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 기반 조리 조건을 달리한 표고버섯의 산화방지 및 영양특성 연구

        임소,천용기,양소정,한정아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1

        The textur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as well as the changes in functional constituents of shiitake mushrooms cooked by three different methods (boiling, steaming, and frying) were analyzed. The hardness of the mushroom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the end time of cooking for each method. The antioxidant propertie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uncooked shiitake), and these properties were adversely affected after cooking, especially by boiling. Both the riboflavin and eritadenine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control, but decreased upon cooking, in the following order: frying > steaming > boiling. The ergocalciferol content after frying was less than that in other samples. Although uncooked shiitake mushroom showed a higher concentration of functional constituents, it needs to be cooked adequately owing to its tough texture. If the hardness of the mushrooms cooked by different methods is the same, frying is considered the most acceptable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마꾸나이마』(Macunaima)에 나타난 신화적 사유와 전복적 기제

        임소라 ( So Ra Lim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3 No.-

        Neste artigo, analisa-se a narrativa mitica em Macunaima, a obra mais conhecida de Mario de Andrade, que e considerado um dos grandes romances Modernistas do Brasil. No romance, utilizam-se elementos extraidos de aspectos folcloricos brasileiros. Trata-se, principalmente, de lendas, mitos e proverbios da cultura brasileira, reunidos em torno do personagem central, Macunaima, o heroi sem nenhum carater, que simboliza, em si, o povo brasileiro, por ser um indio negro que fica branco posteriormente. A narrativa e indubitavelmente baseada na estrutura mitica: Macunaima ganha de sua mulher, um amuleto, que se chama muiraquita, que ele acaba perdendo. Esse amuleto se descobre nas maos de Venceslau Pietro Pietra, mascate peruano que mora em Sao Paulo e que e Piaima, o gigante comedor de gente. Acompanhado de seus irmaos, Macunaima parte para Sao Paulo para recuperar seu amuleto. Depois de inumeras peripecias, consegue sua pedra e volta para o Amazonas. Mas logo ele a perde novamente e resolve subir ao ceu, transformando-se na constelacao da Ursa Maior. Com efeito, a narrativa de Mario de Andrade assemelha-se ao trabalho do bricolage, de Claude Levi-Strauss, que caracteriza o pensamento mitico atraves de reconstituicoes de elementos fragmentarios ja existentes. Considerada como amalgama, a narrativa andradiana mistura temporalidades e espacialidades, mostrando tambem uma hibridade personalistica, ja que Macunaima e um personagem ambivalente, o trickster, que vive no entre-lugar das fronteiras entre dois mundos culturais: a civilizacao europeia e o primitivismo nativo. Sendo assim, Mario de Andrade descreve o personagem como um heroi sem nenhum carater, visando representar a hibridade cultural brasileira. Foi nesse contexto que Mario de Andrade recriou a narrativa mitica, pois esta nao precisava convencer para que as pessoas aceitassem uma ordem estabelecida. Aqui o mito serve de um espaco de confronto entre dois sistemas culturais que mesclam entre si atraves do qual Mario de Andrade acaba nos sugerindo um novo metodo de interpretacao cultural brasileira.

      • KCI등재
      • KCI등재

        특허문서 필드의 기능적 특성을 활용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

        임소라 ( Sora Lim ),권용진 ( Yongjin Kwo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최근 지식과 정보가 가치를 생산하는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지식재산권의 대표적인 형태인 특허에 대한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출원되는 특허의 양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방대한 양의 특허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특허문서를 그 발명의 기술적 주제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람의 손으로 이뤄지는 특허문서의 IPC 분류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마이닝과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IPC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IPC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특허문서의 구조적 특징과 같은 특허문서 고유의 데이터 특성에 대한 고려보다는 다양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특허문서로 적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C 자동분류를 위해 특허문서의 특징과 구조적 필드의 역할을 기반으로 특허문서 분류에 영향을 끼치는 두 가지 필드,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필드의 활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특허문서가 동시에 다수의 IPC 분류코드를 가지는 점을 반영하여 다중 레이블 분류(multi-label classification) 모델을 구축한다. 또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의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630개의 범주를 가지는 IPC 서브클래스 레벨까지 분류 가능한 수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등록된 564,793건의 특허문서를 대상으로 특허문서의 구조적 필드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제목, 요약, 청구항,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필드를 활용한 실험에서 87.2%의 싱글매치 정확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기술분야 및 배경기술 두 필드가 IPC 서브클래스 레벨까지의 다중 레이블 분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ently, with the advent of knowledge based societ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make values, pat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form of intellectual property have become important, and the number of the patents follows growing trends. Thus, it needs to classify the patents depending on the technological topic of the invention appropriately in order to use a vast amount of the patent information effectively.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s widely used for this situation. Researches about IPC automatic classific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current IPC classification task which categorizes patent documents by han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applying various existing machine learning methods to the patent documents rather than consid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or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wo structural field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considered as having impacts on the patent classification, where the two field are selected by apply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ent documents and the role of the structural fields. We also construct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to reflect what a patent document could have multiple IPCs. Furthermore,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patent documents at the IPC subclass level comprised of 630 categories so that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into the real field. The effect of structural fields of patent documents are examined using 564,793 registered patents in Korea, and 87.2% precision is obtained in the case of using title, abstract, claim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From this sequence, we verify that the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recision of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in IPC subclass level.

