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태준 소설의 이중 욕망 연구

        이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Lee, Tae Joons authorial double desire which is reflected in his whole literature and to clarify the reason of his conversion to socialism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origin of the dialectic of desire is authorial egocentrism or self-regard. This is displaced into the point of view technique and monological dialogue. According to Lacan, if one believes that he only sees the world and not to be seen by the world, it tells that he is in the imaginative stage in which his ego can be maintained not hurted. But if one knows that he has to be seen by others, he is in the symbolic stage in which the demand of social culture surpassed the subject. Lee, Tae Joons attachment to the eye stage lasts till the final stage of conversion to socialism. His monological dialogue equals to the dichotomy of right and wrong and ultimately to the socialism which separates the subject from the other. Being supported by romantic cognitive mode, this authorial egocentrism endures the series of displacements of desire or egocentrism. Lee Tae Joons double desires are the ethnical desire and the general desire and they are in discrepancy. In the colonial system, the desire to be the ethnical ego is oppressed by the colonial power and the desire to be the rich, powerful and important being is oppressed by ethnical social culture. Being an orphan at the age of nine, Lee Tae Joon was in socio-economically low status. These two situation conditions the dialectical structure of his narratives. In his short stories the authorial heroes try to conceal their general desire to be the powerful one and to project their surpassed desire to the negative persons or to entrust the authorial women characters with their desire to be in the center. In the long novel they enter into the enlightenment project after the failure of triangular love affair. For them the love story itself was the game of desire. So the enlightenment project is the displacement of general desire. It has the meaning of compensatory desire. Because the ethnical ideology is not the belief but the compensatory desire, Lee, Tae Joons heroes easily return to the general reality and fall into the conflict of double desire once more. These conflict is symbolized by the parallel dialogue between two authorial characters. Lee, Tae Joons double desire is also reflected into the authorial attitude to the low class people. he usually describes them with the class determined characteristics. They are the persons of every sorts of drives. They have no idea of the wrong social system or structure where they exist. But Lee, Tae Joon as a ethnical ideologist reveals the sympathy to them simultaneously. Reconsidering about his passive heroism, Lee Tae Joon adopts women characters as his authorial ego. Most of Lee Tae Joons women characters are in the pre symbolic stage. They are the desirable ego of Lee, Tae Joon who is always in the dual castration complex from dual reality. The women characters as the desirable egos of the author, have activity, and pursue their desire for the general world, that is desire for money, social status, power, and western culture. Being the desirable heroines who represent the authors anti-patriarchal system, they also adventure into single person or divorce. Because of their existential position as the