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애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This is a study on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s in South Korea who have been discriminated by their family or relatives and community for a long time. How much influence do stereotype, negative feeling, sex attitude, normative attitude, family type attitude, attitude toward other groups and etc. have on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s?For this research, 332 subjec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line by Micromillmbrain www.ezsurvey.co.kr. The result is as follows: (1)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s by age and favorite political par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education, religion and others. (2) All variables such as stereotypes, negative feeling, social normative attitude, sex attitude, attitude toward family types, other than family normative attitude are correlated to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s keeping their babies. (3) Regression Analysis result among variables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most influential factor was attitude toward family types, the second one was negative feeling, the third factor was age. Legal and social policy including establishing prohibition act on family discrimination is required for the removal of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 family. And to decrease social distance toward unmarried mother, various education approaches in the family or school and through media from early stage should be mobilized to get rid of negative feelings against unmarried mothers. 본 연구는 오랫동안 한국사회의 사회적 차별 대상이었던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것이다. 미혼모에게 법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크게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미혼모들의 사회적 차별경험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요인이 미혼모의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마이크로밀엠브레인 패널 중 성인 332명을 인터넷 설문 조사하고 회귀 분석한 결과 미혼모에 대한 거리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변인은 가족유형태도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 성별 순으로 주요영향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여러 요인들 중 부정적 감정이 고정관념보다 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다른 거리감에 대한 선행연구결과와 일치되지만, ‘가족유형에 대한 태도’가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중요한 발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유형에 대한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이외에, 인지발달과정 중 왜곡되거나 비합리적 신념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이 일어나지 않도록 어린시절부터 가정, 학교 및 대중매체를 통한 인식개선교육의 필요성 등 사회복지 정책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Kyong No Dang Model Research for the Elderly- Based on ERI CCAI Model, Whitney Center Model, PASSi Model and Chongsu Kyong No Dang

        임애덕,고창훈,김호림,Hesung Chun Koh,Choi, Im Ja 세계섬학회 2022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dignity of the elderly based on “filial piety” and community values in preparation for the 'silver tsunami' in Jeju by studying the case of Whitney Center in the United States, PASSi, Jeju's Isidol Nursing Home, and the haenyeo society. The main goal was to develop the Asian Jeong Nang model which was named by professor Koh Chang Hoon, Chair of Island Research Institut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Jeong Nang(정낭) is the gateway with 3 wooden bars to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of Jeju where several generations live together. Dr. Hesung Chun Koh, Chair of East Rock Institute gave me motivation and support for the study of the elderly welfare model at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Island Research Institute. As the head of this study, I was dispatched from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Island Research Institute to the East Rock Institute (ERI). Dr. Hesung Chun Koh, M.D. Ann Datunashivili who is a practice professor at Medical School of Yale and in charge of Medical Center of Whitney Center. and Mike RambaRose who is Chief Executive Officer of Whitney Center, supported my research. In addition ImJa Choi, CEO of PASSi, also allowed two research students, Lee Seung Yong and Ko Yu Seok,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to help my research related to psycho-social approach for the elderly at PASSi.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model for senior citizens in Korea through Hesung Chun Koh's ERI CCAI Model, Whitney Center's residential apartment model for retired seniors, and PASSi's community care model for the multi-cultural community.

      • 통일에 대한 인식 : 세대간 차이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eople

        임애덕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04 東아시아硏究論叢 Vol.15 No.1

        This survey was intended to see if there is any generation gap in South-Korean people's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North-Korean People. Randomly selected 112 people just in Jejudo were answered.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ing. At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in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Most respondents of all the generations agree to economical factor as the major burden and obstacle for Unification.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in attitudes toward North-Korean People by Borgadus social distance scale.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means of various steps of educational models toward North Korea implemented by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and 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s.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in the attitudes toward barriers which they think get in the way of Unification. Young generations including the 10s and the 20s think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 will get in the way for Unif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while old generations think 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will stand in the way. This research result points out that all the people including young and old should be re-educated again for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regular educational or social educational system or cyber space or mass media.

