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동몽선습(童蒙先習)』과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박영태 ( Young Tae Park ),하수연 ( Soo Yeun Ha ),임경순 ( Goung So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아동 교육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박세무의 『童蒙先習』과 현행 제7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추구하는 인간상, 교육영역, 교육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童蒙先習』과 『유치원 교육과정』은 인간의 존엄성을 기반으로 한 인간관계를 강조하고 있으나 『童蒙先習』은 고유한 한 개인으로서의 존엄성 보다는 다른 사람과 더불어 있을 때의 한 인간으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중시하고 있고,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개인의 존엄성을 바탕으로 더불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둘째, 『童蒙先習』과 『유치원 교육과정』은 교육의 영역을 각기 그 시대에서 요구하는 일상생활 속에서 실제로 경험하는 생활 장면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童蒙先習』은 오륜을 그 교육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은 건강 생활, 사회 생활, 표현 생활, 언어 생활, 탐구 생활을 교육영역으로 하고 있다. 『童蒙先習』의 교육영역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영역 중 특히 사회 생활 영역과 관련되고 있다. 셋째, 『童蒙先習』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은 사회 생활영역을 제외하고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많으나, 『童蒙先習』에서 제시하는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에 내포된 親·義·別·序·信의 교육적 의미는 오늘날 유치원 교육과정의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방법적 측면에서 오늘날 『유치원 교육과정』은 교사의 언어적 설명이나 지시보다는 따뜻한 격려와 직접적인 문제제기, 문제해결을 위한 유도, 확산적 질문 등을 사용하나 『童蒙先習』의 방법은 체험적 활동 이전에 성인의 언어적 설명이나 지시가 선행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ong-Mong-Seon-Seub』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by ideal human image, educational areas,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Dong-Mong-Seon-Seub』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uman decency. 『Dong-Mong-Seon-Seub』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 but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 decency and community spirit equally. Second, Both 『Dong-Mong-Seon-Seub』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include the fields which that society needs for children`s development. 『Dong-Mong-Seon-Seub』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cludes mainly morality of the five human relationships, but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includes five fields needed for children`s adaptation. Third,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 the loyalty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s, th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ife, the precedence between old and young, and the confidence among friends included in 『Dong-Mong-Seon-Seub』 are not only related to human relation, but related to all field of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The oral teaching method used in teaching 『Dong-Mong-Seon-Seub』 seems to be useful in seventh 『Kindergarten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훈련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박영태(Park, Young-Tae),하수연(Ha, Soo-Yeun),임경순(Im, Goung-So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훈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12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 중 63명은 실험집단에, 66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실험하였다. 대인관계 훈련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파워포인트를 이용하여 대인관계 활동에 대한 다양한 상황적 시뮬레이션으로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인관계훈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대인관계훈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중 친지도성, 친접근시도하기, 친나누기, 친감정이입 향상에 효과가 있으나 친도움주기, 친의사소통, 친주도적 배려 향상에 효과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raining for social relationship through computer simulation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From a sample of 129 children, 63 was assigned as experimental group, 66 was assigned as control group. The computer simulation program for social relationship using PPT was developed, which includes varied situations that children can encounter through their social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s effective on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training for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s effective on leadership, contacting, sharing, empathy which are elements of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but not effective on helping, communicating, caring.

      • KCI등재

        유아 창의성 계발을 위한 전통놀이 활동 모형

        박영태 ( Young Tar Park ),하수연 ( Soo Yean Ha ),임경순 ( Goung So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전통놀이 활동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전통놀이의 교육적 활용에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의미 및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단순한 놀이 활동에서 벗어나 전통놀이 활용의 필요성을 분석하여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전통놀이의 활동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개발된 전통놀이 활동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모형은 상황제시, 질문하기, 정보탐색하기, 상상하기, 준비하기, 놀이하기, 칭찬하기 등 7단계로 구성된다. 둘째, 상황제시 단계에서는 전통놀이에 관련된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여줌으로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나아가 그 전통놀이와 관련된 학습을 시작한다. 셋째, 질문하기 단계에서는 유아들이 전통놀이에 관련된 그림이나 동영상을 보고 난 뒤 자연스럽게 질문을 하도록 한다. 넷째, 정보탐색하기 단계에서는 던진 질문에 대한 답을 유아가 이야기 하고 교사가 정보를 제공한다. 필요하면 전문 인사, 책, 인터넷, 자연 속에서 탐색한다. 다섯째, 상상하기 단계에서는 탐색된 정보간의 관계 및 그 정보를 중심으로 연상되는 정보망을 만든다. 여섯째, 준비하기 단계에서는 그 전통 놀이를 실행하기 전에 필요한 준비물을 만든다. 일곱째, 놀이하기 단계에서는 준비하기 단계에서 구상한데로 놀이를 실행한다. 여덟째, 칭찬하기 단계에서는 놀이가 끝난 후 지금까지의 모든 과정에 대해 토론을 한다. 각 단계에서 자신이 느낀점을 자유로이 발표하게 하고 관련되는 친구를 칭찬해 준다. Building activity models using traditional games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evelopment is considered to be largely effective to the usage of traditional games in educational purpose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the meaning and the challenges of creativity, and takes a step further from simple game activities to traditional game activity models for early childhood creativity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necessity of such activities. The traditional game activity model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model consists of seven steps: a situation suggestion, a questioning, a research, an imagining, a preparation, a play, and a complimenting. Second, in a situation suggestion step, we start by showing the children clips and photos relative to the traditional activity to draw their attention, and continue educating them with relative information. Third, in a questioning step, we lead them to ask questions from the clips and photos they have seen from the previous step. Fourth, in research step, we lead them to answer the questions from the previous step by giving them more information. If necessary, continue the research by consulting professionals, books, internet, or nature. Fifth, in an imagining step, build an information grid based on the input from the previous step by seek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Sixth, in a preparation step, collect and build equipments needed for the traditional game activity. Seventh, in a play step, execute the play as imagined and prepared in previous steps. Eighth, in a complimenting step, discuss the whole process and express what each child have perceived through the activity and give a compliment to each other. This Model gives an overall structure and some of the steps can be exten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given time. However, the preparation and playing step cannot be omitted, as they are the execution of the traditional activities themselves. When any other steps are omitted,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acher should give an explanation relative to the st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