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월든』에 나타난 윤리의식

        임수현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of ethics in Walden especially, focusing on politics, economy, and nature. Thoreau expresses disgust and anger with the conventional politics that has intruded into what he considers his proper affairs. He rejected anti-slavery and anti-mammonism. He asserted to sever the connection with the injustice directly and publicly denouncing and challenging the wrong political authority. Thoreau saw his fellow citizens adopting moneymaking and material success as their main objective of life. He criticized this concept and requested to make individual improvement their leading aspiration. As for economy, Thoreau subordinated economic activity to self-development. If we live simply, we don't have to waste our life to earn money to buy luxuries and comforts. We can spend more time to improve ourselves to live without complications. Thoreau criticized anthropocentrism. He asserted we could enrich our lives by recognizing nature's value and restraining our gross physical consumption. We must devote ourselves to higher pursuits than moneymaking; we act in our enlightened self-interest.

      • 구강안면영역에서의 근전도 적용

        임수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전도는 운동단위의 전기활동을 활성화시켜 이를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신경이나 근육세포는 휴지기엔 평형한 분극상태로 존재하는데 어떤 자극에 의해서 평형이 깨어지고 탈분극상태가 된다. 신경이나 근육의 세포막이 탈분극 및 재분극 과정에서의 전기적 활동을 활동전위라 부른다. 활동전위는 한 지점에서 발생하여 신경이나 근육의 섬유를 따라 양쪽으로 전파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전위의 발생, 전파, 동원 등을 포착하여 오실로스코프상에 나타내는 것이 전기진단의 기본 개념이다. 근전도는 신경과 근육의 전기생리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크게 신경전도검사와 침 근전도검사로 나뉜다. 신경전도검사는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근육의 반응이나 신경 자체의 반응을 분석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고, 침 근전도검사는 신경의 손상이 있거나 근육 자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근육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전기생리학적 변화를 감지하여 이상유무를 진단하는 것이다. 근전도의 정의는 근육 내의 전기적 활동을 탐색하고 증폭하여 기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신호처리 기법의 발달로 빠르고 정확하게 근전도 신호를 자동 추출하고 분석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대부분의 전기진단장비에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손쉽게 정량적 근전도 검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정량적 MUAP(motor unit action potential) 분석 방법과 분해방법(Decomposition methods)이 있다. MUAP 분석은 정통적인 접근법으로 최소한으로 근육을 수축하는 동안 MUAP를 기록하여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MUAP는 운동단위의 근섬유 활동전위의 대수적인 합을 세포 밖에서 기록한 것으로 기록전극과 근섬유와의 공간적 관계와 근섬유 활동전위와의 시간적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MUAP의 형태는 운동단위의 구조, 즉 운동 단위에 속하는 근섬유의 수와 크기 및 분포와 종판의 배열에 영향을 받는다. 신경병증과 근육병증에서 나타나는 근위축이나 비대, 다양한 근섬유 반경, 근섬유 소실, 근섬유의 재생과 분리 및 신경 재분포 등에 의해 MUAP 의 형태에 변화가 오게 된다. 정밀 분해법(Precision decomposition)은 4개의 기록표 면을 갖고 있는 quaorifilar 전극으로 다채널 기록을 하여, 최대 근수축의 85~100%에서도 정확히 MUAP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MUAP의 rate coding과 점증의 변화를 측정하여 운동조절 기전을 연구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 침전극이 필요하다는 것과 특수한 지식을 가진 검사자가 자료 처리과정 중 개입하여 자료 분석시간이 길어지는 단점 때문에 임상에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근전도는 구강안면 영역에서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측두하악장애를 비롯해 교합접촉 변화, 저작 습관, 골절, 신경자극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따른 저작근의 변화를 연구할 때 유용하게 이용된다. 측두하악장애 관련 연구들에 따르면 근전도가 신뢰성 있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고 한다. 악골 골절 후의 근전도 연구에서는 관혈적 정복술을 통한 고정을 했을 때 비이환측에서 더 빠른 회복을 보인다고 한다. 편측안면경련의 미세혈관 감압술시에는 수술 후 7일 째에 비정상 활동전위가 완전소실 또는 50% 이상 소실된 경우가 90.9%, 비정항 활동전위가 50% 이하로 소실된 경우가 9.1%라는 연구가 있다. 경피성신경자극을 저작근에 가했을 때, 근수축으로 인한 근피로도가 감소된다는 근전도 연구도 있다. 전치부 개방교합시 이설근 및 구륜근 활성도 연구에 따르면 연하시를 제외하고 구륜근과 이설근 모두 근활성도가 정상교합자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 자율적 협동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만들기'활동 수업지도안 개발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임수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lesson plan for a class to design a ‘musical’targeting sophomores at high schools and to apply the lesson plan to an actual class. There, the lesson plan is drawn up with a co-op co-op model applied. A lot of educational experts agree that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considers what the learners would like to learn or do in the class is the very direction and purpose as well that the education in the world should pursue. That being so, several educational methods are being developed and investigated, and as one of such educational methods, the ‘co-op co-op’ fully reflects ‘autonomy’ that is requested by the learners and aims this value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to the fullest. Of all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the‘co-op co-op’ is a model that reflects the most of the ‘principle of autonomy’ and these positive effects, which are realized as the model is applied to learning activities, such as the learners’‘creativity’ and ‘harmony and responsibility’ acquired through the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co-op co-op’ model’s being frequently used in multiple textbooks. Even in ‘music’ class, man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the ‘co-op co-op’ model applied are being developed and yet, researches on how to combine the model with a ‘musical’ have been hardly carried out but, considering how constantly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musical’, this study decided to make use of the ‘co-op co-op’to develop and discuss both the lesson plan and lesson materials to be used in this class of designing a ‘musical’The study looked into the target grade of the class and the suitability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then,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through research procedures with the ADDIE model applied. The lesson plan consisted of four sessions, and they were all connected with significance. Through those four sessions, the learners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musical, to sing songs, to create and to actually watch the work, and during every session, the learners work to accomplish not only the aims of the subject but also the goals of the ‘co-op co-op’, in order to fulfill this goal to present the ‘musical’, the learners join these learning activities that fully reflect the learners’ autonomy. The lesson plan and the lesson materials in this study were created by a group of five experts including three in-service teachers, and another group of 12 experts was formed to verify this ‘role-finding’ program that had been developed to help the learners when they try to create the‘musical gala show’A total of two expert group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lesson materials through the valuation survey. Music Class A, B and C consisting of the sophomores at H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determined to be the research subjects, and a total of 8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 terms of the research outcome, the lesson plan with the four sessions included to create the ‘musical’should have been presented, and to be specific, in the class,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musical, figure out their own roles through the ‘role-finding’ activity, listen to or sing along the most popular songs of the musical, draw up ‘musical cue sheets’in groups and present their ‘musical’As for the activities in the class, the study used the‘co-op co-op’model to lead the learners to work on their autonomy as much as possible and pursued a ‘class that is enjoyed by everyone’In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during the fourth session, the learners understood the ‘musical’ and the ‘musical’ and were led to reach the aim of the subject through this activity which they joined in groups that they had formed voluntarily.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results was conducted based on what had been learne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learners in connection with how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class, the class log recorded personally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nd the observation log worked on by another music teacher at the same school who had joined the class as an observer. Before the lesson plan was applied to the class, the five experts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lesson plan, and the lesson plan consequently gained 4.56 on a five-point scale which proved the positivity in the lesson plan’s being applied to the actual class. A few of the experts’ advices were accepted when the study tried to revise the lesson plan. In addition, after the lesson plan was applied to the class, the learners’satisfaction with the class, the researcher’s class log as well as the observer’s observation log were analyzed.