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운영학교의 쟁점과 발전 과제

        임연기(Youn Kee Im)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초·중·고 통합운영학교의 쟁점을 논의하고, 발전 방향과 원칙을 탐색하는 데그 목적이 있다. 통합운영학교는 1998년 8개교를 시작으로 2016년 3월 기준 현재 105개교가 지정, 운영되고 있다. 통합운영학교는 학생수 감소에 따른 학교 규모 적정화,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단계에서 국민기초공통과정의 통합운영, 중학교와 고등학교 단계에서 중등교육의 다양화와 계열성 심화 등을 위한 주목할 만한 학교발전 모델로서의 가치가 인정되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합운영학교의 쟁점을 통합운영학교의 존재 이유 측면에서 학교규모의 적정화 방편인 가, 학제의 유연화 시도인가, 통합운영학교의 바람직한 형태 측면에서 부분 통합으로 충분한지, 아니면 완전 통합이어야 하는지, 통합운영학교 발전과제 측면에서 제도 보완이 우선인지, 사람과 문화의 변화가 우선인지 등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통합운영학교의 발전 방향으로 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단계적 발전 도모, 지역 실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발전 추구, 개별 학교의 자발적, 창의적 발전 방안 강구, 관계자의 인식 개선과 제도 보완 추진 등을 제안하였다. 핵심 과제로는 학교 종류로서 통합운영학교의 제도화,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통합 모델 개발, 통합운영학교 교사양성체제 정립, 통합운영학교의 네트워크 구축, 통합운영학교 연구 및 지원체제 확립 등을 제안하 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tasks of Integrated Management Schools(IMS) in Korea. IMS has been operating since 1998 and utilizing as a means of combining another level of small-scaled school in accordance with a decreased number of students. The value of IMS as a school development model to improve the adequacy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s also being recognized. Yet, the situation is that many problems are raised in schools. The issues of IMS, in this paper, are addressed in two ways. The issues are first discussed by the operating status of three foreign countries, second, the issues are discussed through the awareness of IMS teacher. The paper also reviews three aspects, characteristics, shapes, and problem sources, of IMS. Therefore, from the results, we can infer the policy implications. First, redesigning IMS is unavoidable. Second, we need to shift from a negative frame to a positive frame. Third, we need to not only device system for restructuring IMS but also for making efforts toward reforming school culture. Fourth, we need to prepare satisfactory management guidelines so that teachers can want work at IMS. Fifth,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IMS.

      • KCI등재

        한국 농촌교육 정책의 변천과 그 특성 및 과제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농촌교육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해서 농촌교육 발전을 위한 기존의 정책들을 분석하고, 농촌 학교 발전 정책들의 특성을 규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해방 이후 농촌 교육정책을 교육기회의 확대기, 소규모학교 통폐합 추진기, 교육의 질개선 추진기 등으로 구분하고 주요 정책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해방이후 농촌 학교를 대상으로 특별한 정책 수단을 강구하기보다 국가 주도 공교육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5-60년대 초등교육, 70년대 중등교육의 기회가 획기적으로 확대되었다. 80년대 초반에는 농촌학교의 학생수 급감 사태에 직면하여 적정규모화의 기치 아래 소규모학교를 공식적으로 통폐합하기 시작하였다. 2004년에는 특별법이 제정ㆍ공포되어 농촌 관련 각 부처의 통합적 노력에 의해 농촌 교육의 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농촌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서 ①농촌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농촌학생의 실질적인 교육기회 보장, ②농촌의 가치를 살리는 농촌학교 발전모델 정립, ③농촌 교원의 질 향상 및 사기진작 방안 강구, ④장기적 전망에 기초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농촌 소규모학교 통합 모델의 정착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of rural communities, which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educationally disadvantaged groups. To do this, I analyzed the existing policies, the Acts and articles that provide the context of this study. I adopted a chronological framework for analysing a series of the policies after Korean Independence day. 3 key stages were identified: the first stage of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y in the 1960s, the second stage of the mergers and closures of small schools, and the last stage of the qualitatively expansion of education in the areas. The main focus of the first stage was to expand the compulsory education in the rural areas. The second stage were basically attributed to the sudden and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areas. The government started 'the small schools' merging and closing policy' of which the targets were schools suffering severely from limited number of students enrolled. The final stage wa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Act that facilitates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rural education by the collaborative efforts of all government agencies concerne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olicy were finally suggested. First, the focus of the policy needs to shift from the nominal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e real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Second, the rural education should apply a developmental model reflecting the nature of the rural life style rather than simply duplicating the model used at schools in the metropolitan cities. Finally, the focus of the staffing policy for the rural schools should be forwar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농촌형’ 방과후학교 발전모델 탐색

