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19 구급대원의 modified Emergency Severity Index 4(m-ESI 4) 적용 및 적절성 평가 : 부천지역소방서를 중심으로

        이효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소방 구급대원의 환자 중증도 분류는 현장 응급처치와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하는 판단 기준이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병원 전 환자의 중증도 분류기준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기준의 범위가 넓고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구급대원이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본 저자는 현장에서 중증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방법으로 m-ESI 4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10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으로 119를 통해 이송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기존 2가지 중증도 분류 도구로 중증도 분류한 자료를 수집한 후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중증도 분류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조사함으로써 그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9월과 10월에는 부천시 관내 10개 119안전센터 1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새 중증도 분류 도구(m-ESI 4)를 적용하고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m-ESI 4에 대한 교육을 2회에 걸쳐 각각 약 한 시간 동안 실시한 후 구급대원들을 두 군(A군: Protocol 지급 군과 B군: Protocol 미지급 군)으로 나누어 9월 한달 동안 m-ESI 4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법을 적용하였고, 10월에는 두 군을 바꾸어 다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였다. 이를 응급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m-ESI 4평가와 비교해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존 중증도 분류 적절성을 평가한 결과, 전문의와의 일치도는 각각 kappa 값 0.135, kappa 값 0.177이었다. 부천 소방서 1급 응급구조사 총 17명에게 m-ESI 4를 적용한 후 일치도는 9월 A군 kappa 값 0.225, B군 kappa 값 0.280이었고, 10월 A군 kappa 값 0.404, B군 kappa 값 0.234이었다. Undertriage 비율이 A 군에서 9월 29.3%에서 10월 14.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기존 도구나 m-ESI 4 모두 일치도가 0.5미만으로 낮아 병원 전 중증도 분류도구로서 m-ESI 4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중증도 분류법에 대한 경험과 교육이 없었던 점을 감안하고, 본 m-ESI 4 protocol 지급 1개월 후 undertriage가 의미 있게 감소된 점을 본다면 효율적인 교육법을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다시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 직무급 제도와 조직 내 남녀 임금격차 : 국내 기업 사례연구

        이효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직무급 도입의 결과 조직 내 젠더 불평등이 감소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임금체계는 연공급 체계로 특징지어져 왔으나, 연공에 의해 임금이 결정되는 메커니즘은 남녀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주장된 바 있으며(권현지·함선유 2017), 기본급 결정기제를 직무급으로 전환할 경우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이 실현되고 그 결과 남녀 임금격차가 감소할 것이라 주장되었다. 그러나 직무급 제도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직무급 제도가 남녀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폭넓게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직무급 제도는 서로 다른 직무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직무 간 경계를 명확히 하는 공식화(formalization)의 효과(Reskin 2000)를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직무 간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젠더 편견(gender bias)가 개입하여 성별 분리 현상(sex segregation)을 야기할 수 있다(Steinberg 1992; Figart 2000). 피터슨과 사포르타(Petersen and Saporta 2004)의 불평등의 유형 분류에 따르면, 직무급 제도의 공식화 효과는 직무 내 차별(within-job discrimination)을 감소시키는 반면, 직무급 도입에 따른 성별 분리 현상의 강화는 구성적 차이(ascriptive discriminatio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직무급을 도입한 국내 한 기업의 인사자료를 분석하여, 직무급 도입 후 남녀 임금격차가 완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직무급 도입 후 조직 내 남녀 임금격차는 다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기업 내에서 주변적인 지위에 있는 주변부 집단 내에서의 남녀 임금격차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업 내에서 안정적인 지위에 있는 중심부 집단 내에서의 남녀 임금격차는 감소하였다. 한편 직무급 도입으로 인해 직무 간의 명확해지는 공식화의 메커니즘에 따라 동일 직무 내 차별(within-job discrimination)이 감소하는 양상은 중심부 집단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변부 집단에서는 직무 내 차별의 수준이 직무급 도입 전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분해분석 결과 중심부 집단에서는 직무급 도입 전보다 도입 후 직무 요인의 구성효과가 남녀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급 도입 후 중심부 집단 내 구성적 차별(ascriptive discrimination)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남녀가 서로 다른 직무에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남녀 임금격차는 나이 효과의 변화에 의해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주변부 집단에서는 남녀 간 근속연수의 차이와 연도별 차이에 의해 남녀 임금격차 증가분의 상당 부분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직무급 도입 후 주변부 집단에서 여성 근로자의 비중이 증가한 