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由≪同文彙考≫「使臣別單」 論朝鮮後期使臣對周邊國家的認識: 以對臺灣鄭氏政權及安南西山阮朝的論述為中心

        임유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The diplomatic strategy of Joseon Dynasty is based on Sadaejuui (lit. "serving the Greatism") and interac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For example, Joseon aggressively serving Ming and Qing Dynasty, and friendly interacting with Japan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Based on such diplomatic strategies, Tongmunhwuigo is a book collecting Joseon envoys' visiting to Qing from the year of 1639 to 1881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mong the records in the book, Sasinbyeoldan, which documented the observation of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e situations in Qing Dynasty, was not released to Qing empire. The book has historical material value since it is specialized in widely collecting different countries' situations in East/Southeast Asia, thereby expanding international understandings for Joseon Dynasty. This study focuses on 206 articles in the category of Sasinbyeoldan in Tongmunhwuigo, observing Joseon envoys' visiting to Qing from the year of 1639 to 1881, especially the statement on Zheng Dynasty in Taiwan in late 17th century and Tây Sơn Dynasty in Vietnam in late 18th century. After Qing Dynasty ruling mainland China, Joseon Dynasty tended not to admit Qing's ruling, but respect Ming Dynasty in private at the beginning. Although such an attitude is not seen in official diplomatic situations, it is clearly recorded in Sasinbyeoldan, presented to the King of Joseon Dynasty. For example, Joseon envoys aggressively inquired about the Zheng Dynasty, which retreated to Taiwan, and described the dynasty with positive statement. In contrast, Joseon envoys criticized the emperor of the Tây Sơn Dynasty and his accompany on attending Qianlong emperor's 80th birthday. Most of current studies investigated on Joseon envoys' understanding to Qing Dynasty. In this article, we will not only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Joseon and Qing empire, but also organize the statement in Sasinbyeoldan for Zheng Dynasty and Tây Sơn Dynasty, and scrutinize the ideology of "Respect Ming, Dishonor Qing Dynasty" on envoys in late Joseon Dynasty, thereby creating a new research aspect on East Asia interaction. 조선시대에는 事大․交隣을 바탕으로 대외활동을 펼쳤는데 明․淸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대 정책을 추진하고 이웃 나라인 日本에 대해 우호적인 교린 정책을 취하였다. 『동문휘고』는 바로 이 ‘事大, 交隣文字’를 모은 외교문서로 조선후기에 해당하는 1639년부터 1881년까지의 청나라 및 일본과의 왕래문서가 이에 수록된다. 이 가운데 ‘사신별단’은 조선 사신들의 사적인 연행 관찰보고서로 청나라의 정치․경제․문화 등에 대한 자세한 기록물이자 중국을 배경으로 한 주변 나라에 대한 정보 수집 활동의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동문휘고』에 수록된 206편의 ‘사신별단’을 주요 텍스트로 1639년~1881년 사이에 청나라에 갔다 온 조선 사신들의 견문과 소감을 살펴본 결과, 17세기 臺灣 鄭氏 政權과 18세기 安南 西山 阮朝에 대한 언급은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만주족이 궐기하여 중국에서 정권을 세우자 조선 조정에서 청나라 정권을 인정하지 않고 명나라를 회복시키자고 하는 ‘尊明攘清’ 인식이 한참 흥행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공식적인 외교 석상에서 사라지고 오히려 청나라 조정에 보고하지 않은 ‘사신별단’에서 이러한 인식이 남아 있다. 조선 사신들은 북경에서 대만으로 철수한 정씨 정권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긍정적으로 기록하는 반면, 만주 복장을 입고 건륭제 팔순만수(八旬萬壽) 연회에 참석한 安南 西山 阮朝의 국왕 阮光平과 그의 신하들에 대해 엄격히 비판하였다. 본고는 주로 조․청 양국에 착안하여 조선 사신들의 대청인식을 다룬 선행 연구의 한계를 넘어 ‘사신별단’을 통해 17~18세기 주변 나라 특히 臺灣 鄭氏 政權과 安南 西山 阮朝에 대한 조선 사신들의 언급의 맥락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 아울러 조선 사신들의 尊明攘淸 인식이 그들의 대외인식에 어떻게 적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동아교섭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 KCI등재

