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번역의 이론적 의미와 전지구화 시대의 영상번역

        이희은(Hee-Eun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9 No.2

        전지구화 시대의 번역은 언어와 언어 사이 뿐 아니라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복잡한 양상으로 벌어진다. 이 글에서는 먼저 전지구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동과 변환을 문화번역으로 정의하고, 전통적인 번역이론이 문화번역 이론으로 이행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학제들의 교류로 이루어진 문화번역의 관점을 이론적으로 재검토한다. 이를 위해 번역학, 탈식민주의 번역이론, 번역사회학의 핵심적 주장들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문화번역 이론이 지녀야 할 이론적 의미와 위치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전지구화 시대의 영상번역은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한 영역 중 하나임을 주장하고, 영상번역의 특징과 현상을 문화번역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검토한다. 문화번역은 번역의 정확함이나 번역가의 전문성 문제보다는 그 시대의 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는 일에 집중해야 하며, 영상번역 역시 전지구화의 맥락에서 문화번역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일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Limited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cultural translation of visual media mainly because of the duality of the popular cultural text: both a literary work and an expressive form of art. Over the past decades interests in research on cultural transl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at the same tim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re continually modifying and renewing both processes of cultural translation and audiovisual translation. I argue that equivalence and invisibility of translation in comtemporary contexts are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Instead this article proposes that cultural translation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and reinterpret audiovisual translation in the rapidly moving globalized context. For the purpose, a series of historical transition of theory of cultural translation--including translation studies, postcolonial theory of translation, and sociology of translation?has been discussed in relation with audiovisual transl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TV 광고에 나타난 전략적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이희은(Hee-Eun Lee),유경한(Kyung-Han You),안지현(Ji-Hyun Ah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9 No.3

        광고는 변화하는 사회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매체 중 하나이며, 전 지구화와 소비문화가 일상 속으로 확산되는 것과 밀접한 관계를 갚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한국에서 다문화주의란 어떤 의미이며, 변화하는 사회의 모습이 광고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특히 최근 한국인 이외의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영상 광고에서 어떤 식으로 재현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다문화주의의 의미가 구성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우선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서 살펴보고,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사이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밝힌다. 이어서 정보/통신, 아파트, 금융 광고 등 전 지구화 시대에 다문화주의 전략을 가장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상품 광고를 중심으로 구체적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다문화적인 방식으로 재현된 광고들이 오히려 기존의 인종주의를 강화하거나 한국(인)이 중심이 된 민족주의의 정서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적인 요소를 담아낸 광고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는 여전히 전략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dvertising is regarded as one of media's most proficient instruments of reflecting changing society. It represents the channel through which globalization and consumption culture have spread into everyday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representations of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television commercials. For the purpose, the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s of the term 'multi-culturalism', generated inside and outside Korea, are discussed. A series of text analysis are followed,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non-Korean models in terms of ethnicity and race. The result shows that the advertising is the instrument utilized in cre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racialism, which is called 'strategic multi-culturalism'. This strategy commonly happens in today's commercial advertising such as information/telecommunication, real estate/branded apartment complex, and bank/finance marker.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commercials in the past decade,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has nor yet fully articulated.