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were valuated by the Likert scales,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essions came up with 4.48, 4.50, 4.55 and 4.61 points relatively, and the study noticed that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creased one session after another. Not only that, the study learned that the learners were content with the core activity of the class, the ‘role-finding’ program, as much as 4.4. Such result was achieved because, as far as the study assumes, the learners’interest in the musical improved as the class went on one session after another, and through the group activities, the learners were drawn even more to this class in which they could actually share ideas with each other and felt voluntarily responsible for what they were doing in the class and after all, the learners’ finding out how creative and active they could be in the class became one of the greatest reasons for the learners’ high-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lesson plan is a lesson material which is proper enough to be applied to an educational scene and to make music class high-quality, and in such high-quality music class realized by the lesson plan designed in the study, the learners’s musical motivations will be provoked. The study is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music lesson plan with the ‘co-op co-op’model applied, that it improved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creativity and autonomy and that it enhanced the quality of music class. 이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자율적 협동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만들기’ 활동 수업지도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많은 교육전문가들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 학습자중심의 교육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우리 교육의 방향이자 목표라고 말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란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 계획 및 학습 수행에 대한 책임감의 강조를 뜻하는데,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하여 최대의 학습효과를 이끌어 내는 데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 자율성의 원리를 가장 많이 반영 한 모형으로 학습자의 창의성과 협동으로 인해 일어나는 화합 및 책임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많은 교과에서 활용하고 있다.‘학습자 중심’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다양한 관심의 충족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뮤지컬은 음악, 춤, 연기 등의 다양성이 내재되어 있는 훌륭한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 학생 개개인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 낼 수 있는 넓고 다양한 관심사들이 ‘자율적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에 활용될 경우 ‘학습자 중심’교육이 가지는 장점을 더 극대화 할 수 있다. 하지만, ‘자율적 협동학습’과 뮤지컬을 함께 적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고, 또한 수업지도안에 대한 연구 역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 변화하는 교육의 흐름 속에 뮤지컬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등이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음을 인식하여, 본 연구자는 ‘자율적 협동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만들기’활동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를 개발·연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이 적용될 해당 학년 및 교과내용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ADDIE 모형의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수업지도안은 총 4차시로 전 차시가 하나의 연계성을 지니고 있다. 총 4차시의 수업을 통해 뮤지컬의 개념이해와 가창, 창작, 감상하는 활동 등이 포함된다. 각 차시는 교과 학습목표와 자율적 협동학습 목표가 제시되며,‘뮤지컬 만들기’발표 라는 목표 아래, 학습자의 자율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학습활동들이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업지도안 및 수업자료는 현직교사 3명을 포함한 5명의 전문가 집단과 ‘역할 찾기’프로그램 검증을 위한 12명의 뮤지컬 전문가 집단, 총 2개의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용 설문지를 통한 수업자료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업적용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H고등학교 2학년 음악 A. B. C반으로, 총 8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물은 ‘뮤지컬 만들기’를 주제로 하는 4차시의 수업지도안이며, 구체적 내용은 1차시의 뮤지컬의 개념 이해와 뮤지컬 구성요소 파악하기, 2차시의 ‘역할 찾기’를 통한 나의 역할 파악하기, 3차시의 뮤지컬 주요 곡 감상 및 가창, 모둠 별로‘뮤지컬 큐시트’작성하기, 4차시의 ‘뮤지컬 만들기’발표하기 등 이다. 수업의 활동들은 ‘자율적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을 지향하였으며, 4차시의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뮤지컬 만들기’를 이해하고, 자율적으로 모둠을 구성하고 활동함으로써 교과목표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학생 수업만족도 조사와 인터뷰, 본 연구자의 수업일지, 같은 학교의 음악교사가 관찰자로 수업에 참여하여 작성한 관찰일지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수업적용 전, 전문가 5인의 수업자료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평점 5.0만점 중 4.56을 기록하며 현장의 적합 여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들의 의견 중 수정 사항은 실제 수업 지도안에 반영되었다. 또한 수업적용 후, 학생의 수업만족도 결과와 연구자의 수업일지, 관찰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하였다. 학생의 수업만족도는 리커트(Likert)의 5점 척도를 통해 평가하였고, 1차시 수업은 4.48, 2차시 수업은 4.50, 3차시 수업은 4.55, 4차시 수업은 4.61의 평점을 나타내며 차시가 진행될 때마다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수업의 중심 활동이 되는 ‘역할 찾기’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만족도는 4.4로 나타났다. 이는 뮤지컬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기대감과 차시를 거듭할수록 진행되는 모둠활동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자율적으로 책임감이 형성된 수업이 진행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발된 ‘음악’과 중심의 ‘뮤지컬 만들기’활동 수업지도안은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학생들의 음악적 동기를 유발하고 질적으로 높은 음악수업을 만드는 데 적합한 수업자료가 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율적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과 수업지도안을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향후 음악 교과목 수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심전도 임펄스 응답 표현에 의한 개인 식별

        임수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method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using electro- cardiography (ECG),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human body as an electrical volume conduction system in which a depolarization wave is generated inside the cardiac muscle and then propagates out to body surface. In order to calculate the impulse response of the system, the ECG measured on the surface of human body is assumed as an output signal of the system, while the initial depolarization wave at the SA-node is assumed as the corresponding impulse input signal. Because the impulse responses differ each other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electrical volume conduction system of each individual, they can be compared each other for human identification. Unlike the other biometric methods, such as face, iris, fingerprint, or veins on the back of hand, which us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human body parts, the EC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using life phenomenon. In addition, the ECG method can be realized by a simple algorithm because the ECG is an 1-dimensional signal, while those methods mentioned above require 2- dimensional signal processing and detection algorithm. In order to verify the suggested impulse response method, two kinds of ECG data were used. The first data wais 36 normal ECGs obtained from 12 young (22-31 year old) healthy males, and the second one was the MIT/BIH arrhythmia data, composed of 144 ECGs. The two data sets were applied to the impulse response based algorithm and accomplished 56-100% success rate depending on various simulation conditions. The difference in the success rate is mainly due to the order of impulse response, and the lengths of front and back windows applied from the R-wave peak of ECG. Especially for normal ECG, 100% success rate is achieved with the impulse responses whose order are 15 or 24. For the arrhythmia ECG, the success rate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has reached up to 90 % depending on the simulation condi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CG-based biometric method using impulse response can be realized for effective practical application. Also, although the impulse response has been used only for system characterization or design purpose, the methodology of using impulse response for identification purpose as suggested in this study presents new application potentials of impulse response, particularly for pattern classification or signal detection. 본 연구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를 심장에서 발생하는 탈분극파가 체표로 전도되어 나가는 전기 체적 전도 시스템으로 고려하여 개인 식별을 수행한다. 체표에서 얻어지는 심전도를 인체 전기 체적 전도 시스템의 출력으로 가정하고, 심장 내부의 동방결절(SA node)에 기인하는 탈분극을 임펄스인 시스템의 입력으로 가정하여, 그 시스템의 입출력 관계를 보이는 임펄스 응답을 구한다. 그 임펄스 응답이 각 개인의 전기 체적 전도 시스템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개인별로 차이가 날 것이며,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서 개인 식별을 수행한다. 심전도에 의한 개인 식별은, 그 동안 개발되어 사용되어오던 얼굴, 홍채, 지문, 손등 정맥 등과 같은 인체의 여러 가지 특징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대부분 화상처리 및 형태 식별에 기본을 두어 복잡한 알고리즘이 요구되던 바와는 달리, 심전도가 1차원 신호인바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형태에 기본을 둔 방법들과는 달리 생명현상인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를 사용하여 개인을 인식하고 식별해내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가능성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심전도의 임펄스응답에 의한 개인 식별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가지 심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하나는 12 명의 건강한 젊은 남성(22-31세)들로부터 수집한 36개의 심전도 데이터와, 다른 하나는 144개의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 심전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조건에 따라 56-100%까지의 개인 식별성공률을 보였다. 그 성공률의 차이는 주로 심전도를 몇 개의 임펄스 응답 함수로 표현했느냐에 따라 달라졌으며, 또한 평균 단일 심전도(SAECG)의 R-파 최고치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 구간의 데이터를 임펄스 응답을 구하는데 사용했느냐에 기인하였다. 정상적인 심전도의 경우 특별히 15개와 24개의 임펄스응답 함수를 이용한 경우 100%의 개인 식별률을 얻어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정맥을 갖고 있는 개인의 심전도에 대한 개인 식별의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조건에 따라 50-90%사의의 개인 식별 성공률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심전도의 임펄스응답에 의한 개인 식별 방법은 실제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별히 신호의 임펄스 응답표현에 의한 개인 인식은, 그 동안 임펄스응답이 시스템의 출력을 이론적으로 구하는데 주로 사용되거나 시스템을 특성화하는데 사용되어온 것과는 달리, 신호인식, 패턴 분류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새로이 제시하고 있다.

