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주요 다빈도 식품 및 영양소 섭취의 질: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임영숙 ( Young Suk Lim ),전수빈 ( Soo Bin Jeon ),김희망 ( Hee Mang Kim ),정소연 ( So Yeon Jeong ),안재영 ( Jae Young Ahn ),박혜련 ( Hae Ryun Park ) 대한영양사협회 2015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21 No.2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continuing to increase. Self-perceived body image among women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in Korea due to unhealthy weight control tria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ody image and dietary intakes among Korean women. For the analysis, 1,747 subjects were selected after eliminating those who were likely to have recently altered their diet based on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nderweight, normal, and obes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body image. Daily nutrient intakes, NAR (Nutrient Adequacy Ratio), and food intake frequency were assessed according to age group and body image perception. Only energy intake showed differences among the three body image perception groups across all age groups, but not statistical differences. Analysis of NAR and the order of most frequently consumed food items confirmed these findings. The ratio of underweight women that perceived their body size as normal or overweight was higher with younger age. Incorrect body image perception and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can cause nutritional problems. This study confirmed that nutritional knowledge is important for healthy weight control trials. Nutritional education for healthy dieting should be emphasized among Korean women.

      • KCI등재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

        임영숙 ( Youngsook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전공적성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실내디자인전공 남녀 대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학습유형, 전공적성, 전공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유형에 있어 전공에 따른 지배적인 학습유형이 있었으며, 직접해보고 모험을 좋아하며 직관적 문제해결방법을 선호하는 적응자유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학업성취도에 있어 설계스튜디오과목이 가장 흥미롭고 성적이 뛰어나며, 이론수업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지배적 성향인 적응자유형과 입시 실기시험 및 입학 전 전문미술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설계스튜디오수업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셋째, 전공적합도와 전공적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이었으며, 성별, 입시실기고사, 입학 전 전문 미술교육경험 여부, 학습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전공에 만족하였으나, 고학년에서 전과의사가 높고 입학 후 전공에 대한 기대치가 저하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전공적성과 만족도 전반에 걸쳐 남자가 여자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유형은 학업성취도와 전공적성에는 영향을 끼친 반면, 전공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전공적성도가 높을수록 전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로서, 실내디자인전공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부합된 구체적인 교수법 개발과 기타 인접학문분야 전공자들과의 학습유형에 대한 비교연구가 제안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관찰된 전공만족도에 있어 고학년에서 두드러진 저하 현상 및 성별에 따른 차이, 전공적성에 있어 입시실기시험과 입학 전 전문미술교육의 영향에 대한 요인 분석을 통하여 교과과정과 입시제도, 그리고 유사전공간의 학제적 통합에 대한 총체적 논의와 제고가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arning styles of the interior design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i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Data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03 participa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dministerd. Findings indicated that; 1) students tend to be accommodator dominantly in learning styles, 2) overall positive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and aptitud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sex,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More specifically, students with accommodator type did better in studio class and men reported overall higher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compared to women. Senior students tend to have higher intention to transfer to different major and negative expectations to their current major. Previous experience of art education and fine arts test to enter college were major factors to determine aptitudes toward major.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that incorporate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s and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in related areas such as architecture were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Also,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attitudes and aptitudes toward major found in this study in discuss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merging of departments were addressed.

