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승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유아의 변인에 따라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차이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및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 287명이었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평가하는 척도는 Eisenberg, Fabes와 Bernzwieg(1990)의 CCNES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를 김희정(1994)이 번안한 것을 토대로 배주희(2011)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 평가척도는 Doh와 Falbo(1994)가 개발한 ‘사회적 능력 척도: 유치원용(Social Competence: Kindergarten)’을 번안한 서유진(2005)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41세 이상 어머니 집단에서 비지지적인 반응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모가 비취업모보다 비지지적인 반응을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지지적인 반응 각각의 하위범주와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 중 최소화 반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비지지적인 반응 전체와 하위범주 중 처벌적 반응과 스트레스적 반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어머니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별로 살펴본 결과 어머니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의 하위요인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고, 어머니의 정서 수용 및 반응 태도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의 중요성과 인식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남자 고등부 수영선수의 트렉 스타트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임승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영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트렉 스타트 동작 시 신체분절에 대한 운동학적 변인을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비교해 줌으로써 트렉 스타트 동작의 특성을 밝히고, 선수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일선 지도자들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인 트렉 스타트 동작을 지도할 수 있도록 훈련에 필요한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남자 고등부 우수선수 5명과 비우수선수 5명을 대상으로 트렉 스타트 동작 시 국면별 동작 소요시간, 신체중심 변위, 무게중심 속도, 각 관절의 각도, 각 관절의 각속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트렉 스타트 동작 시 반응속도와 총 소요시간은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렉 스타트 동작 시 신체중심 좌·우 이동변위는 우수선수보다 비우수선수의 이동변위가 큰 값을 나타냈고, 전·후 이동변위는 스타팅 블록에서 양손이 떨어지는 순간과 입수를 위해 손끝이 수면에 닿는 순간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수직 이동변위에서는 스타팅블록에서 손이 떨어지는 순간을 제외한 나머지 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이동변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트렉 스타트 동작 시 좌·우 무게중심속도는 1, 2, 3국면, 전·후 무게중심속도는 2, 3, 4국면이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직 무게중심속도는 모든 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타팅 블록으로부터 양손이 떨어지는 순간에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무게중심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무게중심의 합성속도에서는 1, 2, 3, 4국면 모두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무게중심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양손이 떨어지는 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깨관절의 각도는 오른쪽과 왼쪽 모두 1,2,3국면에서 비우수선수가 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고, 입수를 위해 손끝이 수면에 닿는 순간에서는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팔꿈치 관절의 각도는 2국면과 3국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4국면 오른쪽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손목관절의 각도는 오른쪽에서 2국면을 제외한 나머지 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고, 왼쪽의 모든 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또한 하지관절인 엉덩이 관절의 각도는 1국면 왼쪽과 2국면 오른쪽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4국면에서는 오른쪽과 왼쪽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무릎관절에서는 2, 3국면의 오른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발목관절 은 모든 국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오른쪽 1, 4국면과 왼쪽 2, 4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발목관절의 값이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 어깨관절의 각속도는 모든 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팔꿈치관절에서는 2국면 오른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손목관절 각속도에서는 1국면에서 오른쪽, 2국면에서 오른쪽과 왼쪽 모두, 3국면에서 왼쪽, 4국면에서 오른쪽과 왼쪽 모두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큰 값으로 나타났다. 엉덩이관절 각속도는 1국면 오른쪽과 2국면 오른쪽과 왼쪽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 2국면의 오른쪽과 1, 2, 4국면의 왼쪽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빠른 각속도를 나타냈다. 또한, 무릎관절 각속도에서는 오른쪽 1, 2, 3국면과 왼쪽 1, 4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각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발목관절 각속도는 1국면 오른쪽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오른쪽 1, 2, 3국면과 왼쪽 2, 3, 4국면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선수에 비해 빠른 각속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트렉 스타트 동작 시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스타트 동작의 출발 반응시간을 빠르게 하고, 체공시간을 길게 하여 스타팅 블록에서 입수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스타트 동작 시 좌?우 신체중심의 변위를 최소화 하고, 전?후 신체중심의 변위에서는 뒷발이 떨어지는 순간과 입수를 위해 손끝이 수면에 닿는 순간의 거리를 길게 해줌으로써 스타팅 블록을 박차는 힘을 강하게 하여 강한 반발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트렉 스타트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셋째, 신체중심 속도 에서는 강한 하지분절의 반발력으로 전?후, 좌?