체에 대한 데이터 뱅크를 구축하고 사용자 편의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실시간으로 소 도체 등급판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re have been many prior studies worldwide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o measure the quality of beef carcass in real-time. In particular,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non-destructive quality analysis methods, has made great progress with the development of field application devices. However, beef carcass grading in Korea is still carried out visually by an expert. Furthermore, the present-day commercialized beef carcass grading devices are large and have heavy hardware, making it difficult to use them in domestic slaughterhouse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ompact and lightweight image acquisition device for a domestic slaughterhouse. As part of the design, the device"s height was minimized to enable image acquisition in a narrow area, and a fisheye lens was attached to acquire images in proximity. In addition, the image distortion generated from the fisheye lens was corrected to obtain an optimized image for grading determination.

      • DSLR 카메라를 활용한 품종별 딸기의 기준 형상 측정에 관한 연구

        임종,김기영,모창연,오경민,유현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04

        겨울철 인기 과일인 딸기(Fragaria ananassa Duch.)는 비타민 C 함량이 높고 라이코펜, 안토시아닌, 폐놀 화합물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심혈관 질환, 시력회복 및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생산량의 3~4위에 해당하는 국내 딸기는 2014년을 기준으로 230천톤이 생산되었으며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으로 꾸준히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딸기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딸기가 포장된 상자에 일정한 모양과 붉은 빛깔이 선명한 딸기를 선호하게 된다. 딸기의 기준 과형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역삼각형 외형을 가진 딸기를 정품으로 선별하고 있다. 이러한 정품 딸기의 선별은 인력에 의한 육안선별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별사의 숙련도와 주관에 따라 선별정도는 달라진다. 기존의 필름 방식의 카메라 대신에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를 적용하여 개발된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는 다양한 목적의 렌즈를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설향, 매향, 싼타) 딸기의 기준 형상을 측정하기 위해 CMOS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1,800만 화소의 DSLR 카메라와 초점 거리가 17~70 mm인 표준렌즈를 이용하였다. 사전에 선별사에 육안으로 선별된 정품과 비품 과형 딸기를 이용하였으고 1회 촬영시 4×5 배열로 20개의 딸기를 측정하였으며 동일 시료에 대해서 제1사분면에서 제4사분면까지 총 4장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때 초점거리는 23 mm, 셔터속도는 4초, 조리개는 f/3.2였으며 ISO값은 100으로 설정하였다. 획득한 딸기 영상은 시료별 크롭(crop) 및 배경 마스킹(masking)을 수행하였으며 품종별 정품 과형에 대한 기준 형상을 확보하기 위해 테두리(edge) 패턴을 분석하여 육안 선별 결과와 비교하였다.

      • 3차원 딸기 형상 제작을 위한 모델링 및 매핑 과정에 관한 연구

        유현 ( Hyeonchae Yoo ),임종국 ( Jongguk Lim ),김기영 ( Giyoung Kim ),모창연 ( Changyeun Mo ),남소영 ( Soyoung Nam ),김은미 ( Eunmi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겨울철을 대표하는 과채류 중의 하나인 딸기는 독특한 향기와 고유의 신맛과 단맛이 조화로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딸기는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으며 재배면적과 총 생산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딸기 선별은 현재 숙련된 전문 선별사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력에 따른 육안선별은 개개인의 숙련도 차이에 따라 주관적으로 판단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레이져 스캔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딸기 형상을 획득하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딸기 모형을 제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딸기 전용 트레이 위에 딸기를 올려놓고 딸기의 전면과 후면을 2차원 레이져 스캔 카메라(Gocator 2340)를 이용하여 데이터 포인트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딸기의 데이터 포인트를 매트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쉬 형태의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딸기의 전면과 후면의 3차원 영상을 3D 형상 구현 프로그램인 메쉬 랩을 통하여 재가공하였고 딸기의 후면 영상의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 다시 X축 방향으로 180° 회전하였다. 각각 획득한 딸기 전면과 후면 영상을 모두 선택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합체시킨 뒤에 메쉬 형상을 곡면으로 표현하였다. 3차원으로 매핑된 딸기영상은 곡면 안의 각 점들에 대해 법선 방향과 Octree Depth를 설정하여 3차원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3차원 모델을 3D 프린팅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과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여 슬라이싱한 후 상용 3D프린터를 활용하여 딸기의 3차원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딸기 모형은 추후 품종별로 형상 데이터를 구축하고 딸기의 형상 측정시 표준 규격품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2D 영상을 이용한 수출용 딸기의 중량 예측에 관한 연구

        유현,모창연,김기영,임종,강정숙,김건섭,오경민,김은미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8 No.04

        세계적으로 소비가 많은 과일 중 하나인 딸기는 안토시아닌, 비타민 및 β-카로틴이 매우 풍부하다고 연구되었다. 현재 국산 딸기는 미국산과 일본산의 딸기에 비해 우수한 당도와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수출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수출하는 딸기의 품종은 주로 매향과 설향이며 그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경도가 우수한 매향의 비중이 더 크다. 딸기의 상업적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모양, 크기, 색상 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딸기 영상으로 중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딸기 RGB 영상은 CCD 칼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였고, 획득한 딸기 영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매트랩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배경이 제거된 딸기 영상에서 측정한 픽셀 수와 실측된 딸기의 중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R-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정규성, 독립성, 선형성 및 등분산성을 검증을 통해서 회귀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선형 회귀 모델을 개발하였다. 딸기 영상을 이용한 중량 예측모델의 결정계수(R2)가 0.8966으로 딸기 영상의 픽셀 수가 딸기 중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딸기의 2차원 영상과 영상처리기술로 딸기의 중량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CCD 칼라 카메라와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한 딸기의 중량 예측 모델 개발

