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말 동서 지성의 해외체험, 성찰의 방향과 그 의미

        이혜순(Hai-soon Lee),安三煥(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8 한국문학과 예술 Vol.2 No.-

        이 논문은 18세기 말 유사한 시기에 각각 북경과 로마를 여행했던 연암과 괴테의『열하일기』와 『이탈리아의 기행』을 비교하여 두 작가가 보여준 성찰의 방향과 그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이 연구의 중점은『열하일기』 다시 읽기에 있고, 이를 위해 동원된 것이 최근 서구 학계가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을 고찰한 방식들이다. 첫째는 괴테가 보여준 이태리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추적하는 포스트식민주의적 관점이다. 괴테의 기행문이 로마의 장엄함을 ‘폐허’로 가리우면서 로마의 현재를 올바로 이해하기 어렵게 하고, 이와 함께 과거의 유산을 바라보는 괴테의 시선이 지나치게 형식주의적인 것도 성장하고 있는 로마 당대의 모습을 알려주지 못하는 한계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둘째는 이태리 기행을 괴테의 자기발견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는 낭만주의적 관점으로, 18세기 말 여행문학이 주관성으로 전환하고, 물질 여행에서 내면 여행으로 재형성하게 된 측면을 괴테에게서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괴테는 이태리에 도착하기 전까지 단지 단편적으로 그리고 불분명하게 알아온 전체를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보면서 그때까지 인식하지 못했던 지적 도덕적 그리고 미적 ‘재생’을 확신한 바 있다. 셋째는 노마디즘의 관점으로 괴테의 여행은 과거 그가 누리던 삶의 모든 조건과 배경으로 부터의 탈주였고 자기 換置였다. 그는 로마에서 제2의 탄생을 경험하는데, 이것은 탈주한 이전 배치로의 회귀가 아닌 새로운 코드의 창출이라는 주장이다. 이 세 가지 관점을 『열하일기』에 적용해본 결과 연암에게 북경은 그 자체로서 독립적이고 불변하는 미적 가치의 상징이기보다는 새로운 사유의 단서가 되는 변화하는 힘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당시 황제가 열하에 가 있으므로 북경의 가치가 흔들리는 것처럼 보였던 것도 괴테의 로마와는 큰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연암의 시선은 여행 내내 개인보다는 사회, 내면보다는 외부로 늘 열려 있었을 뿐더러, 저 아닌 남이 되어 저를 보아야만 저도 비로소 다른 물건과 다를 바 없음을 알 수 있다는 나와 타인과의 탈경계적 경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역사상 이름난 건축물도 언제나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연관된 새로운 사유를 생성하게 하는 살아있는 동력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여행이 바로 삶이라는 점에서 비록 방향은 다르지만 이들 여행기가 담고 있는 두 문호의 개인과 사회에 대한 끊임없는 진지한 성찰로, 이것이 상호 관련 없는 두 지성의 비교문학적 고찰이 수행된 출발점이기도 하다. This paper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contemplation of Pak Chi-won and Goethe who traveled respectively Beijing and Rome at the similar period of the late 18th century. The focus of this study lies on rereading Yulhailki by adopting the critical methods which recent Western scholars applied to Goethe’s Italian Journey. The first is post-colonial perspective making search for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Goethe against Italy as a country of ruins and monument instead of grandeur without representing the present growing Rome. Besides it was pointed out that Goethe’s vision of Italian past cultural heritage had been overobsessed by formalism and therefore lacked a viable contemporary history. The second is romantic perspective approaching to Italian Journey as narrative of self-discovery.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which the idea of the Romantic travel became almost identified with subjective turn, that is, re-figuration of the material journey as interior voyage, and Italian Journey was regarded to reflect such turn. When Goethe saw with his own eyes the whole which one had hitherto only known in fragments and chaotically, he confessed that he was convinced of the intellectual, moral and aesthetic rebirth in Rome which he had not realized before. as if a new life was beginning, The third is nomadic perspective: according to it, the departure of Goethe from Weimar means fleet and self-displacement from all the conditions and backgrounds of his routine familiar daily life. Thus his experience of the second rebirth in Rome was analyzed to be simply not the return to the past placement, but also creation of new code. Applying these three perspectives to Yulhailki Beijing itself seems to be functioning to Pak Chi-won as dynamic inducing new thought rather than a symbol of independent, permanent aesthetic value. The city is very much different from Rome in a sense that it appeared as if the value of Beijing was shaken without political power, since at the time the Emperor of Ching China was at Yulha. Contrary to Goethe Pak Chi-won had always his eyes open toward society than individual, outward than inward, and showed border-demolishing vision which the observing subject tried to take the standpoint of the observed object. He even regarded the famous historical architects as basis creating new speculation related to everyday life of people who were living here now. However, journey is said to be equal to life, and in this regard what is most important may be the endless, serious contemplation of the two great intellects on individual and society which their travelogues embody. That is the departure point of this paper studying them by comparative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동아시아 문화교류와 한국한문학-15세기 말 문사들의 교류인식을 중심으로-