      • KCI등재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미혼한부모자정책분석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임애덕 ( Ae Duck 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본 논문은 길버트와 테렐(2013)의 선택의 차원이라는 정책분석틀을 적용함으로써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제주특별자치도의 미혼한부모를 위한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가 정책수혜자인가에 대한 할당기반의 차원은 선별적 복지인 미혼모시설중심구호에서 지역사회복지에 기반한 재가 미혼한 부모자에게로 확대되었다. 둘째로 사회정책급여도 시설서비스에서 시설, 개인이용권(바우처), 현금, 교육서비스, 주택서비스, 그리고 직업훈련과 근로장려세제, 교육청의 청소년한부모 대안위탁교육지원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로 확대 되었다. 셋째, 미혼한부모자의 서비스전달체계는 중앙정부, 제주특별자치도, 그리고 행정시 등 미혼한부모자 복지서비스전달체계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할당기반이 확대됨에 따라 서비스전달체계도 시설서비스와 재가서비스로 확대되었지만, 중앙정부와 제주특별자치도지방정부에서는 여성가족정책과 기초생활보장이 이원화된 체계를 가지는데, 행정시에서 기초생활보장으로 일원화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2005년부터 실시된 지방분권화정책으로 국고지원비율은 감소하고 지방비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신규 사업에 대한 억제와 지역자체사업이 경우 유사중복사업이 종료될 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고지원방식이 범주적 보조금에서 포괄보조금으로 지원됨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정책의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제주특별자치도 미혼한부모 사회복지 서비스의 재원조달방식은 의료비와 같은 사회보장세 이외 서비스는 절대적으로 일반 조세에 의존하고 있고, 기업과 개인의 자발적 기부금은 미혼한부모정책서비스에 아직까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이용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사실혼관계의 미혼한부모자의 경우에도 정책수혜자로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미혼모의 학교복귀를 위한 사회인식개선이 필요할뿐만 아니라, 재가 미혼한부모자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한부모가족지원법의 한부모가족상담소의 활성화를 통해 현재 시설미혼모대상의 대안위탁교육서비스가 재가 미혼부들에게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고, 셋째, 생활보장만이 아니라 시대별지역별 차별화된 다양한 가족들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정책개발과 서비스전달을 위해 여성정책과 가족정책과를 분리한 전달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의 부담 증가는 미혼한부모자 정책의 안정성을 흔들 수 있으므로 관련된 지방조례로서 안전장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 넷째, 거의 100% 조세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민간재원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social policy for the unmarried / single parent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over a 10-year period from 2005 to 2015, by applying the policy analysis frame of dimensions of choice by Gilbert and Terrell (2013).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llocation dimension of who benefits has been extended from selectivity of shelter-oriented service to universalism of community-based welfare service, which includes not only the unmarried woman with baby but also unmarried father with baby. Second, social provisions have been enlarged and varied, ranging from simple shelter service to many more various types including shelter, voucher, cash, educational service, housing service and job training service etc., as shelter service was changed into home-care service. Thirdly, delivery system for unmarried single parent has been changed considerably, from central governmental level through Jeju Special Provincial government level to Jeju City government. Research results found that all levels of government should reorganize and reform th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the unmarried / single parent, currently separated and specialized only in family problems,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family types including an increasing amount of single parents. Fourth, as financial resources of categorical grants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have been changed into block grants, community social policy service can affect policy stability. Thus, local communities should establish local ordinances to stabilize all community social policy. Consequently, this policy analysis found that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unmarried / single parent has been expanded while the financial resource limitation of local government can undermine the policy stability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호주(Australia)의 혼외출생자 입양에서 양육으로 정책변화: 옹호연합모형(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을 중심으로