우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수직축으로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더 먼 입수 거리를 확보하며, 보다 빠른 스타트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넷째, 상지관절의 각도를 줄이고 하지관절의 각도를 크게 하여 스타트 동작 시 보다 빠르고 큰 힘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신체분절의 각속도를 빠르게 해줌으로써 스타트 동작 시 빠르게 신전시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스타트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입수 거리에서 보다 더 먼 거리를 도약 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tarting motion between excellent and normal swimmers by help of 3D video comparison of their kinematic factors related to body segmentsat the point of starting. Thus, this attempt aims to provide scientifically fundamental data to swimmersand their trainers with a guidance by which they can teach how to start more precisely and efficiently at track staring point. To fulfill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5 excellent high school swimmers and 5 normal high school swimmers to compare and analyze necessary time for motion by phase, displacement of body’s center, velocity of center of gravity (COG), angle of each joint and angular velocity of each joint at starting motion. And it brought forth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a faster reaction velocity and a shorter time necessary for motion than the normal swimmers at the track starting motion. Second, the normal swimmers showed a greater displacement to the right and left of a body center than the excellent swimmers at the track starting motion.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excellent swimmers had faster COG velocity to the right and left at 1, 2, and 3 phase and to front and back at 2 and 3 phase than the normal swimmers at the track starting motion.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tical COG velocity at all of phases. And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faster COG velocity than the normal swimmers at the point when the both hands were detached from a starting block. In addition,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faster resultant velocity of COG than the normal swimmers at all of 1, 2, 3, and 4 phase. Particularly, at the moment when the both hands were of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normal swimmers had greater joint angle of both shoulders at 1, 2, and 3 phase than the excellent swimmers. In the meantime, when the finger tips touched on water surface in diving, the excellent swimmers had greater joint angle than the normal swimmer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detected in the joint angle of elbows at phase 2 and 3. At phase 4, only the joint angle of the right elbow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a grater joint angle of the right wrist at all but the second phase than the normal swimmers. At the joint angle of the left wrists,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grater figures than the normal swimmers in all the pha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hip joint at the 1st phase and in the right hip joint at the second phase. At the 4thphas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oth hip joint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kle joints at all the phases but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a greater angle of the right ankle atphase 1 and 4 and of the left ankle at phase 2 and 4 than normal swimmers. Fifth, in terms of the angular velocity ofshoulder joi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the phases between the excellent and normal swimmer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gular velocity ofthe right elbow joint at phase 2. As for the angular velocity of wrist joints,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a grater velocity than normal swimmers in the right wrist at phase 1, in both wrists at phase 2, in the left wrist at phase 3 and in both wrists at phase 4. In the angular velocity of hip joi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hip joint at phase 1, in both hips at phase 2. And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hip at phase 1 and 2 and in the left hip at 1, 2, and 4 phase. Also, the excellent swimmers showed faster angular velocity in the right knee at phase 1, 2 and 3 and in the left knee at phase 1 and 4 then normal swimm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right ankle at phase 1 and the excellent swimmers had faster angular velocity of the right ankle at 1, 2 and 3 phase and of the left ankle at phase 2, 3 and 4. On the basis of the above experiment, this study proposes some information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t the starting moment. First, the factors that can help quicken reaction time at starting point and elongate time in air should be taught in order to make longer distance between starting block and immergence. Second, the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body to the right or left at starting point should be minimized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ment a rear foot is off and the moment finger tips touch on water surface in the displacement should be elongated, which makes repulsive power stronger when kicking a starting block. Third, the movement to all directions should be minimized by help of repulsive power of lower limb segments for faster velocity of COG and the speed of vertical movement should be quickened to secure longer distance to immersion and faster starting motion. Fourth, the joint angles of upper body should be narrowed while those of lower body should be widened for a starting motion to be quick and stronger. Fifth, the angular velocity of body segments should be fast for a starting motion to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and to move farther distance in diving.

