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LN6 유전자 변이에 의한 진행근간대뇌전증 1예

        이현경(Hyun Gyung Lee),윤보애(Bo Ae Yoon),김영옥(Young Ok Kim),김명규(Myeong Kyu Kim),우영종(Young Jong W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2

        NCLs는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의 하나로, 리소좀에 자가 형광물질인 lipopigment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2세에서 4세 사이에 발병하는 전형적인 영아 후기형 NCL에 비해 더 늦은 나이인 3세에서 8세 사이에 경련과 점진적인 시력 소실이 시작되는NCLs를 변이 영아 후기형 NCLs (Variant forms of late infantile NCLs,vLINCLs)이라고 하며, 이는 CLN6 에 의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진행성 근간대 뇌전증으로 진단된 여아에서 whole-exome sequencing을 통해서 CLN6 유전자 (NM_017882.2; NP_060352.1)의 c.296A>G(p.Lys99Arg)와 c.307C>T(p.Arg103Trp) 이형접합체 변이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Sanger sequencing으로 확인하였다. 환아는 7세 이후에 여러 형태의 경련을 보였고, 저명한 광과민성 근간대 경련, 진행성 운동 및 언어능력 퇴행, 추체로 및 추체외로 징후, 뇌자기공명 검사에서 진행성 뇌위축 등을 vLINCLs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였다. 본 증례는 한국인에서 첫번째로 보고되는 CLN6 유전자 변이에 의한 vLINCLs보고이며, 일본에서 보고된 증례와 같이 청소년기에도 시력 소실을 보이지 않았다.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 (NCLs) are inheri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which ar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lipopigment in lysosomes. Variant forms of late infantile NCLs (vLINCLs) characterized by a later onset of seizures and visual impairment (3–8 years) than in the classic form (2–4 years) are caused by mutations of the gene encoding ceroid lipofuscinosis neuronal protein 6 (CLN6). In a girl with progressive myoclonus epilepsy, we found heterozygous variants of CLN6 (NM_ 017882.2; NP_060352.1): c.296A>G (p.Lys99Arg) and c.307C>T (p.Arg103Trp). They were identified with whole-exome sequencing and verified with Sanger sequencing. At 7 years and 9 months, our patient had developed multiple types of seizures, prominent myoclonus with photosensitivity, regression in motor and language skills, pyramidal and extrapyramidal signs, and brain atrophy in brain images, all of which were progressive and were compatible with vLINCLs. However, this first Korean report shows no visual impairment, which resembles the previously reported Japanese case.

      • KCI등재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 단일기관에서 10년간의 경험

        이세은,한경희,정윤혜,이현경,강희경,정해일,하일수,Lee, Se-Eun,Han, Kyoung-Hee,Jung, Yun-Hye,Lee, Hyun-Kyung,Kang, Hee-Gyung,Cheong, Hae-Il,Ha, Il-S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1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4 No.2

        목 적 : 복막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은 지역이나 병원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료가 치료 지침의 수립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동안 복막 투석을 받은 소아 환자들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발생 빈도와 원인균의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복막 투석을 받은 110명의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복막 투석을 받은 환자 110명 중 57명에서 140례의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2003년 이후로는 비슷한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60%의 환자가 복막 투석 시작 후 첫 1년 이내에 복막염이 발생하였고, 1세 미만에 복막 투석을 시작한 환아 7명은 모두 복막염을 경험하였다. 원인균으로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8%, 38%, 4.1% 였고, 배양 음성률은 13.6% 였다. 그람 양성균 중에는 Staphylococcus, 그람 음성균 중에는Pseudomonas와Acinetobacter가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그람 양성균중 56%가에는 1세대 cephalosporin에 감수성을 보였고, 그람 음성균 중 91%가 ceftazidime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앞으로 복막염의 빈도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 영아에서 복막염이 더 잘 발생하였지만, meth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2세 미만에서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전국적인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경험적 항생제 사용 지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organisms causing peritonitis and their antibiotic sensitivities vary in different regions and centers, and these data are necessary to establish regional treatment guidel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sms that cause peritonitis in children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PD) during recent 10 yea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medical records of 110 children on PD during the period from 2000 to 2010. Results : One hundred and forty episodes of peritonitis have occurred in 57 patients. The overall incidence of peritonitis was 0.43 episodes/patient year, and similar incidence have been maintained since 2003. Sixty percent of the patients experienced peritonitis within 1 year of PD, and all patients commencing PD in infancy experienced peritonitis. Gram positive (G (+)), gram negative (G (-)) organisms and fungi were cultured in 58%, 38%, and 4.1% respectively and cultures were negative in 13.6%. Staphylococcus was the most common G (+) organism, and Pseudomonas and Acinetobacter were 2 most frequent G (-) organisms isolated. Fifty-six percent of the G (+) organisms were sensitive to first generation cephalosporin and 91% of G (-) pathogens were sensitive to ceftazidime. Methicillin-resistance rate was not higher in children less than 2 years of age than in those more than 2 years. Conclusion : An additional breakthrough has to be made to further reduce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Treatment guideline customized for peritonitis in Korean children on PD need to be established through a nationwide co-work.

