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2 : 개화기 및 현대국어 형성기 국어의 고찰 ; 국한문체의 형성과 번역 -근대 초기 문자의 교체와 식민지-

        임상석 ( Sang Seok Lim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이 글은 근대 초기의 문헌자료들과 조선총독부 조선어급한문 교과 등을 대상으로 국한문체의 다양한 전개 양상과 번역의 관계를 개관해 보았다. 근대계몽기의 국한문체는 지금의 시선으로 가늠하기 어려운 희생을 감수하고 형성된 것이다. 조선사회의 신분적 지표이자 보편적 문화정체성으로 체질화 된 고전어한문의 세계를 국문이라는 절대적 범주 밖으로 밀어내는 일은 공사의 차원에서 지난한 과제이며 단기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성격이었다. 결국 당대의 국한문체는 과도기적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더욱, 고전어 한문의 문화적 질서를 밀어내기 위해 수용된 번역은 여전히 전근대적 내포를 가진 동문(同文)의 권역 안에서 이루어졌기에 한자와 한문은 다시 호출될 수밖에 없었다. 국문은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규범화가 필수적이나, 당대의 다양한 문체에서 이와 같은 합의를 찾기는 힘들다. 유길준, 신채호, 장지연, 최남선 등의 다양한 작가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근대 초기 국한문체와 번역의 과도기적 합의를 탐색하였다. 근대초기 문체와 번역의 우선적 극복대상은 문화권력이 되어버린 고전어 한문, 그리고 이에 근거한 신분질서였다. 이 선결의 과제를 위해 국문의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규범화는 장래의 과제로 미루어진 셈이다. Through researching diverse texts and Joseon Government General`s readers for Joseoneo and Classical Chinese, I review Gukhanmaun style`s various transition in the replacement of ecriture and translations. In contemporary Korean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mount of sacrifice to build Gukhanmun style in modern enlightenment era. To marginalize the world of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which is the basement and the indicator of Joseon`s social hierarchy beyond the ultimate task in modern enlightenment era, national language is agonizing and long term purpose. In transitional process of replacing classical Chinese to official Korean ecriture, early modern Korean ecriture is hybrid and heterogeneous. Moreover, since translation, the most valid referential resource for ecriture`s replacement, is mainly accomplished in the circle of Dong-mun(同文), classical Chinese, the very object to overcome, is summoned again. To perform as national language, Korean must have had institutional and normative language planning but, with heterogeneous ecriture in early modern era, it is difficult to find a certain linguistic consent. Through review various writers such as Yu Giljun, Sin Chaeho, Jang Jiyeon and Choe Namseon, I suggest the Gukhanmun style`s transitional linguistic consent. In the diverse seeking of ecriture and translation, the primary task is the marginalization of Joseon`s social and cultural hierarchy based on classical Chinese ecriture as the cultural power. To achieve it, linguistic normalization of Korean is postponed as the project of future.

      • KCI등재

        이광수(李光洙)가 이보경(李寶鏡)이나 ‘외배’이던 시절 - 한국어(韓國語) 글쓰기의 한 기원에 대하여-

        임상석(林相錫) ( Lim Sang-se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3

        이 글은 이광수의 1908년부터 1910년대에 이르는 글들-이보경(李寶鏡)이나 외배의 이름으로 게재했던 문장들을 중심으로 한국 소설 및 한국어 글쓰기의 한 기원이 형성된 과정을 再構하려 했다. 10대 후반의 이광수는 한문전통을 수사법의 일부로 포함한 계몽기 국한문체를 연마하였으며 이 결과는 <태극학보>, <대한흥학보> 등의 일본유학생 잡지에 수록되었다. 이보경의 이름으로 게재된 이 국한문체 논설들은 계몽기 국한문체의 대표적 작가인 신채호의 그것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그의 多重的 작문 수련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최남선의 新文館 창립으로 인해 한문전통에서 더 자유로운<少年>과 <靑春> 등의 지면이 제공되었으며, 이광수는 여기서 비로소 국문 위주로 자기 내면과 일상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새로운 한국어 글쓰기를 선보이게 된다. 그리고 <소년>과 <청춘>의 작품들이 한국 문학사의 기념비 『無情』으로 종합되었다. 그리고 『무정』의 성과가 「民族改造論」이라는 대안의 부재로 이어진 과정을 애국주의자를 자처한 이광수가 한국의 대표적 고전인 「許生傳」을 재창작한 양상을 통해 논해 보았다. This paper is the review of transitional Korean Writing from 1908 to 1910s, focusing on Yi Kwang-su’s works, published under Yi Bo-kyeong or the pen name, a Sole Boat. From his late teens, as a result of practicing Korean-Chinese writing skills including Classical Chinese rhetorics, he can publish some articles in journals of Korean abroad students association in Japan such as Taegeukhakbo and Daehanheunghakbo, that have editing directions limited by Classical Chinese tradition. In these articles under his real name, Yi Bo-kyeong, he demonstrates rhetorics similar to Sin Chae-ho,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Korean-Chinese mixed scripts in Enlightenment era. With the inauguration of Choe Nam-seon’s Sinmungwan, the media, liberated from Classical-Chinese rhetorics, such as Sonyeon and Cheongchun are provided to Yi and he can exhibit new Korean writing showing vivid inner-self and trivial every day lives. His practice of new Korean writing in Sonyeon and Cheongchun is synthesized in Mujeong, the milestone of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 outcome of Mujeong instantly transforms into Minjokgaejoron’s absence of alternatives and this paper attempts to offer the clue to this transformation through the review of re-writing Heosaengjeon, the significant Korean classic, which Yi should treasure as the self-proclaimed patriot.

