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상방언 사동사의 한 유형 -{빠주다}류를 중심으로-

        이혁화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1

        경상방언의 사동사 중에서 ‘꺼주다, 널쭈다, 떨주다, 빠주다, 터주다, 퍼주다’ 등({빠주다}류)은 모두 ‘꺼지다, 널찌다, 떨지다, 빠지다, 터지다, 퍼지다’ 등({빠지다}류)에 사동 접미사 ‘-우-’가 결합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단어형성 방법은 후기중세국어 시기부터 존재하였으나, 근대국어 시기 이후에 이루어진 중앙어의 ‘-(어)뜨리-’에 의한 개신의 영향을 받아 {빠주다}류에만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경상방언 {빠주다}류의 의미기능은 중앙어 {빠뜨리다}류에 대체로 대응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불일치는 경상방언의 {빠주다}류가 {빠지다}류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반면, 중앙어의 {빠뜨리다}류는 {빠지다}류와 간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One of the causative verbs in Gyeongsang dialect, the 'p'aju-' class was formed by the attachment of the causative suffix '-u-' with the intransitive verb 'p'aji-'. This word-formation method was found from the 15th century, but the verbs that were done by this word-formation method are much rare in Gyeongsang dialect because of the innovation of the '-(ə)t'ɨri-' affixation. '-(ə)t'ɨri-' affixation was found on the 19th documents at the central dialect of Korea. Gyeongsang dialect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new '-(ə)t'ɨri-' affixation method. Now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ausative verbs, the 'p'aju-' class, in Gyeongsang dialect are broadly corresponding with the 'p'at'ɨri-' in central dialect, but we can find the cases that are corresponding with other verbs. The reason of this disagreemen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ausative verbs, the 'p'aju-' class, in Gyeongsang dialect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intransitive verbs 'p'aji-', and due to the fact that the 'p'at'ɨri-' class in central dialect are indirectly related with the intransitive verbs 'p'aji-'.

      • KCI등재

        방언사의 현황과 과제 -방언음운사를 중심으로-

        이혁화 국어학회 2009 국어학 Vol.0 No.54

        방언사는 개별 방언에 대한 음운, 문법, 어휘 면에서의 역사적 연구와 더불어 방언 사이의 영향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때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서 방언사를 서술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몇몇 측면을 한정하여 방언사 서술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음운론적인 측면에서만, 그리고 시기적으로도 19세기 이후로 한정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몇몇 음운현상에 국한하여 방사 원점이나 개신의 방향을 조망하였다. 체계적인 방언사의 서술을 위한 과제로는 방언 자료의 발굴과 수집, 방언 사이의 영향 관계나 변화 방향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의 용법과 기원

        이혁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7 No.-

        The ‘-neungyo’, the interrogative ending of the Gyeongsang dialect, is used as the ‘haso’ degree or ‘haiso-haso’ degree on the honorific system for hearer. This usage aspect is confirmed by actual conversational data. The former opinion on the origin of ‘-neungyo’, that it was originally the ending ‘--neungayo’, is denied from some grounds, i.e. disagreement of degree on the honorific systems for hearer, appearance at unique sentence construction of Gyeongsang dialect. The ‘-neungyo’ is regarded that it originally started from the construction ‘-neun geos(formal noun)-i(copula)-yo(ending)’, and underwent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 KCI등재후보