desirable ego, they easily transgress the ethnical social norm that one must not compromise with the colonial power. They also reveal the elitism too much. The significance of the stage of women character is that it is the preparatory stage for the authors conversion to socialism. In this stage the oppressed money theme rises above the surface. The activity and unsurpassed desire of the female ego displaced into the male ego in the later stage of Lee, Tae Joons narrative of authorial double desire. For the first time the man character actively pursues his general desire without concealing and he becomes the tycoon. As a tycoon the hero marries two women who symbolize the ethnical desire and general desire, respectively. In the final stage of the narrative of the authorial double desire, the real author fulfills his self regard or egocentrism by uniting the two desire openly. He actively rationalizes his individual general desire endowing with the ethnical desire. In this stage, the dichotomy of I and the other recurs to his self defense mechanism. This is the evidence that his conversion to socialism is not an abrupt accident but an expected catastrophe. 본 논문은 이태준의 전 문학사와 해방 이후의 행적을 작가적 욕망의 내러티브로 풀어내어 이태준 문학의 이중성 구조를 해명하고, 해방 이후의 행적을 작품에 투사된 일련의 작가적 욕망의 전치 과정 속에서 해명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태준의 전 문학사와 행적을 내러티브로 풀어낼 때 그 발단은 작가의 자기중심욕망이다. 이태준의 자기 중심욕망은 작가적 주인공의 단편소설에서 누적적으로 채택되는 자신만이 보는 시점 기법과 선악 이분법의 대화 형식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이태준의 자기 중심욕망이 기법으로 전치 내지 압축된 것이다. 라깡에 의하면 자신이 보기만 한다고 믿는 단계는 상상계적이고 보여짐을 아는 단계는 상징계적인 사회적 자아의 단계이다. 이태준의 보기만 하는 시점에 대한 집착은 『해방전후』까지 이어지는 특성이다. 선악 이분법적 대화형식은 단성성의 언어로, 자신과 타인을 주체와 타자의 이분법으로 파악하는 형식인데 바흐친이 말하듯 공산주의의 언어와 동일한 것이다. 이런 작가적 중심욕망은 낭만적인 인식적 특성과 결합하여 일련의 작가적 욕망의 전치과정을 겪게 된다. 이때 전치가 일어나는 범주는 통속적인 욕망과 민족적인 욕망의 범주이다. 즉 이 두 욕망 사이에서 이중욕망의 진자운동 또는 작가적 욕망의 변증법이 일어나는 것이다. 작가적 중심욕망이 이중욕망으로 분화되는 원인은 일제하의 민족 상징계와 일상적인 통속적 상징계의 요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각각 민족적인 이념과 통속적인 기준에서의 우월성을 요구하는 것이다. 이태준의 선악 이분법 구도는 본질적으로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는 자기 중심성에서 연유하는데 자신의 좌절된 욕망이 부정적인 무리들에 귀인(歸因)됨을 고지하는 것이며 자신의 은폐된 통속적 욕망을 투사하고 합리화할 수 있는 구도이기도 하다. 단편에서의 모리배들과의 이분법적 대결구도는 장편의 한 여성을 사이에 둔 삼각연애구도로 전환되는데 이때의 삼각연애는 통속적인 욕망게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통속적인 욕망 게임에서 예정된 좌절을 경험한 주인공은 자기 중심욕망을 회복할 수 있는 민족 계몽공간으로 진입한다. 즉 이 공간은 신념의 공간이 아니라 좌절된 통속적 욕망에 대한 보상적 욕망의 공간이다. 따라서 지속적일 수 없는 이 공간에서 다시 주인공은 이중욕망의 갈등을 겪다가 현실로 귀환하게 된다. 장편에서의 이중욕망의 갈등은 이중욕망을 표상하는 두 여성과의 삼각연애로 압축되며 단편에서의 이중욕망의 갈등은 장편보다 시기적으로 조금 뒤에 이중욕망을 표상한 두 작가적 주인공 간의 평행적 대화로 압축된다. 이태준의 이중욕망의 갈등은 민중을 대상으로 한 단편에서도 나타난다. 민중의 부정적 현실을 야기한 원인으로서의 일제하의 구조적 모순의 충위가 환기적인 데 비해 희생자 본인이나 그를 둘러싼 주변 민중군의 속악한 욕망충위는 리얼하게 묘사된다. 즉 이중욕망의 표리구조인 것이다. 또 민중에 대한 작가적 태도에 있어서도 이중욕망의 아이러니를 보인다. 민중은 애초부터 희생자의 자질을 지닌 존재들이어서 서사세계 내의 유일한 현실 인식자인 작가 자신과는 변별적으로 부정적 현실에 대하 인식이 전무한 계층으로 형상화된다. 반면 인식수준 상 먼 거리에 있는 민중에게 서정성 투사를 통한 거리무화 기법으로 동족으로서의 심리적 합일감도 동시적으로 발현한다. 이태준은 욕망을 은폐한 채 소극적인 영웅주의에 빠져 있는 자신에 대한 자의식적 반성과 함께 작가 자신과는 일정한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여성을 제이의 작가적 자아로 채택한다. 남성적 자아들이 상징계의 요구에 대한 거세공포증으로 이중욕망의 표리성을 드러내거나 적극성을 결한 데 비해, 작가 자신의 북방문화체험과 모계가정의 체험 속에서 각인된 여성이미지는 전통적인 남녀 이분법을 초월하는 전(前) 상징계적 특성을 지닌다. 일체의 상징계적 요구에 당당하고 행동적인 실천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들 여성 중에는 나체의 파격성과 행동성을 드러내어 작가의 탈 상징계적 원망을 실현하는 여성도 있고 서구문화에 대한 욕망을 막힘없이 추구하여 남성적 자아의 욕망을 해원하는 여성, 그리고 남성적 자아는 욕망만 있었을 뿐인 탈가부장의 욕망을 미혼과 이혼의 과감한 결행으로 대리실현하는 여성도 있다. 