        임애덕 ( Ae Duck I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1

        본 연구는 오랜 역사에 걸쳐 법적으로 차별되고 사회적으로 배제되었던 혼외출생자의 양육 거취 관련 정책 행위자들의 옹호연합 형성과정과 정책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1949년 호주(Australia)의 집권내각이었던 자유당-국민당 연합정부에서 1972년 집권하게 된 노동당 정부로 이행과정에 지배집단이 변화되면서 혼외출생자의 입양중심정책이 미혼모의 양육중심으로 급격한 정책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혼외 출생자 양육거취 정책변화과정에서 지배집단의 변화와 정책중개자의 정책 결정이외에도 양육하는 미혼모들이 자생적으로 발달한 미혼모자협의회(Committee of Single Mothers and Children)를 중심으로 옹호연합의 응집력과 네트워크 능력이 강한 옹호연합이 정책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지배집단의 변화로 정책 중개자는 타협보다는 지배집단의 철학에 따라 정책결정자의 의지로 정책 산출이 되며, 이 과정에 옹호연합의 응집력과 연대능력에 따라 정책 결정자의 정책방향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 한국의 혼외출생자 양육거취결정과 관련된 입양기관, 미혼모시설, 양육미혼모, 입양아 등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이 옹호연합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혼외출생자를 둘러싼 정책변화에서 옹호연합의 중요성과 지배집단과 정책중개자의 중요성을 함의로 제시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cess of advocacy coalition formation of policy actors and the policy change through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regarding ex-nuptial child-care arrangement in Australia. Through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policy change for the ex-nuptial childcare arrangement was influenced by the growth and expansion of advocacy coalition groups, which are more aggressive in using strategy and mobilizing other policy brokers including the social security minister or legislature and many leaders. Rapid policy change from adoption to child-raising was observed in the dynamic interaction of ruling party and advocacy coalition from Liberal-National Party Coalition (1949-1972) to Gough Whitlam (1972-1975) of the Australian Labor Party.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policy change was verified as the change of ruling party or ruling ideology as well as advocacy coalition formation such as adoption advocacy coalition and child-raising advocacy coalition called Council of Single Mothers and Children (CSMC). This article suggests many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in Korea where the Korean Unmarried Mother Association is emerging as a grassroots movement with cross cultural Korean adoptees against legal and social discrimination and for social and policy change in Korea while adoption agencies are filing for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Single Parents Support Law newly revised in 2011 that pre-announced adoption agencies cannot operate unmarried mother shelters and should be closed since July 2015. This article implies that Korean policy brokers should listen to all the policy actors involved with ex-nuptial child arrangement to aim at the reasonable policy-making based on longitudinal and cross sectional research, instead of the political decision.

      • KCI등재

        한부모의 과거 부부관계의 질, 자녀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 차이

        이수인(Lee Soo In),임애덕(Im Ae Duck)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들의 과거 부부관계의 질, 자녀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특히 우울에 미치는 직ㆍ간접적 인과관계를 성별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한부모 남성과 여성의 우울의 정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울을 유발시키고 지속시키는 요인의 영향력 순서와 구체적 경로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들의 경우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우울과 별 관련이 없었다.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대인관계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대인관계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대인관계 불안정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성 한부모들의 경우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자녀 스트레스로서 자녀와의 정서적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분업의 가족관계에서 남성이 정서적 관계에서 주변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여성 한부모들은 대부분 자녀 스트레스를 별로 경험하지 않았으며 자녀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어 정서적으로 자녀들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의 경우 과거 부부관계의 질은 우울과 관련이 없으나 여성들의 경우 과거 부부관계의 질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자녀 스트레스를 거쳐 대인관계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한부모들을 위한 지원에 경제적 지원이 급박하지만 그와 별개로 심리적 지원, 인간관계 적응을 위한 지원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신건강을 위해 해결 해야 할 문제들이 성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의 극복을 위해 남성들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 향상을 위한 지원이 시급하고 여성들의 경우 과거 부부관계의 질이 갖는 부정적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der differences of relations among depression, children stress, human relation stress of single parents. As for single fathers, Depression didn't correlate with human relations. Although single mothers have better human relations than single fathers, single mothers' depression was influenced by human relations. This result means single mothers have lack of stability about human relations. Single fathers' depression was the strongest influenced by children stress. This means they have hardship in emotional relations to their children. It seems this result has to do with male role in gender division system. Single mothers almost didn't experienced children's negative changes. So, their depression was not influenced by children stress. This means they have good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in emotions. Single fathers' depression didn't have to do with past marital quality but single mothers' depression didn't. As for single mothers, past marital quality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had a indirect influence on human relations mediated children stress too. For single mothers' depression, social support to obstruct the effects of marital quality is called.