        국어 반모음 'Ч'의 음성학과 음운론

        이혁화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語學硏究 Vol.38 No.1

        this paper describes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semivowel 'ч' that exists in modern Korean dialects, analyses the semivowel 'ч' phonemically and explores the phonological process that is the formation of semivowel from /u¨/ and /o¨/. Semivowels are also called as approximants or glides. But in this paper the term of semivowel is used, because it is appropriate for the syllable structure of Korean. For the Semivowel 'ч', the point of articulation is phonetically palatal and the lip attitude is round. 'ч' is found when the /w/ is in the front of /i/ like '위 [wi∼чi]' and when the /y/ is in the front of /o, u/ like '우유 [uyu∼uчu]'. Futhermore it is found in the boundary of morpheme like '뛰+어 t'wi+?? [t'ч??:]'. Semivowel 'ч' can also us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diphthong. The rising diphthongs that exit phonetically in Korean are [чi, чu, чo, чe, чε, ч??, чa]. Semivowel 'ч' is phonemically analyzed into /w/, /y/ or /ч/ according to the its environments. Semivowel 'ч' that is in the front of /i/, and that is in the back of the phonemically palatal consonants is phonemically analyzed into /w/ : 위[чi] ; 줘[t??ч??], 좌[t??чa], 좨[t??чε], 줴:[t??чe]. Semivowel 'ч' that is in the front of /u, o/ is analyzed into /y/ : 우유[uчu], 용[чoŋ]. Semivowel 'ч' that is in the other environments is analyzed into /ч/ : 뚜 ㅕ:[t'ч??:], 도 ㅑ:[tчa:], 수 ㅖ:[??чe], 쏘 ㅒ:[??'чε]. So the semivowel system of Korean consists of /w, y, ч/. The distinctive feature of /ч/ is [+consonantal, -syllabic, -back, +round]. The phonological process that has the relation with semivowel 'ч' is the semivowel formation. The name of this process is 'ч'-formation. 'ч'-formation is parallel with 'w'-formation and 'y'-formation in the respects of realizations and constraints. When the verbs and adjectives that end with /u¨/ or /o¨/ meet the endings that start with vowels, 'ч'-formation can be applied optionally. This process can be represented with the following rule : [u¨, o¨]→ч/_JVstem + V (optional). This is the phonological rule that is synchronical.

      • KCI등재

        국어 음운론의 용어 ‘반모음, 이중모음, 중성’에 대한 검토

        이혁화 한글학회 2012 한글 Vol.- No.296

        The aim of this paper is in the examination of the Korean phonological terms, as such semivowel, diphthong, middle(中聲). In the Korean phonology, the sounds like j, w are called as semivowels, approximants or glides. This terms reflect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sounds. If the researcher’s focus is on the degree of stricture, we can use the term approximant. If it is on the articulatory transition, the term glide is possible. In this paper, the term semivowel is used because we regard the fact that this sounds can form the middle, the phonological syllable sub-constituent as important. ‘j, w+vowel’ and ‘vowel+j’ are called as diphthongs in the Korean phonology. But as the diphthongs in the European languages is different form these, the confusion of the terms may be caused. So we must use the new term ‘complex vowels’ to these units, or use the old term diphthongs in more limited version. And these units function as the middle, the syllable constituent in Korean. In Korean the sequence of vowels always form the separate syllables. The semivowels that are the part of middle cannot be involved with the prosodic properties as such long and tones in Korean. 본고는 국어 음운론의 용어 중에서 ‘반모음, 이중모음, 중성’을 중심으로 하여 관련된 용어의 쓰임을 검토하고 이를 국어 음운론의 틀 안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어 음운론에서 ‘j, w’와 같은 음은 반모음, 접근음, 활음으로 불리는데, 각각의 용어는 해당 음의 특정 속성에 주목하여 사용된다. 협착의 정도에 주목하면 접근음이라는 용어로, 발음의 전이성에 주목하면 활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고는 이들이 모음과 함께 결합하여 음운론적 단위로서의 중성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반모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j, w+모음’, ‘모음+j’의 연쇄는 국어 음운론에서 이중모음이라 불리는데, 서구의 언어에서 보이는 이중모음(diphthong)과는 다르게 파악되므로 용어의 혼동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위에 대해 기존에 사용하던 이중모음이라는 용어 대신 복모음(複母音, complex vowel) 등의 새로운 용어를 도입하거나, 제한적으로 이중모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복모음 혹은 이중모음은 음절의 측면에서 음절 구성 성분의 하나인 중성(中聲)으로 기능한다. 모음의 연속은 항상 별개의 중성을 형성하여 별개의 음절로 처리되며, 중성에 포함된 반모음은 음장이나 성조와 같은 운율적 속성과 관계되지 않는다.

