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영혼"의 슬픔

        임수만 ( Soo Man L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1 No.-

        ‘슬픔’이 백석 시의 주조이자 그의 시세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 대해서 많은 논자들이 주목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그 슬픔의 의미와 가치를 새로이 규명해 보고자 백석 시에 나타난 ‘영혼’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그 결과 ‘영혼의 슬픔’은, 척박한 현실과 인간 존재의 한계 상황에 대한 영혼의 인식에서 비롯한다는 것, 반면, 이러한 일상의 삶과 자아의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데서 ‘영혼의 기쁨’이 발생하며, 이러한 벗어남을 가능케 하는 것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영혼에 대한 자각과 영혼의 교류를 통해서라는 것 등을 밝혀내었다. 본고는 또한 백석의 시에서 ‘몽상’이나 ‘기억’, 그리고 ‘감각’, ‘직관’과 ‘감동’ 등이 이와 같은 ‘영혼의 삶’을 살찌우고 ‘영혼의 교류’를 가능케 하는 주요 방법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위해 베르그손의 ‘기억’이론과 ‘열린사회’에 대한 논의 등을 참조해 보았다. 현실과 그 논리 아래 숨겨진 다양한 인간적 가치들을 몽상과 기억을 통해 환기해내고, 독특한 언어적 감각을 활용하여 언어 너머의 실재를 포착해 내려는 백석의 시도와 그의 작품들은 독자들에게 정서적 감동과 위안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국적으로는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any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sorrow’ that is the main stream and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Baek-suk`s poetry. This study tried focusing on the aspect of the ‘soul’ which exists in the poems of Baek-suk with a view to make a close inquiry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sorrow.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out that ‘the sorrow of the soul’ was originated from the recognition of the soul associating with a sterile world and a limit of human. On the other hand ‘the joy of the soul’ arises from the awakening of the soul which is transcendent of time and space and from the exchange of the soul which can get out of everyday life and an obsession with ego. In this paper I also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dream or memory, intuition and emotion in Baek-suk`s poetry play a major part which flatten the life of the soul and make the flow of the soul possible. I consulted the theory of memory and the explanation about ‘open society’ which Bergson had proposed. The attempt and works of Baek-suk who tried to catch the ‘real’ that is over the language and to awaken mankind`s various kinds of values hidden under the logic of actualities can give people the emotional movement and consolation. Then finally his poetry also can be an inspiration for the transition to a new society.

      • KCI등재

        청마 유치환의 ‘고독’과 ’生命’에의 熱愛

        임수만(Lim Soo-Man) 한국시학회 2008 한국시학연구 Vol.- No.22

        In this paper, I established the axis of coordinates by keywords like as 'society', 'solitude', 'nature', and 'life' in order to consider systematically of Yoo Chi Hwan's speculation on human and nature,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I scrutinized each concept's meaning and inner relation. First of all, as it were examined in items of 'society' and 'solitude', the attitude of masochism in Yoo Chi Hwan's poems is an indirect(ironic) expression of self accomplishment and an ardent wish for completion of an ideal community. The meanings of his 'writing poetry' and devoting himself to the 'nature' are quite clear when we study them by this method of negation. Secondly, the items of 'nature' and 'life' point to direction which Yoo Chi Hwan intended to reach. In his poem, the nature was described as a place of epiphany. In the nature, he found out some views which all of beings are enjoying each feeling of full existing. Such feeling of self-sufficiency is not isolated but in perfect harmony with each other like as 'the world of the Avatamska Sutra(華嚴). In conclusion, Yoo Chi Hwan made a ceaseless effort to overcome the frame of small 'self and reach at the 'a bigger self, All of those traces were put in his poems. We can feel a tention and heated atmosphere emitted from them. Therefore we call him a representative poet of life in Korea.