것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는 한 개 기업의 인사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인 면이 있으나, 실제 기업의 인사자료를 바탕으로 직무급 도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oes job-based pay system reduce gender wage gap? Korea’s pay system has been long characterized by seniority-based pay. Unfortunately, seniority-based pay system is argued to be the source of gender inequality (Kwon and Ham 2017). In recent years, the Korean government is urging organizations in Korea to adopt job-based pay, and one of the logic behind this urge is the belief that job-based pay will reduce gender inequality by reducing the seniority penalt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process entailed for adopting job-based pay, the effect of this pay system on gender inequality is complex. Job-based pay requires relatively clear distinction of job task when compared to seniority-system, and this clear description is part of the formalization of organization, which reduces gender inequality (Reskin 2000). At the same time, job evaluation, which accompanies job-based pay, is not a gender-neutral process; rather, this process is vulnerable to gender bias and aggravates gender segregation (Steinberg 1992; Figart 2000). Based on the framework suggested by Petersen and Saporta (2004), the formalization process of job-based pay may reduce within-job discrimination, but the job evaluation process may increase ascriptive discrimin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job-based pay on gender inequality, this study analyzed personnel data of a Korean company which adopted job-based pay in mid 2010s. It was found that gender wage gap slightly increased after job-based pay was adopted. When examined further, it was found that gender wage gap among periphery workers increased after job-based pay was adopted, whereas gender wage gap among core workers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formalization effect of clear job description reduced within-job discrimination on women among core workers; however, change in the level of within-job discrimination on women among periphery workers was not significant. Decomposing the gender wage gap, it was found that ascriptive discrimination on women increased among core workers, but this effect did not result in increasing net gender wage gap. Among the periphery group, decomposition result indicated that gender difference in tenure and year effects mainly increased gender wage gap.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the rapid increase in proportion of female among periphery workers in recent years. Although generalization of these results may be limited, but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mpirical resources for current debate on pay system reform in Korea.

      • The study of cancer senolytics based anti-cancer therapy : BCL2 independent cancer senolytic effect of ABT-263

        이효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fter conventional chemoradiotherapy, subpopulation of cancer cells remains senescence to become therapy resistance due to loss of proliferation. When such therapy induced senescence lung cancer cells (TISLC) escape from senescence to regrow, highly aggressive growth potential can be acquired to result in cancer relapse. Thus, small molecules to induce selective cell death of senescent cancer cells (cancer senolytics) have been studied. Using public data, we predicted cancer senolytic compound “ABT-263”, which was BH3 mimetics, and validated. Following other BH3 mimetics experiments revealed that senolytic effect of ABT-263 was independent with BCL2 family. Thorough transcriptome analysis of senescent lung cancer cell model, induced either by ionizing radiation or bleomycin, we found that Wnt gene signature was highly enriched in TISLC. Following biochemical study confirmed that Wnt activity, determined by Wnt reporter and level of active -caten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ISLC, suggesting an important role of Wnt activity in survival of TISLC. As well as we found that Wnt activity after treatment ABT-263 in TISLC decreased. It suggests that Wnt activity in senescent cancer cells is critical for maintaining survival and would be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senolytics.