이런 작가적 욕망이 실현되는 공간은 일종의 카니발 공간으로 카니발적 기벽성을 드러내기도 하는데 그것은 곧 무소불위로 욕망을 추구하고 실현하는 데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친일과 엘리티즘이다. 또 기본적으로 여성이 작가적 욕망의 실현 도구인 특성상 행동적 여성일지라도 남성의 민족적 욕망을 위한 희생자가 되기도 한다. 이 여성 공간이 이태준의 일련의 욕망의 전치과정에서 내포하는 의미는 이 단계가 다음 단계의 남성 주인공에서 드러날 변모의 요소를 내면화하는 단계라는 것이다. 여성 공간에서 예전의 남성적 자아 유형이 보여지는 위치로 주변화되고 돈의 공론화가 이루어진다. 남성 주인공을 통한 통속적인 욕망의 직접적인 노출이 예비되는 단계이다. 또 여성의 적극적 행동성과 어조는 해방 이후의 실제작가 속에 고스란히 담겨지게 된다. 여성 공간 속에서 남성적 자아의 중심주의가 해체된 이후 남성적 자아가 추구하던 민족적인 욕망과 여성적 자아가 추구하던 통속적인 욕망은 드디어 남성적 자아 속에서 통합된다. 『청춘무성』에서는 목사에서 재벌로 변신하여 민족 계몽사업을 하는 남성이 민족사업의 동반자인 여급출신 여성과 법적 결혼을 하고 미국 유학을 다녀온 미모의 대학교수와 실질적인 결혼을 하여 이중욕망을 통합실현하게 된다. 『사상의 월야』에서도 주인공은 자신의 민족 근대화를 위한 도일이 출세하여 복수하자는 개인적 욕망에서 비롯된 사실을 굳이 은폐하지 않는다. 통속적인 욕망을 민족적인 욕망으로 덧씌우며 이제까지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합리화하는 것이다. 『해방전후』의 실제작가는 전기의 남성적 자아들이 보여주던 자기 중심성에 여성적 자아 속에서 회복한 적극적 어조와 행동성을 보강하여 조선문학 건설중앙 협의회의 책임자라는 자신의 사회적인 입지를 작가적 두 주인공 간의 이분법적 대화, 자문자답식 대화, 논리적인 설득형 문체와 적극적 어조로 방어한다. 『해방전후』의 언어는 바흐친이 말하는 단성성의 중앙집권적인 공산주의의 언어와 유사한데 사실 이 언어는 이미 앞 단계에서부터 이태준의 고유한 언어였던 것이 여성적 어조를 통해 강화된 것이다. 즉 그의 사회주의로의 선회라는 대단원은 일련의 자기 중심욕망의 전치과정 속에서 자연스레 귀착된 것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태준 소설의 이중성은 전통/근대의 이분법적 작가의식에서 연유하는 것인 아니라 민족/통속적 이중욕망에 연원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점. 시점기법ㆍ대화기법으로 전치된 자기 중심욕망, 인물로 압축된 이중 욕망, 이태준 아이러니 기법으로 전치된 이중욕망, 문체로 전치된 자기 중심욕망 등에 대한 연구를 어느 정도 이루어냈다는 점. 그리고 공산주의 수용의 가장 기본적인 동인이 자기 중심욕망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작가적 욕망의 변증법과 언어 기법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입증한 점에 있다.

      •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전문직관이 장기이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호숙 경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nurse 's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professional intuition on the attitude of organ transplantation. We surveyed 230 nurses who worked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more than 6 months. The instrument was analyzed by SPSS with 49 items of biomedical ethics, 18 items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20 items of organ transplantation. The mean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e right of the fetus was the highest at 3.25 ± 0.54. The average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was high (3.59 ± 0.42). The mean for the attitude of organ transplantation was 3.51 ± 0.35, which was positive. The differenc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religion, hope of organ don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ge, religion, and education level (P <0.05)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general medical ethics awareness,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attitude.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professional intuition on general attitudes of organ transplantation was significant as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β=.156, P<.027). Therefor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the fathers in order to rais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lowest score in the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In addition, in the effect of nurses' attitude on organ transplantation, An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organ transplantation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organ transplantation.