      • KCI등재

        실내디자인관련 전공에서의 구두 및 서술발표 교과목 설계지침

        임영숙 ( Youngsook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9 No.-

        연구배경 이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관련 전공 학생들에게 졸업 후 실무환경에서 요구되는 전공지식이외의 구두 및 서술발표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학에서의 실질적 교과운영을 위한 교수설계체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실내디자인 전공은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이 창의적 실기능력과 함께 중요한 업무요건으로서, 사회진출이전 의사소통의 주요 수단인 다양한 문서작성기법과 구두발표 교육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관련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하여, 구두 및 서술발표 교육 현황과 학습요건 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내디자인관련 전공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학습운영 체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과목 설계의 구성은 학습목표설정, 과제유형과 학습내용,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구두 및 서술발표 요건과 교수전략, 평가기준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과제형태로는 유인물, 업무보고서, 논평, 공간소개, 작품제안서, 의뢰인 인터뷰, 토론이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전반에서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전인교육의 일환으로 발표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동향을 반영한 것으로, 국내 실내디자인 교과목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와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향후연구로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두 및 서술발표 교과목 설계지침의 다양한 교육환경에서의 비교분석과 실기스튜디오와 이론교과목에의 통합운영방안, 그리고 학년에 따른 수준별 적용방법에 대한 연계적 연구가 요구된다. Background Oral and written presentation skills are important elements of professional standards in interior design related major and are increasingly emphasized in various fields of study in the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cours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presentation to be applied in the framework of interior design curriculum. Methods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case study were used for literature review and course development. Result Instructional guidelines are presented with course content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types of presentation skills required in executing different phases of work expectations. Specific project type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1)production of print materials for flyers and hand-outs, 2)preparing documents for work report, 3)writing newspaper review, 4)introduction of space with different perspectives of narrater, 5)presentation of project proposal, 6)client interview, and 7)group discussion in the format of team meeting, panel and round table. Conclusion Comparative studies in different class settings and operation of the course in conjunction with studio and professional practice course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study. Also, applying the course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grades will enhance overall educational outcomes.

      • KCI등재

        공감적 이해에 기초한 유아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영숙(Lim, Young-Suk),김영옥(Kim, Yo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4

        공감적 이해는 유아가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감정이입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내적인 상태를 자신의 것처럼 조망하고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적합한 동화를 매개로 공감적 이해에 기초한 유아 사회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처치는 만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8주(총 24차시)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유아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동화를 들려준 후 1단계 ‘인물 탐색하기’, 2단계 ‘감정 공감하여 이해하기’, 3단계 ‘인물의 정서 표현하기’, 4단계 ‘역할 수행하기’, 5단계 ‘또래와 상호작용하기’, 6단계 ‘또래와 협력하고 실천하기’의 과정이 적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처리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공감적 이해에 기초한 유아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감성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Young children’s empathic understanding not only means they empathize with the other’s minds and feelings, but also it means that they observe and experience the other’s internal status as their own. So,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sociality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empathic understanding through fairy tales appropriate for children’s interest and development, and to verify the effect. The experiment was executed for 8 weeks (total 24 sessions) and performed by 40 young children, age of 5, divided into two groups: 20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0 in the comparison group. This also verified the effects derived from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After the group listened to the tale, the experiment was processed in teaching-learning six stages: 1. Browsing the characters, 2. Emotionally empathizing to understand, 3. Expressing the character’s emotion, 4. Performing a role, 5. Interacting with peers, and 6. Cooperating and practicing with peers. ANCOVA was computed using the pre-test scores of each group as the covariance. As the result, young children’s sociality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GIA 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임영숙(Young-sook Lim),이영주(Young-joo Lee),한숙정(Suk-jung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GIA 모델에 근거하여 자기 효능감, 자아 존중감, 외로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기전 및 스마트폰 사용 기대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일개 대학교 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1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설문조사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고,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평균 점수는 2.5±0.8(1.2-4.9) 이었으며, 125(55%), 90(40.2%), 9(4%)의 학생들이 정상, 위험, 중독군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외로움과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 기대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 존중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사용 기대, 자아 존중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이러한 영향 요인들을 조절하고 자아 존중감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GIA 모델을 근거로 스마트폰 중독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GIA 모델의 연구 적용 및 활용성을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hich attemp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elf-esteem, loneliness, stress, stress coping, and use expectanc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GIA model. Data was accumula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s from December 2015 to January 2016, which targeted 224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within Seoul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The average smartphone addiction score was 2.5±0.8 (1.2-4.9) and 125 students were in the normal category (55 %), 90 in the danger category (40.2%), and 9 in the addiction category (4%).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loneliness and str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use expectancy, while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Loneliness, stress, use expectancy, and self-esteem proved to b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which strengthen self-esteem are necessar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research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of the GIA model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GIA model.