      • 북한의 음악예술인 양성 연구

        이효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체음악’ 구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북한 음악예술인 양성체계와 교육과정, 그리고 이들의 역할과 활동 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예술인을 양성하는 북한의 음악예술교육기관은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과 보통교육의 소조활동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이들 기관과 교육체계는 음악예술의 특성을 감안한 ‘특수교육’을 수행한다. 북한에서는 정권 수립 초반부터 정치적 수단으로 음악예술에 주목하고 음악예술인 양성에 관심을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음악은 혁명적 수령관에 바탕을 두며 김일성의 항일혁명음악을 기원으로 삼는다. 즉 조직화된 예술선전대를 통해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주체음악은 ‘내용이 혁명적이며, 형식이 인민적’인 것으로 ‘내용의 혁명성’의 핵심은 수령을 향한 충실성의 반영이며 ‘인민적 형식’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시기 창조한 음악예술분야를 전형으로 삼는다. 이러한 주체음악의 특성을 기반으로 각 행정단위별로 예술선전대를 조직하고 각 기구별로 조직화된 예술선전대 활동을 통해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둘째, 북한의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은 ‘독연가’라는 특출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은 보통교육부문과 고등교육부문을 아우르는 특수교육기관으로서 조기교육체계, 피라미드식 교육체계를 운영한다. 예술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육성 산하 일반 교육부문과는 달리 문화성 관할 하에서 실전경험을 쌓는 것을 교육과정의 일부로 한다. 연속고등교육체계를 갖춘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의 박사원은 북한 내 독연가 양성의 최고 단계이다. 셋째, 전문 음악예술인은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을 통해 양성되며 노동당 선전선동부(이하 중앙당) 직속 및 총 정치국, 문화성 소속 예술단체에서 활동한다.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인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인민군예술학원, 각 도 예술학원은 대상자선발을 엄격히 하고 있으며 교육방법은 특수교육기관의 성격에 걸맞게 1:1개별교수제로 운영한다. 교육과정 이수 이후 전문 음악예술인은 전문 예술단체에서 일반공연과 계획적인 예술선전 등의 활동을 한다. 넷째, 비전문 음악예술인은 보통교육부문의 음악예술소조활동을 통해 양성되며 각 행정단위 및 기관·기업소 당위원회 소속 비전문 예술단체에서 활동한다. 북한은 음악예술의 대중적 참여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각 기관·기업소별 예술소조와 예술선전대를 조직하였다. 중등교육부문 학교음악소조와 사회교양거점인 학생소년궁전(회관)을 통해 양성되는 비전문 음악예술인들은 기동예술선동대와 예술선전대에서 경제선동을 수행한다. 다섯째, 보통교육부문의 개인경연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으로의 편입이 가능하다. 북한은 특출한 재능을 가진 독연가 양성을 목적으로 매해 정례적으로 진행하는 전국학생소년예술개인경연 입선자들에게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또는 금성학원(평양제2음악학원) 입학자격을 부여한다. 이는 보통교육부문과 특수교육부문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체제 운영에 있어서 음악의 중요성은 정권 수립 초반부터 강조되었다. 김정일은 ‘전국의 예술화, 예술의 대중화’라는 기치 아래 ‘음악정치’를 강조하면서 음악예술인 양성 및 교육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북한 음악예술인 양성체계의 시행은 북한 정권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education system, its curriculum, roles and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music artists, which play decisive roles in implementing ‘Juche Music' in North Korea. North Korean music arts institutions educating music artists ar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music arts institutions and normal education activities in small groups, and these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ystems perform special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of music ar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North Korea has been interested in training music artists, focusing on music arts as a political tool.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Juche music is based on the revolutionary ideology of the leader and is aimed to originate from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music of Kim Il-Sung. In other words, it seeks to realize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the organized propaganda squad of art. Content of the Juche music is revolutionary and its form is for the people. The core of ‘the revolutionary content' is the reflection of faithfulness for the leader, and ’the form of the people’ refers to the field of music art created in the era of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Juche music, the propaganda squad of the art is organized in each administrative unit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 is accomplished by activities of each organized propaganda squad. Second, North Korean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im to cultivate outstanding talented musicians called 'soloist'. North Korean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re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over the gener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sectors and operate an early education and a pyramid education system. To promote the professionalism of artists, practical experience is required under cultural jurisdiction unlike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h.D. course at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which has a continuous higher education system is considered to be the highest stage in soloist training system. Third, professional music artists are trained through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nd they work directly with the Labor Party's Propaganda Department, the Political Bureau, and the Ministry of Culture. Professional music arts institutions―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People's Army Arts Academy, and each do art academy are very strict to accept admissions of highly qualified applicants only and operate its education system for 1:1 individual tutoring system pe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works, professional music artists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general performances and planned art propaganda in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s. Fourth, non-professional music artists are trained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And they work in non-professional art organizations in each administrative unit, and party committees of institutions-enterprise. North Korea has organized small art groups and art propaganda squads for each institution-enterprise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in music art. Non-professional music artists educated in the small group of secondary education sectors and the Students Children's Palace(Hall) which is the base for social education. They carry out economy-related campaigns at the Mobile Arts Instigation and the Arts Propaganda. Fifth,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transfer to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through individual contests in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North Korea grants admission to the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or the Kumsung Academy(Pyongyang 2nd Music Academy) for winners of the national students and youth individual art contest. The purpose of the annual art contest is to develop soloists with outstanding talents. This is a channel bridging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and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The importance of music in operating the political system was emphasiz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Under the slogan of “The Art of Whole Country and Popularization of the Art,” Kim Jong-il emphasized “music politics” and considered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music artist as an important matter. The North Korean regime has been proactive to implement education system for North Korean music artists.