      • 實景표현을 통한 眞景에의 모색 : 정선과 문인화가들의 紀行山水畵와 관련하여

        이호숙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傳統)이란 결코 현재와 상관없는 과거의 것일 수만은 없다. 그것은 우리의 삶과 밀착된 우리 의식의 저변에 이어져 온 가치관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으며 항상 자연스럽게 계승받으면서도 자각적인 계승은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름다음의 진정한 의미는 남을 닮으려고 자신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제 자신의 모습을 지니고 가꾸려는 것에 있는데, 지금까지의 세계 역사는 서양의 물질 문명적인 가치관에 의해 주도되어 왔고, 우리는 우리의 전통적 진리와 가치 그리고 삶의 양식들을 기꺼이 포기하면서 모르는 사이에 우리 본래의 모습을 잃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전통회화의 재발견을 위해서 동양의 자연관이 가장 많이 반영된 산수화, 특히 조선시대 회화의 골간을 이루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영역 중 우리의 자연을 자각적(自覺的)으로 인식하고 토착화(土着化)시킨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고찰하였다. 우리 고유의 화법인 진경 산수화법은 정선에 의해 현양(顯揚)되어진 이후, 많은 사대부 화가들과 화원(畵院) 화가들에게 영향을 끼쳤으며 진경이라는 뜻은 실재하는 경치를 말하기도 하고, 표현대상이 가진 가장 본질적이며 지극한 경지의 상징성도 함께 의미하는데, 곧 내외의 사실성을 공유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진경의 의미는 문인화가(文人畵家)들의 기행산수화(紀行山水畵)를 통해서 더욱 심화되어 그 결과 탈속(脫俗)함과 사의(寫意)를 강조한 남종화법으로 소화시킴으로써 문기(文氣)와 화격(畵格)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당시 최고의 지성인으로서 그림을 업(業)으로 한 것이 아니라 여기적(餘技的)이고 유희적(遊戱的)인 묵희(默戱)로 즐겼으므로 그 자유로운 생각과 거침없고 파격적인 독특한 감각의 화풍(畵風)은 거시적 안목을 갖고 한국의 자연에 부합하는 독자적인 화격(畵格)을 이룩해 낼 수 있었다. 소양이 부족한 본인이 감히 진경으로의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문인화가들의 기행산수화 제작의도를 살펴본 후, 본인 작업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진경으로의 방향가능성을 제시하여보았다. 또한 본인의 작업을 곽약허가 말했듯이 예나 지금이나 만고불변의 훌륭한 이론인 육법(六法)을 근거로 해서 기운생동(氣韻生動), 골법용필(骨法用筆), 경영위치(經營位置)등과 연관지어 조형방법을 제시했고, 사의(寫意)적 상징성(象徵性)과 동양적 미학관인 풍류(風流)와 유어예(遊於藝), 치절(痴絶), 선(禪)적, 무관심(無關心), 단순성(單純性), 질료인(質料因)으로서의 한지와 수묵의 우수성 등의 제(諸) 근거들과 연계하여 본인 작품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본인 작품의 진경표현 의도로서의 구체적 방법은 첫째 정선(鄭敾)의 진경산수화를 모방하면서 표현 의도와 방법을 취했고, 둘째 천부적인 재능이 부족하다고 성찰하여, 동기창이 제시한 '독만권서(讀萬卷書) 행만리로(行萬理路)'의 경험적 실천에 힘써, 바쁜 중에도 여행을 하면서 체험한 미적 관조를 직접 화첩에 남기는 방식을 취했으며, 셋째는 사생소묘를 통해 얻은 생동감 있는 소묘를 바탕으로 하여 생략, 강조, 은유, 변화 등의 사의적 조형요소들로 재구성하며 진경의 성격을 근거로 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론으로 한국회화의 정체성(正體性)을 정립하기 위한 본인과 한국화에 있어서의 당면 과제는 동양의 자연관과 묵(墨)의 정신(精神)을 이해하는 새로운 작업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곧 동양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 수행(修行) 정신이 수반된 후 현대적인 것이 창조되어야겠으며 이는 곧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귀결된다고 본다. 문제는 옛것에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Tradition do not only belong to the past as distinct from the present. With close relation to our lives, it is already embedded in our values which have handed down under consciousness. We always inherit it as a matter of course, but without self-consciousness. Though we can say that the true meaning of beauty lies in preserving and cultivating what we are not in deserting them only to imitate other s-to follow materialistic values of the western world which have ruled the world history so far-, we have abandoned our traditional truths, values, and ways of living and at last lost what we originally were in spite of ourselves. In this respect, to re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painting, I investigated Oriental landscape painting containing the Oriental view of nature more than any other; among many types of real-not idealized-landscape paintings(實景山水畵) building up one of the mainstreams of Chosun Dynasty painting, special regard was given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眞景山水畵) which self -consciously recognized Korean nature and indigenized the way and style to depict it. Exalted by Chong Son(1676-1759), the techniqu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hich became peculiar to Korea, influenced painterly works of many upper-class intellectuals and members of the Official Painting Academy of the Chosun Dynasty. The word "true-view" implies both inner and outer reality in that on the one hand it refers to actual scenery, and on the other symbolize the most essential and utmost part of object. Such meaning of "true-view" had been deepened though travel landscape paintings(紀行山水畵) by literati-painters, until it came to focus on "spirit of books(文氣)" and ''character of painting(畵格)" by applying the Chinese Southern School style which emphasized unworldliness and realism. The scholar-painters, the men of great capacity, could achieve the unique character of painting corresponding to Korean nature by means of free mentality and a unprecedented, dashing style of painting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y, the best intellectuals of that time, not professional painters, preferred the calligraphic ink-play for relaxation and self-cultivation, In search of "true-view", as a student and artist who still needs training and cultivating, I examined first what made the literati-painters create travel landscape paintings while detecting their relationship with my own work. Second, after presenting the formative method of my work in relation to Chinese six canons of painting like rhythmic