      • KCI등재후보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의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

        안요한,정의석,이세은,이현경,이소희,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Ahn, Yo-Han,Jung, Eui-Seok,Lee, Se-Eun,Lee, Hyun-Gyung,Lee, So-Hee,Kang, Hee-Gyung,Ha, Il-Soo,Jung, Hae-Il,Choi, Y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3 No.2

        목적 : 신증후군에서 사구체 단백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은 전신적인 순환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신적인 순환 인자의 사구체 외 기관에서의 영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막 투석 중인 steroid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환자에서의 복막투석을 통한 단백 소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 12명(SRNS)과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성별, 투석 시작 시 연령, 체중, 신장, 투석 방법, 투석양, 투석 시작 시 검사 소견(혈액 요소 질소,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단백, 혈청 알부민, 24시간 투석액 부피, 24시간 투석액 단백, Kt/V)과 1년 뒤 투석 시 검사 소견(24시간 투석액 단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섭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nPNA (normalized protein equvalent of total nitrogen appear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 SRNS군과 대조군은 nPNA를 비롯한 다른 지표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RNS군에서 혈청 알부민이 $3.7{\pm}0.3$ g/dL로 대조군($4.0{\pm}0.4$ g/dL, P=0.021)보다 낮았다. 복막액을 통한 단백 소실량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3,044.4{\pm}837.6\;mg/m^2$/day vs. $1,791.6{\pm}1,244.0\;mg/m^2$/day, P=0.007), 혈장 단백에 대한 복막의 투과성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2배 가량 높았다($1.06{\pm}0.46%$ vs. $0.58{\pm}0.43%$, P=0.010). SRNS군과 대조군 모두 초기와 1년 뒤 복막 단백 소실량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복막 단백 소실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두 군(SRNS군 vs. 대조군)간에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P=0.023). 결론 : 신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에서 복막 투석을 시행할 때는 이들의 영양상태, 성장 및 발달에 평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보충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of nephrotic syndrome is not yet known clearly. At least in some cases, certain 'circulating factors' are thought to increase the glomerular protein permeability. Considering the systemic effect of the circulating factor on peritoneal membrane, we evaluated the loss of protein through peritoneal membrane in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due to the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caused by steroid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6 pediatric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ensued during the period from 2001 to 2007 at our clinic. Twelve patients had SRNS, while 14 patients had ESRD caused by the congenital anomalies of urinary system. Results : While the other parameters including nPNA indicating the adequacy of protein intake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serum albumin was lower in SRNS patients than the non-SRNS patients ($3.7{\pm}0.3$ g/dL vs. $4.0{\pm}0.4$ g/dL, P=0.021). Peritoneal protein loss was higher in SRNS patients than in non-SRNS patients ($3,044.4{\pm}837.6\;mg/m^2$/day vs. $1,791.6{\pm}1,244.0\;mg/m^2$/day, P=0.007). The protein permeability of the peritoneal membrane measured by the ratio of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dialysate to plasma was twice as high in SRNS patients as the non-SRNS ($1.06{\pm}0.46%$ vs. $0.58{\pm}0.43%$, P=0.010). After 1 year, peritoneal protein loss increased in both patient groups, but to a significantly greater degree in non-SRNS patient (P=0.023). Conclusion : The results of our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in nephrotic syndrome there are some 'circulating factors' with the systemic effect. Since the greater protein loss through peritoneal membrane in SRNS was confirmed in this study, more meticulous nutritional support and close monitoring on the nutrition are required in these patients.

      • KCI등재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김주휘,이세은,정윤혜,한경희,이현경,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Kim, Joo-Whee,Lee, Se-Eun,Jung, Yun-Hye,Han, Kyung-Hee,Lee, Hyun-Kyung,Kang, Hee-Gyung,Ha, Il-Soo,Cheong, Hae-Il,Choi, Y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1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4 No.1

        목 적 :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및 장기적 신기능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20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진단된 38예의 단일신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단일신은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된 일측성 신장 무형성으로 정의하였고, 일측성 이형성 신의 퇴행으로 발생한 단일신은 제외하였다. 결 과 : 진단 연령의 중앙값은 6.5개월(출생직후-13세)이었고, 남자가 12명(31.6%), 여자가 26명(68.4%) 이었다. 19예(50.0%)에서는 좌측 신장이 없었고 19예에서는 우측 신장이 없었다. 산전 초음파에서 진단된 경우가 14예(36.8%), 신장 혹은 요로계 질환에 대한 검사 도중 13예(34.2%),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0예(26.3%)이었다. 동반 기형으로는 방광요관 역류 11예(28.9%)를 포함한 신장기형이 17예(44.7%), 기타 비뇨생식기계의 기형이 16예(42.1%) 그리고 다 기관 증후군 혹은 염색체 이상이 9예(23.7%)에서 진단되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중간값은 0.6 mg/dL이었으며 만성 신부전이 2예(5.3%)에서 확인되었다. 결 론 : 단일신은 신장의 선천성 기형 중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단일신은 다른 기관의 이상과 연관이 되어있거나 관련된 증상이 발생한다.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연관 기형의 조기 발견과 추적 관찰이 장기적인 신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Purpose :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anomalies in children with solitary kidney (SK)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Methods : Total 38 children diagnosed to have SK at our hospital between December 1989 and December 2009 were recruited, and the clinical records including imaging studi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K was defined as unilateral renal agenesis by imaging studies only, and patients with regression of unilateral dysplastic kidney were excluded. Results : Among total 38 patients, 12 were male. The median age at the diagnosis of SK was 6.5 months (at birth-13 years). SK was detected by prenatal ultrasonography in 14 patients and during work-up for renal or urinary tract diseases in 13 (including urinary tract infection in 7). In 10 patients, SK was detected incidentally. Anomalies in the SK were noted in 17 patients including vesicoureteral reflux in 11. Other anomalies in the genitourinary tract were present in 16 patients, and multi-organ-involving syndromes or chromosomal anomalies were detected in 9.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9 years (9 months-20 years). Two patients developed chronic renal failure during follow-up, and the median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of the remaining 36 at their last follow-up was 0.6 mg/dL. Conclusion : SK may be isolated and clinically asymptomatic; it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other anomalies in genitourinary tract and other organs, some of which can induce progressive renal dysfunction. Early recognition of associated anomalies with SK and regular follow-up is recommended to reduce long-term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