      • 내담자 불만에 대한 상담 구조화 방식이 불만에의 대처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효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불만의 구조화 방식이 불만에의 대처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담에 대한 불만이란 내담자가 상담 과정 또는 상담자에 대해 갖는 부정적 감정으로, 상담의 부정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불만 표현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상담 구조화를 채택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불만에 대한 구조화가 소비자의 상담 서비스에 대한 위험인식과 불안을 야기한다고 가정하고, 구조화의 방식을 불안을 완화하는 안심구조화와 불안을 유발하는 불안구조화의 방식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이용경험이 없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총 9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상담 구조화 방식에 따라 안심구조화 집단, 불안구조화 집단, 통제 집단에 각각 31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거쳤다. 첫째, 다른 방식의 구조화를 실시한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처치를 실시하기 전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처치를 실시한 후 불만 표현 의사, 상담 지속 의사, 상담에 대한 태도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세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만 표현 의사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았다. 구조화를 실시한 두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불만 표현 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구조화를 실시하기만 하면 그 방식과는 무관하게 내담자의 불만 표현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상담 지속 의사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일부 확인되었다. 안심구조화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불안구조화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구조화에 내포된 위험특성이 상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만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에 차이를 유발하였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는 불만에 대한 구조화를 실시할 때, 불만 발생에 대해 낮은 위험으로 인식되도록 구조화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심구조화 집단이 부정 정서가 긍정적 상담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됨으로써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기대와 태도를 갖게 되었기 때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이는 내담자를 안심시키는 방식으로 구조화를 하는 것이 궁극적인 상담 목표와 성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를 요약하면, 안심구조화 방식은 불만 표현 의사에 대해서는 불안구조화 방식과 유사한 영향력을 지니지만, 상담 지속 의사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더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안하였고, 상담 구조화의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상품으로서의 상담의 특성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마케팅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ing style about clien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on dissatisfaction cop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is study adopts structuring as the way to encouraging the clients’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and focuses on verifying its effect. This study also supposes the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creases the clients’ risk perception and anxiety about counseling. Based on consumer risk perception, the styles of structuring are classified as relief structuring that relieves the clients’ anxiety of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and anxiety structuring that arouses the clients’ anxiety of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rimary stages : the evaluation of structuring and main experiment. First, the evaluation of structuring was implemented for the relief-structuring and anxiety-structuring of this study. A total of fift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counseling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ef and anxiety structuring had different risk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Second, the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inety thre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who also had no experience in using counsel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 relief-structured group, anxiety-structured group, and untreated control group. In the main experiment, at first, they were asked to response to pre-test and read the scenario. Then they read and listened structuring materials in each group. After structuring, they were requested to response dissatisfaction coping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counseling. 31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on two structured groups for the manipulation check. Secon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before receiving the treatment was identified. For this purpose,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not confirmed. The intention to express dissatisfaction in two structured groups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but group difference between relief-structured group and anxiety-structured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can encourage client to express the dissatisfaction regardless the style of structuring. Second, in the intention to continuing counseling, the influence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partially confirmed. Difference between the anxiety-structur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difference between the relief-structur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pposes that different risk characteristics involved in each structuring material trigger clients’ different perception of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Thus,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for the clients to perceive the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as low risk. Third, in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the impact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confirmed.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relief-structured group and the anxiety-structure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relief-structured group participants’ understanding that the negative feeling can lead to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s well as positive feeling. Their understanding may form more positive and realistic attitudes towards the counseling than attitudes of the other groups. It implies that structuring in the way of relieving clients’ anxiety is important for the ultimate goal and outcome of counseling. In conclusion, while relief-structuring style has similar impact with the other groups in the intention to express dissatisfaction, it has greater impact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unseling and the attitudes towards counsel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lternative method to resolve the clients’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method.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foundational data of counseling marketing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as a service.

