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의 유물론과 생태 민주주의-칼 맑스(K.Marx) 『경제학-철학 초고』와 코로나 이후 새로운 삶의 양식을 중심으로-

        이회진,김현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8 No.3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ecological democracy as a new mode of life in the post-corona age, based on the theses that “naturalism is humanism” and “realized humanism is naturalism” as appeared in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by Karl Marx. Not only is man still entrapped by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but he is also buried in the myth that all relationships come down to the equalization of capitalist exchange value. Faced with the corona pandemic, man creates a hierarchy based on the use-value of all living creatures that are unable to create capitalist relations of production, or in other words, exchange value. And it is according to this relative capacity to generate exchange value that he decides which life should be saved first. Man now find himself at a crossroads, as to whether to return to the old capitalism prior to the pandemic or to establish a new mode of life. Contemplating on a possible new mode of life for the post-corona period amidst the continuing pandemic is essentially equivalent to seeking new possibilities for a life after capitalism within the bounds of capitalism. But reflecting on a post-Corona age in the midst of the Corona age requires more than the historical anticipation of the advent of communism after the demise of capitalism. One should rather completely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and also that between men, which had been neglected in favor of a myth from the enlightenment era regarding the linear progression of history. To this end it will be attempted to reinterpret Marx’s “realized naturalism of man, humanism realized by nature”, that is, a complete unity of man with nature and a true resurrection of nature, employing the ideology of ecological democracy. This concept dictates that nature as man’s inorganic body and man as organic nature do not anymore serve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instrumental view of nature. Both are instead ideologies that regulate post-capitalist modes of life. Ecological democracy, which aim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a constructive method of rejecting the view of nature from the late modern period, which reduces the earth - including nature in terms of its use-value, individuals, and states - to its mere exchange value. In this sense, ecological democracy is an alternative to restor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all living beings on earth, recognizing the intrinsically distinct use-value in all of them. 이 글의 목적은 칼 맑스 『경제학-철학 초고』에 나타난 완성된 자연주의=인간주의, 완성된 인간주의=자연주의라는 테제를 중심으로 생태 민주주의를 탈코로나 이후의 새로운 삶의양식으로 정립하는 것이다. 코로나 시대의 인류는 여전히 근대적인 도구적 자연관에 사로잡혀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를 오로지 자본주의적 교환가치의 평등화라는 신화에 매몰돼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앞에서 인류는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 즉 상품의 교환가치를생산하지 못하는 모든 생명체의 사용가치를 위계 질서화한 후, 교환가치의 생산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생명의 구원 순서를 정한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코로나 이전의 자본주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삶의 양식을 정립해야 하는지의 갈림길에 서 있다.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이후의 삶의 양식을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에서 자본주의 이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에 탈코로나 시대를 사유하는 것은 자본주의 종말 이후에 공산주의가 도래할 것이라는 역사적 전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일직선적인 역사적 진보에 대한 계몽주의적 신화에 사로잡혀서 지금까지 소홀히 논의해왔던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칼 맑스의 “인간의 성취된 자연주의, 자연의 성취된 인간주의”, 즉 인간과 자연의 완전한 통일, 자연의 진정한 부활을 생태 민주주의 이념으로 재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의 비유기적 몸으로서 자연과 유기적 자연으로서 인간은 더이상 인간의 도구적 자연관을 뒷받침하는 기능적 역할을 담당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양자는 탈자본주의적 삶의 양식을 규제하는 이념이다. 특히 이 양자의 관계성 회복을 지향하는 생태민주주의는 사용가치로서 자연, 개별 인간, 국가를 포함한 지구의 가치를 교환가치로만 환원하는 근대적 자연관을 지양하는 구성적 방법이다. 따라서 생태 민주주의는 지구 내의 모든 생명체가 각각의 독특한 사용가치의 담지자라는 상호 관계성을 회복하는 대안이다.