      •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의 향 특성

        임승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크랜베리, 혼합농축액 및 발효혼합농축액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solvent 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과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발효 시간에 따른 시간별 혼합농축액은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을 이용하고 추출하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로 분석하였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SAFE에서 51종, LLCE에서 54종이 동정되었다. 공통적으로 2-phenylethanol, (Z)-3-hexenol 및 benzyl alcohol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alcohol류가 가장 많이 동정되었으며 아사이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은 β-damascenone,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 및 2-phenylethanol등이 log2FD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감지되었으며 이 중 β-damascenone은 rose와 berry한 향 특성을 나타내며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 활성 화합물 중 가장 중요한 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아로니아는 휘발성 향기성분이 SAFE에서 49종, LLCE에서 55종이 동정되었다. 아로니아에서 공통적으로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3-penten-2-one, 4-hydroxy-2-pentanone 및 benzoic acid등이 높은 함량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중 3-penten-2-one은 아로니아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생각된다. 아로니아는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를 실시하였을 때 향 활성 화합물로 β-damascenone, benzaldehyde, 2-methylbutanoic acid 및 nonanal등이 감지되었다. 감지된 화합물 중 β-damascenone은 아사이베리와 같이 rose와 berry한 향 특성을 갖으며 아로니아에서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아로니아의 향 특성은 berry, fruity 및 sweet한 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크랜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SAFE에서는 81종, LLCE에서는 83종이 동정되었으며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화합물로 benz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furfural, benzyl alcohol 및 acetic acid등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 중 acid류가 16종으로 가장 많이 동정되었고 그 중 함량이 높은 2-methylbutanoic acid는 크랜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 할 수 있다. 크랜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로 가장 높은 log2FD값을 갖는 2-methylbutanoic acid가 SAFE에서 log2FD=9, LLCE에서 log2FD=8을 나타냈으며 향 특성은 sweaty와 fruity가 함께 감지되었으며 이 중 fruity한 향은 크랜베리의 특징적인 향에 기여하는 중요한 화합물로 생각된다. 그 외 감지된 화합물로 benzyl alcohol, acetic acid, benzaldehyde 등이 감지되었고 크랜베리의 향 특성은 2-methylbutanoic acid의 fruity한 향 특성과 함께 전체적으로 fruity, woody, acid 및 sweet한 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혼합농축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SAFE에서 103종, LLCE에서 88종이 동정되었으며 공통적으로 동정된 화합물로 benzoic acid, 3-penten-2-one, trans-linalool oxide, cis-linalool oxide 및 benzyl alcohol 등이 높은 함량으로 동정되었으며 원료인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에서 높은 함량으로 동정된 화합물이다. 발효혼합농축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SAFE에서 101종, LLCE에서 90종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화합물에서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화합물은 benzoic acid, 3-penten-2-one, furfural, 4-hydroxy-2-pentanone, 2-methylbutanoic acid 및 maltol 등 이었다. 발효 전 혼합농축액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들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발효에 의한 발효 산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혼합농축액의 향 활성 화합물로 benzyl alcohol, β-damascenone,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 2-methylbutanoic acid, 2-phenylethanol 및 linalool 등이 동정되었다. 혼합농축액은 sweet, fruity, berry, grass 및 woody와 같은 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발효혼합농축액을 AEDA한 결과 2-methylbuatnoic acid, β-damascenone, trans-linalool oxide, maltol 및 2-phenylethanol등이 감지되었다. 혼합농축액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적인 향 강도가 감소하였다. 아로니아, 크랜베리, 혼합농축액 및 발효혼합농축액에서 동정된 2-methylbutanoic acid의 sweaty와 fruity한 두 향 특성이 거울상 이성질체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로니아에서는 (S)-(+)-2-methylbutanoic acid와 (R)-(-)-2-methylbutanoic acid가 동정되었고, 그 외 크랜베리, 혼합농축액 및 발효혼합농축액에서는 (S)-(+)-2-methylbutanoic acid만 동정되었으므로 GC-O 상에서 감지되었던 sweaty와 fruity한 향 특성은 (S)-(+)-2-methylbutanoic acid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GC-O를 통해 (S)-(+)-2-methylbutanoic acid와 (R)-(-)-2-methylbutanoic acid의 농도에 따른 향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S)-(+)-2-Methylbutanoic acid는 높은 농도에서 sweaty와 fruity가 같이 감지되다가 희석할 수록 frutiy한 향 특성만 감지되었고, (R)-(-)-2-methylbutanoic acid는 높은 농도에서 sweaty와 fruity한 향 특성이 나타났으나 희석할 수록 sweaty한 향 특성만이 감지되었다. 발효 시간(0, 6, 12, 24 및 36시간)에 따라 변화가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2,10,10-trimethyl-6-methylidene- 1-oxaspiro[4.5]dec-7-ene이 동정되었다. 