      • 미숙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판별에 대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요인

        이효주 한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reterm toddlers are known as one of the causes of delays in languag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 has reported that while being a preterm toddler is a predictor to languag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delay, some toddlers show no signs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at those who do show signs of delay catch up with normally developing toddlers. Thus, identifying the behavioral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early screening of preterm toddlers who reac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eventually, and those with persistent delay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purposes.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re known as the indicators that predict later language development of the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toddler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Thu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factors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o discriminate for groups among the typical development language toddl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in early stages. In this study, we were assessment the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of toddlers at the time of 1st evaluation, and then evaluate the language abilities at the time of 2nd evaluate. Our aim was to ascertain which behavioral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on could be used to most effectively discriminate between the typical language delay group and th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 toddlers weighing less than 2.5 kg at birth, with a gestation period of less than 37 weeks. Study was conducted in 1st and 2nd evaluations. The toddlers were 15–18 months of age at the time of the 1st evaluation, where conducted developmental evaluations and including language evaluation. The 2nd evaluation of language development was held 6 months after the 1st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evaluation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3 groups. The first group was 'typical-typical' as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1st and 2nd evaluations. The second group was 'delay-typical' a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at 1st evaluation, while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2nd evaluation.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elay-delay' a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at 1st and 2nd evaluations. To assessment the early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s of toddlers, their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hile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s was recorded. From this recorded communicative behavior, we analyzed the rate of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type of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 the rate of gestures, the typ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type of consonants. To check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layed preterm toddlers between the 1st and 2nd evaluations. We used ANOVA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between the 3 groups from the 1st evaluation, and conducted 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o check for delays using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at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ANOVA results as the independent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between the 1st and 2nd evaluations, the frequency of the but decreased in the second assessment than the primary assessment, half of preterm toddler seen the language developmental is still delaye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ssessment during the 1st evaluation between the 'typical-typical', 'typical-delay', and 'delay-delay' groups in the 2nd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Individuals in group 'delay-dela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group 'typical-typical' in all aspects, while exhibiting significantly lower a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group 'typical-delay' in terms of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and the rate of gestures. To ascertain which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could best discriminate delays in preterm toddlers, we conducted 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could be used to make early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was 83.8%, and the two groups could be identified with very high probability based on the behavioral factors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s recorded during the 1st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and the ability to enumerate consonants at 1st evaluation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were most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later presence of delays in preterm toddlers. In summary, in this study the preterm toddlers who continued to show signs of delay in the 2nd evaluation exhibited low abilities in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ould determinating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2 years in preterm toddl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number of consonants two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some clinical implications regarding measures for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to prevent developmental delays in preterm toddlers. 