        이혜순 ( Hai Soon Lee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This article aims at reconsidering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cultural exchange in Eastern Asia. especially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which might have exerted influences up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Hanmu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literary men of late 15th century in Chosun. The major problem is about Sino-Barbarian doctrine shown politically or culturally from the three countries. Some literary men of the time did not regard ``sino`` and ``barbarian`` native, fixed or immutable, believing that they can always be reversed. The spirit considering literary superiority and morality as the true standpoint of the doctrine was deeply steeped in most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other one is about direction of reception between the countries: it was general view that literature and learning were transferred from China to Chosun and then from Chosun to Japan. The men of letters, however, looked upon the reception as mutual, not one-sided, and expected Chosun envoys leaving for Ming China to transmit their own culture in order to be of service to China, and learn Chinese resources in the interests of Chosun when returning. In that there were active and frequent mutual exchanges between Eastern countries from the 17th century on, the literary histories of the three countries appear to be thoroughly reviewed.

      • KCI등재

        한문화권(漢文化圈) 형성 초기 한시 창수를 통한 동북아 국가간의 문화교류

        이혜순 ( Lee Hai-soo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4 한국문학연구 Vol.0 No.27

        본고는 8·9세기 한자문화권이 형성되던 시기에 통일 신라와 발해 사신들이 일본과 당을 내왕하면서 이루어진 문화교류의 전개 양상과 특성을 한시 창수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신라와 발해 사신들이 일본과 당에서 읊은 시는 별로 남아있지 않으나 양국의 문사들이 이들에게 준 贈送詩들을 통해 그들의 외국체험을 역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8세기 일본과 당 문사들이 신라와 발해 사신들에게 준 시는 대부분 자신들의 나라가 周나라이고 신라와 발해가 제후국이며 조공사라는 자국 중심의 화이론적 세계관이 그 중심을 이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들 작품에는 국가를 넘어선 정서적 교감과 문화적 인식이 규견되기도 하는데, 비록 함축적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인식이 9세기에 들어가서 문화적 동질의식의 맹아와 개별문사들의 지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학·학문·종교적 측면에서의 교류와 개별적으로 형성된 친밀한 관계가 신라와 발해 사신들을 조공사로 보려했던 완강한 화이론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로 제시된 점이 주목된다. 한시 창수를 통한 문화교류는 한문화권 형성 초기부터 동북아 제국이 정치적 패권주의와 자국 중심주의로 팽팽하게 긴장관계를 이루고 있을 때에는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은 문자와 종교를 공유한다는 점에서의 보편주의가 얼마나 허상인가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그러나 동일문자 사용에 의해 가능했던 한시 창수와 고승들의 높은 종교적 세계가 그 보편주의를 유지시키는데 기여한 점도 분명히 드러난다. 따라서 이 시기 지리적 확대를 통한 문화교류는 대결과 갈등 속에서도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는 유일한 길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This paper was attempted to study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exchanges through poems created in classical Chinese between envoys from Silla or Balhae and men of letters of Japan or T'ang China during the both 8th and 9th centuries which corresponded to an early formative stage of Chinese culture Area. There remained few works created by Silla and Balhae envoys, but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reversely their foreign experiences through poems donated to them in Japan or T'ang China. Most of the poems reflect sinocentrism as well as the chauvinistic tendency regarding their own countries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and Silla or Balhae as their tributary states. On the other hand the emotional response and appreciation of the culture of the opposite countries are revealed in these poems, though implicative, and such attitudes makes appearance to become the basis leading to cultural and intellectual exchanges on the individual levels since 9th century. It is worth noticing that religion, namely Buddhism, besides individual intimacy was proposed as clues overcoming a stubborn sense of superiority looking down Silla and Balhae as their dependent states. Truth is that such cultural exchanges through donations of the poems were not promoted when these four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were in a high state of tension. This shows that 'the cultural universalism' in the sense of having characters and religion in common were nothing but the virtual image; it is doubtless, however, that the literary interchange and the religious world of the eminent Buddhist monks made meaningful contribution to keep the cultural homogeneity of these countries. In this regard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exchange of the time through geographical extension lies in that it was the only way to increase the mutual understanding in spite of confrontations and struggles.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요동"의 기억 - 명나라 사행시의 전통과 육당의 < 송막연운록(松漠燕雲錄) >