      • KCI등재

        김소월 시에 나타난 `슬픔`의 윤리와 미학

        임수만(Lim, Soo-man)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김소월 시의 특징으로 주목받아온 ‘슬픔’의 정조는사랑하는 대상의 ‘상실’과 이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에서 주로 기인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상실에 대한 태도로서의 ‘애도’와 ‘우울증’에 대한 이론들을 방법론으로 삼아 소월 시의 미학적 원리와 그 윤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 시작품 검토에 앞서 소월의 시론인 시혼 을 검토한 바, 여기에는 소월시의 창작적 원리라 할 수 있는 공간적 ‘거리’와 시간적 ‘부재’의 역설이 뚜렷이 드러나 있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거리’의 역설과 관련하여「산유화」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존재론적인 고독, 존재자들 사이의 거리, 유한자와 무한자 사이의 거리 등이 중첩됨으로써 슬픔의 정조가 심화되고 있으면서도, 바로 그 ‘거리’로 인해 합일에의 열망 또한 증폭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거리’를 좁히고자 하는 실존적 욕망과 ‘거리’로 인해 발생하는 미학적 효과가 서로 모순된 긴장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부재의 역설과 관련해서는 ,「초혼」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떠나보내지 못하는 ‘애도의 불가능성’은 데리다가 지적했듯 진정한 애도의 윤리로 해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괴로움 속에서야 비로소 사랑하는 이를 만날 수 있는 순간이 허락된다는 점에서 그것은 미학적인 황홀의 순간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여기서 나아가 소월시에 그려진 것이 실제의 상실일 수도 있지만 ‘소유’하기 힘든 대상을 ‘점유’하기 위한 ‘우울증의 전략’, 즉 그 잃어버린 대상이 환상적인 상실일 수도있다는 점에 대해서도지적해 보았다. 소월의 시는 누구나 피할 수 없는 분리와 상실의 아픔을 정면으로 다루면서 자신의 실존적 아픔과 미학적 전략 등을 모두 담아 독자들의 아픔을 위로하고 공감을 얻어낼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reatise inspected the aesthetic principle and the ethical meaning of Kim So-wol"s poetry with the theory of "mourning" and "melancholia". First of all, I examined So-wol"s essay on poetry closely,「시혼(詩魂)」(the soul of poetry), in which So-wol emphasizes the paradox of the spatial distance and temporal absence. Successively, I analyzed the poem「산유화(山有花)」(a flower in the mountain) in reference to the "distance". As a result, I made a conclusion that "sorrow" is deepened by the mixture of the ontological solitary, the distance between existenc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nite and the Infinite being. Ironically however, what I confirmed, due to the very "distance", the desire for the union is also amplified. Furthermore, I paid attention to the contradictory tension between the existential desire for narrowing the distance and the aesthetic effect rising from the distance. Next, I analyzed the poem「초혼(招魂)」(invocation of the spirits of the dead) in regard to the paradox of "absence".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which refers to the situation of not accepting one"s lover"s death and not letting him go could be interpreted as ethics of the sincere mourning as Derrida pointed out. Also it is the moment of aesthetic ecstasy in that the meeting with the lover is permitted. I also pointed out that not only the loss portrayed in the poems of So-wol could be the actual fact, but it could also be a fantastic one, which is the "strategy of melancholia" to occupy something that is hard to possess. Lastly, I made a conclusion that the So-wol"s poetry can console his readers and can get the sympathy and love of many people by dealing the pain of loss severely which is a universal problem.

      • KCI등재

        백석 시의 "아름다움"과 "숭고"