미숙아 출생은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지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는 만삭아 출생 영유아에 비해 지체된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을 보인다. 그 중 일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발달수준에 도달하나 여전히 지체를 보이는 경우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을 더 이른 시기에 확인한다면 더 적합한 조기발견과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가 습득되기 이전 의사소통 행동은 정상 발달 영유아 뿐 아니라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이후 언어발달을 예측해주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들이 보인 언어 이 전기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정상언어발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조기에 구별해줄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월령이 15-18개월일 때 1차 평가를 실시하여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수집하고 약 6개월 후 영유아의 월령이 24개월이 되었을 때 2차 평가를 실시하여 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와 2차의 언어검사를 통해 나누어진 2세 미숙아 집단 내 언어발달지체와 정상언어발달 두 집단을 조기에 구별해줄 수 있는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출생 시 체중 2.5Kg 미만,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로 출생한 47명의 영유아들이었다. 연구는 6-8개월의 간격을 두고 1차와 2차 평가로 진행되었다. 1차 평가는 영유아의 월령이 15-18개월일 때 언어검사와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표본을 수집하였고, 2차 평가는 6-8 개월 후 영유아의 월령이 24개월이 되었을 때 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47명의 대상자는 1차와 2차 평가의 언어검사 결과를 토대로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은 1, 2차 평가 모두 정상언어발달을 보인 ‘정상-정상’ 집단, 1차 평가에서는 언어발달지체를 보였지만 2차 평가에서 정상언어발달을 보인 ‘지체-정상’ 집단, 1, 2차 평가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를 보인 ‘지체-지체’ 집단이었다. 1차 평가에서 영유아의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영유아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의사소통 행동 표본에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유형수, 몸짓 빈도, 몸짓 유형수, 발성 빈도와 자음 유형수를 분석하였다. 1차, 2차 평가에서의 언어발달지체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출현 빈도가 각각의 시기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집단에 따라 1차 평가에서 측정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집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보인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중 2차 평가에서 언어발달지체와 정상언어발달 집단을 판별해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직접적 판별분석(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출현 빈도를 알아본 결과, 출현 빈도는 1차 평가보다 2차 평가에서 감소하였지만, 언어발달지체를 보였던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절반은 여전히 지체된 언어발달을 보였다. 1차, 2차 평가에서 분류된 ‘정상-정상’, ‘지체-정상’, ‘지체-지체’ 집단의 영유아들이 1차 평가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였는지 비교한 결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정상’ 집단은 ‘지체-정상’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자음 유형수를 보였고, ‘지체-지체’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를 보였다. ‘지체-정상’ 집단은 ‘지체-지체’ 집단에 비해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에서 더 높은 사용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언어발달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판별해주는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밝히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1차 평가의 정상언어발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구별하기 위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두 집단의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분류 정확도는 85.1%였다. 두 집단을 판별하는 데 세 집단 간 차이를 보인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 모두 중요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음 유형수, 의사소통 행동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순으로 중요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평가의 ‘지체-정상’ 집단과 ‘지체-지체’집단에 대한 판별분석 결과 또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조기에 두집단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두 집단은 83.8%의 정확도로 분류되었고, 비구어적 의사소통 요인 중 몸짓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와 자음 유형수가 두 집단을 판별하는데 가장 유용한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1차, 2차 평가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는 정상언어발달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에 비해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으로 24개월의 언어발달지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초기 비구어적 행동 중 몸짓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자음 유형수가 15-18개월에 언어발달지체를 보였던 영유아들 중 정상언어발달과 언어발달지체를 조기에 판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할 것과 이를 통한 조기선별과 평가 및 중재 계획에 대한 임상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Anatase와 Rutile 결정상 비율에 따른 TiO₂nanotube plate의 광촉매 활성 비교 연구