        임연기(Im, Youn-Kee)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농촌의 방과후학교 발전모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농촌학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정부의 농촌 방과후학교 지원사업을 검토하였으며, 농촌 학생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농촌학교는 여러 취약점이 지적되어 오고 있으나 농촌학생들의 학습경험, 학습환경, 학습자원 차원에서 강점도 확인되었다. 정부의 농촌 방과후학교 지원사업은 농촌학교의 강점보다는 취약점을 극복하는 데 치중하여 왔다. 농촌학생들은 도시 학교에 비해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높은 반면에 방과후학교 교육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방과후학교의 발전모델로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와 지역공동체 형성 차원에서 ‘통합형’, 농촌학생의 가정결손 보충 차원에서 ‘복지형’, 농촌학교의 강점을 살려 농업․농촌의 가치 반영 차원에서 ‘특화형’, 수요자 중심의 원칙에서 탈피하여 전문적 관리를 중시하는 운영 차원에서 ‘전문형’ 그리고 ICT를 활용한 교육방법의 개선 차원에서 ‘첨단형’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정책적 제언으로 방과후학교 담당자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방과후학교 우수 프로그램 공모 지원, 방과후학교 우수 사례 발굴 및 확산, 농촌 방과후학교 재능 기부 활성화, 농촌 방과후학교 전담 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model of after-school in rural area. It has analyzed features of rural school, and reviewed the government projects supporting after-school program of rural areas, and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 on after-school program in rural areas. The result indicated that rural schools have advantages and strengths in learning experiences, environment, and resources for learning, although a lot of weakness are also mentioned. The government support projects have focused on supplementation to weakness rather than enhancement of advantages. The rural students attend after-school programs much more than the urban students, and have a perception that after-school activities need to be improved urgently. This study has proposed five developmental models of rural after-school: ‘integrated model’ for accelerating connection to regular curriculum and forming regional community, ‘welfare model’ for compensating for disadvantaged rural students, characterized model utilizing the strengths of rural school, ‘specialized model’ for emphasizing on professional management overcoming comsumer oriented principle, and ‘high-technology model’ for improving instructional method by using ICT. Finally, it has been discussed and suggested as policy implications to provide a competency developing program for persons in charge of after-school, to provide incentives for excellent after-school programs, to search and diffuse excellent cases, to facilitate talent donation for rural after-school, and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supporting center for rural after-school.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60여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분석하고, 연 구 과제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행정학의 연구성과를 규범적, 과학적, 처방적 접 근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와 영향, 국가와 사회의 연구 수요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성찰하 였다. 교육행정학의 핵심적 성과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행정학이 종합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여 독자적 탐구 영역의 확보를 통한 학문적 정체성 확립 에 매진하여 왔다. 둘째, 실증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의 과학화 토대를 마련하였 다. 셋째, 근대화와 민주화, 그리고 세계화 시기를 거치면서 교육행정학 연구의 시대적 과제 에 대응하여 왔다. 교육행정학의 연구 과제로서 교육행정학 연구 관점의 다양화, 교육행정학의 한국화, 교육행 정학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능동적 대처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achievements of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ith 60 years of history in depth and seeking its development strategies. It classifies the field’s accomplishments using normative, scientific and prescriptive approaches, and contemplates the achievements in terms of research outcomes and their effects, and measures in response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udies. This paper recognizes the following three major achievem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First, the field has strived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considering its interdisciplinary feature, by securing its own area to research and practice. Second,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tself into a scientific discipline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Third, the study has coped with the challenges of certain eras, while Korea has transformed into modernized, democratized, and globalized country. Th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Diversifying its research perspectives; koreanizing the study; devoting constant efforts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problem a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학교평가문화의 진단과 발전과제 탐색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4

        이 연구는 학교평가 현상을 문화적 관점에서 조망하려는 시도로서 학교평가문화를 진단하고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었다. 학교평기문화의 개념은 학교구성원들이 학교평가에 관하여 공유하는 가치, 태도, 신념으로 규정하였다. 학교평가문화의 진단을 위해서 통합적, 문화격차 시각에서 관찰, 면담, 설문조사 풍의 삼각 진단법을 활용하였다. 학교평가문화의 유형으로서 권력문화, 역할문화는 강하고 과업문화 , 지원문화는 취약하며, 업무처리 문화는 강하고, 문제해결 , 목표달성 , 과업생취 문화는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학교평가문화의 주된 특성으로서 권위주의 문화 형식주의 문화, 온정주의 문화를 규명하였다. 학교평가문화의 발전을 위한 과제로서 학교평가 여건의 조성, 학교평가의 전문성 제고, 학교평가 결과의 활용성 증대, 학교평가 권한의 분산 등을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school evaluation culture, suggest developmental tasks of school evaluation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reflective review about literature related with school evalu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riangulation method, namely, interview metho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cultural gap survey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teachers and supervisors who participated in the KEDI school evaluation training program.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school evaluation culture were identified. Those were ① authoritarianism, ② formalism, ③paternalism. This study suggested developmental tasks as follows' First, to build up normal school evaluation condition. Second, to increase specialization of school evaluation Third, to lay open the process and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Fourth, to decentralize school evaluation power. Fifth, to emphasize educational utilization of school evaluation.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효과 인식 분석