        임수만 ( Soo Man Lim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40 No.-

        본고에서는 백석 시의 다양한 시적 경향들과 그 미적 가치를 유기적으로 설명해 보기 위해 미학의 대표적인 두 가지 미적 범주인 `아름다움`과 `숭고`의 개념에 의탁해 보았다. `아름다움`과 `숭고`에 대한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는 칸트의 설명에 따르면, 주관과 객관, 이념과 형상 같은 대극들의 조화 균형에서 성립하는 `쾌`의 상태가 `아름다움`이다. `아름다움`으로 인해 촉발된 평정한 관조 속에서 느껴지는 만족은 직접적으로 생을 촉진하는 감정을 수반함으로써 존재의 완전성을 향한 동경과 열망을 환기시킨다. 이와 달리 `숭고`에는 모순과 분열, 그리고 갈등과 같은 `부정적 계기`가 작용하여 변증법적 전개를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 `숭고`는 비록 그것이 인간의 불완전성을 드러내어 불쾌의 감정을 유발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계기가 되어 우리의 마음 속에 있는 인간성의 이념이나 "우리들 자신의 사명에 대한 경외의 마음"을 환기함으로써 잠재되어 있던 초감성적 능력 (초자아, 보편적 인간 이성)과 만나게 함으로써 더욱 큰 만족을 줄 수 있다. 백석은 이와 같은 `아름다움`이 가진 힘을 명료하게 의식하고 있었고, 이를 내밀함의 상상력, 작고 부드러운 것들의 형상(작은 동물들, 친밀하고 정이 넘치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이 모여 이루어내는 생의 활기 등의 구체적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그는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와 동시에 그러한 한계를 넘어서는 인간의 보편적 가치들을 환기시킴으로써 불쾌를 쾌로 승화시키는 `숭고`의 면모 또한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백석의 시에서 아름다움과 숭고는 비록 그것이 발현되는 양상이 직접적인 쾌인가 아니면 간접적인 쾌인가 하는 차이는 있었지만, 유한한 인간 존재가 그 한계로부터 해방되어 생의 온전한 향유와 무한한 자유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된 커다란 미학적 가치를 발하고 있다. This treatise borrowed the two exemplary aesthetic categories like as `beauty` and `sublime` to explain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Baek-seok`s poetry.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of Kant, the state of a pleasant sensation which was formed from the harmony and balance of opposite poles like as subject and object, idea and figure, is `beauty`. The pleasure which was felt in the contemplation stirred by `beauty` promotes life directly and awakens the desire for wholeness of being. And in the `sublime`, `negative moments` like as conflict and split are operating the developement of dialectic. Although it provokes unpleasure which would reveal an incompleteness of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the sublime evokes the idea of universal human nature(reason) in our mind and it finally can give us more satisfaction. Baek-seok obviously had awared of the power which beauty has, and he formed it in concrete figures like as the imagination of intimacy, and in small and gentle being like as small animals and intimate persons. And he showed us the vitality of life through the mechanism which transforms unpleasure into pleasure, and through evoking the universal human values that beyond the limit of human being. Like this, the beauty and the sublime of Baek-seok`poetry present us the road which reaches into the infinite freedom and whole enjoyment of life in spite of the difference of method which was direct or indirect. So we can evaluate that his poetry has large aesthetic values.

      • KCI등재

        청마 문학의 "고독한 산책자" 이미지 연구

        임수만 ( Soo Man L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8 No.-

        본고는 청마 문학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고독한 산책자"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그의 문학 세계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위해 토도로프가 제시한 "고독"의 행동 논리에 대한 설명을 주요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청마 유치환의 문학에서는"문자언어"에 대한 선호, "상상"세계와 "자연"에의 경도 등 "제한된 의사소통"의 양식들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다 완전한 소통을 이루기 위해 시인이 선택한 이러한 간접적 방식들, 다시 말해 "대리보충의 논리"는 그 자신을 이방인으로 만드는 것이었고 나아가 타인을 탈인격화 시키는 문제를 함께 갖고 있는 것이었다.결국 다른 이들과의 진실하고 완전한 소통을 꿈꾸면서도, 그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시인이 선택한 방법, 그 둘 사이에는 좁히기 힘든 "거리"가 항상 존재했고, 이러한 갈등과 모순 속에 그의 삶과 문학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청마 유치환의 문학적 성취와 한계는 모두 이러한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tinct feature and meaning of Yoo Chi-Hwan`s literature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image of ``lonely flaneur`` which appears consistently in his works. For this study I used the logic of action of ``solitude`` which Tzvetan Todorov had proposed.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at the modes of ``restricted communication`` like as preferring the writing(ecriture) and dedicating to the world of ``imagination`` and ``nature`` was used considerably in Yoo Chi-Hwan`s literature. Bur these indirect methods, namely ``the logics of supplement`` which the poet had chosen to attain the perfect communication had the problems of both making him a stranger and others impersonal. There was always the ``distance`` which was har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goal that he had wanted to reach the truly and perfect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he had selected. His life and literature exist in this conflict and paradox. And the achievement and limit of Yoo Chi-Hwan`s literature is based on this ironical structure.