      • 남성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과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임수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men are interested in fashion and beauty and invest for himselves nowadays, the scale of men's cosmetic businesses is showing steadily tendency. And it became very important to satisfy the demand of men for cosmetic companies to survive the competitive market. The purposes of this were to offer basic data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ies learning follows: This study analyzed the skin management knowledge of men who are in their 20s and above. It, furthermore, illuminate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them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men in their 20s to 40s who resided Seoul, Gyeonggi and Incheon. After the surveys were conducte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x²(Chi-square) tea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t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on men's consideration of their look, it showed their high interest in it. 29% respondents carry cosmetics in their hands normally. Yet, most of them haven't experienced clinic or esthetics for having treatments. Second, Men's level of skin management knowledge is quite high according the survey. Respondents corrected 15.56 of 20 on average. The groups of younger, married, student and high educated had higher scor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men's cosmetics and purchasing behaviors, the cosmetics for men who started to use for the first time at high school were the largest group with 28.8%. Men who use skin cosmetics were the largest group with 59% followed by 18.8% who use shave and hair cosmetics, and group who use perfume or aromatic cosmetics were with 25.4%. Furthermore, averagely 5 kinds of cosmetics were used by the respondents. The largest group of respondents ar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cosmetics through mass media. therefore, there will be necessity for cosmetic firms to aggressively pursue positive publicity strategy various of mass media. Although there were the large numbers of men who recognize that they can understand about men using makeup products, still feel awkward about wearing themselves. But its numbers are increased to give positive answers on men's using makeup cosmetics compare to past. Fourth, Regarding purchasing behavior, 53.2% buy cosmetics in person, who outnumbered the others who don't. In the case of men who don't buy cosmetics by themselves, spouses or girl friends purchase cosmetics on behalf of them. Fifth, as a result of examine the demand level for men's cosmetics, the men, who answered that it is appropriate a lotion and toner is priced between 10,000 won and 30,000 won were the largest with 51.1%. Men who answered that beside the basic cosmetics such as toner and lotion that use, they will purchase sunscreen in the future. Men sho recognize the most important task needed to be improved in men's cosmetics is higher quality, with 25.9%. Given the finding and various results from the study, in order to promote a sale of men's cosmetics, there is necessity for concentrating on improving product quality of men's cosmetics and on developing product suitable for men's skin. Also the most men are obtaining information about cosmetics through mass media. Therefore there will be necessity for cosmetic companies persue positive publicity strategy through various forms of mass media. 최근 들어 남성들의 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사회적 개념 자체가 많이 변화하였고, 많은 남성들이 그들만의 추구 이미지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화장품 업계를 비롯한 관련 업계에서는 남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미용에 대한 관심도와 피부에 대한 지식정도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구매행동에 대해 현 상황을 조명해 보고, 이들을 목표 집단으로 하는 화장품 업체들의 상품 기획과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화장품을 사용하는 20대 이상 성인 남성 4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남성들의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과 피부 건강관리 지식, 그리고 화장품 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t-test(검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그리고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 정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3.19로, 남성들은 미용에 비교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29%의 남성들이 평소에 화장품을 휴대하였다. 그러나 미용을 위해 피부과나 뷰티샵을 이용한 경험에 대한 질문에 13.9%의 남성만이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남성들의 피부건강관리 지식도를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를 피부 지식 정도에 따라 상, 중, 하 3그룹으로 나누었고 조사결과 응답자 전체 평균은 20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15.5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부 지식도를 살펴보면, 연령이 적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은 남성일수록 지식이 높았고, 기혼보다는 미혼 남성이, 다른 직업보다 학생인 남성이 피부 건강관리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 및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화장품을 고등학생 때부터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남성이 28.8%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피부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남성이 59.0%로 가장 많았다. 또한 남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는 평균 5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여 화장품에 대한 남성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화장품 관련 정보 습득 경로에 관한 질문에는 대중매체에서 얻는다고 응답한 남성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메이크업 제품 사용에 대해 이해는 하지만 어색하게 느껴진다고 인식하는 남성이 가장 많았지만, 과거 연구에 비해 색조화장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이 크게 늘어 주목된다. 남성들이 화장품을 구입하기 전이나 후에 정보나 사용 설명서를 읽는지 살펴본 결과는 사용 설명서를 가끔 읽는 남성이 49.2%로 가장 많았다. 넷째, 남성화장품 구매 행동에 대하여 구매자와 비구매자에 대한 견해를 분석한 결과, 직접 구입하는 남성이 53.2%로 그렇지 않은 남성 46.8%보다 많았다. 화장품을 직접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는 주변 사람들이 구입해 주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34.4%로 가장 많았다. 