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 개호직원의 노인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임정미(任貞美) 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日本文化學報 Vol.0 No.7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care staff and the recognition of elder abuse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elder abuse recognition of the care staff. The 5,000 care staff who work in nursing homes across Japa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f the data us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ANOVA test. As a result, gender, age, home helper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the elder ab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lder abuse recognition of the care staff.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implicated in efforts to increase the abuse recognition of the care staff.

      • KCI등재

        여대생들의 학습전략에 대한 메타인지 판단과 실제 활용

        임정만(林正萬),배제성(裵帝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4

        시험을 통한 인출과 학습시간을 분산시키는 학습전략은 학습을 강화한다. 그러나 국외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배운 내용을 다시 읽거나 학습시간을 집중시키는 학습전략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시험을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 인식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대생들이 시험과 분산학습의 효과성을 판단할 수 있는지, 평소에 어떠한 학습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더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실험 절차를 토대로 선다형 문항을 제작하였다. 조사에 참가한 학생들은 선다형 발문에 제시된 가상의 학습 상황을 읽고, 나중의 시험에서 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학습전략을 선다형 선택지에서 선택하도록 지시받았다. 이와 함께, 평소에 자신이 어떻게 공부하는지 응답했다. 조사 결과, 국외의 조사 결과와 달리 국내 여대생들은 시험과 분산학습을 더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평소에 활용하는 학습전략에 대한 응답은 국외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반복적 읽기와 집중학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Results of international studies show that even though test and spacing learning are proven to b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students use strategies such as repeatedly reading and massed learning.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 why Korean students do not use mor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e made multiple-choice based on research process of preceding studies. Students were instructed to choose which learning strategy is more effective in given situation. Two types of questionnaire set were made, and each contains different learning situation in post-test session: One has short-term retention situation and another long-term retention situation. The participants were first or second year women students of university. Two types of questionnaire were randomly assigned. The result revealed that students judged testing and spacing to be more effective strategies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retention situations, but what they used were repeatedly study and massing strategies. In present survey, because the student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short-term benefit and long-term benefit acquired by different learning strategies, it is hard to infer that they used repeatedly study and massing strategies to get short-term benefit before a test.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an instructional help is needed to lead students to us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韓日学術論文の序論のテキスト内容分析 -語学系学術論文を中心に-

        林貞我(임정아)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6

        본 연구는 한국의 학술 논문 서론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내용을 비교하여 한국어모어화자와 일본어모어화자의 서론 텍스트 구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틀로는 Swales(1990)의 CARS모형을 수정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고찰의 결과 밝혀진 주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서론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과 일본의 학술 논문 서론 모두 ‘연구에 관한 언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연구 대상 제시’, ‘선행연구와 그에 대한 의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또한, 15개의 구성 요소 중 ‘연구 목적 제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연구의 목적이나 주요 내용을 제시하는 ‘연구의 목적 제시’는 일본은 대부분 서론 전체에서 1회 나타나는 데에 반해 한국 논문 서론의 경우 2회 이상에 걸쳐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향을 통해 한국 논문 서론이 일본 논문 서론에 비해 연구 목적을 보다 강하고, 독자에게 주지시키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일본 논문 서론을 구성하는 내용에 비해 주관성을 더 강하게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and to analyze and consider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CARS model of Swales (1990) as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and consider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nd review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ontents to be dealt with in the introduction, "reference to research" is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articles and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cademic articles, followed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s" and "previous research and opinions on it". Many appeared. In addition, among the 15 components, the percentage of articles adopted in the introduction by "Presentation of research objectives" was the highest. 2.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purpose" that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ppears only once in the entire introduction in Japanese articles, whereas it is repeatedly mentioned more than once in the case of Korean articles. Through this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stronger than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and is trying to inform readers. 3.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Korean articles is more subjective than the content that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 KCI등재