      • KCI등재

        윤동주 시의 실존적 양상

        임수만(Lim Soo-ma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이 글은 윤동주 시가 보여주고 있는 다양한 ‘실존’적 면모와 그 변화과정을 유기적으로 설명하고자 ‘절망’, ‘불안’ 등과 같은 키에르케고르의 주요 개념들을 방법론적 틀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윤동주의 ‘초기 관념시’나 ‘동시’들에 나타난 ‘무한한 자유와 생명의 호흡’에 대한 추구는, ‘상상’의 능력이나 필요성조차 몰각하고 ‘무정신성’을 강요하고 있던 30년대 세속적 현실과 대비해 보았을 때 그 의미가 뚜렷해지는 것이었고, 본고에서는 이를 ‘심미적 실존’으로 설명해 보았다. 하지만 새로 맞이하게 된 ‘불안’과 ‘자기 상실’ 앞에서, 시인은 삶과 문학에서의 방향전환을 해야 했는데, 그의 중기시에서 볼 수 있는 현실에 대한 관심, 타인들, 즉 민족의 현실과 인류의 운명에 대한 관심의 확대는 이렇듯 현실의 토대 위에 구체적으로 자기 자신을 정립하기 위한 시인의 선택이었고, ‘윤리적 실존’은 바로 그러한 모색 과정에서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개 속에서 시인이 발견한 것은 <슬픈 족속>, <아우의 인상화> 등에서 보이듯 비애감을 일으키는 것뿐이었고, 시인 자신 또한 내면화된 자기 응시 속에서 인간 실존에 내재하고 있는 ‘분열’과 ‘불안’에 부닥치게 되면서 더 이상의 詩作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자화상>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1년 여의 공백을 두고 새로이 전개되어 나간 1940년 12월 이후의 윤동주의 시에 대해서는 ‘후기시’로 범주화하였고 그것을 다시 두 가지로 구분지어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적’ 모티프를 차용한 시편들에 대해서는 키에르케고르가 말한 ‘유머’로 그 구체적 양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윤리적 실존과 종교적 실존 사이에 자리한 중간 단계로서, “삶의 한계와 인간의 타락 가능성을 숨김없이 드러내면서도 여전히 자아를 넘어서는 그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태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개념을 통해 이 시기 윤동주의 작품들이 ‘필연성’만 존재하는, 아무런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 ‘운명론적 절망’에 틈을 내어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여기에서 윤동주 초기시의 동시적 모티프들이 ‘유머’의 모습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끝으로, ‘자기’를 構築하고 ‘자신으로서 존재’하고자 하는 윤동주의 문학 활동 초기로부터의 실존적 욕구가 후기시에서 ‘존재에의 용기’(‘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용기’)라는 더욱 승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현실의 분열과 소외를 극복하고 자기 자신과의 만남, 타인들과의 진정한 만남, 절대적인 것과의 만남을 성취하고자 하는 시인의 희구는 그 문학적 변모과정을 관류하는 핵심적 동력이었다. This study aimes to explain the concrete aspects and course of transformation about Yoon Dong-Ju's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existentialism of Søren Kierkegaard. From the point of departure to the end of his literature, Yoon Dong-Ju(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poets) hopes to get over the estrangement which comes across reality and to meet himself indeed. His various literary aspects which were developed in anxiety and despair can be explained effectively and organ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existentialism. In the concrete, the first stage of Yoon Dong-Ju's poetry was made from an attempt that could make himself free from ‘the finitude which is losing the prospect of infinity’. These attempts were his struggling when we take notice of a realistic basis of 1930s which compels to a spiritual vacuum. I wanted to explain these ventures with Kierkegaard's concepts like as ‘aesthetic existence'. But his ‘aesthetic existence’ which goes for boundless freedom was bumped against ‘loss of self’. Therefore, a change of policy was needed to him. Yoon Dong-Ju extends his concern to other people's situation, namely reality of his nation and a fate of humankind. His ‘ethical existence’ was constructed in this process. It was his existential choice. However, in this course, he found out only a racial life full of sorrows. His poems like as 〈a sorrowful race(슬픈 족속)〉 and 〈a portrait of younger brother(아우의 인상화)〉 show this sentiment. On the other hand, Yoon Dong-Ju discovered disunion and anxiety which were inherent in human existence. I examined closely this anxiety through a poem titled 〈a self-portrait(자화상)〉. After over one year's blank space, he made a poem 〈the Beatitudes(팔복)〉 which shows his extreme despair. I tried to explain these poems which have religious motif and display his fatal despair. ‘Humor’ which is one of the Kierkegaard's concepts could explain not only despair but also a laugh in these poems. The laugh which had appeared in his poems of first period was come out once again, and it makes him free from the fatal despair. It was a courage of being against all of his anxiety and despair. After this trial, Yoon Dong-Ju could make his best poems like as 〈A Poem which was easily written(쉽게 씨워진 시)〉. This poem includes his wish for encountering himself indeed, and meeting reality and an absolute being. To overcome various estrangements around him was his wish from beginning to end of his literary career.