이 화합물은 발효 0시간에서 가장 피크면적이 컸으며 점차 감소하여 발효 12시간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발효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Benzoic acid는 발효 0시간부터 12시간까지 피크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발효시간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 외에 다른 화합물들은 시간별 발효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아사이베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의 특징적인 휘발성 향기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이들을 혼합하여 혼합농축액을 제조하고 혼합농축액과 발효혼합농축액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또한 발효 시간별 발효혼합농축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volatile compounds and aroma-active compounds from acai berry, aronia, cranberry, mix, and fermented mix and to monitor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in fermented mix during fermentation time. Volatiles were isolated by high vacuum distillation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SAFE),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 and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To identify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 was used. Aroma-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Total of 51 and 54 volatile compounds from acai berry were identified by SAFE and LLCE,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acai berry were 2-phenylethanol, (Z)-3-hexenol, and benzyl alcohol. Alcohols were important volatile compounds of acai berry. β-Damascenone (berry, rose), trans-linalool oxide (woody), (Z)-3-hexenol (grass), and 2-phenylethanol (rose, honey) were considered as the aroma impact compounds in acai berry. The most intense aroma-active compound of acai berry was β-damascenone. Forty nine and 55 volatile compounds from aronia were identified by SAFE and LLCE, respectively. 3-Penten-2-one, 4-hydroxy-2-pentanone, and benzoic acid were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s. 3-Penten-2-one was important volatile compounds of aronia. The key aroma-active compounds of aronia were β-damascenone (berry, rose), benzaldehyde (sweet), 2-methylbutanoic acid (fruity, sweaty), and nonanal (citrus). Berry, fruity, and sweet flavors were overall flavor of aronia. Eighty one and 83 volatile compounds from cranberry were identified by SAFE and LLCE, respectively. Benz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furfural, benzyl alcohol, and acetic acid were predominant volatile compounds in cranberry. 2-Methylbutanoic acid was the key volatile compounds of cranberry. 2-Methylbutanoic acid was identified as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 of cranberry with fruity and sweaty flavor. Fruity flavor of 2-methylbutanoic acid was the most intense aroma, followed by benzyl alcohol (woody), acetic acid (acid), and benzaldehyde (sweet). Total of 103 and 88 volatile compounds from mix were identified by SAFE and LLCE,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s of mix were benzoic acid, 3-penten-2-one, trans-linalool oxide, cis-linalool oxide, and benzyl alcohol. One hundred one and 90 volatile compounds from fermented mix were identified by SAFE and LLCE,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were benzoic acid, 3-penten-2-one, furfural, 4-hydroxy-2-pentanone, 2-methylbutanoic acid, and maltol. When volatile compounds of fermented mix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ix, fermented mix contained lower amounts of volatile compounds. The most intense aroma-active compounds of mix were benzyl alcohol (woody), β-damascenone (rose, berry), trans-linalool oxide (woody), (Z)-3-hexenol (grass), 2-methylbutanoic acid (sweaty, fruity), 2-phenylethanol (rose), and linalool (sweet, flowery). The aroma-active compounds of fermented mix were 2-methylbuatnoic acid, β-damascenone, trans-linalool oxide, and 2-phenylethanol. The log2FD values of aroma-active compounds in fermented mix were lower than those of mix. Enantiomeric 2-methylbutanoic acids were analyzed by chiral-GC-MS. (S)-(+)-2-Methylbutanoic acid and (R)-(-)-2-methylbutanoic acid were identified from aronia. Only (S)-(+)-2-methylbutanoic acid was identified from cranberry, mix, and fermented mix. (S)-(+)-2-Methylbutanoic acid was described as sweaty and fruity. The aroma property of (S)-(+)-2-methylbutanoic acid and (R)-(-)-2-methylbutanoic acid were dependent on its concentration. (S)-(+)-2-Methylbutanoic acid was described as fruity at low concentration and sweaty and fruity at higher concentration, while (R)-(-)-2-methylbutanoic acid was described as sweaty at low concentration and sweaty and fruity at higher concentration. Peak area of 2,10,10-trimethyl-6-methylidene-1-oxaspiro[4.5]dec-7-e ne was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ime. Peak area of benzoic acid was increased up to 12 hours of fermentation and then it was not changed after 12 hours.