      • KCI등재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 : 『을지문덕』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신채호가 대한제국기에 발표한 『을지문덕』, 「이순신」, 「최도통」 3편 영웅서사는 국한문판 원본과 이를 역술한 국문판의 이중판본이 존재한다.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사들에 비해 심도 있는 역술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당대의 분화된 언어 계층의 실상을 보여주는 대표성 있는 자료이며, 『신보』 이중판본의 확장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신채호의 영웅서사 3편이 보여주는 역술 과정은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의 국역-고전번역 작업의 직접적 연원을 보여준다. 국어사 분야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대상이며, 문학사 분야에서는 문체의 역사를 가늠할 자료이다. 국문판은 대한동포 모두가 영웅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원본의 대의는 그대로 전달했으나 한국학의 탐구라는 주요한 주제와 행간의 문제의식들은 생략된 경우가 많다. 국한문판과 국문판의 대조를 통해 한문을 경계로 한 대한제국기 언어 계층의 간극이 제시된다. 역술의 경험을 토대로 신채호는 국한문판의 주제의식을 국문판의 문체로도 전달할 수 있는 문체 통합을 추구하여 대한제국기 이후의 다양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언어 계층의 통합과 소통이 가능한 국문에 대한 모색을 국한문과 국문의 다중적 글쓰기로 실천한 것이다. Sin Chaeho’s three heroic narratives, Euljimundeok, I Sunsin and Choi Dotong are published dual editions, original Korean-Chinese editions and pure Korean editions. Also they are extension of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but translation processes of them are enhanced than other articles of same media. Thus they are representative references proposing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Korean Empire era and providing the clue for extended research on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policy. The edited translation of them can be the origin of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ational translation, in other words Korean Classic Transl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is the references for representing the transition of Korean Semantics and the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Korean styl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th editions can deliver the main theme that all Koreans shall have the task of being hero but in pure Korean edition, the other profound issue, the inquiry for Korean studies is reduc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ual editions represents the clear cleavage among language hierarchies based upon Classical-Chinese in Korean Empire era. On the experiences of edited translation in this era, Sin Chaeho can pursuit the unification of language hierarchies and achieve diverse fruits about history, literature and political movements. His seeking of national language is progressed by multilateral writing practice.