      • KCI등재

        창의적 사고를 위한 공간디자인역사 교육방법

        임영숙 ( Youngsook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디자인역사 교과과정의 운영에 있어 공간디자인역사의 다양한 접근방법, 매체도구의 사용, 그리고 실질적 응용방안을 실험적 사례모형연구를 통하여 논의하고, 궁극적으로 창의적 사고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공간디자인역사 교과목의 교육방법과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국내·외 관련문헌조사 및 학습모형사례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간디자인역사 교수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가 제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1)공간디자인역사 인지 접근방법에 있어 학생들은 공간이외의 기존의 역사·문화적 지식기반에 근거하며, 2)역사·경제적 측면에서의 비교학습은 문화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데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3)시대별 주제에 따른 다양한 매체도구의 사용과 접근방식은 효과적인 지식습득뿐만 아니라 실질적 스튜디오작품에의 응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또한, 저널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학생들의 고유한 학습유형과 직업적성에 대한 탐구가 함께 이루어짐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공간디자인역사 교과과정에서 학생들의 역사인지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전개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교수법과 교수전략의 중요성이 제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students perceive western history of space, the way they interpret and develope critical thinking and to explor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sophomore level space design major students during the course of History of Space Design.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revealed some notable issues; 1) Students pay more attention to the space design issues parallel to their familiarity about specific issues of western history in general. 2) Students explained that comparisons and identification of cultural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ir existing knowledge of history strengthened their awareness of their own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3) Recognition of design as major social force influenced their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in perceiving history and applying to their studio projects. 4) Writing journals has helped students not only to identify their major tools of approaching history but to enhance broader perception of future career aspiration in the areas of journalism, curator, illustrator, etc. Student examples and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are discussed and the issues of considering and applying multiculturalism in the context of history of space is further addressed.