vitality(氣韻生動), disciplined brushwork(骨法用筆), good composition(經營位置), and etc., the everlasting principle as Kuo Jo-hsu(郭若虛) said, I analysed my work in the light of such artistic values as realistic symbolism, Oriental aesthetics like taste(風流), play-in-arts(遊於藝), seeming childishness covering very refined taste(癡絶), Zennishness, absence of tenacity(無關心), and simplicity(單純性), and the excellency of Korean paper and ink as materia (質料因). The methodology in my artwork to represent "true-view" was as follows. First, I started with taking the expressive intention and techniques of Chong Son by imitating hi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econd, under the self-examination about my insufficient talent, I tried to travel as often as possible and describe my aesthetic contemplations on a picture book during the journey, practicing the golden advice of Dong Qi-chang(黃其昌), ''Read thousands of books and go around thousands of miles(讀萬卷書 行萬理路)"; third, I reorganized the fresh sketches or drawings of travel with the formative elements for realistic expression such as ellipsis, emphasis, metaphor, change, and etc., wishing to achieve the special features of "true-view". As for conclusion, I think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requires Korean-oriental Painting as well as me to understand newly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nd the spirit of ink. The creation of what is comtemporary should follow the profound comprehension of Oriental spirit and discipline, led to the idea of "create new from old(法古創新)". Thus, the crucial point lies in precisely the fact that we have to find how to approach the old more easily.

      •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 실태분석 : 부천시 일반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호숙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양성평등 학교문화 현황과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 실태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성차별적 교육내용, 학교에서의 성차별적 사례, 여교원의 관리직 할당제 논의 등과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적 교육내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학교에서 학생과 교사가 경험하는 성차별적인 사례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셋째, 양성평등과 관련되는 교육정책 가운데 여교원의 관리직 할당제에 대한 교원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양성평등의식 실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관련된 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부천시 일반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학생용 202부와 교사용 204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학생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할당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t-test 검증과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밝혀진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별적 교육내용의 문제점으로는 도덕 교과내용에서는 남성위주의 인물 학습으로 여성인물의 부재가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으며, 사회교과에서는 여성을 소비자로 그리고 남성의 대부분은 직업 활동을 하는 생산자, 고위직이나 해외에서 근무하는 사람으로 그리고 있어서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의식을 강화시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과/기술·가정교과에서는 여성을 여전히 가사노동의 전담자로 그리고 있고, 다양한 가족형태의 출현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아주 피상적이며, 순결교육에 대해서만 다루고 피임교육에 대해서는 취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의 성차별적인 사례에는 여학생에게는 남녀차별 교육행위, 여교사에게는 승진과 성과급제도에서 성차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여자가 적은 직업에서 할당제 도입에 대해 그다지 찬성하지 않았으며,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여자가 적은 직업에서 할당제 도입에 대해 찬성하였다. 할당제 정책의 긍정적인 효과로는 교직이 우리 사회의 남녀평등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고, 할당제 정책의 부정적인 효과로는 여성의 우대로 인한 남성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인식하는 교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의 양성평등의식 실태는 다음과 같다. ① 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성적에 따라서는 직업생활영역에서 중 수준의 학생이 상, 하 수준의 학생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직업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미혼교사가 기혼교사보다, 연령과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와 사회, 가정 담당교사가 그 외 교과 담당교사보다 전반적인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근무하는 학교형태에 따라서는 여자고등학교 교사가 남녀공학, 남자고등학교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 학생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의 차이에서는 교사는 학교생활영역에서 학생보다 양성평등의식이 높았으며, 학생은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생활영역에서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양성평등교육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성균형성 확보를 위하여 교과교육전문가들이 성(gender)문제에 관심을 갖고 양성평등한 교과서의 교육내용과 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양성평등을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여성학(gender studies)교과서를 고등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선택교과로 개발·보급하여 직접적으로 양성평등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의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 의식의 전환을 위하여 교원연수를 통한 교원들의 재사회화가 필요하다. 