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TP III의 진단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관련위험요인 분석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 수진자를 대상으로-

        임열리,황승욱,조비룡,심현준,오은혜,장유수 대한가정의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4 No.2

        Backgrounds: The Third Report of the Adult Treatment Panel (NCEP-ATP III) has newly introduced the clinical diagnosis guideline of the metabolic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clustering of the CHD risk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by the newly introduced guideline and to evaluate possible risk factors with the syndrome.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3,873 adults (males 2,144, females 1,729) aged 20 years or older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SNUH. Among the subjects, we excluded those who did not have records of physical parameters, blood test results and who were on current medications except antihypertensives and oral hypoglycemic agents.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ATP III waist-circumference guideline, Asia-Pacific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BMI), respectively, and calculated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using the direct standardized method. While applying the Asia-Pacific waist circumference,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age group and the prevalence of the individual abnormalities of the metabolic syndrome. To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we use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etho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dds ratios for the metabolic syndrome vs. the non-metabolic syndrome. Results: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was 9.3% when ATP III waist-circumference was applied, 15.4% for Asia-Pacific waist-circumference, and 18.6% for body mass index (BMI). The highest prevalence of the individual criteria among the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criteria in men was hypertension, followed by hypertriglyceridemia, abdominal obesity, high fasting blood glucose, and low HDL-cholesterolemia. And in women, it was also hypertension, followed by abdominal obesity, low HDL- 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high fasting blood glucose. The prevalence increased from 3.8% among participants aged 20 through 29 years to 27.1% for ages 60 through 69 years and 31.6% for ages above 70 years. Females, increasing age, increased BMI, current smoking, physical inactivity were higher risk factors for the metabolic syndrome, but mild drinking was a lower risk factor for the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etabolic syndrome is highly prevalent although less prevalent than in American adults. The family physician should focus on the screening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연구배경: 2001년 발표된 ATP III는 대사증후군의 새로운 진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한국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이와 연관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에서 신체계측치와 혈액검사수치가 누락되거나 혈압강하제와 혈당조절제 외 다른 약물을 상용하는 수진자를 제외한 20세 이상의 성인 3,873명(남자 2,144명, 여자 1,72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산출하는 데 있어서 복부비만의 진단기준으로 각각 ATP III 허리둘레기준과 아시아/태평양 허리둘레기준, 체질량지수(BMI≥25 kg/m2)을 적용하여, 성별/연령군에 따른 유병률을 산출하였으며 직접표준화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연령보정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이 추정되는 여러 위험요인들을 다변량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연령보정 유병률은 각각 ATP III 허리둘레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9.3% (남자 9.4%, 여자 10.0%), 아시아/태평양 허리둘레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15.4% (남자 16.9%, 여자 14.2%), 체질량지수(BMI≥25.0 kg/m2)를 적용하였을 때 18.6% (남자 24.1%, 여자 12.4%)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별 유병률은 남성에서 높은 빈도부터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복부비만, 고혈당,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의 순이었고, 여성에서는 높은 빈도부터 고혈압, 복부비만, 저HDL-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당의 순이었다. 남성에서는 30대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70대 이상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여성에서는 50대에서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60대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여성인 경우, 고령인 경우, 체질량지수가 높은 경우,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나 경도의 음주를 하는 경우엔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낮았다. 결론: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아시아/태평양 허리둘레를 적용하였을 때 15.4%로서 미국의 22.0%에 비하면 낮지만 비교적 흔한 질환인 것으로 나타나 적극적인 선별 및 포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한다. 또한 앞으로 한국인에 적용할 수 있는 대사 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정상 공복혈당을 보이는 성인에서 공복혈당치와 대사증후군