        임종국 ( Jongguk Lim ),김기영 ( Giyoung Kim ),모창연 ( Changyeun Mo ),유현 ( Hyeonchae Yoo ),오경민 ( Kyoungmin Oh ),김건섭 ( Geonseob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겨울철 대표적인 과채류인 딸기는 9월말부터 이듬해 5월 말까지 약 8개월간 재배되고 있으며 3월과 4월에 연간 반입량의 50% 이상이 집중되어 대부분 생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 딸기는 고유의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으며 비타민 C, 페놀성 화합물 함량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딸기의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딸기 총 생산액은 원예 산물 중에서 가장 높으아 2015년을 기준으로 1조 2천억원 이상이다. 관행딸기 선별은 대부분 육안에 의한 인력 선별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형이거나 짓무름이 심한 딸기는 불량과로 구분하고 있다. 딸기는 개별 중량 측정보다는 포장 용기에 담기는 전체 중량에 맞춰 출하하고 있으며 일부 국내 선별장이나 해외에서는 프리트레이에 딸기를 안착시켜 개별 중량을 측정하여 선별하고 있다. 이러한 딸기 중량 측정은 트레이에 안착된 딸기가 로드 셀이 장착된 벨트식 저울을 통과할 때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CD 칼라 카메라로 획득한 딸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딸기의 착색도 및 기형과를 선별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기존 벨트식 저울을 대체하여 딸기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중량 예측식 개발을 위해 사용된 딸기 시료는 매향 77개, 설향 395개, 싼타 101개, 장희 91개의 4개 품종 664개를 사용하였다. 664개 딸기로부터 상·하면에서 획득한 1,328개 영상은 초록색 꼭지 부분을 제거한 과육부분에 대한 픽셀수를 카운트하여 실제 측정한 중량과 일차 함수식을 개발하였다. 전체 664개의 딸기를 대상으로 개발된 일차함수 예측식은 Y=0.0011X-5.8153이었으며 이때 R<sup>2</sup>=0.9143으로 우수한 중량 예측 결과를 보여주었다. CCD 칼라 카메라의 딸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딸기의 중량 측정이 가능하다면 딸기 선별 시설 구축을 위한 벨트식 저울을 제외할 수 있어 시스템이 간소화되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누에 생육 환경 모니터링 및 행동 특성 분석을 위한 ICT 기반의 사육 시스템 개발

        임종국(Jong-Guk Lim),이아영(Ah-Yeong Lee),김밝금(Bal Geum Kim),유현(Hyeon-Chae Y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국내 양잠 산업은 비단을 얻는 의류산업 중심에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 및 약용 소재개발 산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양잠 산업의 가치를 높이려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력 부족 및 고령화 현상으로 누에 사육 농가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최근, 생산비 및 노동력 절감, 품질 향상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이 다양한 농업 분야에 접목,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작물과 가축의 생육 환경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스마트팜은 농업 생산성 감소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누에 사육 컨테이너를 제작하였으며 내부에 장착된 환경 센서를 이용하여 온·습도, CO₂ 농도를 실시간 측정하였으며 IP 카메라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누에 영상을 수집하였다. 누에 사육 환경 정보와 영상 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웹이나 스마트폰으로 원격 관리할 수 있으며 냉난방기, 가습기, 제습기, 환풍기 등과 같은 공조 시스템을 구축해 사육 환경 조건을 제어하였다. 개발된 누에 사육시스템으로 ‘한생잠’ 품종의 누에 100마리를 4령 2일에서 5령 5일까지 사육하였다. 개체 별 길이, 폭, 무게 등의 생육 지표와 뽕잎 섭취량을 일자별로 측정하였으며 IP 카메라로 누에 영상을 실시간 확보하였다. 획득한 누에 영상을 이용하여 누에 행동 특성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었으며 이진화 영상으로 실시간 뽕잎 잔여율 산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aradigm of the sericulture industry is shifting towards improving added value by developing various functional products and medicinal materials. Despite these efforts to re-evaluate the value of the sericulture industry, the manpower of silkworm farms continues to shrink every year. Recent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as been used in various agricultural fields to reduce production costs and labor and improve quality. A smart farm, which can control and monitor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and livestock,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alleviate the reduction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is paper, a silkworm breeding container was customized with an ICT-based environmental sensor and IP camera. Temperature, humidity, CO₂ concentration, and images were collected in real-time using the sensor and IP camera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An air conditioning system was applied to control the optimal breeding environment. The breeding environment and image information were remotely managed on the web or a smartphone. Moreover, various growth indicators such as length, width, weight, and mulberry leaf intake were measured daily, and the silkworm images were captured in real-tim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ilkworms were analyzed through their breeding images, and the mulberry leaf distribution rate was calculated through image bin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