      • KCI등재

        현지화 시각에 따른 봉준호 영화의 영상 공간 연구

        임소,김진수,이상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봉준호 감독의 가장 뛰어난 역량은 할리우드 모델과 한국 문화를 접목한 것이며, 즉 할리우드 모델과 한국의 환경 그리고 사회 문제를 적절히 결합하여 영화에 새로운 활력과 문화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그 의 작품은 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뛰어난 서스펜스 플롯, 정교한 영상 공간 배치, 그리고 신비한 상상 력뿐만 아니라 상업성과 예술성을 완벽하게 표현하여 국제 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상을 받았다. 또한 영 상 공간은 영상 서사의 중요 요소로써 인물이 연기하는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일정한 이미지를 지닌” 잠재적 대사로서 역할을 한다. 봉준호 영화의 영상 공간은 지역, 민족, 역사, 문화가 적절히 융합되어 있 으며, 다큐멘터리의 지리적 모습, 냉담한 도시 공간, 억압되고 폐쇄적인 공간은 한국의 환경을 적절히 드 러낼 뿐만 아니라 도시 발전 과정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역사 사건과 역사의 추억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자연 광선의 진실한 표현, 냉난 색채의 교차 사용, 빈곤층의 복잡함과 부유층의 단순함, 그리고 동양 문 화 의미가 담긴 구도 설정, 동양 전통문화에 적합하고 다큐멘터리 미학을 추구하는 롱 테이크는 영화 공 간의 선명한 한국적 모습과 풍부한 시각 느낌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사회 신분 계층과 계급적 대립을 생 동적이고 입체적으로 표현한다. 봉준호 감독의 독특한 운치가 담겨 있는 영상 공간이 영상 서사 내용의 전개를 주도한다. 본 연구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 작품에 대한 감상과 정리를 통해 한국적 특색을 강조하 는 현지화(現地化) 시각에 따라 대표 작품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며, 텍스트 분석법 등을 통해 봉 준호 영화의 환경, 화면, 인물 등 영상 공간 요소를 분석 및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향후 중국과 한국 영화의 현지화 창작을 위한 참고적 경험을 제공하고, 글로벌 환경에 따른 영화의 현지화 발전을 촉 진하여 세계 영화에서 자기 민족의 독특한 영상 공간 언어 구축에 일정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Director Bong Joon-Ho is most acclaimed for his excellence in seamlessly integrating the Hollywood style and the South Korean culture. By combining the backdrop and social issues of South Korea, the director gives new vitality and cultural connotations to the Hollywood style. As an important element of film narrative, image space serves as no longer just a setting for character performance, but has become a subtext for “image building”. The basic form and style of image space are of enormous importance for better revealing personal characters and unfolding the storyline. Regional, national and historical cultures are well incorporated into the image space of Bong Joon-Ho's films. The documentary geographic features, the indifferent urban space, and the depressing enclosed space contribute to the vivid description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events and historical memories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the realistic portrayal of natural light, the alternate use of warm and cold colors, “the poorer, the more cluttered, and the richer, the more simplistic” settings carrying the connotation of Oriental culture, and the full-length shots in line with oriental traditional culture and in pursuit of documentary aesthetics enable the localized pictures of the film space to deliver a clear and rich visual experience and make a vivid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of the social hierarchy and the collisions in it; the woeful and helpless mothers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weak with mental illness in the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 public officials who knowingly violate the law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 represent various types of localized characters and reflect the living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people at the bottom of the social pyramid. Bong Joon-Ho's unique image space design serve as a guide to the narrative content of his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