      • KCI등재

        사이버네틱스와 사회과학 방법론

        이희은(Hee-Eun Lee) 한국언론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4 No.3

        이 논문은 오늘날의 사회과학의 연구대상을 ‘복잡계’로 인식하고, 인간과 자연과 기계 사이의 관계를 통해 체계를 통합적으로 살피는 사이버네틱스의 방법론적 의미와 가능성을 논의한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시대의 사회과학 연구, 특히 그 중에서도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그 어느 때보다도 통합적인 시각과 연구방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사이버네틱스가 이러한 사회과학 연구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할만한 역사적이고 논리적인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복합학문로서의 사이버네틱스가 지니는 방법론적 의미를 사회과학과의 관계에서 탐색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1) 사이버네틱스의 역사를 통해 그 의미를 검토하고, (2) 사회 시스템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사이버네틱스의 현황과 의의를 살피며, (3) 이 과정에서 사이버네틱스의 ‘잃어버린 고리’인 복잡계와 관찰자의 위치문제를 논의하고,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정보’, ‘피드백’ 등 사이버네틱스의 개념을 오늘날의 사회에 맞게 정교화하고, ‘인과’, ‘관계’, ‘전일론’ 등 사이버네틱스 본래의 의미를 되살린다면,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사이버네틱스는 유용한 방법론적 영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ybernetics was formulated by its founders as a metadiscipline with the aim not only of fostering collaboration between disciplines, but also of sharing knowledge across disciplines. This paper discusses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cybernetics that recognizes the research object of social science as a ‘complex system’ and examines the system integral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machine. Social science research in the networked era, communi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needs more in depth discussion of integrated view and research methods than ever b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historical and logical possibilities to meet the new demands of social science research and explores the methodological meaning of cybernetics as an interdisciplinary relationship with social scienc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1) reviews the meaning of cybernetics through its history, (2)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cybernetics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social sciences, and (3) explores the ‘missing links’ and possibilities of social science methodology. If key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and ‘feedback’ are elaborated according to the society of today and the theoretical meanings such as ‘circular causality,’ ‘relationship’ and ‘wholism’ are revitalized, cybernetics can provide a theoretical inspiration to social sciences.

      •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동기 유형과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희은(Hee Eun Lee) 한국평생교육융복합학회 2022 평생교육융복합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동기 유형(목표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직업훈련기관 A에서 SW 직업교육에 참여한 2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210부를 SPSS 28.0 프로그램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목표지향 및 학습지향 참여동기는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지향 참여동기는 구직효능감을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직효능감은 참여동기 유형별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참여동기를 고려하여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직효능감 향상을 위한 취업지원 교육과정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strengthen job preparation behavior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types (goal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efficacy in these relationships. A self-administrated survey was conducted on 270 people who participated in SW vocational education at SW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 and 210 copies of the sincere response were finally analyzed with the SPSS 28.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tivation for goal-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Job-Seeking efficacy, and the motivation for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job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Job-Seeking 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job-seeking 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reparation behavior by typ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ly,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job support curriculum to improve the job-seeking efficacy so that job preparation behavior can be strengthened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 KCI등재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대한 탐색 :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2

        이 논문은 오늘날의 네트워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중 하나인 유튜브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통합 사용 사례를 주목하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닌 기술문화적인 의미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테크놀로지로서 유튜브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 형식’으로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유튜브가 일상과 맺는 관계를 탐색한다. 유튜브는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알고리즘으로 재구성해, 전통적인 텔레비전이 담당하던 ‘흐름’으로서의 방송 역할을 재구성하고 있다. 유튜브는 미디어 플랫폼이자 디지털 매개자이기도 하지만, 이질적인 요소들의 흐름으로 일상을 압도하는 텔레비전 미디어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텔레비전에 대한 고전적 이론인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흐름’ 개념은 오늘날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유튜브가 지니는 물질적 조건과 네트워크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이론적인 유용함을 지닌다. 유튜브를 오늘날의 테크놀로지이자 문화적 기술 형식으로 파악하고 유튜브의 알고리즘이 ‘흐름’의 개념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튜브가 재편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In the digitally networked society, broadcasting media are no longer consecutive flows of formatted and programmed visual images. Rather, as shown in YouTube videos, the digital culture of current media experiences can be defined as discovering and contextualizing noise, error, and glitch in our networked information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the media market today, the use of YouTube and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and aims to explore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YouTube in the network society. To do this, I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YouTube as a media technology and explore YouTube’s relationship with daily life in a digital environment by identifying YouTube as today’s ‘technology and culture form’. I suggest applying the concept of “flow”, a classic theory by Raymond Williams that explains the television age, to today’s YouTube. I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s technology as a platform and digital intermediary, and explains that noise and algorithms are key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YouTube as a technology culture format. The media landscape has dramatically changed, and yet the concept of flow is still important as a structuring mechanism and branding strategy of today’s media.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종사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 A그룹사를 중심으로

