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資本主義萌芽論과 그 代案

        이헌창(Lee, Hun-Chang) 한국사학사학회 200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7

        The studies on the Capitalist Embryo had aimed to build a historical view of developing economy in the Late Joseon Korea through introduction of worldly advanced theories and empirical researches. However, since 1970 their limitations of empirical evidences has been pointed out, moreover since the 1990s studies negating the thesis of the Capitalist Embryo were published on the ground of criticizing Marxist history and empirical evidences. While it was mainly the nationalist and Marxist traditions in the society of Korean history which gave birth to the Internal Development thesis including the Capitalist Embryo literatures, the withering of such traditions and the influence from the mainstream of economic history have demanded a new historical view. The emergence of the capitalist embryo based on the growth of commodity and money markets showed development of the late Joseon economy, which is the same as ‘smithian growth’ in the recent writings of the mainstream of economic historians. In this respect, the thesis of the Capitalist Embryo contributed to surmounting the Stagnation thesis of the Joseon economy. However, the Capitalist Embryo, entrepreneurs hiring wage workers, is justone of preconditions for modern economic growth, and could not be the core element signaling a transition to modern economy. I propose, as a substitute for the Capitalist Embryo thesis, a thorough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preconditions for modern economic growth were fulfilled and especially delve into markets, technology, institutions, and social capabilities in the Late Joseon economy. Examining the extent is not to argue that there was the possibility of internally spontaneous modernization, but to discuss how it affected Joseon's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historical task of modernization under impact from the modern world after the Port Opening.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economy was growing and a basis for modern economic growth was built up in the Joseon period, the Joseon Korea did not have the prospect of spontaneous modernization, like almost all the countries except England, without impact from the modern world. Therefore, the more productive historical researches would be trying to answer the questions such as how geography, international environments, institutions, and culture affected Joseon's economic development, how preconditions for modern economic growth were built up, and by which Joseon's capabilities to respond to impact from the modern world was affected. We also need to explore the identity of Korean history, comparing with other countries.

      • KCI등재

        개화사상의 대외 인식과 그 대응

        이헌창(Lee Hun Chang)(李憲昶)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4 泰東古典硏究 Vol.20 No.-

        외부 자극은 조선후기 실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개항 전후부터 개화사상의 대두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개화사장의 형성에는 실학사상의 기반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즉, 실사와 경세를 중시하는 학풍의 인물들이 외부 충격의 강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개화사상가로 전환하였던 것이다. 개항부터 갑신정변 이전까지는 선진 사상이 정책으로 구현되었는데, 여기에는 동도서기론자로 전환한 고종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1879년 이홍장의 권고 이후부터 1884년 갑신정변까지는 동도서기사상이 정립되어 그에 입각한 근대화정책이 추진되고 변법개화사상이 출현하여 그것을 추구하는 정변이 일어난 점에서, 근대화 사상·정책의 진전이 가장 괄목할 만한 시기였다. 동도서기파는 척사파와 마찬가지로 국내적으로 삼강오륜과 왕도정치의 구현을, 국제적으로 중화세계질서의 존속을 바랐으나, 척사파와 그 실현 방안을 달리 하여 서양 기술의 도입과 상공업의 발전으로 부강해져 동도를 보존하기를 바랐다. 변법개화파는 전제군주제와 중화세계의 유지를 의도하지 않고, 산업사회를 확고히 전망하였다. 대체로 보아 변법개화파는 영업의 자유, 경쟁의 촉진, 재산권의 보장 등을 통해 시장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했음에 반해, 동도서기파는 시장제도의 기반 조성에 소홀하고 영업자유원칙에 손상을 가하기도 하면서도 산업육성책을 추진하였다. 자주적 근대화를 성취하지 못한 데에는 가혹하고 불리한 외압뿐만 아니라 내부 역량의 부족도 작용하였다. 후자는 재정기반과 민간자본의 미약, 근대화 기획·추진 역량의 미약함 등으로 집약할 수 있다. 조선의 대응은 가혹한 외압을 극복할 정도로 진전하지는 않았지만, 식민지기 근대화, 나아가 해방후 경제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제국주의의 개념이 1902년 처음 정립된 점에서, 19세기말 개화사상가에게 그것을 몰랐던 책임을 추궁하는 것은 가혹한 일이다. 이들도 만국공법의 질서 아래 약육강식의 현실이 있다는 인식은 하고 있었다. 위정척사사상과 동학이 개화사상보다 제국주의적 침략을 결과적으로는 더 잘 예측한 셈이지만, 이들은 화이관 등에 입각하여 그것을 이해하여 과학적인 논거를 가지지 않았고, 근대세계와의 교류의 이점을 파악할 수 없었다. Western impac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Sirhak(Practical Learning), and a central role in the formation of Enlightenment Thought, in the Late Yi Dynasty. Not only the foreign impact but also the Sirhak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Enlightenment Thought. Persons educated by Sirhak could become Enlightenment thinkers easily. Enlightenment Thought contributed to the opening doors to Japan and Western countries, and was embodied by modernization policies since 1879. Enlightenment Thought was divided by the conservative party that dung to Confucian morals, tried to introduce modern technology, but was passive in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and the progressive party that was active in not only introducing modern technology but also transforming institutions. Both the conservative party and the progressive party did not presuppose agricultural society, but the conservative party intended to maintain the traditional monarchism and the traditional Chinese world order unlike the progressive party. Policies transforming institutions to induce free competition and property rights had priority in the progressive party, while policies promoting modern industries had priority in the conservative party. The failure of independent modernization can be explained not only by the severe and unfavorable foreign environment but also by the weak internal capabilities such as the poor public financial abilities, the poor capital, the inefficient bureaucracies, the inability to make representative government and so on. But the Korean contact with modern world and its experience of modernization before the colonization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20th century. Though the Confucian fundamentalists foretold the imperial aggression better than the Enlightenment thinkers, they did not have the scientific ground, and did not know the benefits from relations with modern world.