      • KCI등재

        경상방언의 특이 명령문과 종결보조사 {보자}의 설정

        이혁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ere is the unique imperative sentences in Gyeongsang dialect that hardly can be found in other dialects; after general imperative final-ending, verb stem ‘bo-’ and the suggestive endings ‘-ja, -se, -psideo, -ipsideo’ are combined. This unique sentences carry on not only the basic imperative function but also urge the hearer to do something. The urging function is conducted by the ‘boja, bose, bopsideo, boipsideo’, which were historically the verb conjugational forms. This forms can be treated as the grammatical category of auxiliary paricles in the framework of synchronic grammar. The grounds of this treatment are the switching aspect of indirect citation in Korean, the structural similarity with the independent end auxiliary particles ‘geuryeo, i’ etc. Finally, the ‘boja, bose, bopsideo, boipsideo’ are the end auxiliary particles which occur after the imperative final ending and carry on the urging function. Their functions are not different each other and their distributions are exclusive, the end auxiliary particles ‘boja, bose, bopsideo, boipsideo’ are the allomorphs of the same morpheme. 경상방언에는 다른 방언에서는 보기 힘든 특이 명령문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해라보자”, “하게보세”와 같은 구성으로서, 동사 어간과 명령형어미가 결합된 형식 뒤에 ‘보자, 보세, 봅시더, 보입시더’와 같이 어간 ‘보-’에 청유형어미가 결합된 형식이 계기적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이 명령문은 기본적인 명령의 의미기능 이외에 화자의 태도와 관련된 재촉의 의미기능을 수행한다. 재촉의 의미기능은 ‘보자, 보세, 봅시더, 보입시더’ 등이 수행하는 것인데, 이들은 역사적으로 용언의 활용형에서 출발하였지만 공시적인 문법의 틀 안에서는 보조사의 문법 범주로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의 근거로는 간접인용으로의 전환 양상, 종결보조사 ‘그려, 이’와의 구조적 유사성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자, 보세, 봅시더, 보입시더’ 등은 경상방언에서 명령형어미 뒤에서 출현하며 재촉의 의미기능을 수행하는 종결보조사의 문법 범주로 처리되며, 기능이 동일하고 분포가 배타적이므로 서로 이형태 관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방언 형태론의 연구 방법 -통시론을 중심으로-

        이혁화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ethod of research in dialect morphology, especially from the diachronic approach to find the further dialect research. The main studies of this reviewing is the dialect morphological studies that deal with the diachronic changes or the dialect differentiation on the view of whole korean dialects. The dialect morphological studie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on the compound words, derivation words, and grammatical morphs. In the studies on the compound words, I checked the studies that treated with the ‘kark(a kind of korean rice cake), khɨinabəji(father's elder brother), chanbap(cold rice)’. At that reviewing, we saw that the choice of lexical materials which participate in the compound word can be differentiated in the dialect regional areas. In the studies on the derivation words, I checked the studies that treated with the ‘sida(be sour), noratha(yellow), p'ajuda(make to fall into)’. At that reviewing, we saw that the choice of derivational suffixes which participate in the derivation word can be differentiated in the dialect regional areas, also. Especially on ‘sida', the method can be applied that reconstruct the non-exist dialects suffixes by the discussion of connected lexical word which is about the sensual verbs. In the studies on grammatical morph, I checked the studies that treated with the some imperative or declarative endings and a particular merged ending form in the various dialects. The tracing of the hidden diachronic changes can be possible by the comparison of the separated grammatical forms, even if the meaning and function is not identical. 이 글은 통시론을 중심으로 하여 방언형태론의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방언형태론의 연구 영역은 크게 합성과 파생, 문법 형태에 대한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영역에서 기존 연구들이 취한 방법론을 검토함으로써 방언형태론의 연구 방법을 정리하였다. 여기에서 검토한 연구들은 주로 여러 방언을 아우르면서 논의를 전개한 것으로서, 통시적인 관점이 잘 반영된 것이다. 합성에서는 ‘가래떡, 큰아버지, 찬밥’ 등을 중심으로, 파생에서는 ‘시굴다/시급다/시그럽다(酸), 노랗다, 빠주다’ 등을 중심으로 연구 방법을 검토하였다. 전자에서는 합성에 참여하는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후자에서는 파생에 참여하는 접사를 기준으로 하여 방언 분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문법 형태에 대해서는 명령법어미 ‘-(으)오, -소, -(으)소’, 설명법어미 ‘-니이더, -(으)이다, -(으)요’, ‘-(으)ㄴ갑-, -내벼’의 형성과 분화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들 형태를 통해서는 통시적인 변화 과정에 따른 방언 분화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통시적인 방언형태론의 연구는 변화 과정과 분화 양상이 역동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시적인 방언 자료의 수집과 정리와도 무관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