      • 南冥 曺植의 學問과 現實認識

        임승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NamMyung Jo-Shik's Learning and Recognition on Reality Seung-hee Im Advisor : Prof. Jong-bum Lee Major in Histo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cholarship's background, study, government's view of Jo-Shik(1501-1572), and his activity and role in Literati through previous studies. With this study, I will examine what his scholar does mean to us. The background of his scholar is greatly influenced from both economic base of his maternal line and the house of his wife's parents and geographical condition as sarim(士林) of kangwoo(江右) in kyungsang(慶尙). He accepted the history of NoJung, Buddhism and Ju Wang school only if the scholar is available for the real life. Thus he emphasize the respect(敬), Justice(義) for practical stydy. He intended to accomplish the royal road for the people, we can recognize his philosophy through the appeal to the king. Jo-Shik made friends with various scholars, build communication network. The an assembly of Bo-Eun is typical example. For this reason, Hoon Goo party felt the political crisis, so they would terminated the Sa-Rim party. Lee-Ryang event is typical case. Though they are snuffed out by the relative on king maternal line, they have the political power at Sun-Jo's regime. But they didn't recongnize the political real, so they lost political power and were splitted and collapsed. Only Jo-Shik greatly had criticized the political real, this point is linked with practical school(實學思想). The life of Jo-Shik is composed of the consistent effort to make the people happy through completing the royal road plitics. Today, we are drowned at value disorder, but if we could learn the civility, fundamental rule, common sense from his philosophy, His philosophy would be splendid in these day.

      • 청소년의 사이버공동체 활동경험이 사회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 김포시 중·고등부 청소년을 중심으로

        임승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been proceeded in order to see if cyber network experience by the adolescent internet us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development and interactive skills. I have distributed 130 questionnaires to local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otal 520 questionnaires, near Kimpo city. We have collected total 480 questionnaires, eliminating those that have been answered with insincerity and which have shown inconsistency during coding. The questions established to reach a research goal are listed below.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from local provinces and adolescents in the cities who have cyber network experience? Second, how does internet using environment(using time, using period, and experience) effect adolescents self-respect and interactive skills? Third, what is the distinction in self-respect and interactive skills, regarding individuals characteristics(Sex, social level, living environment)?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cyber network experience in the adolescents development in social psychology 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hard evidence for this research, I have used the scale of Self-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 which Kang Jong-Gu(1986) have standardized and have classified these into four smaller areas of 'self respect', 'relations with people',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self persistence'. Also, I have used Schutz's FIRO-B scale, which Yum Dong-su(2003) have acculturated using repeated measuring questions for the interaction measuring scale. This scale is to measure how adolescents, individuals, groups and team members intends to participate in peoples relationships. In order to process reference, I have used SPSS/WIN(Ver.14.0K) program, and for the basic background information, Frequency Analysis process was used. Also, in order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regarding self-esteem, interactive skill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adolescent's usage of internet, I have processed t-providence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more adolescents in cities have showed participation in cyber communities by regularly registering, uploading and chatting activities than the adolescents in other provinces. Secondly, adolescents internet using hours that were under 2 hours showed high results in 'self-respect', 'relations with others' and 'self persistence'. Also, as adolescents have longer experience in using internet, 'self persistence' classification showed much higher results than others and those who use internet more after school and on holidays, classification of 'relations with others' and 'self persistence' have shown higher results. For interactive skills, there were no clear relations to the hour