      • KCI등재

        『임원경제지』 예규지(倪圭志)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이헌창 ( Hun-chang Lee ) 경제사학회 2021 經濟史學 Vol.45 No.3

        徐有榘는 功利사상을 수용하고 공자의 도덕에 제약된 부와 이익의 소극적 추구관을 재해석하여, 유학 도덕과 조화하는 부와 이익의 적극적 추구를 정당화하였다. 막스 베버의 天職에 상응하는 직업관은 중국에서 당대 이후 점차 형성되어 王陽明의 新四民論으로 확립되었는데, 서유구는 상업 차별을 완화한 신사민론을 견지하고 웰빙 생활비의 마련을 위해 양반의 상업 종사를 바랐다. 예규지는 회계의 토대 위의 경제합리적 경영을 제시하였다. 그런 점에서 예규지의 경제사상은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에 접근한다. 예규지에서의 전국 場市의 조사와 幹線大路의 체계화는 신경준 『道路考』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신경준의 덕분에 1770년 전국 장시가, 서유구 덕분에 1830년대 전국 장시와 그 중요 상품이 정확히 조사될 수 있었다. 이 글은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에 관한 학설의 적절한 활용이 전근대 경제사상 발전의 이해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economic thoughts and informations of Yegyuji (倪圭志) in 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written by Yugu Seo (徐有榘). Seo justified active pursuit on wealth and profits in harmony with Confucian morals. In China job ethic that corresponded to Max Weber’s calling was formed since Tang dynasty, and established by Wang Yangming(王陽明). Seo held Wang’s job ethic, and wanted gentry to engage in commerce for living in well-being. Yegyuji presented economic rational management of household based on accounting. Therefore I argue that economic thoughts of Yegyuji came close to Weber’s spirit of capitalism. Silhak(實學) that reformed Confucianism came close to Weber’s spirit of capitalism like Protestantism. This paper argues that Weber’s thesis on the spirit of capitalism, if appropriately used,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preindustrial economic thoughts. Information of periodic markets and systemization of main roads in Yegyuji originated from Dorogo(道路考) written by Gyeongjun Sin(申景濬). Periodic markets nationwide in 1770 and 1830s were investigated accurately thanks to Sin and Seo.

      • KCI우수등재

        한국사에서의 수도 집중

        이헌창(Lee Hun-Chang)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4 No.-

        The regional capital population in Korea had grown rapidly until the eighth century, decreased drastically in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then increased slowly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and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ratio of the regional capital population to the country's total population had increased until the eighth century, then decreased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and increased since the 1930s. The area incorporated to the capital city by economic relations has widened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Though the regional capital population to the country's total population was very low, its share of urban population was not small, because urbanization was quite low,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Korean capital cities have never abandoned their primacy. They had developed as a political center until the eighth century, and grew as an economic city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and has grown as a world city since 1960s. That was the fundamental factor for the growth of capital cities in Korea. Seoul had grown as a commercial city in the first stage of the economic city, was transformed into an industrial city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has grown as the hub of service since the late 1970s. Korean history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large primary capital cities have lasted since the seventh century. The process of urban growth in Korea is similar to that of Europe in that political centers formed and developed in the ancient time, local cities proliferated in the middle age, and cites developed as economic centers in the early modern period.