교사들이 참여하는 모든 연수 프로그램에서 양성평등 내용을 각 연수내용에 일정 시간 할당하는 것을 제도화하거나 교육청 주도의 의무연수 방법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정책에 성인지적 정책형성기법 도입을 확대하여 교육정책의 성평등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기획 중인 교육정책이 남녀 학생이나 교사에게 어떻게 다른 영향을 끼칠 것인가를 보다 심도있게 논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책담당자의 남녀평등의식이 제고되어야 한다. 넷째, 여교원 관리직 할당제 실시와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의한 남교원 30%채용목표 방침은 남녀교사 사이에 상호 역차별 논란과 갈등의 우려가 크다. 그러므로 여교원 관리직 진출 비율을 30%로 개선하여 성균형성을 이루고 남교원채용목표 30%선을 남녀교사들이 서로 수용함으로써 상위 관리직의 성불균형도 해소하고 교직의 여성화도 개선하여 동반자적 교원관계 형성과 양성평등한 학교문화를 이루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urrent high school culture in gender equality and the actual state of students and teachers' gender equality awareness. For the study, the 7th curriculum textbooks, gender-discriminational cases in schools, the quota system of female supervisors, and the students and teacher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were examin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202 public high school students and 204 teachers in P city, Gyonggi Province. Using SPSS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to examine the students and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and teachers' gender-equality awareness. Results of the data are as follows: 1.7th curriculum textbooks show lack of gender equality conception. Three subjects of ethics, social studies, and technics/home economics proved to include gender-discriminational contents. In Ethics most of the characters are male and females are only few. In Social Studies fe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consumers rather than producers, high-ranking officials, or overseas workers. In Technics/Home Economics females are shown as complete charger of household affairs. The appearance of various types of families is not mentioned, or if any, superficially mentioned. Education in sexual morality is included, but education in contraception is very weak. 2. Gender discrimination cases in schools are found in difference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female students, and in promotion and incentive system for female teachers. 3. Teachers are not in favor of introducing the quota system in occupations where there are less females, while female teachers approve it more.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positive effect of quota system is teaching profession is leading the way to gender equality, but the negative effect is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male teachers due to preferential treatment of female teachers. 4. In students' awareness in gender equality, female students were more keen than male ones, and the lower graders, the more keen. Students of middle-level academic achievements were more keenly aware of gender equality than low and high leve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parents' education and occupations. In teachers' awareness in gender equality, female, single, and less experienced teachers were more keen than male, married, and more experienced teachers respectively. Awareness was highly observed in Ethics, Social Studies, and Home Economics teachers than other subject teachers, and in girls' school teachers than co-educational and boys' school teachers. As a whole, teachers were more aware of gender equality than students in school life domain, but students domestic, professional, and social domains. The following is the solutions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First, gender impartiality should be secured in administrating 7th curriculum. Curriculum specialists should have interest in gender problems and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of gender equality. Adoption of 'Gender studies' as an optional course to second and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conception. Secondly, teachers should be trained through workshops so that their stereotyped idea of gender roles can be changed. We should make it a rule that each workshop assigns certain amount of time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or every local education board runs obligatory training programs. Thirdly, gender equality in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gender-perspective policy decisions. An educational policy in the planning stage should be explored in depth with reference to its influences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eachers. Accordingly a person in charge of a policy should enhance his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Lastly, the quota system of female supervisors and employment of 30% male teachers according to gender-equal employment policy are likely to bring arguments over reverse discrimination and conflicts between both gender teachers. Therefore, both gender teachers should agree to limiting the percentage of female supervisors to 30% and employing 30% of male newcomers, solving the problems of inequality in high rank officials and femin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 As a result, both gender teachers will go into partnership and form gender-equal school culture.