        최재경,임열리,오승원,박진호,이철민,유상호,김열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has been introduced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Our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in normoglycemic adults. Methods: We examined lifestyle factors, anthropometric and laboratory measurement of adults with no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and normal fasting glucos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We categorized the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below 100 mg/dl into the quintiles and assessed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increasing glycemia in normoglycemic adults. Results: Quintiles of normal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showed a positive tren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abdominal obesity, high blood pressure, and obesity in normoglycemic adults (P<0.001).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holesterolemia, smoking, heavy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were of no significance. A multivariate model, adjusted for age, sex, smoking status, physical activity, and heavy drinking, revealed a progressively increased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1.05 (95% CI, 0.76∼1.44), 1.15 (95% CI, 0.84∼1.58), 1.33 (95% CI, 0.99∼1.80), 1.55 (95% CI, 1.14∼2.10), with increasing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as compared with fasting plasma glucose level of 81 mg/dl or less (P<0.001). Conclusion: Higher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within the normoglycemic range may constitute a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normoglycemic adults.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과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공복혈당을 보이는 성인에서 공복혈당치와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고 정상 공복혈당 범위 내에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혈액검사, 생활요인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100 mg/dl 미만의 정상 공복혈당을 보이는 성인을 공복혈당치에 따라 5개 군으로 나누어 공복혈당치 증가와 대사증후군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 공복혈당을 보이는 성인에서 공복혈당치가 증가할수록 대사위험인자 중 복부비만, 높은 혈압, 비만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1),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과 생활요인인 흡연, 음주, 운동은 유의성이 없었다. 대사증후군은 나이, 성별, 흡연, 음주, 운동 등을 보정하여 분석하였을 때 공복혈당≤81 mg/dl인 군에 대해서 공복혈당치가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1.05 (95% CI, 0.76∼1.44), 1.15 (95% CI, 0.84∼1.58), 1.33 (95% CI, 0.99∼1.80), 1.55 (95% CI, 1.14∼2.10)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결론: 공복혈당이 정상인 성인에서도 공복혈당치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남성에서 Osteoporosis Self-Assessment Tool의 유용성 평가

        이창훈,도현진,임열리,최재경,조희경,권혁중,조동영,성정환,오승원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2

        Background: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the Osteoporosis Self-assessment Tool (OST) can predict central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men above 50 years, as defi n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DXA). Methods: We applied the OST index to Korean men aged over 50 in Health Promotion Center of Konku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5 to September 2008. The calculated OST risk index was based on weight and age, truncated to an integer. Results: The study population was 276 men. The mean age, height and weight of the men were 59.7 ± 6.69 years, 167.6 ± 6.14 cm and 67.5 ± 8.93 kg respectively. By DXA, 4.7% of the men had a T score of -2.5 or less, and 46.4% had a T score of -2 or less at the spine, total hip, or femoral neck. The OST index ranged from -4 to 7. Using a cutoff score of 0, we predicted osteoporosis with a sensitivity of 85% and a specifi city of 62%.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showed an area under the curve of 0.77. When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age and smoking status, the predictive value of the OST was maintained. Conclusion: The OST is a simple and useful method to predict osteoporosis in Korean men. 연구배경: 한국 성인 남성에서 골다공증 고위험군 선별을 위 한 Osteoporosis Self-assessment Tool (OST)의 유용성을 알아보 고자 한다. 방법: 2005년 8월에서 2008년 8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의 50세 이상 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체중과 나이를 기초로 계 산한 OST risk index와 DXA로 측정한 골밀도 수치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최종 연구 대상자는 276명이었다. 평균나이는 59.7± 6.69세였고, 평균 키와 몸무게는 167.6±6.14 cm, 67.5±8.93 kg이 었다. DXA 측정 결과 4.7%가 골다공증, 46.4%가 골감소증으 로 진단되었다. OST risk index는 -4에서 7까지 분포했다. 전체 대상군에서 risk index 0을 기준으로 했을 때 골다공증에 대한 민감도는 85%, 특이도 62%였으며 ROC 곡선을 그렸을 때 area under the curve (AUC)는 0.77이었다. 골다공증의 주요 위험인 자인 연령, 흡연 여부에 따라 나누어 분석했을 때 AUC가 높아 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OST는 한국 성인 남성에서도 골다공증 위험을 선별하 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다.

      • KCI등재

        성인의 과민성방광증후군의 관련 요인 및 삶의 질

        김선아,도현진,임열리,최재경,조희경,권혁중,조동영,김동욱,김은해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1