      • KCI등재

        근세 실학의 선구자이자 실천자인 김육(金堉)(1580~1658)

        이헌창 ( Lee Hun-chang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김육은 한국사상 위대한 정책 업적을 거둔 인물에 포함된다. 김육이 공헌한 대동법은 조세제도의 공평·효율화와 시장의 발달을 낳았고, 동전 鑄貨제도는 시장의 발달과 경제의 효율화에 이바지하여, 조선후기 경제성장을 낳은 대표적제도 개혁이었다. 시헌력은 개항 전 서양 문물을 도입한 대표적 성과였다. 김육이 공헌한 정책은 조선이 근세로 진입하는 데에 이바지하였다. 김육의 정책 업적을 이룬 한 중요한 요인은 그의 실학적 사유였다. 김육은 주자학을 상대화하면서 개방적인 자세로 경세제민의 時務에 유용한 사상을 폭넓게 흡수한 博學을 추구하였다. 그는 경제합리주의의 功利를 추구하여 제도 개혁 등을 통해 安民富國에 이바지하였다. 그것은 經世致用學의 실천이었다. 실무역량을 중시하고 현실의 장벽을 피해 타협도 하는 실용주의적 자세는 그의 업적에 이바지하였다. 김육은 중화문명을 숭상하면서도 단군으로부터 이어지는 조선 문화의 독자적 발달에 대한 자부심을 가졌다. 그는 오랑캐로 간주된 청나라에 체현된 중국의 선진 기술과 경제제도뿐만 아니라 청나라에 도입된 서양 과학도 배워 도입한 점에서 北學사상의 선구자이자 실천자였다. 김육은 직업이 전문화되고 상공업도 발달하고 시장이 활성화된 사회를 지향하였는데, 북학파의 利用厚生사상에 통한다. Kim Yuk had great policy achievements. The Daidong Law(大同法) made the taxation system fair and efficient and caused market development. The use of coins contributed to market development and economic efficiency. These institutional reforms led to economic growth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 Siheon calendar(時憲曆) was an important achievement to introduce Western civilization. Kim Yuk`s achievements helped Korea to enter into early modern period. An important factor of Kim Yuk`s policy achievements was his Silhak. Kim Yuk was an open minded Confucian who absorbed various learning which was useful for current statecraft. His reforms based on economic rationalism and pragmatism contributed to stabilizing people`s welfare and state finance. He had pride on Korean culture`s own development, while respecting Chinese civilization. He was a pioneer of Bukhak(北學) thought in introducing advanced science, technology, and economic institution of Qing China and Europe, which were regarded as barbarians by ordinary Korean Confucian. Like Bukhak thinkers he aimed at a society where jobs were specialized, not only agriculture but also commerce and industry developed, and market flourished.

      • KCI등재

        조선시대 재산권,계약제도에 관한 시론(試論)