또한 화장품을 직접 구입하지 않는 남성 대부분은 배우자 혹은 이성친구가 구입해준다고 조사되었다. 화장품을 직접 구입하는 남성에 대해 일반적 특성, 피부건강 관리 지식별로 분석한 결과, 구매 장소로 브랜드샵을 고른 응답자가 33.8%가 가장 많았다. 그 이유로는 구입이 편리하기 때문이었다. 남성들이 화장품 구매 시 가장 중요시하는 점은 피부적합성 41.0%, 품질 및 기능 27.9%로 나타났다. 또한 한 달 평균 화장품 구매 액에 대한 질문에 1~2만원 미만 지출하는 남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성화장품의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스킨, 로션의 가격은 1~3만원 미만이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남성이 51.1%로 가장 많았고, 스킨과 로션 외에 우선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은 자외선 차단제가 40.3%로 가장 많았다. 남성용 화장품의 최우선 개선점은 품질의 고급화가 25.9%로 가장 많았으며, 합리적인 가격이 25.2%로 뒤를 이었다. 여섯째, 남성들의 미용 관심도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미용에 대해 관심이 많은 남성일수록 한 달에 평균 화장품 구매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었고 구매빈도가 높았다. 또한 미용에 관심도가 높을수록 사용하는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남성들 스스로의 미용에 대한 관심과 피부 미용에 대한 지식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입행위에 대해서도 남성들은 적극적인 소비의 주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남성화장품의 판매 촉진을 위해서는 남성화장품의 품질 개선과 합리적인 가격을 형성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남성들이 예상보다 다양한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남성의 메이크업 문화에 대해서도 과거보다 많이 개방된 응답을 한 점에서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남성화장품 시장의 세분화 및 다양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여겨진다.

      • 聴覚的記述から読み解く春樹文学 : ロック ポップ音楽、ジャズ音楽、クラシック音楽を題材に : 청각적 기술(記述)로 독해 한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 : 록· 팝음악· 재즈음악· 클래식음악을 중심으로

        임수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려고 할 때 주로 언어를 통해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인류의 탄생으로부터 사용된 전달도구인 언어는 문명의 발전과 함께 여러 모습으로 진화 되었으며 현재는 인공지능 AI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 등 컴퓨터 기술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금 존재하는 수많은 언어 중에서 인간은 일반적으로 말을 통해서 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한다. 그리고 문학작품은 작가의 말을 문장으로 쓴 것이다. 독자는 문장으로 쓰인 작가의 말을 읽고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사소통은 오로지 문장으로 쓰인 말 뿐 만이라고 할 수 없다. 문학이 말을 통해서 충분히 표현할 수 없는 부분에서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요인은 문장으로 표기 가능한 ‘눈에 보이는’ 언어나 문장에서는 쓸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도 크게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는 때때로 작가의 의도를 더욱 강하게 독자에게 전달한다. 논자는 이러한 효과 중에서 문학작품에 쓰인 ‘보이지 않는’ 언어에 주목했다. 그 이유는 ‘보이지 않는’ 언어 중 하나인 음악이 가지는 힘은 문학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에게 큰 감동을 주는 절대적인 힘을 가졌고 또한 문학과 음악은 근본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과 음악을 연결시키는 시도는 옛날부터 시행되었다. 예를 들어 문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옛날 음유시인이나 일본의 비파법사(琵琶法師) 등은 문학작품을 말로 전했을 때 소리가 가지는 효과를 통해서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알렸다. 한편 음악적 관점에서는 현재 음악세계에서 주류가 된 서양음악을 보면 바흐의 “마태 수난곡”은 성경에 쓰인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이고 베토벤의 “에그몬트 서곡”은 그와 친분이 깊었던 괴테의 희곡을 바탕으로 작곡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논자는 문학과 음악은 역사적으로도 아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작가의 의도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 근본적으로 작가의 내면이 담긴 작품의 배아가 된 것은 틀림없이 같을 것이라는 지론이 있었다. 그리고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을 접했을 때 이 지론에 대해서 확고한 근거를 가져서 명확하게 증명하고자 생각했다. 그러므로 하루키 작품을 연구 제재로 문학과 음악의 연관성이나 그 작품세계를 추구했을 때 보이는 음악 속에 숨겨진 작곡가가 주장하는 바와 하루키가 작품 속에 그려 낸 주장의공통점을 찾아내려고 시도해 보았다. 우선 구체적으로 고찰하기 전에 하루키가 스스로 작품을 집필할 때 음악에서 힌트를 얻는다는 발언에 시점을 두고 그 생각이 어떻게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장편작품을 중심으로 음악의 사용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하루키는 작품 속에서만 음악이 가지는 힘을 반영시키는 것이 아닌,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작품에 맞춰서 음악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더욱 구체적으로 다양한 음악 중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선곡을 하여 작품 내에서 그 힘을 발휘시키는 지 알아내기 위해 음악을 록/팝음악, 재즈음악, 클래식음악으로 나누어 작품세계와 대조해 보았다. 제1부에서는 록음악이나 팝음악이 주인공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고찰했다. 그 결과 록이나 팝음악은 전반적으로 주인공이 가지는 기억에 대한 시간을 나타내는 장치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 중에서도 특정된 음악은 주인공이 타자와 관계를 가지기 위한 도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적 관점에서는 현재를 나타내고 있고 공간적으로는 하루키 작품의 특징인 ‘페럴렐 월드’ 페럴렐 월드는 하루키가 작품의 큰 특징 중 하나다. 하루키는 작품 속에서 평행하는 두 세계를 그려내 각 세계의 스토리 또한 평행해서 진행한다. 작품에 보이는 두 세계 중 하나는 현실적인 세계 묘사다. 또 하나는 작품에서 ‘저쪽 세계’라고 불리는 이세계다. ‘저쪽 세계’는 작품마다 ‘우물 속’ ‘숲’ ‘달이 두 개 있는 세계’ ‘지하세계’ 등 여러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또한 ‘일각수’나 ‘양 남자’ ‘이데아와 메타포’ 등 현실 세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 및 동물 등도 ‘저쪽 세계’에 등장한다. 에서 현실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제1장에서는 ‘쥐 3부작’에 언급된 록음악에 주목하여 특히 주인공에게 영향을 주는 음악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록음악은 클래식음악이나 재즈음악에 비해 비교적 시대성이 높은 음악이다. 시대성이 높은 음악이란 록음악이 폭발적으로 인기를 얻은 60년대 이후 필요에 따라 재빨리 변화했으므로 그때 유행한 음악을 들으면 어떠한 사회이었는지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키와 같이 1960년대 때 10대이었던 아이들이 들은 음악은 부르주아 계급에 대항하는 반사회적인 자세를 나타냈으며 특히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주장이 담긴 노래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시대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문장으로 표현한 작품이 “댄스・댄스・댄스”다. “댄스・댄스・댄스”는 “양을 쫓는 모험”의 속편이라고도 하는 작품인데 작품 내에서 주인공은 70년대의 록음악은 ‘제대로 된’ 것이며 80년대의 록음악은 ‘시시한’ 음악이라고 비판한다. 그것은 주인공이 사회가 변화한 것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10대이었을 때의 자신을 주체로 사회를 보고 비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의 10대인 ‘유키’를 만나, 그녀와 함께 행동하면서 그녀의 아이덴티티를 이해하는 것과 동시에 80년대의 음악을 수용하는 모습이 묘사되고 있다. 또한 하루키는 록음악을 ‘쥐 3부작’에서 주인공의 기억과 깊이 연결시킨다. 각 작품의 주인공들은 음악을 매체로 그들과 관계를 가지는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상기시킨다. 이것은 단순한 기억의 상기가 아닌 타자와의 관계성이라는 점에서도 음악이 영향을 가지고 있다. ‘쥐 3부작’의 주인공들은 고독을 추구하는 모습이 묘사되었으나 그들과 타자를 연결하는 도구가 록음악인 것이다. 또한 ‘쥐 3부작’에서 사용된 록음악은 주로 사회 현상을 표상한 음악이다. 즉 현실성을 가진 음악이라고 생각해 보면 작품 내에서 주인공의 기억을 담당하는 것과 동시에 그들이 현실세계에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제2장에서는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 주목했다. 