        이희은(Heeeun Lee),오현규(Hyungyu Oh),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 상사신뢰를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 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A 중소기업 및 1개 그룹사의 전체 임직원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확보된 201명의 응답 데이터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과 상사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적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과 상사신뢰는 각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몰입 사이의 관계를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갖춘 A 중 소기업 및 1개 그룹사 종사자들이 조직에 지속적인 정서적 몰입을 할 수 있도록 직 무만족과 상사신뢰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인사전략을 구상하고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is conducted a surve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ffective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The response data of 201 people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370 executives and employee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ere u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econd,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did not directly ha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Fourth, job satisfaction and leader trust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ffective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lications for devising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personnel strateg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 leader so that workers of A SMEs and one group company with self-efficacy can continue to engage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은 ( Hieu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교사 508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3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과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환경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사효능감이 중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통해 유아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자 함에 있어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 만큼이나 교사효능감의 향상이 중요함을 확인한 결과이며, 유아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의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함을시사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8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 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 and job satisfaction showe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only affect directly their job satisfaction but also exerts indirect effects b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rogram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perceived job environment,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사이버네틱스의 이론적 위치와 '타자'의 의미

        이희은(Hee-Eu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3 언론과 사회 Vol.21 No.4

        사이버네틱스는 수학적 모델로 시작하였으나 정치, 사회, 기술, 문화, 예술 시스템을 분석하는 데 많은 영감을 준 과학적 발전 중의 하나다. 특히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학제적인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논의는 더욱 필요하다. 이 논문은 사이버네틱스의 창시자인 노버트 위너(Norbert Wiener)가 펼쳤던 논의를 중심으로, 사이버네틱스가 제시한 이론적 의미를 살펴본다. 특히 정보, 제어, 피드백의 개념이 오늘날의 현상을 분석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문화 이론의 핵심 주제인 "타자"의 개념을 집중적으로 탐색한다. 사이버네틱스에서 "타자"란 평등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주체의 상대 위치가 아니라, 주체와 함께 시스템의 유지와 진보를 이끌고 주체의 구성을 가능케 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요소임을 밝힌다. 새로운 미디어 테크놀로지나 문화적인 현상들이 타자와의 거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 타자는 주체가 간접 경험하거나 연민을 베풀어서 쉽게 파악할 수 없는 잠재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도 설명한다. 사이버네틱스의 논의를 적용하여 살펴본 "타자"는, 그 속내를 알 수 없으며 예측이 어려운 존재다. 사이버네틱스는 주체가 타자와 맺는 관계를 통해서만 시스템이 유지되고 커뮤니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혔고, 타자와의 관계는 기능적 효율성이나 성공여부가 아니라 윤리적 태도에 기반하고 있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해 준다. The paper revisits Norbert Wiener"s cybernetics, which represents one of the seminal scientific approaches of the 20th century, in relation to communication and cultural theories. Cybernetics, coined and defined by Wiener as a study of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machine," has never really caught on in social sciences. Cybernetic theory maintains that there ar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possible communication, which is at odds with the idea of communication driven by improbable understanding. This paper argues that cybernetics, by exploring the meaning of "otherness", provides a meaningful bridge between cultural theories and understanding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ies. The significance of cybernetic core concepts such as information, control, and feedback are discussed, and then the concept of "enemy Other" in cybernetics is elucidated in comparison with other theories. The "Other," from a cybernetic perspective, is not a thing or an object but an attribute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the system, which is never deterministic or closed. In terms of cybernetic perspective, "Other" is in asymmetrical relation with subjec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s based not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ut on the empathy and ethical attitu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