        이효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 날 활발한 산업 활동으로 인한 오염 물질 처리가 한계에 부딪혔으며, 오염 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산업 활동으로 인해 오염된 물 정화 작업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 처리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 슬러지 발생량이 많거나, 추가적인 화학 약품이 필요하거나, 운전 조건이 까다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더 효율적인 수처리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산화처리기술 (Advanced Oxidation Process) 중 하나인 UV/TiO2를 이용하였으며, TiO2는 양극산화법을 이용하여 plate 형태의 TiO2 nanotube를 제작하였다. TiO2는 anatase, rutile, brookite의 3가지 결정상을 가진다. Brookite 결정상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온도가 필요하며 불안정기 때문에 광촉매 결정상으로는 주로 anatase와 rutile이 사용된다. Anatase 결정상의 TiO2 광촉매는 388 nm의 자외선 영역 이하의 파장대에서 활성을 나타내며, rutile 결정상을 가진 TiO2 광촉매가 415 nm의 가시광선 이하의 파장대에서 활성을 나타낸다. 단결정상으로는 anatase 결정상을 가진 TiO2 광촉매가 rutile 결정상을 가진 TiO2보다 높은 광활적 활성을 가진다. 하지만 anatase 결정상의 TiO2는 band gap energy가 3.2 eV로 부도체의 band gap energy인 3.5 ~ 4.0 eV에 가깝다. 그래서 두 결정상을 결합함으로서 band gap energy를 낮추어 광촉매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Anatase와 rutile 결정상을 혼합하면 전자 정공 분리를 향상시키고 전자 정공의 재결합은 억제해 광촉매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광촉매는 band gap energy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빛을 조사해 주면, 가전자대 (valence band)에 있는 전자가 전도대 (conduction band)로 여기 되어 전자와 정공이 형성된다. 형성된 전자와 정공은 각각 표면으로 이동하여 물 분자와 산소분자와 결합하여 OH radical을 생성한다. OH radical은 산화제로 흔히 이용되는 염소와 오존보다 높은 산화 전위를 갖고 있어 탁월한 산화력을 가지는 물질이다. 본 실험에서는 양극산화법 (anodization)으로 제작된 TiO2 nanotube plate를 400 ~ 900 ℃ 로 100 ℃ 차이를 두어 온도별로 열처리하여 결정상 비율에 따른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고자 진행하였다. 온도별로 열처리하였을 때, 700 ℃ 부터 rutile 결정상과 anatase 결정상이 혼재하여 관찰되었다. 400 ~ 600 ℃에서 열처리된 TiO2는 anatase 결정상만 관찰 되었으며, 700 ℃에서 열처리된 TiO2는 18.4% rutile (81.6% anatase), 800 ℃에서 열처리된 TiO2는 36.6% rutile (63.4% anatase), 900 ℃에서 열처리된 TiO2는 98.6% rutile (1.4% anatase)의 결정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UVC lamp (254 nm), UVB lamp (306 nm), UVA lamp (360 nm)로 여러 파장의 UV lamp를 이용하여 파장별로 결정상 비율에 따른 광촉매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OH radical 생성량은 probe compound인 pCBA 농도 감소율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18.4% rutile (81.6% anatase) TiO2가 OH radical 생성량이 가장 많았으며, rutile의 비율이 높을수록 흡광도 파장대가 가시광선 파장대에 가깝게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day, contaminant treatment has reached its limit due to active industrial activitie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al with contaminants more efficiently. In this study, UV/TiO2, one of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was used. During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H radicals are generated and they have an excellent oxidation capability for wastewater treat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photocatalytic reaction of TiO2 photocatalyst. TiO2 nanotubes were grown on a titanium plate by anodization.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TiO2 nanotube was varied from 400 to 900℃ and the crystal forms of the TiO2 nanotube was analyzed. When heat-tre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 mixture of rutile and anatase crystal phases were observed from 700 ℃. Depending on annealing temperature, TiO2 nanotubes have shown different crystal forms; 0% rutile (100% anatase), 18.4% rutile (81.6% anatase), 36.6% rutile (63.4% anatase) and 98.6% rutile (1.4% anatase). As the ratio of rutile crystal structure increased, the absorbance wavelength moved to the visible wavelength. To compare the photocatalytic activity according to the crystal structure ratio by monitored the concentration of OH radical probe compound (p-Chlorobenzoic acid). UV lamps of various wavelengths were used UVC lamp (254 nm), UVB lamp (306 nm) and UVA lamp (360 nm). As a result, 18.4% rutile (81.6% anatase)-TiO2 was produced more OH radicals than 100% anatase-TiO2.

      • 그림 상징 유형에 따른 학령전기 아동의 개념 이해 및 선호도 조사

        이효주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말이나 글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아동들 대상의 중재 접근법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Beukelman & Mirenda, 2008). 그림 상징은 어린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 과정에서 주로 활용되는 상징 유형이다(Light & Drager, 2002, 2007). 아동이 그림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은 어휘 발달과 함께 생후 몇 년 동안 점차적으로 발달한다(DeLoache, Pierroutsakos & Uttal, 2003). 아동의 언어적 개념 수준에 맞는 그림 상징의 제시는 인지적 부담과 학습 요구를 줄임으로써 상징의 이해와 사용을 촉진한다(Light & Dager, 2002, 2007). 그런데 국내에서는 그림 상징에 대한 개념 이해와 관련해 연구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한 정보를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Worah(2008)의 연구에 착안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그림 상징 유형에 따른 개념 이해와 선호도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만 3세, 4세, 5세 일반 아동으로 연령 집단에 따라 각 20명씩 총 6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그림 상징 유형은 DAS, MT, PCS 세 가지였으며, 분석된 자료의 이해 정확도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선호도는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상징 유형에 따른 이해 정확도는 연령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3세보다는 4세, 4세보다는 5세 아동의 이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림 상징에 대한 이해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개념 이해 정확도는 그림 상징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DAS에 대한 이해 정확도가 MT와 PCS에 대한 이해 정확도보다 높았다. MT와 PCS에 대한 이해 정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그림 상징 유형에 따른 선호도는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모든 연령에서 DAS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MT와 PCS에 대한 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3-5세 학령전기 아동은 자신의 언어적 개념 묘사에 근거하여 표상된 그림상징인 DAS를 가장 잘 이해하고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인의 언어적 개념이 아닌 아동의 언어적 개념 이해와 이 를 표상한 그림 상징에 대한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함을 시사한다.

