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서사 초기 영역본(英譯本)에 나타난 조선의 이미지

        임정지(Lim, Jeongjee)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글은 문학 작품의 번역 결과물로 재해석되어 나온 작품을 통해 문화 주체간의 상호 이해의 폭과 편차를 가늠해보는 작업의 일환이다. 그 방법으로 초창기 고전 서사물의 영역본에 해당하는 두 자료를 검토하여 당대 번역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시각과 방법, 의도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한국 문학은 19세기 말엽 Horace N. Allen의 Korean Tales가 처음 영역(英譯)되면서 서구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뒤이어 James S. Gale의 Korean folk tales도 출간되었다. 이 두 가지 번역서는 ‘조선 설화집’이란 같은 제명을 달고 조선의 문화를 알리고자 하는 목적으로 나왔다. 본고에서는 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처음 우리 언어와 문화를 접한 서구인들이 이해한 조선의 이미지를 재구해 보았다. Allen의 Korean Tales는 주로 민간에서 구연되는 민중적 소재들을 끌어와 현실세계에서 향유되던 당대의 이야기를 전달하려는 취지로 번역되었다. 반면, Gale의 Korean folk tales는 필기?야담의 범주에서 일반적으로 기이(奇異)한 것들만 가려 뽑아 동양적 정신세계를 보여주고자 한 결과물이다. 번역자의 시각도 이에 따라 구분되어 Korean Tales는 민간에서 구연 전승되던 설화와 고소설을 객관적 시선으로 전달하는데 힘썼고, Korean folk tales의 경우는 ??천예록??과 같이 상층에서 향유되던 특이한 이야기를 내면세계의 신비함이란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번역하였다. 각각의 작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번역자의 시선을 통해 본 당대 조선의 이미지를 세 가지 측면 -여성, 풍속, 내면세계-로 나누어 보았다.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지조있는 여성상, 이질적 문화로서의 조선의 생활 풍속, 불가해한 동양의 신비한 정신세계가 이들 영역본에서 보여주고 있는 조선의 상(像)으로 추출될 수 있었다. 번역 초기에 나온 이 두 가지 책은 최초로 영역된 우리의 고전서 사물이란 시사점과 더불어 조선사회의 사유와 문화적 메카니즘을 외부세계에 이해시키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work which is for assessment of the width and deviation of mutual comprehension among main agents of culture through the reinterpreted literature as the results of translation. For the work, two materials which corresponded to early English version of Korean classical tales were studied and the view and way, intention of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of translators were analyzed. Korean literature began to become known to the West when Horace N. Allen translated Korean Tales into English first in the later years of the 19th century. Following that, Korean folk tales that James S. Gale translated was also published. These two translations were published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Korean culture with the same title of "Korean Tales". This article attempted to recall the image of Joseon which Westerners who came acro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the first time understood targeting these two English version. Allen"s Korean Tales translated to the effect of conveying stories which were drew from popular materials that were narrated by the common people and were enjoyed in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Gale"s Korean folk tales was the result of trying to show the world of oriental spirit by picking out eccentric things from the category of Pilgi and Yadam. The view of translator was divided depending on this, while Korean Tales tried to convey tales and classic novels which was being narrated and passed down in non-official circles with the objective eyes, Korean folk tales translated odd stories like Cheonyerok which were being enjoyed in the upper class by restructuring them to the image of mystery of the inner world. The image of Joseon of the time could be separated by three aspects of women, custom, the inner world through the view of translator reflected in the following translation. The active and devotional, honorable images of women, custom of Joseon as the different culture, the mysterious and magical world of oriental spirit were able to be abstracted as the figure of Joseon which was showed in both English translations. These two books pu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re worthy of notice in the way that they were the first English version of our classical narrative and quite contributed to make the outside world understand private ownership and culture mechanism of Joseon.

      • KCI등재후보

        한국 고전소설 영역(英譯)의 문제 - < 운영전 >의 경우

        임정지 ( Jeong-jee Lim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3 No.-

        한국 문학 작품들에 대한 영역 작업은 19세기 말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후 양적 팽창의 시기를 거쳐 최근에는 좋은 번역이 어떤 것인가 하는 질 적 향상의 문제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고전 작품의 번역은 여타의 한국 문학 작품에 비해 여전히 주목받지 못하는 위치에 있고 의미있는 결과물이 제한적이다. 본고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번역된 작품인 Unyong-Jon -A Love Affair at the Royal Palace of Choson Korea를 분석하면서 고전 문학 작품 번역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와 해결 방향을 고민해 보았다. 우선, 번역의 최우선 과제인 저본 선택의 문제이다. 한국의 고전 작품은 다양 한 이본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정본화 작업과 올바른 저본 선택이 번 역에 앞서 신중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둘째는 고유명사 표기에 있어 표준 한글 로마자 표기법과 기존 관행인 McCune-Reischauer 표기법이 충돌한다는 문제 이다. 후자가 서구인에게 익숙한 표기이고 발음의 친밀감도 높겠지만 표준안은 표준으로 통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는 한자어 발음의 표기 방식이다. 고유명사를 비롯한 한자어를 음차하여 번역할 때 한국식 한자 발음을 따를 것인 지 아니면 중국어 발음을 따를 것인지 하는 점이다. 영역본 Unyong-Jon은 이런 점들을 고민한 흔적이 보이지만 통례에 따랐고 뚜렷한 해결을 보지는 못했다. < 운영전 >은 그 문제의식과 소설적 구성, 빼어난 미적 특질로 인해 우리 고전 소설사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뛰어난 소설이다. Michael J. Petted의 영역본 Unyong-Jon은 근자에 이루어진 고전소설 영역(英譯)의 주요한 성과로 충실한 번역으로서 매우 시사적이다. 그러나 원전의 품격과 문학적 성과를 번역에 어떻게 살리는가의 문제는 여전한 고민거리로 남았다. 은유와 함축이 돋보이는 많은 시, 고아한 문체, 섬세한 심리묘사 등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우리 고전소설 번역의 성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Korean literary works began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y missionaries. Since then the period of qualitative expansion has followed and now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translation quality improvement. Still, since classic literature translation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quality translation works have been limited. In this paper, Unyong-Jon -A Love Affair at the Royal Palace of Choson Korea is analyzed, which was translated into English recently, to examine problems in classic literature translation process and explore solutions. The first priority is to select a proper original version of Korean literature to translate. In many cas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orks have more than one single original version. Such different original versions need to be properly unified and the appropriate original version should be chosen prior to translation. Second, the issue is that, in the orthography of proper nouns, the standard Korean Romanization method conflicts with the existing practice of McCune-Reischauer method. The latter may be more familiar to western people in terms of both notation and pronunciation. However, the standard method should be respected universally. Third is the orthography of Sino-Korean word. This issue is about whether to follow the Korean pronunciation of such Sino-Korean words or Chinese pronunciation thereof in translation. The Unyong-Jon translated version of Unyeong-jeon(운영전) shows consideration over this aspect but with no clear solution. Unyeong-jeon(운영전) is undeniably an excellent novel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or its critical mind, fictional structure and extraordinary aesthetic features. The English translation of Unyeong-jeon by Michael J. Petted is an important recent achieve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ranslation. The work provides diverse implica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translation, ranging from the orthography to Sino-Korean word treatment, way of footnote use, and to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However, it seems to remain open how to effectively deliver the class of original text and its literature achievement in translated version. It is because the achieve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ranslation can vary according to the way of expressing many poets with outstanding metaphors and implications, elegant writing style, delicate psychology portrayal,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