        日韓の新聞からみた共通外来語の使用実態について - 計量的 · 文法的側面から -

        林廷修(임정수)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3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각 언어 체계에서의 외래어 사용 실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신문에 나타난 일한 공통 외래어사용 실태를 계량과 문법의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냈다. (1) 계량적 측면에서 일한 공통 외래어의 전체 출현 빈도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개별 외래어의 출현 빈도에서는 한국어의 상위 외래어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일본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다양한 종류의 외래어가 두루두루 쓰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2) 문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하나의 외래어가 여러 개의 품사로 사용되는 비율이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또한, 두 언어에서 모두 명사 및 동사로 사용되는 외래어의 경우에도 일본어에서 동사로 사용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즉, 명사로 들어온 외래어가 다른 품사로 파생되어 실제 신문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3) 일본어 또는 한국어 중 한 언어에서만 동사로 파생된 외래어를 대상으로 어간과 후속 부분을 고려해 분류한 결과, 일본어는 대부분 "する"를 붙여 동사화 할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하다" 이외의 후속어가 붙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양 언어의 표현방식이 다르고 특히 한국어는 일본어보다 명사로서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age of common loanwords in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systems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and grammatical perspectiv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From the quantitative perspectiv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ctual total usage for the loanwords that exist in both Japanese and Korean. However, an observation of the individual loanwords reveals that Korean shows a higher rate in top-frequency loanwords. Top 30 loanwords account for 45% in Korean, and 33% in Japanese. (2) From the grammatical perspective, it is a common feature in both languages that most common loanwords are mainly used as nouns, and the usage becomes lower in the order of: verbs > nominal adjectives (adjectives for Korean) > adverb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the usage proportion: that is, the grammatical status of a loanword may be changed when adopted to these languages and in Japanese twice as many loanwords are used in multiple word classes than in Korean, reflecting the fact that verbs in Japanese can be derived from nouns more easily than in Korean. (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oanwords that are derived to verbs in only one language, either Japanese or Korean, it was revealed that in Japanese, most loanwords can be verbalized by attaching suru "do" whereas in Korean, loanwords can be verbalized by attaching verbalization markers other than hada "do". From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two languages have different ways of expressing things; to be more specific, there is a higher tendency to use loanwords as nouns in Korean than in Japanese.

      • KCI등재

        델파이법을 적용하여 여성 패션 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영화와 드라마 속 치파오 디자인 기획에 대한 연구

        임정,김치용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3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6 No.4

        In this study, we start the research from the improved design of cheongsam in film and TV dramas and reconstruct the best element selection scheme of cheongsam design in film and TV dramas in line with modern aesthetics, taking the beauty, comfort and popularity of modern costume style as the benchmark. The preliminary construction of cheongsam design elements through the literature method and the Delphi method were used to collect experts' opinions on the design of cheongsam in film and TV dramas. The positive coefficients of experts were all higher than 80%; the authority coefficients of experts were all greater than 0.8; the Kendall coordination coefficient test was used to study the evaluation consistency, and after three rounds of expert consultation, it was found that the Kendall coordination coefficient test showed significance (p=0.000<0.05) in the relatively stable coordination coefficient of experts' opinions, implying that the evaluations of the 11 evaluators were correlated, which indicates that the evaluations are consistent. The best element selection scheme of cheongsam design in film and TV drama constructed by Delphi method has certain reliability,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design efficiency and provide some reference for the innovative design of cheongsam designers.

