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치원과 창원 지역 한시에 나타난 장소성

        이힐한 한국지역문학회 2013 한국지역문학연구 Vol.2 No.1

        As a place is given significance, humans' understanding of it becomes deeper through experiences and more values and meaning are accumulated for the place. When an abstract and physical space bears a contextual meaning based on the cultural or regional characteristics, it becomes a ‘place.’ For a space with abstract characteristics to be reborn as a place, human experience or realistic intention of the space is essential. In tis context, ‘placeness' is the very identity or special quality of the pla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 mere space generates placeness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experiences of a person, ‘Go-un’ Choi Chi-won.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 place image reflected in 'Go-un Choi Chi-won's Chinese poetry in Go-un Gip(󰡔고운집󰡕) is examined. Second, examined is how a number of contemporary literary men who remember Choi Chi-won have created placeness based on Choi Chi-won's personal experiences, not viewing Wolyoungdae as a mere abstract and physical space. Third, the placeness in relation to Choi Chi-won is examined in Chinese poems about other areas of Changwon in addition to Wolyoungdae.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places appearing in Choi Chi-won's Chinese poetry while he was studying in Tang and after coming back. When poets visit Changwon after ages and recall Wolyoungdae or other places of Changwon, the place would be linked in their minds with the person, Choi Chi-won, and then it is no longer a mere geographical and physical space but given significance and placeness based on a person's experiences. 장소는 의미가 부여된 공간으로, 인간은 체험을 통해 공간을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되고 그것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장소가 만들어진다. 추상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이 문화적이거나 지역적인 것을 기반으로 나타나는 맥락적 의미를 담게 됨으로써 ‘장소’가 되는 것이다. 추상적인 특성을 지닌 공간이 장소로서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인간의 체험이나 인간의 현실적 의도를 필요로 한다. 이런 맥락에서 ‘장소성(placeness)’은 그러한 장소의 특질이나 장소의 정체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고운 최치원이라는 인물이 개인적 경험을 통해 막연히 거기 있는 공간이 구체적 경험과 매개하여 장소성을 만들어 내고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고운집󰡕에 실린 고운 최치원 한시에 나타난 장소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둘째, 최치원을 기억하는 후대의 많은 문인들이 월영대를 단순히 추상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최치원의 개인적 체험으로 만들어낸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셋째, 월영대뿐만 아니라 창원의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한시들에서도 최치원과 관련된 장소성이 드러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상으로 당나라 유학 시절과 귀국 후 최치원 한시에 나타난 장소들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후대의 시인들이 창원을 방문하였을 때 월영대든 혹은 창원의 다른 장소를 떠올리게 되면 자연스레 최치원이라는 인물과 연관시켜 지리적이고 물리적 공간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의미 부여가 이루어진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 김려의 유배 체험 한시에 나타난 일상성과 통속성

        이힐한 한국지역문학회 2019 한국지역문학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iliness and commonness in Kim Ryeo's Chinese poems about his exile experiences in the Changwon area. Kim believed that his experiences in daily life themselves were truthful during his exile days and even after the end of his exile, thus embodying his experiences throughout his Chinese poems. He reflected the lives and sentiments of common people in the area where he was exiled and expressed their voices as they were in his works written in spoken language. His Chinese poems about his exile experiences were based on his life with the common people. He would experience and observe their daily life on the one hand and employ the description technique to secure dailiness and commonness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considering his exile life only as suffering, he decided to find new experiences in it and embodied the materials in his various works. His understanding of his reality and also that of people around him was based on his own rich sensitivity and intuitive insights rather than his studies and logic. This viewpoint of his was fully reflected in his works, which realistically depicted the actual lives, joys, and sorrows of common people and thus ensured his discourse about dailiness and commonness.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his discourse about dailiness and commonness in his Uhaeieobo created based on his exile years in the Changwon area and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his literary world. 본 연구는 김려의 창원 지역 유배 체험 한시에 나타난 일상성과 통속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김려는 유배 시절이건, 유배지에서 풀려 나온 이후이든지 스스로 일상생활의 경험 자체가 진실하다고 생각하였기에 한시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전 작품에서 이루어내었다. 또 유배 체험 당시 해당 지역 민중들의 생활과 정서를 반영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그대로 표현하여 구어체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김려의 유배 체험 한시는 민중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편으로는 일상의 경험자이자 관찰자로, 다른 한편으로는 묘사라는 서술의 기법을 통해 일상성과 통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김려는 유배생활을 고통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새로운 경험으로 삼아 다양한 작품을 그려내는 소재로 형상화하였다. 김려는 주변 사람들과 자신이 처한 현실에 대한 이해를 학문이나 논리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자기만의 풍부한 감수성 및 직관적 통찰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시선은 작품에 그대로 반영이 되었고 민중들의 생활 실상과 애환을 작품 속에 사실적으로 녹여냈다는 점에서 일상성과 통속성의 담론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창원 지역 유배 시절을 바탕으로 창작한 󰡔우해이어보󰡕에 나타난 일상성과 통속성 담론을 고찰하여 김려의 문학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향촌사회의 문화 공간과 가사 향유

        이힐한(Lee hil han)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본 연구는 정(亭)을 중심으로 향유된 가사를 통해 향촌사림의 문화 생활의 한 측면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6세기 사림들이 향촌을 배경으로 창작?향유한 가사는 향촌에서의 문화생활을 노래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연구의 정치 현실과 자연으로 나누어지는 이분법적인 구도는 향촌사회의 문화 생활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향촌은 중앙과 독립된 공간으로 사림세력이 그들 나름의 문화 생활을 이루어나갔다는 점에서 정치현실과 자연이라는 이분법적인 구도가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향촌 사림이 정을 중심으로 이루어낸 문화 생활의 양상을 가사 〈면앙정가〉와 〈성산별곡〉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16세기 정(亭)을 중심으로 향유된 가사를 통해 향촌 사림의 문화 생활을 밝히기 위해 당시 향촌 사회의 성격을 파악하여 문화와 문화 공간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둘째, 문화 공간의 성격을 지닌 정(亭)과 당(堂)의 예로 애일당, 독락당, 면앙정, 식영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들이 가지는 각각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본 후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면영정과 식영정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 범위를 축소시켰다. 셋째, 문화 공간에서 이루어진 가사 향유로 〈면앙정가〉와 〈성산별곡〉을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진행시켰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가사 〈면앙정가〉와 〈성산별곡〉을 통해 16세기 향촌사림이 그들 나름으로 만든 공간에서의 생활 양상과 그 성격을 밝혔음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one aspect of cultural life in Hyangchon Salim(ancient country village in Korea) through the Gasa enjoyed mainly in Jeong. The Gasa was created and enjoyed by Salim(learned men in early Chosun dynasty) in the 16th century in the Hyangchon. But the dichotomous structure that separates the political realty from nature in the existing study may not correctly recognize the reality of cultural life in Hyangchon society.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political reality and nature come to the to question in that Hyangchon was a space separated from the center and Salim manages their own cultural lif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spects of cultural life by Hyangchon Salim focusing on Jeong through Gasa 〈Myeonang Jeongga〉 and 〈Seongsan Byeolg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