of internet usage and expression of affection for aspiration was highly influenced to those who had over 5 years of experience in internet usage. Thirdly, by processing self-esteem and interactive skills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Sex, social level, living environment), females tend to have higher level in both self-esteem and interactive skills. Those with high social levels have higher self-esteem as well. For the living environment classification, more adolescents living in the cities have shown slightly more self-esteem and interactive skills, compared to adolescents living in other provinces. Fourthly, as the result of researching i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ocial psychology development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 in cyber network, more adolescents who were registered in cyber communities had higher levels. In addition, those who had regular participation history had higher levels in 'self-respect',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self persistence'. As more experience you gain from participating in cyber network activities, more positive effects, such as higher levels in 'relations with others',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have shown, except for one, the 'expression of affection'. The cyber network activities has now become a huge part in education, hobbies and special activities. This cyber space experience no longer secures regular people with ordinary relationships and ordinary life for adolescents. With a result that adolescents are gaining positive influences in self-esteem and interactive skills through cyber network activities, we foresee hopeful possibilities of developing more positive aspects in adolescents social psychology.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이용 현황과 사이버공동체활동 경험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의 발달과 대인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포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중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을 나누어 각각 130부씩 총 5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모집단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코딩 시 응답내용에 일관성이 없는 40부의 질문지는 무효처리하고 총 480명을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농어촌 청소년 간에 사이버공동체의 경험이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인터넷 이용시간, 이용시기, 이용경력)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청소년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생활수준, 거주지)에 따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사이버공동체 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조사도구로서, 자아존중감의 척도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자기존중’과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등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대인관계 척도로는 Schutz의 FIRO-B 척도를 염동수(2003)가 반복적인 측정문항을 줄여 변용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대인관계척도를 통하여 청소년이 개인, 집단, 팀 간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처리는 SPSS/WIN(Ver.14.0K)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기초적인 배경을 분석하기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형성의 차이 여부와 인구학적 특성(성별, 생활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커뮤니티의 가입여부와 글 게시 및 채팅 등을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곳의 개수, 오프라인 활동 등 도시지역 청소년이 농어촌지역 청소년보다 사이버공동체의 활동을 보다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실태(인터넷이용시간, 이용경력, 이용시기)에 따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인터넷의 이용이 2시간 이내일 경우 ‘자기존중’과 ‘타인과의 관계’, ‘자기주장’ 등의 하위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용경력이 오래될수록 ‘자기주장’이 높고, 방과 후와 주말 및 휴일에 이용할수록 ‘타인과의 관계’와 ‘자기주장’ 등의 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에서는 인터넷의 이용시간 및 이용시기와는 무의미하였으며, 이용경력이 5년 이상일수록 애정욕구 영역의 표출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인구학적 특성(성별, 생활수준, 거주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성별의 차이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생활수준에 대한 의식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에서는 농어촌지역 청소년보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청소년의 사이버공동체 활동이 사회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사이버커뮤니티에 가입한 청소년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이버커뮤니티의 정기적 참여에 따른 차이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자아존중감의 ‘지도력과 인기’영역과 ‘자기주장’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이버공동체 활동의 경력에 따라서는 기간이 오래될수록 타인과의 관계와 지도력․인기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발달과 대인관계의 하위영역 중에서 애정욕구의 요구욕구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공동체의 활동은 청소년들의 학습 및 취미․여가활동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또한 사이버 공간을 경험하는 청소년에게는 더 이상 동일한 인간과 동일한 관계, 동일한 맥락 속에서 고정적인 인간관계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청소년의 사이버커뮤니티를 통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이 사이버공동체활동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겠다.