이 작품은 하루키가 작품 내에서 두 개의 세계를 구분하여 각각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와 ‘세계의 끝’의 스토리를 번갈아서 등장시키고 병행해서 진행시킨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음악이 등장인물이 자아를 가지기 위한 도구로 묘사된다. 그러므로 자아를 가지는 것이 금지된 ‘세계의 끝’에서는 음악이 터부시되어 있다. ‘쥐 3부작’에서는 록음악을 통해 주인공의 기억이나 존재의 현실성이 나타났으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서는 기억의 재생이나 현실성의 추구와 더불어 내면을 추구하는 장치로 음악이 사용되고 있다. 하루키가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에서 묘사한 세계는 당시 고도경제성장기에 있었던 일본사회의 명암을 그린 것이다. 고도경제성장기로 인해 일본 전체가 부유한 생활을 보낸 반면 개인의 주장은 강제적으로 억제된 시기이었다. 하루키는 터부시된 개인의 주장을 누구나가 잊어버린 음악으로 비유하고 음악이 없어진 ‘세계의 끝’에서는 사람들이 유토피아 세계로 존재하는 듯이 생활하는 묘사를 통해 신랄하게 당시 일본 사회를 비판했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하루키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자신의 전생은 ‘일각수’이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일각수는 살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두개골만 남아 있는 모습이기도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살아 있는 모습이든 두개골의 모습이든 그 존재자체는 양쪽 세계에 존재하고 있다. 즉 양쪽 세계의 주인공을 각각 일상적으로 의식하고 있는 자기와 무의식 세계의 자기라고 생각해 보면 일각수의 두개골은 제3자의 눈으로 양자를 객관시하는 또 하나의 자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일각수의 두개골을 통해 ‘나’는 음악이 존재하지 않았던 ‘세계의 끝’에서 음악을 되찾는다. 이 표현은 어떠한 사회든 하루키에 있어서 음악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자 음악을 통해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려는 주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2부에서는 하루키 작품에 구축된 재즈음악의 세계관과 죽음의 묘사에 대한 연관성에 대해 검토했다. 재즈음악은 하루키 작품 속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빈도가 낮은 장르다. 그러나 하루키 자신이 재즈 음악으로부터 집필 힌트를 얻었다는 사실과 함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재즈음악은 각 작품의 세계관을 표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하루키가 재즈음악이란 음악의 선구자들이 기존의 음악을 죽이고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어 낸 ‘죽음과 재생의 음악’임을 작품 속 주인공을 통해 표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동시기에 쓰인 단편작품 ‘중국행 슬로우 보트’와 장편작품 “1973년의 핀볼”을 제재로 재즈음악이 하루키 작품에서 어떠한 역할을 가지는 지 고찰했다. 재즈음악은 다른 장르에 비해 모든 작품에서 사용빈도가 낮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언급된 재즈음악을 보면 등장횟수는 적은데도 불구하고 등장인물들에게 주는 영향은 크다. 초기작품에서는 주인공이 고독한 상태서 내면을 내려 보았을 때 사용되고 있다. “1973년의 핀볼”에서는 타자를 믿을 수 없고 고독을 유지하려는 주인공의 심정과 그가 유일하게 의지한 핀볼 머신을 연결하는 장치로 재즈음악이 사용된다. 한편 ‘중국행 슬로우 보트’에서는 작품명에 착용된 ‘On A Slow Boat To China’의 가사인 ‘타자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공간’과 정반대인 타자에게 무관심한 주인공의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마지막에서는 타인과 거리감을 줄이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독을 추구하는 모습에서 타자를 이해하려는 모습의 변화는 하루키 작품의 변화와 비교를 했을 때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변화야 말로 하루키가 의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루키가 재즈 바에 다니던 시기는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학생운동이 번창한 시기이었다. 집단에서 떨어져 고독해진 하루키를 포용한 것이 재즈음악이었으므로 하루키 속에서는 고독=재즈음악이라는 세계관이 생겼을 것이 아닐까. 그렇기 때문에 하루키가 사회에서 격리된 공간에 존재했을 때 그 속에서 길러진 재즈적 요소는 문장을 쓰는 힌트이자 동시에 그의 작품세계를 구축하는 요소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재즈음악과 연관된 죽음의 묘사에 대해서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이하, 색채가 없는・・・이라고 한다.)”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제3장에서 재즈음악은 하루키 작품에서 작품 그 자체의 세계관을 나타내며 구축하는 역할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때문에 “색채가 없는・・・”에서는 재즈음악이 구축하는 세계관이 작품세계에서 어떻게 침투되었는지 검토했다. “색채가 없는・・・” 속에서 재즈음악은 ‘죽음’의 가치관과 공명하고 있다. 그것은 하루키 자신이 음악에 대해 느낀 키워드와 이에 유사한 키워드를 이야기 속에서 언급했기 때문이다. 그 키워드의 연장선에서 ‘미도리카와’가 가지는 ‘죽음의 토큰’이 있다는 것은 하루키에게 있어서 재즈음악은 세계 그 자체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죽음’에 관한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제3부에서는 클래식음악과 등장인물의 내면 표현에 대해 고찰했다. 클래식음악은 다른 장르음악에 비해 가사로 인한 주장은 약한 반면 멜로디로 인해 주어진 감동이 강력한 편이다. 또한 클래식음악은 하루키 작품이 변화한 1990년대 이후 사용빈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음악과 등장인물의 관계가 더욱 밀접해진 것을 알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작품뿐만이 아니라 클래식음악은 작품 속에서 하루키가 문장을 통해서 충분히 표현하지 않았던 등장인물들의 심정을 대변하는 역할을 가진다. 그래서 초기작품에서 중기작품까지 작품에 나타난 음악과 90년대 이후의 음악의 역할을 각각 검토했다. 제5장에서는 클래식음악이 초기작품에서 중기작품까지 등장인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와 “노르웨이의 숲”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클래식음악은 주로 등장인물이 자신의 내면을 바라볼 때 사용된다. 그리고 그들의 내면과 공명하면서 더욱 절실한 심정 묘사를 나타낸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에서는 ‘쥐’의 심정변화와 피아노 협주곡 3번에 표현된 베토벤의 심정 변화를 대조해 보았다. ‘나’가 ‘쥐’에게 음반을 선물했을 때를 계기로 ‘쥐’는 그동안 강하게 가졌던 사회에 대한 비판에서 자기비판으로 변화한다. 또한 그가 자기 내면을 추구하고 소설의 집필을 통해서 표현하려는 자세는 2주 전까지 전혀 독서를 하지 않았던 모습과 정반대인 자세다. 이러한 ‘쥐’의 심경 변화는 베토벤이 피아노곡에 담은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심정과 유사하다. “상실의 시대”에서는 비틀즈의 ‘노르웨이의 숲’ 때문에 조명을 받기 어려운 바흐의 푸가와 그 곡을 연주하는 레이코를 주목했다. 바흐의 푸가는 상당히 계산적으로 구축된 곡이다. 그 곡은 작품 속에서 레이코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가진다. 가족과 주변 사람들로 인해 계속 자기를 억제할 수밖에 없었던 레이코는 자기 자신을 잃어 정신병을 앓고 있었다. 정신병을 앓은 레이코가 아미료(阿美寮)에서 치료를 받았을 때 연주한 푸가는 완벽한 연주가 아니었다. 한편 아미료를 나온 후 레이코가 다시 연주했을 때는 완벽한 연주에만 머물렀던 것이 아니라 레이코의 마음대로 자유자재로 연주한 것이었다. 즉 여기서는 계산된 음악을 연주했을 때 그 완성도를 통해서 등장인물의 정신이나 마음의 안정감을 나타내는 도구이었던 것이다. 제5장에서 고찰한 클래식과 등장인물의 관계성은 등장인물의 내면과 음악에 담긴 작곡가의 정신의 공명을 묘사한 멈춰져 있었다. 한편 제6장의 연구제재인 2000년대 이후의 작품과 작품 속에 사용된 음악을 보면 제5장과 같은 정신의 공명 뿐 만이 아니라 음악세계와 작품세계가 하나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하루키 작품과 음악에 대해서 아직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와 “기사단장 죽이기”에 대해 분석했다. “색채가 없는・・・”에서는 ‘순례의 해’라고 번역되어 제목으로 사용된 리스트 ‘르말뒤페이’와 주인공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르말뒤페이’는 리스트가 스위스나 이탈리아를 여행했을 때 그의 머릿속에 떠오른 망향에 대한 마음을 표현한 음악이다. 헝가리 사람에도 불구하고 어렸을 때부터 프랑스에서 활약하고 후에 유럽 전체를 여행한 리스트는 자신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데를 가질 수 없었다. “색채가 없는・・・”의 주인공 ‘다자키 쓰쿠루’ 또한 고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에서 이탈하면서 고향을 잃어버린다. 쓰쿠루의 경우 고향이란 출신지인 나고야가 아닌 고등학교 시절의 그룹이었다. 리스트와 쓰쿠루의 공통점은 양자 모두 망향의 마음을 음악을 통해서 느끼고 있으나 실제로는 공동체의 일원에 속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르말뒤페이’는 리스트가 여행했을 때 그 경험을 그린 음악이지만 그 곡에 대한 해석은 고향의 애수에 관한 것이 강하다. 그것은 문화나 말이 다른 외국에서 이루어진 작곡이 고향을 가지지 않는 리스트에게 있어서는 가장 애수가 진한 이미지를 그리기 쉽고 또한 청중에게 공감을 얻기 쉬웠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색채가 없는・・・”의 이야기 속에서도 ‘르말뒤페이’를 들은 사람이 고향에서 떠난 등장인물인 쓰쿠루, 하이타, 쿠로이었던 것이다. 