      • 배 과피를 첨가한 발아현미다식 제조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이효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 과피의 생리활성기능을 활용하고 현대인들의 기호도에 맞는 다식을 개발하기 위해 감미료 종류를 달리한 배 과피 첨가 발아현미다식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배 과피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1077.22 mg TAE/100 g, DPPH·ABTS radical 활성은 각각 78.78%, 99.33%를 나타내었다. 제조방법을 달리한 발아현미가루 첨가 다식의 색도측정 결과에서 L값은 구운 분말에 꿀 50 g을 첨가한 다식이 높았고, a값은 찐 분말에 꿀 60 g 첨가한 다식이 높았으며 b값은 구운분말로 제조한 다식이 더 높게 나타나 모든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텍스쳐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구운분말로 제조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서는 모든 항목을 포함한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구분 분말에 꿀 6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다식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배 과피 첨가량을 달리한 발아현미다식의 색도측정 결과 L, a, b값 모두 배 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텍스쳐 결과는 경도에서 대조군보다 배 과피를 첨가한 다식이 더 높았고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15 g 첨가 다식이 가장 높았다. 검성과 부착성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기호도는 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배 과피 15 g 첨가 다식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감미료 종류를 달리한 배 과피 첨가 발아현미다식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에서 수분은 꿀로 제조한 다식이 가장 높았고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은 각각 꿀,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으로 제조한 다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고형분 함량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H는 꿀을 첨가하여 제조한 다식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색도는 꿀 첨가 다식의 L값이 가장 낮았고 a, b값에서는 가장 높았다. 텍스쳐 측정 결과 경도와 탄력성에서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다식이 가장 높았으나 다른 특성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함량, DPPH·ABTS radical 소거능은 프락토올리고당을 첨가한 다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식의 총균수 측정 결과는 12일차에서 시료 모두 103 CFU/g 수준 이하를 보였다. 기호도 조사 결과 모든 항목을 포함한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프락토올리고당 첨가 다식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physiologically active of the pear peel and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different kinds of sweeteners.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from pear peel powder were 1077.22 mg/100g as tannic acid equivalen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78.78%, 99.33% respectively. Dasik have been made by the powder of dried Seolgitteok(steamed rice cake), made of brown rice, as well as by the powder of oven baked brown rice, then produce Dasik with different volume of honey each 50, 60 and 70 g. lightness (L*) of oven baked powder Dasik added with 50 g of honey was the highest, redness (a*) of steamed powder Dasik added honey 60 g was the highest, yellowness (b*) of oven baked powder Dasik was higher than that of steamed sprouted brown rice Dasik. From the result of texture analasis, all factors,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chewiness, adhesiveness showed oven baked powder Dasik was the highest. In consumer acceptance tests, addition of oven baked powder added honey up to 60 g, had a favorable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s for all the attributes tested. Sprouted brown rice Dasik were made by different amounts of pear peel powder (PP) to 0, 5, 10, 15 and 20 g. Sprouted brown rice Dasik with different contents (5-20 g) of pear peel powder (PP). L, a,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 in PP concentration (p<0.001). In the texture analysis, hardness was control higher than Dasik added PP,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in Dasik added with 15 g of PP.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addition of PP at a concentration of up to 15 g garnered a favorable response from consumers with respect to appearance,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Dasik with different kinds of sweetener honey(HON), fructo-oligosaccharide(FOS), isomalto-oligosaccharide(IOS), starch syrup(SS). The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the highest in Dasik added with HON, crude protein the highest in Dasik added with IOS, crude fat and pH the highest in Dasik added with FOS. The color L value of Dasik added with HON was the lowest and the highest value was in a and b values. Texture showed that the hardness and springness of Dasik added with FOS was the high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characteristics.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the highest results Dasik added with FOS. Total plate count of Dasik were below 103 CFU/g at the 12th day of storage.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Dasik added with FOS showed the highest a favorable response from consumers with respect to color, aroma,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On the basis of the overall observations, dasik supplemented with 15 g PP and 60 g FOS were found to benefit from the functional properties, without compromising on consumer accep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