        임연기 ( Im Youn-kee ),김혜경 ( Kim Hyekyung ),김균희 ( Kim Gyunhee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수자와 학습자가 학습효과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농어촌 소규모학교 19개교의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학습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자 203명, 교수자 28명의 응답 데이터는 SPSS2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참여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학습자 집단이 낮은 학습자 집단보다 학습효과(동기유발, 학습이해, 역량 향상감)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203, t=-8.993, p<.001). 특히, 정규 교과보다 창의적 체험활동에 많이 참여한 학습자일수록 학습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004, p<.05). 둘째,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활동 수행수준이 높은 교수자 집단이 낮은 교수자 집단보다 학습효과(동기유발, 학습이해, 역량 향상감)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3.628, p<.001). 셋째,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의 학습효과에 대하여, 교수자 집단이 학습자 집단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3.946, p<.001). 본 연구는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화상교실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에 대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효과 인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학습자와 교수자의 학습효과 인식 결과는 향후 농어촌 소규모학교에서 공동화상수업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공동교육과정 운영 시 화상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을 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an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a co-curriculum using a video classroom system in 19 small schools in rural area schools perceived the learning effect thereof.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3 learners and 28 instructors on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1.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with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co-curriculum using video classrooms had higher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ffects, specifically, motivation,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competency improvement than those with low levels. In particular, the mor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n regular courses, the more positively they perceived the learning effects. Furthermo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with a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the co-curriculum operation activity and those with low instructo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 group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the learner group about the learning effects of the co- curriculum using the video classroom (t=3.946, p<.001).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perception of learning effect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in the case of a co-curriculum using video classrooms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of the learning effect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exam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signing the direction of using video classrooms when implementing a co-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a co-video classes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ICT 활용 농어촌 방과후학교 운영모델 연구

        임연기(Im, Youn-kee),정현용(Jung, Hyun-y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8 방과후학교연구 Vol.5 No.1

        농어촌 방과후학교의 취약점은 우수강사 확보의 곤란, 학급규모의 영세화, 학습집단의 이질화에 있다. 이에 따라 농어촌 학생들은 다양한 교육경험의 제약, 사회・문화적 고립과 소외, 수업 효과성 미약 등의 불이익을 받고 있다. 그러나 ICT를 방과후학교에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성공경험과 도전의식의 배양, 다양한 문화・예술활동 참여 및 소통기회 증진, 학력관리와 진로탐색・개발 등을 좀 더 원활히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기반의 농어촌 방과후학교의 운영모델로 학교단독, 학교연합, 그리고 학교온라인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ICT를 활용한 방과후학교의 영역은 ICT 활용 특성상 돌봄을 제외하고, 학력증진과 다양한 체험활동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각 모델별로 교과학습형과 체험활동형으로 구분하였다. ICT 활용방법 차원과 방과후학교 영역차원의 조합을 통해서 3가지 모델과 6가지 유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weak points of after school activitie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consist in having difficulty in acquiring excellent lectures, and in petty sized classes and a variety of members in the class. Therefore, the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having disadvantage of limitation on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senses of social & cultural isolation and alienation, and lack of effectualness of contents of class. By the way, making use of ICT during after school activities would enable the students to have cultivation of successful experience and challenging mind, participation in numbers of cultural & artistic activities, improvement in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management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loration & development of future career more readily. Thus, I intend to suggest models of after school activities using ICT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such as the models for single school, joint schools and online school to the community. The domains of after school activities using ICT are divided into a type of learning course works and a type of experiencing field works in terms of improving academic ability and promoting numbers of experiencing field works excluding nursery care viewing on the characteristic of ICT utilization. Let me show you 3 models and 6 types by combining the level of methods using ICT and the level of domains of after school activities.

      • KCI등재

        한국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특성 분석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20여년의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그 특성 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있다.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을 태동 기, 확산기, 조정기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그 특성을 정치적 대응성, 경제적 효율성, 문화적 적합성 그리고 교육적 효과성 차원에서 성찰하였다. 방과후학교 정책의 특성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분석, 제시하였다. 첫째, 방과후학교에 대한 사회적 필요와 정치적 요구가 다양하고 지대하며, 이에 정부는 신속하게 대응하고 하향 식으로 추진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방과후학교 정책은 법적 근거 없이 행정계획이나 지침을 통해 추진되어 왔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가치에 대하여 이해당사자인 교사는 소극적이고, 학부모는 유보적이다. 넷째, 방과후학교 정책은 교육목표와 이를 달성하 기 위한 수단으로서 핵심기술에 대해 소홀히 하였다.. 방과후학교 정책의 향후 과제로서 학교교육과 연계 강화, 복지 기능의 내실화, 교육 프로그 램의 질 향상, 운영 시스템의 정비, 운영 환경의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after-school policy with 20 years of history in depth and seeking its implications. It classifies the policy’s process by the foundation period, the extension period, the adjustment period and contemplates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olitical responsiveness, economic efficiency, cultural relevanc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s paper recognizes the following four major characteristics of after-school policy in Korea. First, it has quickly responded social needs and political demands using the top down method and achieved the tangible results. Second, it has promoted to depend on administrative plans or guidelines without legal basis. Third, teachers and parents have been taken a passive stance on the after school program. Fourth, the after-school policy has neglected set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means the achieve them.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after-school policy which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link with school curriculum; Assuring the substantiality of welfare functio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Upgrading the maintenance of operating system and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