      • 高等學生 逸脫 性向 硏究

        이호숙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고등학생이 청소년기라는 불안한 시기에 지나친 입시위주 교육과 출세 지향적인 사회분위기에 놓여 있음을 이해하고 이러한 상황아래에서 고등학생들의 일탈성향을 조사하여 이해함으로서 고등학생의 올바른 생활지도를 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일탈행동 중 흡연, 음주, 약물복용, 음란물 접촉 정도 등 비교적 가벼운 의미의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성별, 경제적 계층별, 부모생존 여부에 따른 가족구조를 1차 독립변수로 하여 가출이나 자살충동, 흡연, 음주, 약물복용, 음란물 접촉 정도, 여가활용 등을 조사하였고, 자살충동과 가출충동을 2차 독립변수로 하여 흡연, 음주, 약물복용, 음란물 접촉정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살충동 정도를 교차분석 한 결과 여학생의 자살충동 정도가 남학생의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져 그에 대한 성취욕구나 명예욕 등이 커짐에 따라 생기는 욕구불만이나 스트레스 등으로 생각되고, 사춘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감성적이고 예민하여 불만이나 스트레스의 상황에서 극단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또 남학생은 자살요인 중 우울증을 다른문제로 환기시키지만 여학생은 우울한 기분을 반복하기 때문에 자살이 높다고 생각한다. 흡연정도에서는 남학생이 남성다워 보이고 싶거나 어른스러워 보이고 싶어하는 욕구가 강하고 부모님 통제도 아들보다 딸에게 더 강하여 남학생 흡연에 허용적 태도를 보일수 있고, 여학생의 흡연은 장래 기형아 출산 등에 영향이 있어 흡연정도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음란물 접촉정도에서도 이성에 대한 호기심이 강하고 성적 충동이 강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음란매체에 노출되었을 때 여학생보다 성적충동이 더 민감하여 음란물에 자극을 받아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여가유형에서 남학생은 주로 “친한 친구들과 논다”는 등의 비교적 활동적인 경향을 보였고, 여학생은 “TV 및 비디오 시청”등과 같은 비교적 비활동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남성은 공격적, 경쟁적, 지배적, 능동적이어야 남자답고, 여성은 수동적, 의타적, 동조적, 감정적이어야 여성답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고정관념 때문으로 생각된다. 현재 입시위주의 교육아래 처해있는 고등학생들은 자유롭고 즐겁게 자가 발전을 위한 올바른 여가를 활용할 만한 정신적‧시간적 여유가 마련되어야겠다. 둘째, 계층에 따른 흡연과 약물복용 정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상류층에서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류층은 다른 계층의 학생들보다 진학희망정도가 높아 대학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많을 것이다. 그로 인해 상류층의 학생들은 다른 계층의 학생보다 스트레스와 긴장감 등이 높을 것이다 또, 가정 경제가 넉넉한 경우 부부가 맞벌이 인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사춘기의 자녀들은 부모의 관심이나 애정을 느끼지 못하여 정서적으로 불안하거나 불만을 가지게 되어 이러한 것들을 해소할 목적으로 흡연을 하거나 약물을 복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계층에 따른 여가유형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류층의 경우 경제적 요인과 관련있는 PC통신이나 노래방이 나타났고, 저소득층의 경우 TV 및 비디오 시청으로 나타났다. 주로 여가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 친구 등이 있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아질 것이고 여가활동에 드는 비용도 많아질 것이다. 셋째, 가족구조에 따른 흡연과 약물복용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으로 안정의 기초가 되는 부모사랑의 결핍은 마음의 안정을 잃게 하며 불안정한 가정 구조 속에서 오는 불안함과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괴로움을 잊고 편안한 마음을 갖기위해 흡연을 하거나 약물을 복용하는 생각된다. 넷째, 자살충동에 따른 음주정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청소년들에게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증가 시켰고 이혼율의 증가, 성인으로서의 책임감의 의무, 사회적 의미의 상실, 확대가족과 다른 지지관계의 감소로 인해 우울증의 비율이 높아지고 인간존재의 상실, 대학진학을 위한 입시위주의 교육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선택으로 자살을 생각하게 하고 사춘기에 따르는 변화와 학교생활에서 오는 긴장감, 우울한 기분을 해소 하기위해서 혹은 호기심에서 청소년들은 음주를 하게된다. 청소년의 충동적 과음은 알코올 중독이 되기쉽고 판단력이나 이성이 흐려져 일탈행동을 할 확율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가출충동에 따른 흡연정도를 교차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정신적 부담감 등을 해소하기 위해, 가정내의 애정관계가 잘 조성되지 않았을 때, 주위환경에 불만이나 갈등을 느낄 경우 이러한 것들에서 탈출하고 싶은 욕망이 생겨 가출생각을 하게되고, 학교교육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부담감 등을 해소하기 위해 청소년들은 흡연을 하게된다. 가출충동과 음주정도를 교차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은 가정불화, 부모자식간 갈등, 부모‧형제로부터의 꾸지람, 불량친구, 학업에 대한 압박감 등으로 가출을 하게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술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부모나 형제, 친구의 음주 등을 주위에서 자주 접하게되어 호기심이나 무의식중에 음주를 하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고등학교 교육은 대학진학을 위한 입시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고 진로선택에 있어서 진학의 이유도 자기계발이나 전문지식을 배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출세와 차별을 받지 않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지나친 성공과 출세 지향적인 사회분위기 속에서 청소년기라는 불안한 시기를 보내는 고등학생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불안감, 긴장감 등을 해소하기 위해 흡연이나 음주, 약물복용, 음란물 접촉 등의 일탈행동을 하고 탈출구나 도피처로 가출이나 자살을 생각하게된다. 