      • KCI등재

        서정주 문학과 ‘신화적 사고’

        임수만(Lim, Soo-man) 한국현대문학회 201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미당 서정주 문학에 나타난 ‘신화적 사고’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E. 카시러가 수행한 ‘신화적인 것의 내적 형식에 대한 통찰’을 참조하였다. 신화적 사고 구조는 그의 문학 세계 전반에 일관된 것이었지만, 특히 그 자신의 삶과 문학이 위기에 처했을 때 매번 그것을 돌파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 중 두 시기, 즉 1) 일제 말기의 위기와 2) 전후의 위기에 주목하였다. 이 두 절망적 상황에서 시인은 신화적 사고에서의 ‘근원적 동일화’의 원리, 즉 부분과 전체, 공동체와 개체의 관계를 상상하며 자기 존재를 추스르고 삶의 길을 새롭게 찾아나가고 있었다. 하지만 1)의 경우에는 조상들의 ‘한스러운 소리’나 ‘궁여지책의 빛’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반면 2)의 경우에는 자연과 생명에서 발견한 밝고 환한 빛이 주로 나타난다는 차이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전자와 후자를 레비나스가 구분한 ‘신성함’과 ‘성스러움’의 개념을 빌어와 구분해 보았다. 즉 전자의 경우는 폭력적 현실의 ‘정치적 신화’(‘신성함’)와의 관계 속에서 생존을 모색하는‘以存策’의 양상으로, 후자에 대해서는 자연의 ‘성스러움’과의 만남으로 가능케된 ‘삶’의 긍정으로 해석해 보았다. ‘신화적 사고’는 한편으로는 미당의 명편들을 산출한 구조이기도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역사적 과오를 빚어낸 사유구조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러한 양면적 차원의 동근원적 기원을 반성적으로 살펴볼 때, 미당 서정주 그가 걸어온 영욕의 길은 우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비춰 보여주는 소중한 거울의 하나로 새로이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다. I examined the ‘mythical thought’ in the life and literature of Seo Jeong-joo in this treatise. For more systematic investigation on the aspect of myth, I refered to the theory of myth which E. Cassirer had accomplished. Cassirer illuminated the mechanism of myth in the foundation of various culture of human.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myth of nation’ such as Fascism or Nazism. This theory of myth allows me to investigate the achievement and limit of the literature of Seo Jeong-joo in the consolidated viewpoint. The directivity for life, the aspect of self-positive, and the clarification of identity of poet discovered in the first stage of Seo Jeong-joo"s poetry are based on the structure of mythical and symbolic meaning. The structure of this mythical thought consistent in his literature is operating especially in the period when his life and literature were in crisis. I paid attention to the two periods, that are 1) the crisis at the last period of the Japanese Empire and 2) the crisis at the time of war. In these two desperate situations, he could manage himself and look for the way of his life by imagining the relation between self and community, the part and the whole that is the principle of ‘the fundamental identification’ in the mythical thought. There was, however, a distinction between 1) and 2). That is to say, in the case of 1), the tragic "sound" of ancestors or "the light of distressed" appeared. Whereas in the case of 2), the cheerful and bright light principally appeared which the poet had discovered in the nature and life. I analyzed the former as the aspect of ‘sacredness(sacré)’ in which the survival is the main issue. In the latter case, I shed light on my attention to his encounter with ‘sanctity(sainteté)’ of the nature. Like this, ‘the mythical thought’ is the structure which generated this poet"s masterpieces, and simultaneously it also producted his several historical mistakes. The life and literature of Seo Jeong-joo should be established newly as the mirror reflecting our past and present.