      • KCI등재

        한부모의 과거 가족경험, 자녀스트레스, 심리적 안녕의 관계와 성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제주지역의 저소득층 한부모들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수인(Soo-In Lee),임애덕(Ae-Duck Im)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는 한부모의 성장기 경험, 부부관계의 질, 자녀스트레스, 대인관계 어려움, 심리적 안녕간의 인과경로를 검토하고 인과경로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170명의 한부모들이었고 빈도분석, T검정,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심리적 안녕, 곧 우울에 대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남성들의 경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효과적인 변인은 자녀스트레스였고 그 다음이 성역할 갈등 경험이었다. 여성들의 경우 대인관계, 모관계, 부부관계의 질, 성역할 갈등의 순서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우울과 관련해 성장기 경험은 남녀집단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지만 여성보다 남성의 경우 효과가 더 강했고 부부관계의 질은 여성들의 경우에만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성장기 경험 가운데 부부폭력은 남성들의 부부관계에만 영향력이 나타난 반면 모관계는 여성의 우울에 대해서만 효력이 있었고 성역힐 갈등 경험은 남녀 모두에게 영향력이 있었으나 영향력의 방식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남성들의 경우 성장기 경험은 부부관계의 질, 자녀스트레스에 모두 영향을 준 반면 여성들의 경우 성장기 경험은 부부관계의 질에 따라 영향력이 상쇄되었다. 다섯째, 남성 한부모의 경우 자녀스트레스는 대인관계와 우울 모두에 효력을 주어 자녀스트레스를 통제하면 대인관계는 우울에 영향력이 없었다. 그러나 여성 한부모의 경우 자녀스트레스는 대인관계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자녀스트레스를 별로 자각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본 연구대상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causal paths of single parents" childhood experiences, marital quality, childre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also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ose causal paths. The data collected from 170 single parents in Jeju area were analyzed using a frequency, T-test, and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BR>  1.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ve effects of the connected variable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depression. 2. The depression of both men and women was affected by their childhood experiences although the effect of men"s childhood experiences was stronger than that of women"s. The effect of marital quality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 only for women. 3. The childhood experience of conjugal violence had an effect only on men"s marital relations, however, mother-child relations had an effect only on women"s depression. Experiences of sex role conflict had influences on both men and wome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how they affected on family relations and depression. 4. Men"s experiences of childhood affected marital quality and children stress while women"s childhood experiences were offset by marital quality. 5. Men"s children stress had an effect on human relations and depression, however,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on depression disappeared, when children stress was controlled. Women"s children stress had an influence on depression when the depression was mediated by human relations. It showed that this result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swering that they did not have children stress.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혜교 ( Hyekyo Shin ),민기 ( Kee Min ),임애덕 ( Aeduck 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제주에 소재한 4개 대학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수면 및 우울에 관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수면부족 현상이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과의 관계에서 있어서 우울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함의는 스마트폰 중독이 수면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 가운데 우울을 매개로 더 강하게 낼 수 있음을 고려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의 우울을 낮출 수 있는 개입(intermediation)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amis at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tion on sleep quality. In addition,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leep is analyzed with statistics program of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8.0.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50 college students studied in Jeju Province are sampled and questioned about smartphone addiction, sleep, and depression based on self-report method. This study found that a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positively sleep disorder and there is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 smartphone addiction and sleep disorder. This finding implies that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should be intermediat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increase sleep quality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