      • KCI등재

        통감부(統監府)가 파악한 한국의 계몽과 교육: 표손일(俵孫一)의 “한국교육(韓國敎育)” 훈시(訓示)와 당대 잡지의 관련 기사

        임상석(林相錫) ( Lim¸ Sang-se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1909년에서 1910년 초에 걸쳐 간행된 통감부 학부 차관 다와라 마고이치의 훈시, 『韓國敎育』, 『韓國敎育ノ旣往及將來』, 『韓國敎育ノ現狀』은 계몽운동과 의병투쟁에 대응하기 위한 일제 교육 정책의 전술과 태도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일본인 교육 관료와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나 1920년대에는 보통학교의 한국인 교원들에게까지 축약본이 보급되었다. 다와라는 한국의 교육과 문화전통을 무가치한 것으로 취급하나 한일(韓日)이 공유한 오륜과 오상의 봉건적 전통은 덕육(德育)의 가치로 강조한다. 반면 “신교육”이라 불리는 통감부의 제도권 교육은 조선의 기존 교육에 상대되는 것이라는 점만 강조할 뿐, 명확한 함의와 범위가 제시되지 않는다. 다와라의 훈시들은 당대 학교들의 연합운동회를 문명부강을 위한 실용교육에 무관한 것으로 극력 비판하는데, 특히 군대식 행진과 훈련 등을 주목하였다. 필자는 다와라가 지적한 행진과 훈련 등이 계몽운동을 고취하는 연설과 공연과 결합되어 일반인들의 큰 호응을 불러온 잡지 기사들을 제시했다. 계몽과 국문의 이념으로 고조된 개혁과 평등의 열기를 억누르는 다와라의 신교육이 강조하는 것은 일본어가 가진 장래의 실용성일 따름이다. 이 훈시들은 한일신협약 이후의 통감부 체제가 무단통치 식민정책을 예비한 것을 보여준다. Three instructions by the Residency General vice-minister Dawara Magoichi, Korean Education(1909), the Past and Future of Korean Education(1909) and the Condition of Korean Education(1910) are texts representing Japanese imperial tactics and attitudes against Enlightenment movement and Righteous Army. They are originally for Japanese educational bureaucrats and faculties but summary of them are provided to Korean faculties of primary school. Dawara regards Korean education and culture tradition as valueless for contemporary educations though Confucian idea such as Five Relations are emphasized as the basis of moral training. On the contrary, New Education, the slogan of Japanese education has not positive definition and range in his instructions. It is just relatively defined against pre-exist Korean Education. Discrimination toward contemporary Korea as colony or a protectorate is prolonged to historical Korean education and cultures. He severly criticizes jointed sports day of Korean schools composed by military fashioned parade and excercise as an unpractical event irrelevant to welfare and civilization of Korea. I represent large scale rally by schools at that time, showing parades, speeches and performances about enlightenment and education, brought great response from ordinary people. As Residency General bureaucrat, the direct threat is that sports days can be potentially related to the Righteous Army. At the same time, the increasing fever of enlightenment movement is also seditious for him. The ideal of enlightenment and national language is only oppressed by his New Education which has sole alternative for future, Japanese linguistic education for Japanese ruling system. His instructions demonstrate the policy of Residency General, after Japan-Korea Treaty of 1907, is the preparational process for 1910s Japanese Military Rul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총독부 중등용 조선어급한문 독본 한문부(漢文部)의 변천 과정 -한국 한문 전적의 수용과 편찬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중등학교에서 사용했던 조선총독부 발행 조선어급한문 독본들은 조선어와 한문의 언어적 능력을 가르칠 뿐 아니라, 조선의 문화와 전통에 대해 서술한 거의 유일한 총독부의 교재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또한 이 독본들은 여러 차례 개정되어 일제 식민지 정책의 변천에 따라 조정된 조선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정책적 인식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그 가운데 세 가지 개정판 즉, 1)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13, 이하 고등독본), 2)신편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1924, 이하 신편독본), 3)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 (1932, 이하 중등독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 한문 전적들의 수용과 편찬의 성격을 조명해 보는 것이 이 글의 논제이다. 고등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짤막한 교훈담 위주로 편성되어 경사자집과 일본 전적의 보조적 역할에 그쳤기에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파악하기 힘들다. 신편독본에서 한국 전적은 오히려 일본 전적보다 비중이 커지고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편성된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다소간 파악할 수 있으나, 한문 학습의 본령은 경사자집에 배치된 형태였다. 중등독본에서 일본 전적은 보조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경사자집과 한국 전적은 분량과 한문 학습의 심도에서 동등한 위상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독본의 편찬 과정에서 검열과 유사한 수정이 한국 한문 전적들에게 더해진 과정도 제시했다. Besides its instructive task, the learning of Korean and Literary Sinitic, Government General Korea’s(hereafter, GGK)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 are almost sole textbook for apprehending Korean culture tradition in GGK’s colonial education. Also, they are the indicator to grasp the transitional phases in GGK’s policy through their editorial transformations. In this paper, I debate the compiling process and its orientation modification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in GGK’s readers with three representative editions: 1)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13, hereafter GGK1913); 2)New Edition of Advanced 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1924, hereafter GGK1924); 3)Korean and Literary Sinitic Readers for Middle Schools(1932, hereafter GGK1932). At first, GGK1913 adopted Korean documents are mainly simple didactic anecdotes without considering Korean culture tradition. From GGK1924, Korean documents are enhanced and have major position than that of Japanese Sinitic documents with limited apprehension for Korean history but main instructive role is assigned to Sinitic Classics(經史子集). Finally in GGK1932, Korean documents have equal position with Sinitic Classics in its curriculum stages. In addition, I represent the concealed censorship process in GGK reader’s the revising aspects of Korean literary Sinitic documents.