특히 같은 공동체 출신이었던 쓰쿠루와 쿠로는 음악을 통해 재회한 것이었으며 반대로 나고야에 남아 있는 아카와 아오는 음악의 존재를 잊어버린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기사단장 죽이기”에서는 작품세계의 주가 된 ‘돈 조반니’와 주인공이 창작활동을 하고 있을 때 듣는 “장미 기사”에 대해 고찰했다. 이야기 중심에 위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존재는 아마다 화백의 걸작인 ‘기사단장 죽이기’다. 이 그림은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를 일본식으로 리메이크를 하고 그린 것이다. 또한 등장인물들은 “돈 조반니”의 스토리를 재현함과 동시에 행동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도 하루키 작품과 음악작품의 일체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돈 조반니”의 스토리 뿐 만이 아니라 “장미 기사”의 스토리와 하루키 작품의 공통점을 볼 수 있다. “돈 조반니”가 주 이야기와 일체화가 되어 작품 세계를 그려내고 있는 한편 “장미 기사”는 주인공에게 초점을 맞추어 그가 가지고 있는 갈등이나 그에게 영향을 주는 인물과의 관계 묘사와 일치한다. 이상과 같이 1990년대 이후 작품에 사용된 음악은 리스트의 ‘르말뒤페이’나 모차르트나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곡 등 스토리성을 가지는 음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태엽 감는 새”에 사용된 로시니의 “도둑까치 서곡”이나 하루키 작품의 영향을 받아 유명해 진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음악은 모두 등장인물들의 내면과 공명하면서 작품세계와 음악세계의 스토리성이 일체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하루키 작품에 사용된 음악을 장르별로 분류하여 각 장르의 음악이 작품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가졌는지, 또한 그것은 통일된 것인지에 대해 고찰했다. 요약하자면 록음악이나 팝음악은 등장인물의 기억이나 ‘페럴렐 월드’에서 리얼리티 성을 표상하는 음악이었다. 재즈음악은 하루키가 작품 속에서 묘사하려고 한 세계관을 대변하고 클래식음악은 작품세계 및 등장인물과 공명하여 일체화된 음악이었음을 검토할 수 있었다. 서론에서 하루키는 음악의 힘을 문장 속에 침투시켜 독자의 시각과 청각에 호소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고 가정했으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 이 가정은 증명되었다고 주장하고 싶다. 더불어 기존에 수많은 연구가 있었던 음악이 아닌, 주로 연구가 되지 않았던 음악에 시점을 둠으로써 더욱 확고한 근거를 나타낼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장르별로 분류했다고 하더라도 그 음악의 대부분이 등장인물의 내면의 묘사와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하루키가 음악을 등장인물에 맞추어 선곡을 했다기보다 하루키가 사용하는 음악은 주로 클래식음악에서 파생된 서양음악이라는 점에 시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서양음악의 발생 시기를 보면 클래식음악, 재즈음악, 록・팝음악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한편 하루키 작품에서 음악장르의 변화는 서양음악의 발생 시기를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이 사실을 통해 논자는 기존의 연구에서 꾸준히 언급된 ‘디태치먼트에서 커미트먼트로’라는 생각을 재검토 해보았다. 실제로 하루키는 한신 아와지 대지진이나 옴 사린사건이 일어난 이후 작품 속에서 사회의 모습을 그려야 할 것이라고 말하며 적극적으로 사회에 대한 비판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청각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것은 자기의 내면이었던 것이다. 반대로 사회적인 묘사가 희박했던 1990년 이전의 작품에서는 타자와의 관계성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문장으로 이루어진 묘사와 음악으로 인한 청각적인 기술이 추구하고 있는 것은 반비례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디태치먼트에서 커미트먼트로’라는 주장은 사회와 연관성을 가졌을 때 기준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이며 타자와 관계를 가진다는 관점에서는 ‘커미트먼트에서 디태치먼트로’라고 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루키 문학의 장편작품을 중심으로 ‘보이지 않는’ 언어를 제재로 작품 속에 나타난 하루키 주장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밝혀보았다. 문학과 음악은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하루키 문학을 연구의 일환으로 보았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문학과 음악의 연관성은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고 또한 항상 진화하고 있다. 세계의 정보를 재빨리 접할 수 있게 된 지금 현대문학작품은 문장으로 구성 된 표현보다 청각적인 기술로 인한 묘사가 다양해진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해지는 언어 속에서 음악과 문학은 어디까지 연결될 수 있는 지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삼겠다. 人は何かを伝えようとする時、言語をもって意思疏通を試みる。人類の誕生から使われた伝達道具である言語は、文明の発展と共に様々な姿に進化し、今や人工知能・AIの開発に欠かせないプログラミング言語等の、コンピューター技術にまで及んでいる。これらのような現存する数多くの言語のうち、我々人類は一般的に言葉を使い他者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図る。そして文学作品は、作者の言葉を文章化したものである。読者は文章化された作者の言葉を読み取り、共感又は批判するが、それらの意思の疎通はただ文章化された言葉に限らない。文学が読者に感動を与える要因は言葉では十分に表すことができない部分において、文章化可能である「目に見える」言語や、文章では表せない「目に見えない」言語を用いていることも大きく関連する。そしてこれらの効果は時に作者の意図を助長し、読者の心により強く訴えかける。 論者はこのような効果のうち、文学作品で言及されている、聴覚的記述に注目した。何故なら「目に見えない」言語の一つである音楽が持つ力は文学と同様、人々に感動を与える絶大な力を持っており、また文学と音楽は根本的に繋がっているものだと考えるためである。文学と音楽を連携させる試みは古くから行われている。例えば文学の面から見ると、古来吟遊詩人や日本での琵琶法師等は、文学作品を口承する時、音の効果をもってより多くの人の心に訴えかけた。音楽の面では、現在音楽世界の主流となっている西洋音楽を見ると、バッハの『マタイ受難曲』は聖書の内容を音楽で表現したものであり、ベートーヴェンの『エグモント序曲』は、彼と親交が深かったゲーテの戯曲を元に作曲したものである。 これらの事実から、論者は文学と音楽は歴史的にも密接した関係を持ち、作者の意図を表現する方式が違うだけで、根本的にその作者の内面に潜む、作品の胚芽となるものは同じであるに違いないという持論があった。そして村上春樹の作品と接した時、この持論を確固たる根拠をもって明確に証明したいと思い、彼の作品を研究題材に文学と音楽の関連性や、それらの作品世界を追求したところに見られる、両作者の主張の共通性を見出だそうと試みたのである。 まず考察に先立ち、春樹自身が音楽からヒントを得て作品を執筆するという発言について、それはどの程度作品に表れているのか確認するため、長編作品を中心に音楽の使用具合いの変化を調査してみた。その結果、彼は作品の中でのみ音楽の持つ力を反映させるのではなく、時間と共に変化する作風に合わせて音楽を用い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そこでより具体的に、多様な音楽の中でどのような基準をもって選曲し、作品内でその力を発揮させているのか確かめるべく、音楽をロック・ポップ音楽,ジャズ音楽,クラシック音楽の三つのジャンルに区分し、作品世界と照合させ考察した。 第1部ではロック音楽やポップ音楽が主人公に及ぼす影響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結果ロックやポップ音楽は全般的に主人公の記憶における時間性を表す装置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その中でも特定された音楽は、主人公が他者との関わりを持つための道具であることが確認できた。また時間的観点では現在を表しており、空間的には春樹作品の特徴であるパラレル・ワールドにおいて、現実世界と密接に関わりを持っていることが見られた。 第一章では「鼠三部作」に言及されているロック音楽に注目し、特に主人公に影響をもたらしている音楽を中心に考察を行った。ロック音楽はクラシック音楽やジャンル音楽に比べて、比較的時代性が高い音楽である。時代性が高い音楽というのは、ロック音楽の旋風が巻き起こった60年代以降、ニーズに合わせて目まぐるしく変化したことから、その時代に流行した音楽を聴けば、どのような社会風潮であったのかがある程度推測できることである。例えば春樹の年代であるシックスティ・キッズが聴いた音楽は、ブルジョアに対抗する反社会的な姿勢を表象したものであり、特にベトナム戦争に反対する主張を歌ったものが多いことが特徴である。 このような時代性を表す特徴を文章で表現したの作品が『ダンス・ダンス・ダンス』である。『ダンス・ダンス・ダンス』は『羊をめぐる冒険』の続編とも捉えられている作品であるが、物語の中で主人公は70年代のロック音楽は「まとも」であり、80年代のロック音楽は「くだらない」音楽だと批判する。それは主人公が社会が変化したことは考えず、10代だった頃の自身を主体に社会を見つめ、批判していることが伺える。そして現在の10代である「ユキ」と出会い、彼女と共に行動し彼女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理解すると同時に、80年代の音楽を受容する姿が描写されている。 また、春樹はロック音楽を「鼠三部作」で主人公の記憶と深く結びつける。各作品の主人公たちは、音楽を媒体に彼らと関わりを持った者たちとの記憶を思い出す。これは単なる記憶の想起ではなく、他者との関わりという点に関しても音楽が影響していることが見受けられる。「鼠三部作」の主人公たちは、孤独であろうとする姿が描写されているが、彼らを他者と結びつけている道具がロック音楽なのである。また「鼠三部作」で使用されたロック音楽は主に社会を表象した音楽である。つまり現実性を帯びた音楽だと言い換えてみると、物語の中で主人公の記憶を司ると共に、彼らが現実世界に存在することを表す指標だと考えられる。 第二章では初の書き下し長編小説である『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に注目した。この作品は春樹が作品内で二つの世界を区分し、それぞれ「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と「世界の終り」のストーリーを交互に登場させ、並行させた作品である。当作品では作品の規模を考慮してみると、音楽の使用度が高いとは言い難い。