        연행록을 통해 본 청대(淸代) 지방수재(地方秀才) 제패련(齊佩蓮)의 생애와 조선사신(朝鮮使臣)과의 교유

        임유의 ( Lin Yu-yi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18세기말 19세기초 楡關 출신인 지방 수재 齊佩蓮은 1780년부터 1805년까지 조선 사절단이 의례적으로 지나가던 산해관 근처의 유관에서 조선 사신들을 맞이하여 필담과 교유를 청하였는데, 무려 20차례에 이른다. 본고는 먼저 연행록 기록을 통해 중국 문헌에서 보이지 않는 지방 수재 제패련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조선 사신들과의 교유 경위 및 필담 내용을 고찰하겠다. 아울러 제패련과 조선 사신과의 교유를 두 가지 시각으로 살펴볼 것이다. 하나는 제패련의 입장에서 그가 조선 사신을 만난 이유를 (1)조선 문인에 대한 欽慕, (2)개인 문집을 위한 請序 및 評點, (3)스승 홍양호에 대한 敬仰, (4)한반도 특산품 청구 등 네 가지 주제로, 또 하나는 조선 사신의 입장에서 그들이 제패련을 만난 이유를 (1)중국 정치 현황과 중국 학술 현황에 대한 정보 수집, (2)조선 역대 인물에 대한 중국인의 평가, (3)필담을 통한 서로 한문 실력검증, (4)청나라 문인과의 가문 교유 계승 등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After Qing Dynasty ruling Mainland China, envoys around East Asian countries were assigned to pay tribute to the empire. They not only conducted diplomatic tasks, but also absorbed Qing Dynasty culture/technology and collected situation information of Qing and surrounded country, whereby the Chinese culture circle, which is Qing Dynasty oriented, were formed. The phenomenon of Chinese culture circle seems a one-way acceptance, i.e., from surrounded countries to Qing Dynasty, since the empire had the advantage on diplomacy and culture. However, from the book Yeon hang rok(Book of travel to Qing), written by Joseon envoys, the cases of the reverse-way acceptance, i.e., from Chinese local scholars' active interaction with Joseon envoys, are not rare, which is the topic that worth paying attention among the Chinese and Joseon interaction. Among those cases, Qi, Pei-Lian(齊佩蓮), the scholar born near Yu Pass (?關) in the late 18th century, interacted with Joseon envoys through conversation by brush talk and chanting poems on the route from Joseon to Qing empire for about 20 times. The scholar interacted with 28 Joseon scholars, including Bak, Je-Ga(朴齊家)、Lee, hae-Ung(李海應)、Hong, Yang-Ho (洪良浩), which is not common in the society where Chinese culture were considered superiority. Qi, Pei-Lian realized that those Joseon envoys own solid Chinese ability and held a critical position in the government. Therefore, it is worth to investigating on what is the motivation for Qi, Pei-Lian as he intended to interact with them and what is the motivation Joseon scholars interact with Qi, Pei-Lia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ackground and meaning for the interaction between Chinese local scholars and Joseon envoys, and found out the purpose Qi, Pei-Lian interacted with Joseon envoys: 1). Admiration for the Joseon scholars, 2). Admiration for his teacher Hong, Yang-Ho(洪良浩), 3). Ask for comments to his literary collection, 4). Ask for the local specialities of Joseon. In the other way, the purpose Joseon envoys interacted with Qi, Pei-Lian could be 1). For the intelligence collection of Qing Dynasty, 2). To know Chinese scholar’s comment on Joseon scholars, 3). Compare the ability in Chinese writing with each other, 4). To retain the interaction between Chinese family and Joseon fami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