        Background: Overactive bladder syndrome (OAB) is a common disorder in primary care that affects nega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f outpatient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related factors and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overactive blad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 nd related factors of overactive bladder an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overactive bladder. Methods: Among the people who visited a hospital in Seoul and Chung-ju for a health examination or primary care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31, 2008, we selected 327 participants over 20 years old. We measured their Overactive Bladder Questionnaire (OAB-q), took medical history and reviewed their demographic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OAB, other independent variabl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L) were analyzed. Results: Of 327 respondents, the prevalence of OAB in adults was 38 (11.6%). The factors related to OAB were age (P = 0.007), history of prescription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P = 0.023),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P = 0.002), and depression (P = 0.008). OAB wa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BPH medication (P = 0.042; OR = 8.757) and depression medication (P = 0.005; OR = 9.977)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each T-test analysis, OAB decreased in HRQL. Conclusion: OAB is a common disorder in adults, history of BPH medication and depression medication is more common in OAB. The symptoms that were suggestive of OAB were affected nega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Effective health care polices and prompt management of OAB should be implemented. 연구배경: 과민성방광증후군(overactive bladder syndrome)은 일차 의료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이며 과민성방광증 후군의 증상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성인에서의 과민성방광증후군과 관련된 인자 및 삶의 질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에 서의 과민성방광증후군의 관련 인자를 찾고, 과민성방광증후 군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서울 및 충주 일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환자 396명을 대상으로 인구 학적 특성을 묻는 설문지와 Overactive Bladder Questionnaire (OAB-q)를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설문 누락이나 통계 불가 한 69명(17.4%)을 제외한 327명을 대상으로 과민성방광증후 군의 관련 인자 및 삶의 질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통계 분석하 였다. 결과: 총 327명 중, 과민성방광증후군으로 진단된 수는 38 (11.6%)명이었다. 과민성방광증후군은 연령대(P=0.007), 심 부전증 약제 복용력(P=0.023), 전립선비대증 약제 복용력 (P=0.002) 및 우울증 약제 복용력(P=0.008) 등과 관련 있는 것 으로 나왔으며, 이를 연관 변수로 보정한 결과 전립선비대 증 약제 복용력(P=0.042; OR=8.757) 및 우울증 약제 복용력 (P=0.005; OR=9.977)과 연관성 있는 것으로 나왔다. 과민성방 광증후군으로 진단된 군에서 정상인 군에 비하여 삶의 질이 확실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성인에서 과민성방광증후군은 일반적으로 흔하게 접 할 수 있는 질병이며, 전립선비대증 약제 복용력 및 우울증 약 제 복용력이 있는 경우 더 흔하게 관찰되었고, 과민성방광증 후군과 관련된 증상들로 인하여 삶의 질의 감소가 나타났다. 과민성방광증후군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을 적절히 파악하고, 관련인자를 분석하여 예방책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 이다.

      • KCI등재

        일차진료에서 문제음주자 선별을 위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의 타당도 조사

        성정환,도현진,오승원,임열리,최재경,조희경,권혁중,조동영,이창훈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9

        Background: In the busy primary care setting,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applying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 cation Test in Korea (AUDIT-K) to screen problem drinking. Thus, for primary healthcare practice, we evaluated AUDIT-C, which covers questions from 1 to 3 in AUDIT-K, and AUDIT-K Question 3 Alone to present cut points for these two screening questionnaire according to AUDIT-K test scores. Methods: In a university hospital, we surveyed 302 males with a drinking history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AUDIT-K, from November 2007 to April 2008. On the basis of total score in AUDIT-K, we divided them into four groups: normal, problem drinking, alcohol use disorder, and alcohol dependence. For each alcohol drinking behavior pattern, we drew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s to present cut points for appropriate sensitivity and specifi city. In addition,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AUDIT-C and AUDIT-K Question 3 Alone through area under the curve (AUC). Results: For AUDIT-C, we designated the score 8 or more as problem drinking, 9 or more as alcohol use disorder, and 11 or more as dependence. The results of sensitivity/specifi city for each group were 82%/76%, 76%/79%, 80%/86%, respectively, which were suitable for screening. For AUDIT-K Question 3 Alone, we defined the score 3 or more as problem drinking or alcohol use disorder and the score 4 as dependence. The results of sensitivity/specifi city for each group were 79%/80%, 84%/67%, 85%/77%, which were appropriate for screening. For every drinking behavior group, AUDIT-C was superior to AUDIT-K Question 3 Alone in screening performance (problem drinking: 0.88 vs. respectively 0.85, alcohol use disorder: 0.86 vs. 0.82, alcohol dependence: 0.88 vs. 0.81) Conclusion: We confi rmed that both AUDIT-C and AUDIT-K Question 3 Alone, which are more convenient and have fewer time con-straints than AUDIT-K, are reasonable screening methods for problem drinking. Thus, we recommend further drinking assessment and proper intervention for male drinkers who have scores 8 or more in AUDIT-C or 3 or more in AUDIT-K Question 3 Alone. 연구배경: 문제음주를 선별하는 10문항 짜리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 cation Test in Korea (AUDIT-K)는 분주한 일차 진료현장에서 사용하기에 한계가 많다. 이에 AUDIT-K 선별 점수를 기준으로 AUDIT-K 1-3번 문항만을 묻는 AUDIT-C와 AUDIT-K 3번 단독문항의 문제음주 선별능력을 평가하고 두 선별도구의 절단점을 제시하여 일차진료에서 유용하게 사용 하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일개대학병원에 내원 한 음주력이 있는 남성 302명을 대상으로 AUDIT-K를 포함한 자가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UDIT-K 총점을 기준으 로 정상, 문제음주, 알코올사용장애, 알코올의존 4군으로 나눈 뒤, 각 음주행태별로 AUDIT-C와 3번 단독문항의 ROC곡선을 그려 적절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절단점을 제시하였 다. 또한 area under the curve (AUC)를 통해 AUDIT-C와 3번 단 독문항의 문제음주 선별능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AUDIT-C의 경우, 8점 이상을 문제음주, 9점 이상을 알 코올사용장애, 11점 이상을 알코올 의존으로 선별할 때, 민감 도/특이도는 각각 82%/76%, 76%/79%, 80%/86%로 적절하였 다. 3번 단독문항의 경우, 3점 이상을 문제음주 혹은 알코올사 용장애, 4점을 알코올 의존으로 선별할 때 민감도/특이도는 각각 79%/80%, 84%/67%, 85%/77%로 적절하였다. 모든 음주 행태에 있어서 AUDIT-C가 3번 단독문항에 비해 우수한 선별 능력을 보였다(문제음주: 0.88 vs. 0.85, 알코올사용장애: 0.86 vs. 0.82, 알코올의존: 0.88 vs. 0.81). 결론: AUDIT-K에 비해 사용하기 간편한 AUDIT-C와 AUDITK 3번 단독문항은 문제음주 선별에 유용한 선별도구임을 확 인하였다. AUDIT-C 8점 이상, 또는 AUDIT-K 3번 단독문항 3 점 이상인 남성 음주자에게는 면밀한 음주평가와 적절한 중 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ffect of Aditional Brief Counselling afte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on Motivation for Health Behavior Change