        이헌창 ( Hun Chang Lee ) 경제사학회 2014 經濟史學 Vol.56 No.-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재산권제도를 고찰하여 그 발전을 낳는 요인이 무엇이고 그것이 비교사적으로 어떠한 수준이고 경제성장과 대분기에 어떻게 작용하였는가라는 물음을 탐구한다. 科田法 제정 이후 『經國大典』 반포 사이에 경지소유제도의 괄목할 발전이 있었고, 그것은 이후 재산권제도 전반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조선중기에 시장이 성장하면서 계약서가 작성되는 물종이 다양해졌다. 법적으로 허용된 계약은 비교적 충실하게 이행되었다. 매매 분쟁은 기본적으로 법제도와 문서 증거를 중심으로 하는 法理에 의거하여 처리되었다. 재산권과 계약에 관한 성문법은 소략하고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으나, 그것을 토대로 형성된 관습은 법전을 보완하면서 신축적으로 재산권·계약제도의 성장을 도왔다. 소송 절차에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하층민도 재산권의 訴寃에 별 제도적 장벽을 가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국가는 공공 이익, 유교 윤리, 重農정책 등 기본 정책이념에 배치되면 재산권을 허용하지 않거나 그 보호에 소극적이었으나, 일반적으로는 재산권과 계약의 보호를 책무로 삼았다. 조선시대 재산권제도의 정비는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이바지하였다. 18세기 중엽까지 조선의 재산권제도는 영국·네덜란드를 제외한 어떠한 국가보다 크게 뒤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비교사적으로 조선 국가는 법적으로 허용된 재산권을 잘 보호한 편이나, 이윤 추구와 기업적 혁신에 우호적인 재산권제도의 창출 능력이 없었다. 이것은 근대경제로의 전환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로마법과 유교라는 문화, 그리고 정치제도가 경제제도의 차이를 낳은 중요한 요인이었다. This paper studies economic institutions of Joseon dynasty in order to explore factors to develop them, to assess their development comparatively, and to investigate their role on the Great Diverg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arable land ownershi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established a foothold for developing the overall property rights. In the middle Joseon period trade items that wrote up contracts increased, as market transaction grew. Contracts were executed fairly well. Disputes over property right and contract were settled based on principles of law and evidence. A fundamental principle of resolving and managing economic disputes between people was the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as Qing China did. In case of property right and contract, civil stipulations in the code were too sparse to serve as an operational guide to adjudication, and the customary law developed to complement them. The court were accessible even to the lower class people, though there were some inefficiencies in legal procedures. Confucianism provided a legal ideology to protect property right and contracts for the people on the one hand, and acted as a moral principle to restrain legal principles from developing to a modern level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economic institutions of Joseon dynasty did not fall behind considerably any country except England and Netherlands before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Joseon state did not intend to design institution favorable to commercial development, which was a serious handicap to take off to modern economy. Culture such as Roman law and Confucianism, and political system were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differences in economic institution between the countries.

      • KCI등재

        실학(實學)의 개념과 학술사적·현재적 의의

        이헌창 ( Lee Hun-chang )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6

        한자어로서의 실학은 인류의 보편적 도덕인 진리= 道, 역사적 용어로서의 실학 또는 근세 실학은 국가제도, 경제, 과학기술 등 유용한 지식을 기본 내용으로 삼는다. 실학의 사유양식은 실용주의라기보다 보편 도덕을 진리로서 탐구하는 합리성이고, 근세 실학은 합리적 사유를 진전시켜 유용한 지식의 수준을 높이고 내용을 풍부히 하여 근대 학문에 접근하였다. 그래서 근세 실학은 功利와 물리의 논의에 대한 道理의 구속을 완화하고 논리성과 실증성을 진전시켰다. 문호개방 이전 동아시아 학술사의 특성은 유학의 지배, 그 연장선에서 주자학의 주류학풍으로의 부상이라면, 그 세계사적 보편성은 기축시대 인류 보편도덕의 확립의 일환으로서 성립한 유학, 그리고 근대 전환기의 산물로서 근세 실학이다. 후자는 유럽의 초기 계몽주의에 비견할 수 있다. 세계사적 근세에 동아시아 모든 나라에서 학문의 근대화 추세가 나타나 도도한 물결을 이루었는데, 그 학풍을 나타내는 용어로는 근세 실학이 가장 적합하다. 역사적 용어로서의 실학 내지 근세 실학은 유학을 기본을 삼으면서 諸子百家와 서양 학문을 개방적으로 수용하는 改新유학으로 보면, 세계학계에서 동아시아학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 조선시대 사상사는 주자학의 지배와 衛正斥邪사상으로의 연결, 그리고 근세 실학의 대두와 개화사상으로의 접속으로 집약할 수 있다. 조선시대 동아시아적 수준의 학문 성취는 주로 근세 실학에서 일어났다. The essence of Silhak, as a Chinese language, is the universal mankind morals. Silhak as a historical term, or the early modern Silhak was open-minded to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including Westerners, and reformed Confucianism to enhance its useful knowledges such as institutions, economy, and science and technology. Silhak's way of thinking was rationality which covered pragmatism. And the early modern Silhak relaxed the restraint of Confucian morals on pursuing profits and exploring natural phenomena so as to enhance its useful knowledges.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scholarship before opening doors to Western counties was the domination of Confucianism, and the rise of Neo-Confucianism as mainstream scholarship. And its universality was the establishment of Confucianism which formed a part to pursue the universal mankind morals in Axial Age, and the early modern Silhak as a product of the early modern period. The latter can be compared to the early Enlightenment of Europe. The thought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the domination of Neo-Confucianism, and its connection to the anti-modernization movement on the one hand, and the rise of the early modern Silhak, and its connection to the modernization movement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