      • KCI등재

        일반논문 : 국학의 형성과 고전 질서의 해체: 『시문독본』의 번역문을 중심으로

        임상석 ( Sang Seok Lim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59

        Korean Studies and Korean translation represented in Choe NamSeon`s Simundokbon(A Reader for Current Writing) are still influential references in current Korea. Through the deconstuction of pre-modern Chinese classics` order, it proposes the root of modern Korean Studies based upon Korean classics. Moreover, its style is very innovative since its written style mainly complies Korean syntax and composed of more Korean words far different from other Korean academic publications in 1910s,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classical Chinese styles. Therefore, it initiates Korean Studies based upon own historical texts and written in modern Korean language. Significantly, such characteristics revealed through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its translation and its original scripts.

      • KCI등재

        근대 지식과 전통 가치의 공존, 가정학의 번역과 야담의 번안 및 개작

        임상석(Lim, Sang-Seo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이 글은 현재까지 학계에 소개되지 못한 『가뎡잡지』2년차 발행분을 발굴하여, 1호에서 7호까지의 전반적인 상을 제시했다. 이 잡지의 전반적 편집 방향은 근대 지식과 전통 가치의 공존이라 할 수 있다. 4호 이후부터 편집인 신채호보다 총무 변일(卞一)의 영향이 강화되면서 전통 가치와 관계된 기사가 강화된 현상도 밝혔다. 가정학, 국어학 등 분과학문의 체계적 전달과 함께 전통적 야담이 번안내지 개작되어 같이 실리면서 근대 지식, 이념과 봉건적 가치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가뎡잡지』는 근대국가의 장에 본의 아니게 끼어든 한국에서 벌어진 가치의 충돌을 생생하게 중계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근대적 가정학의 번역과 전통야담의 개작이 큰 역할을 수행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여성교육을 강조하면서도 남녀유별을 지켜야 하는 훈령을 게재하고, 같은 지면에서 개가와 수절이라는 상충하는 두 가지를 동시에 현창하는 등 대한제국이라는 과도기를 현장감 있게 보여주는 자료이다. 그리고 『단재신채호전집』에 수록되지 못한 신채호의 기사를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I discover the missing issues of Home Journal’s 2nd year’s publication and represent its overall aspects. Its editorial direction can be defined as the comprise of modern learning and traditional moral. Also I argue that its eclecticism is strengthen due to the widening influence of Byeon Il, its manager, over its editor, Sin Chae-Ho after the 4th issue. Along with the systemic delivery of modern sciences such as home economics and Korean linguistics, the adaptation of traditional yadam(野談) is appeared in series so, modern learning and feudal moral are combined in it. For the coexistence of modern learning and traditional morals in Home Journal, the adaptation of Japanese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traditional yadam. Therefore, it lively transmit the transitional period of Daehan Empire, being the member of modern world against own will. For example, the official instruction, publicizing the practice of women education have to preserve the traditional moral, the distinction between sexes.

      • KCI등재

        정지용 후기 시의 시적 상황-「호랑나비」ㆍ「예장」ㆍ「곡마단」등을 중심으로-

        임상석(Lim. Sang-seok) 우리문학회 2002 우리文學硏究 Vol.15 No.-

        In this essay, I suggest poetical aspect, which is rather experimental, as a useful category ior constructing the history of modem Korean poetry. Since, up to now,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y have been limited to partial ways such as rhyme, imagery and poetic theory and on some sides those ways are lack in constructing integrated history, Therefore, I think that poetical aspect, which is the combination of partiaJ poetical categories suel, as rhyme, imagery, the mood and tone, has some strong point to construct the integrated and composite history of poetry. Chong's late poelries, a Swallowtail, the Formal Dress, the Circus, showed new poetical aspect, the alienation in modern city which was easily founded in Korean novds and short stories of same age but it was seldom founded in Korean poetries in that era. Certainly Chong's alienation was not so deepen as that of Kim Soo Young in 1950s but it this some kind of seeds. A]lhough, then' have been no evidence for Chong's direct or indirect influelwe on Kim but in my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oelries can be interpreted as historical progression of poetical aspects.<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