        손기영,이철민,조비룡,임열리,오승원,정원주,이진석,박두신,김한석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12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dditional brief counseling by a primary care physician on lifestyle modification of examinees after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1,000 participants of the 2007 Korean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were asked to note any variation in their health behavior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reening program. The degree of comprehensive motivation for lifestyle modification was assessed in terms of stages of health behavior change. We calculated odds ratio of positive change (enhanced stage of change)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ge-adjusted proportion of positive changers. Of 989 respondents, 486 and 503 received the basic and additional programs, respectively. Additional group were more likely to be positive changer than basic group (adjusted OR 1.78; 95% CI 1.19-2.65), and this was more prominent in older age group (adjusted OR 2.38, 95% CI 1.23-4.58). The age-adjusted proportions of positive changers were 22.7% (95% CI, 17.9-28.3) and 36.2% (95% CI, 30.4-42.4) in the basic and additional groups, respectively (P < 0.001). The additional consultation led to improvements in the stage of health behavior change after the health examination. Thus, such a consult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health-screening program.

      • KCI등재

        60세 이상의 성인에서 기능성 변비와 삶의 질

        권혁규,도현진,김혜정,오승원,임열리,최재경,조희경,권혁중,조동영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

        Background: Constip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digestive complaints. Although, there are increased interest on the socioeconomic effect of constipation and studie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on constipation, there is no study about the infl uence of constipation onto quality of life (QOL) in Korea. We studied the impact of functional constipation on QOL. Methods: Between March to June 2008, person to person survey with 844 elderly aged over 60 years was performed at two senior care centers, a public health center, and secondary hospital in Seoul metrocity and Chung-ju city. The diagnosis of functional constipation was based on the Rome III criteria and QOL was measured by the Medical Outcomes Study (MOS)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Results: The average age was 73.6 years and the prevalence rate of constipation was 20.3%. The average SF-36 score was 63.5 in total population, 57.9 in constipation group, and 64.9 in norma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ipation lowers QOL in adults aged over 60 years old.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if QOL chang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onstipation and its treatment and to assess QOL using a disease-specifi c measurement tool that can be used for Korean environment. 연구배경: 변비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접하는 소화기 증상 중하나이다. 변비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지만,국내에서는 변비에 대한 유병률에 대한 연구 외에 삶의 질에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변비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시와 충주시의 노인 복지관 두 곳과 일개 보건소, 서울시와 충주시의 일개 2차 병원을조사 대상 지역으로 하였으며, 60세 이상의 노인 8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변비의 진단은 2006년 발표된 로마기준 III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은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73.6세였고, 변비의 유병률은 20.3%였다. SF-36 점수의 전체 평균은 100점을 만점으로 할 때 63.5점이었고, 변비군에서의 평균은 57.9점이었고, 정상군에서의 평균은64.9점으로 관련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변비는 유의하게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향후 개인의삶의 질이 변비의 심한 정도와 치료에 따라 변화하거나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한 연구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사용될 수 있는 질병 특이적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는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의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도 및 이용 행태