그러므로 입시경쟁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부터 탈출구가 될 수 있는 여가활동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피곤에 지친 고등학생들에게 활력소가 될 수 있고 자기개발을 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모가 자녀에게 조금만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며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자녀에 입장에서 이해하려 한다면 일탈행동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무엇보다 지나친 경쟁과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을 지양하고 청소년의 소질과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환경과 교육제도로 변화되어야 하며, 학벌을 중시하는 우리의 의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기하학적 형태를 응용한 식탁용기 디자인 연구

        이호숙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미술 에서 도자공예는 단순히 음식을 담는 실용성만의 개념을 추구하던 시대에서 그릇이라는 개념을 벗어나 하나의 인테리어 공예품으로 인식되며 실내 공간의 장식용품 으로서의 기능 또한 갖게 한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예술과 문화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어 기능주의적 공간을 제시해주며 시각적 효과에 있어서도 규칙적인 배열과 균형미로서 명쾌하고 지적인 인상을 주고 예술성 속에 끊임없이 등장하는 기하학적 형태를 응용하여 장식성과 실용성을 충족시키는 식탁용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자 식기의 고찰을 통해 변화하는 현대의 식생활 에 맞는 식기 디자인을 기획하였고 기하학적 형태의 실용적 형태와 그 용기의 예를 통해 조형성을 연구해 보았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다량 복제가 가능하다는 것 외에도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구성에 적합한 사용형을 이용한 이장주입 방법을 사용하였고, 기하학적 형태의 간결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특성을 표현하고자 백색도가 높은 자기질 태토를 사용하였으며 유약은 투명유를 사용하였다. 1차 소성 온도는 850℃, 2차 소성 온도는 1250℃에서 전기가마로 산화 소성 하였다. 사용형에 의한 도자의 대량생산은 다른 도예작품보다 경시되는 경향이 있어왔으나 의식 있는 작가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 예술성을 인정받아 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형태의 다양한 변화와 무한한 형태의 활용 가능성을 바탕으로 새롭고 다양한 작업과 연결되어 식탁용기의 새로운 형태와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ceramic craft of modern art, bowls or vessels to serve food in the past focusing on practical concept have been recognized as interior craft works having decorative function for indoor spa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decorative and practical ceramic products by applying geometric style, which offers functional view of space in every aspect of art and culture and gives a clear, intellectual impression by visual effects of systematic arrangement and symmetry. This study projects design of ceramic products which are suitable for modern food eating habits and formative beauty of geometric and practical form with examples of porcelain. In production of pieces, slip casting into a working molding is used because it can not only be largely reproduced but is also suitable for reparative geometric form. Ceramic products are made from body clay with high whiteness and transparent glaze to express simple and tidy characteristic of geometric style. Biscuit firing temperature is 850 degree Celsius and glaze firing temperature is 1250 degree Celsius and porcelain is burned in an electronic furnace with oxygen supplied. Large reproduction of porcelain by a working molding was neglected compared to other ceramic arts but its artistic value has been recognized gradually by consistent effort of conscious artists. I hope this study is helpful to new style and application of ceramic products related to new and diverse design works, based on diverse changes of geometric style and potential application of countless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