      • KCI등재

        맑스의 인정 개념 - 『경제-철학 초고』와 MEGA² Ⅳ-2의 「밀-발췌록」을 중심으로 -

        이회진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Marx’s concept of “recognition” based on the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in MEGA² Ⅰ/2 and “Mill-Excerpt” in MEGA² Ⅳ/2. Hegel defines “recognition” as the outcome of the dialectic struggle for recognition between a self-consciousness in conflict with another self-consciousness expressed in his “master-and slave”-metaphor. In recent studies, Hegel’s concept of recognition is reinterpreted as a motive for historical development of self-consciousness based on the term “intersubjectivity”. Marx adopts Hegel’s concept and adds his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alienation on human relationships: A mutually symmetric recognition serves only the maximization of perceived needs evoked by an alienated environment in which men regard others as instruments to satisfy egoistic needs. Marx not only criticizes this relational structure of his time, but also describes the alternative of men as the species-being - “Gattungswesen” - achieving self-realization through mutual recognition of the alienated men. In a future society, men will produce for themselves and others, and through this process of unselfishness, completely recognize one another and overcome alienation. In the “Mill-excerpt”, Marx applies Hegel’s concept on his own terms, but he does not modify this concept to a concept of “class struggle” as his followers have done in their postum interpretations of Marx’ works. Rather, Marx’ key concept lies in the definition of the influence of the monetary system in an alienated society which causes power recognition and asymmetric structures, thus mutual recognition is not realized by men, but by money. 이 글의 목적은 『경제-철학 초고』와 MEGA² Ⅳ-2의 「밀-발췌록」에 나타난 맑스의 인정 개념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맑스의 인정 개념은 헤겔처럼 인정 투쟁을 통해서 하나의 자기의식이 다른 자기의식과 끊임없는 갈등 과정에서 자기 인식에 도달하는 것 혹은 상호 주체성을 기반으로 인륜적 질서를 역사 속에서 구현해가는 동력이 아니다. 오히려 맑스는 인간과 인간이 서로 소외된 관계에서 상호 대칭적인 인정이 자기 욕구를 최대화하기 위해 타자를 수단화하는 자기 기만적인 요소, 즉 자기 유용성의 극대화라는 공리주의적 요소가 내포해 있다고 파악한다. 맑스는 이기적 존재들의 자기 욕구 충족이라는 공리주의적 인간관계를 비판하는 데 머물지 않고, 소외된 인간들의 상호 호혜적인 인정을 통해서 유적 존재로서 인간의 자기실현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맑스는 소외되지 않는 상태에서 인간이 생산할 때, 즉 유적 존재로서 인간이 자기와 타자를 위해 생산할 때 상호 인정이 온전하게 실현될 수 있다고 밝힌다. 「밀-발췌록」에서 맑스는 헤겔의 인정 개념을 자기 식대로 소화하기는 하지만 후대의 맑스주의자들이 밝힌 것처럼 인정 투쟁에서 계급 투쟁으로 급격하게 전환하지 않는다. 오히려 맑스는 「밀-발췌록」에서 소외된 인간들의 상호 인정이 또 다른 권력인 화폐 앞에서 자기기만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비판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맑스의 인정 개념은 (비)대칭적인 권력 구조 내의 기만적인 상호 인정이 현존하는 질서를 존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호 호혜적 인정 가능성을 차단하는 점에 대한 비판의 척도로 재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자연과 코뮌Ⅰ- 코뮌의 기초로서 맑스의 자연 개념 -