        김혜정,조희경,도현진,임열리,최재경,권혁중,조동영,권혁규,오승원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6

        Background: Recently, the mass media serves a major role in the public health education, but have not been proven whether they are being appropriately utilized in the elder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derly person's concern in the mass media health information and utilization behavior. Methods: Between March to June 2008, one to one survey with the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was performed in two elderly welfare centers, one public health center, and two secondary hospitals outpatients and inpatients in Seoul and Chungju. Results: A total of 999 subjects were included. By multivariate analysis, factors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low concern in the mass media health information were low educational level, non-exercise group, and low concern in own health (P = 0.001, 0.009, < 0.001,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health information source was the mass media.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health information utilization, women, low educational level, low income, non-exercise group, underweight, low level of self-evaluated health status, and low concern in health information were signifi cantly associated with the lowest quintile of utilization (P value: < 0.001, 0.005, 0.05, < 0.001, 0.002, 0.03, 0.005,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had no association. Conclu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concern in and utilization of the mass media health information were concern in health, self-evaluated health status, exercise status an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or income level, rather than comorbid chronic disease. 연구배경: 최근 대중매체는 일반인들의 건강교육에 많은 역 할을 하고 있으나 노인들에서는 그 유용성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대중매체 건강정보 에 대한 관심도 및 이용 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6월까지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서울시와 충주시의 노인복지관 두 곳과 일개 보건소, 두 곳의 2차 병원 외래 및 입원환자에서 일대일 설문조사를 시행하였 다. 결과: 최종 연구대상자 999명 중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아주 많거나 비교적 많다고 응답한 경우는 58.4%였 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낮은 군과 관련된 인자로는 저학력, 비운동군,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경우였다(각각의 P=0.001, 0.009, <0.001). 지역사회 노인들이 건강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곳은 대중매체였다. 대중매체 건강정보 이용 빈도를 5분위군으로 나누어 최상위군과 최하위군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한 결과 여성 노인, 저학력, 저소득층, 비운동군, 저체중 군, 자가 건강상태 평가가 나쁜 군,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군에서 대중매체 건강정보 이용 빈도가 낮았다(각각의 P 값 <0.001, 0.005, 0.05, <0.001, 0.002, 0.03, 0.005). 그러나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 여부는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 도 및 이용 빈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대중매체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도 및 이용도는 만성 질 환의 유무 보다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 및 자가 건강상태 평가, 운동 여부, 학력이나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인자 등이 중요 한 관련인자였다.

      • KCI등재

        성인 남성에서 골밀도와 관련된 생화학적 지표 및 생활습관 요인

        김은해,조희경,조동영,권혁중,최재경,임열리,도현진,김은영,오승원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5