      • KCI등재

        신동엽 문학에 나타난 ‘求道’와 ‘혁명’의 양상

        임수만 ( Lim Soo-ma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5

        본고는 신동엽의 시와 산문 전체를 살피고 그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테마로 ‘구도’와 ‘혁명’에 주목해 보았다. 그는 창작활동 초기부터 인간존재의 실존적 문제와 사회 변혁에 관심을 보였고 그 두 가지, 즉 인간에 대한 탐구와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꿈은 그의 문필 활동 끝까지 지속된 중심적 문제였다. 위와 같은 신동엽 시인의 탐색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해 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동학사상의 몇 가지 개념들을 활용하였다. 즉 시천주, 인내천 등 동학의 근본 사상과 그와 관련된 개벽 사상은 신동엽 시에 나타난 인간애의 면모와 구도적인 삶과 문학의 자세, 그리고 우리 사회와 역사의 혁명에 대한 그의 꿈과 실천의 과정 등을 포괄적이고 유기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었다. This paper looked at Shin Dong-yeop(申東曄)'s poems and prose as a whole and paid attention to the 'seek the truth' and 'revolution' as themes that can be said to be the core. From the beginning of his creative activities, he showed interest in the existential problems of human existence and social transformation. Those two, the dream of exploring humans and building an ideal society, were central problems that persisted until the end of his writing activities. In order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search process of poet Shin Dong-yeop, several concepts of Donghak(東學) thought were used in this paper. The fundamental ideas such as Sichunju(侍天主) and Innaecheon(人乃天) and related revolution ideas were to help comprehensively and organically understand the aspect of the process of his dreams and practices for the revolution of our society.

      • KCI등재

        육당 최남선론

        임수만(Lim Soo-Man) 국어국문학회 2006 국어국문학 Vol.- No.142

        In this article, I have searched Choi Nam Son’s consciousness of enlightenment. I wanted to show the fact that his intense aspirations which to realize his ideology have organic constructed all of his productions, recognitions and knowledges. It is an intense aspirations toward power which could change the situation of colony. Even though his transfiguration, I payed attention to his coherent inner logic. Choi’s illuminism were spread out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ppeared like as critical recognition of situation and, in the same breath, arousing volition and courage. The second,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ultivation of one's mind and discipline. The third, it makes an appearance of sacrifice, ideation, and religious belief. The first of the May in 1919, he has experienced the union of korean race and the power of the hope. Since then, he devote himself to study of history fo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t is a modification of line from ‘enlightenment’ to ‘nation’. But his consciousness made acute angles through undergoing many event(confliction with socialist, corruption of a Buddhist, and discouragement from peoples), and it makes him become isolated from social, finally arrived in ideation. These a chain of events, from a point of view of Hegel, is a development from ‘stoicism’ to ‘skepticism’. Finally, he arrived the stage of faith, namely, ‘consciousness of misery’. He constantly worked hard to find the unification of character, vitalism of social and universe. But in the long run, he could’nt fined it anywhere in this earth. For his relief, he turned to Cathol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