        이회진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m Verhältnis von Natur und Kommune, das Marx in den Ökonomisch-philosophischen Manuskripten aus dem Jahre 1844 ausführt. Marx betrachtet Sinnlichkeit als eine menschliche, praktische Tätigkeit. Diese Tätigkeit ist durch zwei Dimensionen gekennzeichnet: Auf der einen Seite ist sie durch die Arbeit im sozialen Gesellschaftsgefüge bestimmt. Auf der anderen Seite gewinnt der Mensch durch die sinnlich-bewusste Ausübung einer Tätigkeit Erkenntnisse, die ihn zur Selbsterkenntmis führen. Daraus lässt sich schlussfolgern, dass Sinnlichkeit nicht im Gegensatz zur Vernunft steht, sondern ein Moment beschreibt, welches die Natur und den Menschen vereint. Im Folgenden stellen wir uns die Frage, woher die Motivationskraft zur Ausübung einer Tätigkeit kommt und weiterhin, wie diese Kraft als eine regulierende Kraft in der Gesellschaft eingesetzt werden kann. Dazu interpretieren wir vorerst den Begriff der Produktivität als Natur bei Schelling (genauer natura naturans) als Entstehungsakt der Natur. Darauf wenden wir uns Marx zu, der den Enstehungsakt deutlich als Menschengeschichte in der Naturgeschichte beschreibt. Unklar lässt er hier jedoch, inwiefern Entstehungsakt der Natur und Produktivität der Natur übereinstimmen. Es scheint, dass Marx seine Maxime von Schellings Prinzip der Produktivität als Natur ableitet und sie im Entstehungsakt der Natur modifiziert, um so die Ausgangsbasis der Kommune zu definieren. Die Grundannahmen beider Philosophen scheinen diegleichen, wobei Schelling bei der theoretischen Definition bleibt, während Marx sein Hauptmerk auf die praktische Umsetzung legt. Die Einheit von Natur und Mensch bei Marx ist als ein Prozess zu betrachten, der durch die menschliche Tätigkeit bestimmt ist. Somit bleibt der Entstehungsakt nicht mehr nur reine Idee, sondern wird zu einer regulierenden Kraft, die als Gegengewicht zum Kapitalismus, der Natur und Menschen unterdrückt, wirksam werden kann. Durch die Kommune soll, Marx zufolge, eine neue Gesellschaftsform entstehen, in der Natur und Menschen eins werden. Somit fungiert die Kommune erstens als eine kritische Bewegung zum derzeitigen Zustand des Kapitalismus; zweitens stellt sie die Gesellschaftsform dar, die auf das Ende des Kapitalismus folgen wird. 이 글의 목적은 맑스의 “감성”(Sinnlichkeit)을 자연의 “생성행위”(Entstehungsakt)로 재해석함으로써, “인간의 자연화, 자연의 인간화”로서 “공산주의”(Kommune)을 자기 보존을 저해하는 체제에 대한 규제적 이념으로 설정한 후, 현재의 상태를 지양해 가는 운동에서 이 이념이 “코뮌”(Kommune)으로 현실화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맑스는 감성을 인간의 감각적 활동 혹은 실천적인 활동으로 규정함으로써, 기존의 관념론자들뿐만 아니라, 포이어바흐의 유물론 또한 비판한다. 더 나아가 맑스는 포이어바흐의 관점에 의존해서 자연을 “이념의 타자존재”로 보는 헤겔의 자연철학을 비판하는 가운데, 셸링의 자연철학 또한 지양한다. 이러한 비판의 기제에는 셸링의 “생산성으로서 자연” 개념을 역사철학으로까지 확장한 자연의 생성행위가 놓여 있다. 더 나아가 맑스는 이것을 자연사와 인간사의 통일, 즉 공산주의로 제시한다. 한편 맑스는 후기 저작에서 코뮌을 프롤레타리아트가 국가 권력을 장악한 후, 계급 일반을 폐지하는 부정적 운동, 즉 현재의 상태를 지양해 나가는 현실적인 운동으로 규정한다. 맑스는 부정적 현실을 부정할 수 있는 현실적인 조건, 즉 물질적인 조건을 모색하는 가운데,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치적 의식을 고양시키려고 한다. 초기 저작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통일로서 공산주의와 후기 저작에 나타난 국가 권력의 장악과 계급 일반을 지양하는 운동으로서 코뮌의 모습은 다른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저작에 나타난 공산주의의 또 다른 단면인 현재의 상태를 지양해가는 현실적 운동과 후기 저작에 나타난 정치적 운동인 코뮌은 연속성을 지닌다. 그리고 코뮌을 다시 사유할 수 있는 근거를 정치적 영역에서 주체의 자기 형성 과정 중에 나타나는 힘, 즉 자연으로부터 부여받은 인간의 활동에 내재된 자연의 생성행위로부터 마련할 수 있다. 이 글은 코뮌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의 직접적인 대결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아니라, 맑스의 자연철학과 정치철학과의 내적인 연관성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에 중점이 있다.