        Background: More than half of the causes of male osteoporosis is due to secondary osteoporo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modify its related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 nd related lifestyle factors and biochemical markers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men.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men aged 40-69 years who visited a hospital for health checkup from January to March 2007. BMD was measured at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Lifestyle factors were estima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fasting glucose, uric acid, gamma glutamyl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creatinine, free testosterone, 25-OH vitamin D, urine deoxypyridinoline, osteocalcin were measur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 nd the association to the lowest tertile of BMD. Results: A total of 152 subjects were included. After multivariate analysis adjusted with age, BMI, smoking, alcohol and exercise, different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low bone density in each site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Factors correlated at both sites were BMI and exercise; lower BMI and doing no exercise increased risks of low bone density. Increasing age and alcohol intake ≥ 14 drinks/week were associated with lower BMD at femoral neck.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lumbar spine BMD only were lower level of uric acid and higher level of urine deoxypyridinoline. Conclusion: Differen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low bone density at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in men. BMI and exercise were related in both sites; age, alcohol intake, uric acid and deoxypyridinoline were related on either site. 연구배경: 남성 골다공증은 절반 이상이 2차성 골다공증이므 로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 서는 70세 미만의 남성에서 골밀도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생 화학적 지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월 1월부터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40-69세의 남성 중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저질환이나 약물 복용력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 가설문으로 흡연, 음주, 운동, 유제품 섭취빈도 및 과거력을 파 악하였고, 생화학적 지표로서 공복혈당, 요산, 감마지티, 알칼 라인포스파타아제, 크레아티닌, 유리 테스토스테론, 25-OH vitamin D, 요중 데옥시피리디놀린, 오스테오칼신을 측정하였 다. 골밀도는 DXA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골에서 측정하였 다. 골밀도 분포에 따른 3분위군 중 최고군과 최저군간의 특 성을 비교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인자들을 다변량 로짓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2명의 연구대상자의 단변량 분석 결과 골밀도 상 위군과 하위 삼분위군 간에 차이를 보인 인자는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음주량, 운동, 요산, 알칼라인포스파타아제, 크레 아티닌, 25-OH vitamin D, 데옥시피리디놀린이었다. 연령, 체 질량지수, 흡연, 음주량, 운동으로 보정한 다변량 분석 결과 대 퇴 경부와 요추 골밀도 간에는 관련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두 부위에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인은 체질량지수, 운동이었고,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비운동군인 경우 두 부위의 골밀도 가 유의하게 낮았다. 두 요인 외에도 대퇴 경부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 14잔 이상 음주를 하는 경우 골밀도가 유의하 게 낮았다. 요추에서는 공통 요인 외에도 요산이 낮을수록, 데 옥시피리디놀린이 높을수록 골밀도가 낮았다. 결론: 성인 남성에서 대퇴 경부와 요추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 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두 부위에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 인은 체질량지수, 운동이었고 한 부위에만 관련성을 보인 요 인은 연령, 음주량, 요산, 데옥시피리디놀린이었다.

      • KCI등재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인식

        최진욱,조희경,이성기,도현진,오승원,임열리,최재경,권혁중,조동영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a lot of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hen they visit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family physician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effect of those factors on the actual physicians’ practice behavior for the disabled. Methods: We sent questionnaires by post mail to 1,000 members listed in the 2007 address book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Medicine. Results: Among the total of 90 family physicians who had answered, 72 (80.8%) had willing attitude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it was essentially a doctor’s duty. In the group who were unwilling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principal reason was that they were not equipped with sufficient facility and medical system. Gender was the only factor affecting the physicians’ attitude significantly and the female doctors had a higher intention to treat the hearing impaired people than male doctors (P=0.035). Age, location of hospital, number of patients, practical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peop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octors’ attitude. The number of physician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s health promotion personall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treatment intention (P=0.007). Nevertheless, few physicians had the willingness to equip the hospital facility for the hearing disabled, even in the group of willingness to treat the disable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very few disabled patients visit their clinic, and so forth they felt no necessity to improve and re-organize their clinical environment. Conclusion: Most family physicians are willing to treat hearing impaired people. But even in the willing group, almost all of them are unwilling to improve or equip the medical facilities for the hearing impaired people personally, because only a few disabled people visit the primary care hospital in the real practice. 연구배경: 청각장애인들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의료기관 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일차진료를 담당하는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진료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 요인들이 실제 진료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도 대한가정의학회 개원의 명부에 등록된 명단에서 임의로 1,000명을 추출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설문 대상 1,000명 중 응답한 가정의학과 개원의 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에 대한 태도는 72명(80.0%)이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였고, 가장 큰 이유는 의사로서의 기본 역할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70명(77.8%)으로 가장 많았다. 진료의향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는 진료여건이나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가 14명(15.6%)였다. 청각장애인 진료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유의한 항목은 성별로서 여성에서 유의하게 진료의향이 높았고(P=0.04) 그 외 나이, 근무지역, 일 평균 환자수, 청각장애인 진료경험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개원의들의 청각장애인 환자의 특성에 대한 믿음은 질병에 대한 지식이나 건강관리 상태 등이 일반인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다소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청각장애인 진료의향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원의가 개인적으로 청각장애인의 건강관리를 위해 참여를 희망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07). 그러나 청각장애인을 위한 진료환경을 향후 개선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한 개원의는 매우 소수였으며 개선 의지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청각장애인 환자가 거의 없어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였다. 결론: 가정의학과 개원의들은 대부분 청각장애인을 진료할 의향이 있었다. 그러나 진료의향이 있는 군에서도 청각장애인 환자 수가 소수이기 때문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병원 진료환경을 구비하고 있거나 향후 개선할 의지가 있는 개원의는 매우 적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