      • SCOPUSKCI등재

        일부 저소득층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영양소 섭취 및 관련변인 비교 연구

        임영숙(Young Suk Lim),조경자(Kyung Ja Cho),남희정(Hee Jung Nam),이경희(Kyung Hee Lee),박혜련(Haer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산업화되고,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과, 비교적 도시화가 더딘 지역의 농촌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양섭취 및 건강관련 행동을 비교해 봄으로써 거주지역 및 사회, 환경적 변인들이 노인의 영양섭취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도시노인의 평균나이는 72.4±5.7세, 농촌노인은 71.5±8.2세로 각 군간에 나이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여자노인으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간의 남녀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고 전체적으로 복지회관이나 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은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의 도시노인의 60~64세 남녀 평균 체중은 ’92년 국민영양조사의 평균 체중값과 비슷하였고, 농촌노인의 평균체중은 60~64세에서 남녀 각각 61.0 kg±0.21, 57.9 kg±0.24으로 남자노인은 ’92년 국민영양조사의 60~64세 연령의 농촌 남자 평균체중과 비슷하였으나 여자노인의 경우는 본 조사대상자가 5.6 kg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이상 연령군에서는 본 조사대상 농촌 남녀별 평균체중이 각각 61.0 kg, 50.9 kg으로 ’92년 국민영양조사의 65세이상 농촌 남녀별 평균체중 각각 57.7 kg±0.24, 51.4 kg±0.25과 비교해 보면 남자노인이 3.4 kg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여자노인은 비슷하였다. 65세이상의 도시군 남녀별 조사대상자의 평균신장은 각각 166.4cm±0.13, 153.6 cm±0.11로 ’92년도 국민영양조사의 신장값과 비슷하였다. 또한 농촌군의 경우 60~64세 및 65세이상 연령에서 ’92년도 국민영양조사와 거의 비슷하였다. 교육수준은 도시노인은 73.4%, 농촌노인은 93.8%가 무학 또는 초등학교 졸업이었으며, 중ㆍ고교졸업은 도시노인이 23.7%, 농촌노인이 5.7%, 대학이상의 학력은 각각, 도시노인이 2.9%, 농촌노인이 0.5%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간의 학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사용하는 용돈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도시노인은 농촌노인에 비해 월 20만원이상을 용돈으로 사용하는 노인이 많게 나타났다(p<0.01). 농촌노인(55.4%)이 도시노인(39.6%)에 비해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건강유지를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비율은 남녀간 차이는 없었고, 거주지역별로도 차이가 없었다. 주로 하는 운동으로는 걷기, 등산, 게이트볼, 기타로는 에어로빅, 수영, 체조교실이 있었으며, 도시노인 50.0%, 농촌노인 71.6%가 걷기를 한다고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음주 실태를 살펴보면, 농촌노인 42.1%가 음주를 자주 또는 가끔 한다고 하였으며 도시노인 15.9%보다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의 실태에서도 농촌노인 39%가 도시노인 5.7%보다 흡연을 자주 또는 가끔 한다고 하였다(p<0.01). 또한 조사대상자의 남녀 음주실태에서는 ‘거의 술을 매일 마신다’는 습관성 음주가 남자노인은 60.8%, 여자노인은 13.7%로 남녀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흡연에서도 남자노인 40.0%, 여자노인 9.9%가 거의 매일 흡연을 한다고 하여 남녀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영양소 섭취 실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교육수준, 한달 용돈, 배우자 존재여부, 운동상태, 하루 먹는 식품 수, 건강에 대한 자신의 생각(건강에 대한 인식도 점수화), 알콜 및 흡연 여부 등 사회, 환경적 변인들이 가지는 상관성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열량,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 섭취량이 좋은 것으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경제능력이 좋을수록,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열량, 단백질, 칼슘, 인,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티아민, 나이아신의 섭취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한달 쓰는 용돈이 많을 수록 영양섭취 실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자신이 판단한 건강에 대한 인식도 점수가 좋을수록 열량, 인, 나이아신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운동은 열량,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나이아신의 섭취량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알콜과 흡연 여부는 영양소 섭취 상태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식품 섭취빈도에 대해 다른 변인들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검토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육류군, 과일군,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한달 쓰는 용돈과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는 육류군, 과일군, 채소군, 두류군,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의 섭취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한달 쓰는 용돈과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자주 할수록 열량, 녹색채소,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 섭취빈도가 많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음주를 하는 노인의 경우 담색채소의 섭취빈도가 적었으며, 흡연여부는 뼈째 먹는 생선 섭취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음주 및 흡연여부는 다른 식품군의 섭취빈도와 세끼 식사의 규칙성에 상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정리해보면 저소득층 노인이라도 거주지역이 도시인 경우, 영양소 섭취 및 식품군 섭취빈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농촌지역 노인의 경우 영양소 섭취가 권장량에 부족하고 특히, 칼슘과 열량섭취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복지 차원의 영양개선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며 복지관 프로그램과 노인정을 이용한 영양교육 및 급식 프로그램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ents intakes,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and frequency of food group intake between the two groups of elderly living in Yangcheon, Seoul (n=105) and in Yongin (n=159). The results obtained by cross-sectional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1.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gend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s. 2)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Fe, vitamin A, niacin,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elderly than those of the rural elderly (p< 0.05). 3)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energy, protein, Ca and Fe of the subjec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RDAs in general and the rural elderly showed more severe deficiencies. 4) Individual nutrient intakes and food group intakes were related to the pocket money, number of different foods taken daily,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and the degree of exercise.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eds of nutrition intervention for the low-income, rural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