      •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분석

        임승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분석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자 일반부 수영선수로 선정하였으며, 3D 영상분석을 통해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분석을 위해 소요시간, 신체중심 변위, 신체중심 속도, 신체분절 각도, 투사각도와 입수각도, 신체분절 각속도, 입수거리를 분석 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소요시간은 3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그리고 사후검증결과 3구간에서는 Level 1이 Level 4와 Level 5보다 소요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Level 2가 Level 4와 Level 5보다 소요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계별 차이검증 결과는 총소요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총소요시간에서의 사후검증결과 Level 1이 Level 4보다 총소요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신체중심 좌·우 변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evel 2와 Level 3에서 가장 작은 차이가 나타났고, Level 1과 Level 5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중심 전·후 변위는 사후검증결과 3국면에서 Level 1이 Level 4와 Level 5보다 신체중심 전·후 변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Level 2가 Level 4와 Level 5보다 신체중심 전·후 변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중심 수직변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국면과 3국면에서 Level 1과 Level 2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4국면에서 Level 4가 가장 낮은 신체중심 수직변위를 나타냈다. 셋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신체중심 좌·우 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후 속도는 1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사후검증결과 1국면에서는 Level 1과 Level 2가 Level 4보다 신체중심 전·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3국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그리고 사후검정결과 Level 1과 Level 2는 Level 4와 Level 5보다 신체중심 전·후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중심 수직속도에서는 1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그리고 사후검증결과 1국면에서는 Level 2가 Level 4보다 신체중심 수직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오른쪽 엉덩관절 각도는 1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그리고 사후검증결과 1국면에서는 Level 2가 Level 4보다 오른쪽 엉덩관절 각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왼쪽 엉덩관절 각도는 3국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사후검증결과 3국면에서는 Level 1이 Level 4와 Level 5보다 왼쪽 엉덩관절 각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의 오른쪽 무릎관절 각도는 2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사후검증결과 2국면에서는 Level 2가 Level 4와 Level 5보다 오른쪽 무릎관절 각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왼쪽 발목관절 각도는 3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사후검증결과 3국면에서는 Level 2가 Level 5보다 왼쪽 발목관절 각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투사각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투사각도는 Level 2에서 가장 큰 각도를 보였고, Level 4에서 가장 작은 각도를 보였다. 또한 입수각도는 Level 4에서 가장 작은 각도가 나타났고, Level 2에서 가장 큰 각도가 나타났다. 여섯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오른쪽 엉덩관절 각속도는 3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그리고 사후검증결과 3국면에서는 Level 2가 Level 5보다 오른쪽 엉덩관절 각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왼쪽 엉덩관절 각속도는 4국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사후검증결과 4국면에서는 Level 3이 Level 5보다 왼쪽 엉덩관절 각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왼쪽 발목관절 각속도는 1국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사후검증결과 1국면에서는 Level 1이 Level 3과 Level 4보다 왼쪽 발목관절 각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수영 트랙 스타트 동작 시 양발 스탠스에 따른 입수거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Level 4에서 가장 긴 입수거리를 보였고, Level 5에서 가장 짧은 입수 거리가 나타났다.

      •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 상대방효과

        임승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부친밀감이 부모의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 그 경로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13세 자녀가 있는 부모 220쌍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기 보고식 설문지인 자기분화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양육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있어서 자신과 상대방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첫째, 부모(성별)에 따른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양육태도의 평균 차이 검증 결과, 아버지의 경우 어머니보다 자기분화, 부부친밀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양육태도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의 경로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와의 경로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자기분화만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친밀감과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만 있었으며 상대방효과는 없었다. 어머니의 경우, 부부친밀감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효과, 상대방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아버지의 부부친밀감만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아버지의 자기분화와 어머니의 자기분화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을 매개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부부친밀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elf-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attitude, and to examine the path of marital intimac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To this end, 220 couples with children aged 5 to 13 were collected online and offline, The Self-differentiation scale, the Marital Intimacy Scale, and the Parental Attitude Scale were used in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on themselves and others in parenting attitude.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self- differentiatio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parents(gender), fathers showed higher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an mothe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ing attitude. Second, in the path of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both the father and the mother had actor-effects and partner-effects. Third, in the path to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both father and mother showed actor-effect, and in the partner-effect, only mother's self-differentiation was shown to affect father's parenting attitud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parenting attitude,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only affect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had no partner-effect. In the mother's case, marital intimacy did not affect the parenting attitude, nor did both actor-effects or partner-effects appear.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ly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showed mediating effect. Fa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mother's self-differentiation influenced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father's marital intimacy. Mother's marital intimacy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