何故ならこの作品での音楽は、自我を持っていることを表す指標であり、自我を持つことが許されていない「世界の終り」では音楽がタブー視されている存在であるためである。「鼠三部作」ではロック音楽によって、主人公の記憶や存在の現実性が示されたが『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では記憶の再生や現実性の追求に加え、内面を追求する装置として音楽が使用されている。 春樹が『世界の終りとハードボイルド・ワンダーランド』で表した世界は、当時高度経済成長にあった日本社会の明暗を描いたものである。高度経済成長によって日本全体が裕福な生活を送っていた反面、個人の主張は強制的に抑制されていた。春樹はそのタブー視されていた個人の主張を、誰からも忘れ去られた音楽と喩え、音抜きされた「世界の終り」で人々がユートピア世界に存在しているかのように生活する描写を通して辛辣に当時の日本社会を批判したのである。 また興味深いことに、春樹はラジオ番組で自分の前世は一角獣だったと発言している。村上Radio「第2回─秋の夜長は村上ソングズで─2018年10月21日放送」 https://www.tfm.co.jp/murakamiradio/index_20181021.html 一角獣は生きたものであれ、頭蓋骨であれ両世界に存在している。つまり両世界の主人公をそれぞれ日常的に意識している自己と無意識世界での自己と考えると、一角獣の頭蓋骨は第3者の目で両者を客観視するもう一人の自己だと考えられないだろうか。加えて一角獣の頭蓋骨によって音楽が存在しなかった「世界の終り」で「僕」は音楽を取り戻す。これはどのような社会であれ、春樹にとって音楽は常に欠かせない存在なのであり、音楽を通して自身の意思疏通を図ろうとする主張なのだとも思われるのである。 第2部では春樹作品に位置づけられた、ジャズ音楽の世界観と、死の描写との関連性について検討した。ジャズ音楽は春樹作品の中で、全般的に使用度が低いジャンルである。しかしながら春樹自身がジャズ音楽から物語のヒントを得たという事実からも裏付けられているように、物語に登場するジャズ音楽は、それぞれの物語の世界観を表象する機能を持っていた。また春樹はジャズ音楽とは、ジャズ音楽における先駆者たちが既存の音楽を殺し、新しいスタイルの音楽を生み出した「死と再生の音楽」であることを物語での主人公を通して表現したことが確認できた。 第三章では、同時期に書かれた短編作品「中国行きのスロウ・ボート」と長編作品『1973年のピンボール』を題材にジャズ音楽が春樹作品でどのような役割を持っているか考察した。ジャズ音楽は他のジャンルに比べて全作品を通して使用度が低いジャンルである。しかしながら物語の中で言及されているジャズ音楽を見てみると、登場回数が少ないにも関わらず登場人物たちに与える影響は大きい。初期作品では、主人公が孤独な状態で内面と向き合う時に使用されている。 発表時期から1ヶ月先に発表された『1973年のピンボール』では、他人を信じられず孤独であり続けようとする主人公の心情と、彼の心の拠り所となったピンボールマシーンを繋げる装置としてジャズ音楽が使用されている。一方「中国行きのスロウ・ボート」では、作品名に借用された「On A Slow Boat To China」の歌詞に見られる「他者を理解し、受け入れる空間」とは正反対の、他人に関心を持たず孤独であろうとする主人公の様子を描いている。しかしながら物語の終盤では他人との距離感を縮めようとする姿が見られる。 孤独であろうとする姿から他者を理解しようとする姿の変化は春樹作品の変化と類似しており、この変化こそが春樹が意図していたものではないかと考える。春樹がジャズ喫茶に入り浸っていた時期は周知のように、学生運動が盛んであった時期であった。集団から離れ孤独になった春樹を包み込んだのがジャズ音楽であったため、春樹の中で孤独=ジャズ音楽という世界観が育まれたのではないだろうか。そのため春樹が社会から隔離された空間に存在していた時、彼の中に培われたジャズ的要素は文章を書くヒントであると同時に、彼の作品世界を構築する要素となったのだと思われる。 第四章ではジャズ音楽と関連づけられた死の描写について『色彩を持た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礼の年』を元に考察した。第三章からジャズ音楽は春樹作品で作品世界そのものを奏で、構築する役割を持つことが確認できた。そのため『色彩を持たない・・・』ではジャズ音楽が醸し出す世界観が作品世界にどのように浸透しているのか検討した。 『色彩を持たない・・・』の中でジャズ音楽は「死」についての価値観と共鳴している。それは春樹自身が音楽に対して感じるキーワードと類似するキーワードを、物語の中で言及しているためである。そのキーワードの延長線上に「緑川」が所有しているという「死のトークン」があることは、春樹にとってジャズ音楽は、世界そのものであると同時に「死」に関する概念を培っていると思われる。 第3部ではクラシック音楽による登場人物の内面の表現について考察した。クラシック音楽は、他のジャンルの音楽に比べ歌詞による主張は弱い反面、メロディーによって与える感動は強力なものである。またクラシック音楽は春樹作品の変化が起きた90年代以降、使用度が増加すると共に、音楽と登場人物との関係がより密接になっていることが明らかである。90年代以降の作品に関わらず、クラシック音楽は物語の中で春樹が文章では十分に表現しなかった、登場人物たちの心情を代弁する役割を持つ。よって初期から中期までの音楽の役割と、90年代以降での音楽の役割をそれぞれ検討した。 第五章ではクラシック音楽が初期から中期までの登場人物にどのような影響を与えているのか『風の歌を聴け』と『ノルウェイの森』を中心に検討した。クラシック音楽は主に、登場人物たちが自身の内面と向き合う時使用されている。そして彼らの内面と共鳴することで、よりそれらの描写を色濃く浮かび上がらせている役割を持つ。 『風の歌を聴け』では、「鼠」の心情の変化を、ピアノ協奏曲3番に表現されたベートーヴェンの心情の変化と照合してみた。「僕」が「鼠」にレコードをプレゼントした時を境に、それまで自己主張が強く、社会に批判的であった「鼠」は、次第に社会に対する批判から自己批判に視点が変化する。また彼が自己の内面を追求し、小説の執筆を通して表現しようとする姿勢は、半月前まで全く読書をしなかった姿と全く正反対の姿勢である。彼のこのような心境の変化は、ベートーヴェンがピアノ曲に込めた死への恐怖から、克服するまでの心情と類似している。 『ノルウェイの森』ではビートルズの「ノルウェイの森」の陰に隠れつつある、バッハのフーガ曲と、それを演奏するレイコに視点を置いた。バッハのフーガは非常に計算された音符の羅列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曲である。その曲は物語の中で、レイコの心を映し出す鏡のような役割を持つ。家族や隣人たちによって自己を抑制され続けていたレイコは、自分を見失い精神を病んでいた。精神を病んだレイコが、阿美寮で治療を受けていた時に弾いたフーガは完全なる演奏ではなかった。一方、阿美寮を出たあとのレイコが再度弾いた時は、完璧なだけに留まらず、自由自在な演奏であった。つまりここでは、計算された音楽を演奏する時の、その完成度を以て登場人物の精神や心の安定さを測る道具となったのである。 第五章で考察した、クラシック音楽と登場人物の関係は、登場人物の内面と音楽に込められた作曲家の精神の共鳴程度であった。その一方で第六章の研究題材であった2000年代以降の作品と、物語に使用された音楽を見ると、第五章のような精神の共鳴に留まらず音楽世界に浸透し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る。 第六章では、春樹作品と音楽についてのキーワードについて、先行する研究がまだ多く見られない『色彩を持たない多崎つくると、彼の巡礼の年』と『騎士団長殺し』について研究した。 『色彩を持たない・・・』では「巡礼の年」と和訳されて題名に使用されている、リストの「ル・マル・デュ・ペイ」と主人公の関係について考察した。「ル・マル・デュ・ペイ」はリストがスイスやイタリアを旅した時、彼の脳裏に浮かんだ望郷の想いを表現した音楽である。ハンガリー人でありながらも、幼い頃からフランスで活躍し、後にヨーロッパ全体を旅し続けたリストは、自分の故郷といえるものを持つことができなかった。主人公「多崎つくる」もまた、故郷を持つにも関わらず、共同体からの離脱によって故郷を失うことになる。つくるの場合、故郷とは出身地である名古屋ではなく、高校時代のグループであった。リストとつくるが共通している点は、両者とも望郷の念を音楽を通して感じる時、共同体の一員に属していないことである。 「ル・マル・デュ・ペイ」はリストの旅行での経験が含まれた音楽であるが、その解釈は故郷の哀愁に関するものが強い。それは文化や言葉が違う外国での作曲が、故郷を持たないリストにとって、最も哀愁漂うイメージを描きやすく、また聴衆からの共感を得やすかったためだと思われる。実際『色彩を持たない・・・』の物語中でも「ル・マル・デュ・ペイ」の聴衆であったのが、故郷から離れた登場人物である、つくる、灰田、クロである。特に同じ共同体の出身であったつくるとクロは、音楽があったからこそ再会したのであり、反対に名古屋にいるアカやアオは、音楽の存在を忘れた存在として描かれている。 『騎士団長殺し』では物語世界の主となっている『ドン・ジョバンニ』と、主人公が創作活動をする時に聴き続けている『薔薇の騎士』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物語の中心に位置する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存在が、雨田画伯の傑作である「騎士団長殺し」であり、それはモーツァルトのオペラ『ドン・ジョバンニ』をリメイクしたものである。また、登場人物たちは『ドン・ジョバンニ』のストーリーを再現するかのように行動している。このことからも、春樹作品と音楽作品の一体化が確認できる。また『ドン・ジョバンニ』のストーリーだけでなく、『薔薇の騎士』のストーリーと物語の共通点が見受けられる。『ドン・ジョバンニ』が物語の主流と一体化していることに対し、『薔薇の騎士』は主人公に焦点が当てられ、彼自身が抱える葛藤や、彼に影響を与える人物たちとの関係の描写と一致している。 以上のように1990年代以降の作品に使用されている音楽は、リストの「ル・マル・デュ・ペイ」やモーツァルトやシュトラウスのオペラ曲等のように、ストーリー性を持つ音楽が多く使用されている。本研究では取り上げなかったが、ねじまき鳥クロニクルに使用されているロッシーニの『泥棒かささぎ序曲』や、春樹作品の影響を受け有名になったヤナーチェックの『シンフォニエッタ』も然りである。これらの音楽は全て、登場人物たちの内面に訴えるだけでなく、作品世界と音楽のストーリー性が一致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た。 これまで春樹作品に使用されている音楽をジャンル別に分類し、各ジャンルの音楽が物語の中でどのような役割を持っているのか、またそれは統一されたものであるのか考察した。要約するとロック音楽やポップ音楽は登場人物の記憶を想起させたり、パラレルワールドでリアリティー性を表象する音楽であり、ジャズ音楽は春樹が物語の中で描写しようとした世界観を代弁し、クラシック音楽は物語世界又は登場人物と共鳴し、一体化された音楽であることが検討できた。 序論で春樹は音楽の力を文章に浸透させ、読者の視覚と聴覚に訴えかけるのではないかと仮定したが、本研究の結果からその仮定は証明されたものだと主張したい。加えて、既存多く研究されてきた音楽ではなく、照明が当てられなかった音楽に視点を置くことで、より確固たる根拠を示すことができた。 本論文での研究結果から、ジャンル別に分類したとはいえ、それらのほとんどが登場人物の内面の描写と関連を持つことが見られる。それは春樹が音楽を登場人物の心境に合わせて選曲したという観点より、春樹が使用する音楽は大概洋楽であるが、それらの音楽はクラシック音楽から派生したことに視点を置くべきだと思われる。洋楽は発生時期について、クラシック音楽、ジャズ音楽、ロック音楽・ポップ音楽の順に並べられる。 一方で春樹作品での音楽ジャンルの変化は、洋楽の発生時期を遡っている。この事実から、論者は既存の研究でよく言及されている「デタッチメントからコミットメントへ」という考えの再検討を試んだ。実際に春樹は阪神・淡路大震災やオウムサリン事件が起こった以降、物語の中で社会の様子を書くべきだと述べており、積極的に社会に対する批判を描写している。しかしながら、その中で聴覚的記述によって物語の中で追求しているのは自己の内面であり、反対に社会の描写が希薄であった90年代以前の作品では、他者との関わりを示している。 つまり文章を通して示されている視覚的記述と、音楽を通して主張する聴覚的記述が追求するものは、互いに反比例する関係にあるのである。このことから、今まで言及されている春樹作品の変容について「デタッチメントからコミットメントへ」という主張は、現日本社会との関わりを基準にした場合に言えるものであり、主人公と他者との関わりという観点に基準を置いた場合は「コミットメントからデタッチメントへ」と言うべきだと論じたい。 本稿では春樹文学の長編作品を中心に聴覚的記述を題材に、物語内に見られる春樹の主張について新たな見解を試んだ。文学と音楽は根本的に繋がっていることを証明するため、春樹文学を研究の一環にしたが、前述のように文学と音楽の関連性は古い歴史を持ち、また常に進化している。世界の情報を素早く接することができる今、現代の文学作品は「目に見える」言語より、聴覚的言語などの「目に見えない」言語による描写がより多様になることが予測される。多様化される言語のうち、音楽と文学はどこまで繋がることができるのか、これに関しては今後の課題としたい。