        이혜순 ( Hai Soon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본 연구는 15, 16세기 명나라에 사행했던 조선 사신들의 시문이 보여준 요동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전통과의 관계에서 六堂 崔南善의 만주 기행문인 < 松漠燕雲錄 >을 고찰한 것이다. 한중관계에서 요동은 특히 명나라 시기 가장 민감한 화두로 당시 사행시는 조선 지식인들의 요동 인식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육당의 요동 기행문은 단순히 만주를 확보하려는 일본의 간계를 대언한 친일행위로만 단정할 수없는 작가 개인의 의식과 진정성을 담고 있다. 특히 그의 요동 기행은 크게 명나라 사행시의 전통에 포함되면서 여기서 더 나아가 역사적 사실의 면밀한 추구를 통해 요동의 위상을 파악하고자 한 학문적 여행이었음이 드러난다. 비록 요동에 대한 어떤 민족적 관심도 국가를 배경으로 하지 않고는 그 의미가 없다는 점에서 그의 요동 인식은 한계를 드러내기는 하지만, 적어도 요동의 현재적 의의는 무엇보다 요동``역사``의 회복에 있다는 점에서 볼 때 사행시문의 전통과 큰 차이가 드러나지 않는 < 송막연운록 >의 의의는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views on Yodong appeared in literary works by Choson envoys who were dispatched to Ming China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Yukdang Choi Namsun``s travel sketches ``Songmagyununrok`` in its relation with the envoying literary tradition. Since her foundation Ming China used to raise the tension on Koryo and Choson surrounding Yodong, and therefore Yodong was very much cautious, critical topic between two countries. Yukdang``s trip to Yodong was supported by Sunman(Choson-Manchuria) colonization company, and its travel description was published in serial form on Maeilsinbo, an organ paper of Choson government-general. The serials reflecting the author``s own consciousness and sincerity, nevertheless, can``t simply be underestimated as works which represent Japanese evil design. Above all his trip to Yodong could be included in the tradition of envoys`` literary works, and in addition it might be called as an academic journey confirming the status of Yodong through thoroughgoing research of its historical facts. The Choson``s color of this place Yukdang described had something to do with people moved from Choson, and so it is exactly in accord with Japanese plot wishing to regard Choson and Manchuria as one united body. Accordingly it may be different from ``hereditary customs`` Choson envoys noticed, but the meaning highlighting our owns preserved in Manchuria seems to have no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Yukdang and past envoys lies in their emphasis on Baektap [White Tower]. Yukdang considered it as challenge and victory of Kokuryo and at the same time as symbol of Yoyang showing that the place was originally our own national territory. Another difference lies in their descriptions of Emperor Taejong of Tang China: Choson envoys focuses on his arrogance highlighting his moral defect, whereas Yukdang depicted persistently the emperor``s loss of eyesight by Yang Manchun, Kokuryo general, embodying and enhancing further the sense of victory. Although the national concern about Yodong would be meaningless without the background of existing nation, and in this regard it is true Yukdang``s recognition on Yodong has limits, but ``Songmagyununrok`` should be revaluated in that the present significance of Yodong consists, most of all. in recovering its ``history``, and the serials could be situated 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Choson envoys literary work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