      • KCI등재

        역사적 유물론의 원본으로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기원과 그 의미

        이회진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21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Karl Marx’s Philosophy of History as the root of Historical Materialism based on editorial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MEGA2 Ⅰ-5. To achieve this objective, I begin by comparing the prefaces of MEGA1 Ⅰ-5 (1932), MEW 3 (1958), and MEJ (2003) editions with regards to their usage of philosophical terminology, interpretation of the text corpus, and organization of manuscripts. As the authoritative publishing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reproducing the Manuscripts of German Ideology, the editors introduced the terms “historical materialism” and “materialistic understanding of history” while imparting their individual interpretations. The disparities between these interpretations will be identified in this initial phase. In a second step, I delve into Marx’s writing process as he engages with Max Stirner’s notable work, “The Ego and Its Own,” a text that encapsulates Stirner's intellectual discourse with Feuerbach. Marx extensively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both philosophers, ultimately formulating his own deductions in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anuscript of St. Max.” This particular manuscript is widely regarded as the foundational cornerstone of the Manuscripts of German Ideology. In summary, Marx’s philosophy of history finds its roots in his discerning analysis of the anthropological discourse between Stirner and Feuerbach. Within his commentary, Marx introduces crucial criteria for critically evaluating the prevailing philosophical and religious constructs of humanity, along with the notion of “history as embodied by living individuals.” Drawing upon these findings, Marx construct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his historical philosophy.

      • KCI등재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이론적 기초로서 반철학과 비철학

        이회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9 No.2

        When studying Karl Marx’s philosophy of history, researchers tend to neglect the origin of its premises leading Marx t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present paper aims to reinterpret Marx`s philosophy of history through the constructs of realization and sublation of philosophy, which he defines in his doctoral thesis published in MEGA² Ⅰ-1. He discusses these practical principles later in “ad. Feuerbach” of MEGA² Ⅳ-3, and finally applies them as theoretical principle in historical philosophy in MEGA² I-5. These are the actual foundations of his perception of world history. According to Marx, a philosopher interprets the world through predefined philosophical thinking. Marx criticizes this methodology because the interpreted world does not identify actual circumstances. I call this intellectual approach ’anti-philosophy’. Marx demands the sublation of philosophy, which abandons all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instead considers the world as a historical development in process without concluding principles and forming categories. I term this approach ’non-philosophy’. Based on these two viewpoints - anti-philosophy and non-philosophy - this paper casts a fresh look upon the derivation of Marx’s pillars of materialistic approach to history: 1. individual, 2. action, and 3. material conditions, offering a new path to reinterpreting his theoretical methodology. 이 글의 목적은 MEGA² Ⅰ-5의 문헌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철학의 실현과 지양” 테제를 통해 마르크스 역사철학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이 테제가 MEGA² Ⅰ-1의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에서 최초 정립됐고, MEGA² Ⅳ-3의 「포이어바흐에 관해서」에서 최종 완성돼, MEGA² Ⅰ-5에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이론적 기초로 작동했다는 점을 문헌학적으로 규명한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의 철학의 실현과 지양 테제를 “반철학과 비철학의 철학적 방법”으로 재해석한다. 철학의 실현은 철학적 사유를 통해 세계를 해석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미에서 반철학으로, 철학의 지양은 철학적 개념을 토대 혹은 원리로 정초하지 않고 세계를 역사적으로 해석하고 변화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비철학으로 해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마르크스 역사철학은 역사를 추상적인 철학적 사유로 해석하거나, 추상화된 범주로 역사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사유를 통해 해석된 현실 혹은 사유된 현실의 이데올로기화에 대한 비판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것은 마르크스가 역사서술에 대한 기존 논의, 즉 사실로서의 역사서술, 이념의 자기전개로서 역사이해, 자연법을 기초로 한 역사이해에 대한 비판을 통해 “개인, 행위, 물질적 조건”이라는 자신의 역사철학의 전제를 정초하는 것을 의미한다. 요컨대 반철학과 비철학의 철학적 방법론은 역사서술에 대한 당대의 철학적 및 역사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마르크스 역사철학의 이론적 기초이자, MEGA² Ⅰ-1에서 MEGA² Ⅰ-5까지를 관통하고 있는 마르크스 이론적 방법론의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