      • KCI등재

        일본 학술논문 서론의 문말표현 사용 양상‒서론의 구성요소별 특징을 중심으로‒

        임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usage patterns, and featur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i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articles. 100 articles, which recently submitted to the journal “Studies in Japa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of Japan, are targeted for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introduction was based on JeongA Lim(2020) and reclassified them into eight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After the classification, It is considered w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typ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used in each component, as well as the usage patterns and tendencies of each type of sentence-ending expression ar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nonたseries’ was used more often than “たseries” in Japanese introductions, an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were used most frequently among the detail categories. In the case of components that had the character of announcing the content of the body of the paper(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explanation of the research method, and 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aper), the majority used The imperfect form of the verb. It was also found that other elements of the same auxiliary verb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For example, for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theme’, ‘れる・られる’ was used most frequently, for ‘the opinion of the author of the paper’, ‘The negative form of the verb + not’, for ‘presentation o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たい’, an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paper’ , ‘う(だろう・よう)’was used most frequent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ge patterns and vocabulary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content and function of the sentence. 본 연구는 일본 논문 서론의 구성요소별 문말 표현의 특징 및 사용 양상 및 특징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일본어 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학술지 ‘日本語の研究’에서 최근 투고된 100편의 논문을 추출하고,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서론의 구성요소의 분류는 임정아(2020)을 참고하여 서론을 내용에 따라 크게 8가지 구성요소로 분류하였다. 분류 후, 각 구성요소에 어떠한 문말 표현이 사용되는지, 문말 표현의 종류와 각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 및 경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 서론에는 た계열보단 비た계열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세부 분류 중에서는 동사의 종지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논문의 본문 내용을 예고하는 성격을 가진 구성요소(연구 목적 제시, 연구 방법 설명, 논문 구성 제시)의 경우, 과반수가 동사의 종지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 밖에도 같은 조동사여도 구성요소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지는데, ‘연구 주제 제시’는 ‘れる・られる’가, ‘논문 필자의 의견’은 ‘동사의 미연형+ない’가, ‘연구 목적 제시’는 ‘たい’, ‘논문의 의의’는 ‘う(だろう, よう)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문장의 내용과 기능에 따라 문말 표현의 사용 양상과 어휘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尿中의 Glitter cell에 關하여

        林正,李世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75 고려대 의대 잡지 Vol.12 No.1

        The leucocyte arising from infectious renal disease tends to be swollen and show Brownian movement in the cytoplasm, which is so-called "Glitter cell." Of the various methods for staining urinary sediment the supravital staining with gentian violet and safranin o (Sternheimer-Malbin stain) was described to be most effective in discriminating Glitter cell from other polymorphonuclear cell. With this stain, Glitter cell appears pale blue in contrast to the violet staining of other leucocytes. The granular motility and different nuclear absorption of dye is considered by the effect of nonspecific injury to the cells that decreased cytoplasmic viscosity and allowed Brownian movement of granules. By recent reports, Glitter cell is found not only in chronic pyelonephritis but also in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therefore the specificity of Glitter cell is not authorized. The urinary sediments of 68 cases with more than 3/HPF polymorphonuclear cells were stained with the mixture of gentian violet and safranin o solu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litter cell is no longer specific in certain disease because it was found not only in chronic pyelonephritis bus also in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and other diseases. 2) The incidence of Glitter cell was relatively high in low urine specific gravity.

      • KCI등재

        무한길이 솔레노이드 이상화에 대한 물리 교사와 고등학생들의 인식

        임정,강남화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6

        This study surveyed physics teachers' and high-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nfinite-length idealization for the magnetic field of a solenoid. A total of 213 high-school students and 38 phys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demonstrated a low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dealization conditions for solenoids whereas their recognition level was high for mechanics topics. Most teachers in the study stated that they rarely addressed idealization conditions when teaching about solenoids. One teacher questioning or one problem-based lesson was offered to two groups of students respectively, each consisting of 30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who took the lesson were able to recognize the idealization condition. However,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did not change, regardless of the lesson. Nonetheless, those who took the lesson demonstrated interest in learning and liked the critical thinking experienced during the lesson.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 about idealization in physics. 본 연구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에서 사용하는 무한길이 이상화 조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수업을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고등학생 213명, 교사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역학에서 사용하는 이상화 조건의 인식 정도에 비해 솔레노이드 자기장의 무한 길이 이상화 조건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낮음이 드러났다. 설문에 응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시간에 솔레노이드 이상화에 관해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등학생 60명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교사 문답식 수업과 학생 주도 문제 중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업을 받은 학생은 솔레노이드의 이상화에 관한 인식이 설문 결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솔레노이드의 무한길이 이상화 조건을 명확히 이해한 학생은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 한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특히 흥미와 물리 지식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경험을 지적하며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솔레노이드의 이상화에 대해 깊은 이해보다 이상화 조건의 필요성과 관련 변인을 인식하는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추후 물리학습을 계속 할 학생들에게 유용한 인지적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