      • 굽타의 경험론에 대한 한 비판 : 수정가능성을 중심으로

        임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solipsism, one of the inadmissible views, is admissible in Anil Gupta’s empiricism. Gupta’s empiricism claims that experience gives hypothetical rational obligation depends on the view through the concept of the hypothetical given. The perceptual judgement which is justified through the hypothetical given affects the view again, so the view has the perceptual judgement without any change or revises itself by the perceptual judgement. This process is called revision process, and if multiple views go through the process and converge to one view, convergence has occurred. To have occurred the convergence, the views that participate in the process must be able to be stabilized. Those views which cannot be stabilized exclud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revision process as the inadmissible views. There are three constraints that distinguish admissible views, as non-rigidity, receptivity, and coherence. The admissible views often became the point of critic on Gupta’s empiricism. There are typically two reasons for that, one is the admissible views require a priori judgement because it is distinguished before the experience, this is problematic for Gupta as an empiricist. The other is the admissible views does not exclude the views that cannot be stabilized as Gupta purposed. Solipsism is the typical view that Gupta says inadmissible. This is because solipsism does not change its fundamental conception of the self and the world after any kind of experience. However, Ram Neta, Karl Schafer and Selim Berker point out that there is solipsism that can pass the constraint of admissibility Gupta suggests, showing exemplar of non-rigid solipsism. This paper will bring up two kinds of criticism on Gupta’s evaluation that solipsism is rigid. One is rigidity is general traits not only of solipsism but of other views to a degree. The explanation of science evolution of Thomas Kuhn helped this idea. The scientists try to solve the problem in the paradigm even if anomalies are noted, not to decide to transfer the new paradigm. The other one is that solipsism can go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in its own way considering the extraordinariness of solipsism, may result in transfer to the non -solipsistic view. If a solipsist have unexpected experience, she may require a new conception of the world to explain the experience. To show solipsist can have aporetic state is enough to make solipsism admissible in Gupta’s empiricism. Gupta said being in the aporetic state is also a rational result of experience. If it is expanded, solipsism can be revised as the other views not so differently. This paper suggests Gupta should reconsider the revisability with a focus on solipsism. To do so, it may show the constraints of admissibility not be needed anymore. Gupta may take out of the rationalism elements and make his theory consolidate as empiricism. If it is not, I think this brings the purpose of Gupta’s empiricism to life at least. Gupta can embrace solipsism and expect the convergence as it truly purposed. 본 논문은 아닐 굽타(Anil Gupta)의 경험론에서 허용 불가능한 세계관 중 하나인 유아론이 사실은 그렇지 않음을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굽타의 경험론은 가정적 소여라는 개념을 통해 경험이 세계관에 따라 지각판단에 가정적인 합리적 당위성을 부여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가정적 소여를 통해 정당화된 지각판단은 세계관에 다시 영향을 주는데 이에 따라 세계관은 변화 없이 그 지각판단을 포함하거나, 그 지각판단에 따라 세계관을 수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수정과정이라고 하며, 이 수정과정을 여러 세계관이 거쳐서 하나의 세계관으로 모이는 것을 수렴이라고 한다. 이 수렴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계관이 안정화되어야 하는데, 안정화될 수 없는 세계관들은 허용 불가능한 것으로 구분하여 수정과정의 출발점에서 배제한다. 허용 가능한 세계관을 구분하는 조건은 세가지가 있는데 비경직성(nonrigid), 수용성(receptive), 정합성(coherent)이 그것이다. 그런데 허용 가능한 세계관은 굽타의 경험론에서 비판의 지점이 되고는 한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 이유에서인데, 하나는 허용 가능한 세계관을 경험 이전에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선험성을 요구한다는 점이 경험론으로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허용 가능한 세계관이 굽타가 애초에 목표한대로 안정적일 수 없는 세계관을 걸러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굽타가 대표적으로 허용 불가능하다고 하는 세계관이 유아론이다. 유아론은 어떠한 경험을 겪더라도 근본적인 세계와 자아에 대한 관념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람 네타(Ram Neta), 칼 샤퍼(Karl Schafer)와 셀림 버커(Selim Berker)가 비경직적인 유아론의 예시를 보여주면서 굽타의 허용 가능한 세계관의 조건을 통과하는 유아론이 있을 수 있음을 지적했다. 유아론이 경직적이라는 굽타의 평가에 대해서 본 논문은 두 가지 비판을 제기할 것이다. 하나는 경직성이 유아론이 아닌 다른 세계관들에서도 어느 정도 일반적이라는 것이다. 이 주장은 토마스 쿤(Thomas Kuhn)이 과학의 발전을 설명하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기존의 패러다임은 문제적인 이상현상이 나타나도 곧바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지 않고, 최대한 기존의 패러다임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유아론의 특이성을 고려하면 나름대로 수정과정을 거칠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유아론에서 유아론이 아닌 다른 세계관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아론자가 예상 밖의 경험을 하게 되면 이를 설명하고자 새로운 세계에 대한 관념을 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아론자에게 아포리아적 상태가 일어난다는 것 만을 밝혀도 굽타의 경험론 안에서 충분히 받아들여질 만하다. 굽타는 아포리아적 상태에 빠진 것도 경험이 합리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한다. 이를 확장하면 유아론도 다른 세계관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정과정을 거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굽타가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유아론을 중심으로 그 수정가능성에 대해서 재고할 것을 제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어쩌면 허용 가능한 세계관의 조건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줄 수도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굽타의 이론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굽타는 합리론적 요소를 포기하고 경험론으로서 자신의 이론을 더욱 더 공고히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아론을 받아들이면서 그 취지에 맞게 수렴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