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기준 통합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연구

        이향이(Lee Hyang ee),박덕근(Park Dug k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는 부처별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안전기준을 체계적으로 관리ㆍ운용하기 위한 통합 관리 체계의 방안으로 안전기준 메타데이터 요소의 설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기술적 메타데이터인 더블린코어와 법령 및 안전기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안전기준 메타데이터 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국민안전처의 안전기준 관리대장 항목과 안전기준 및 메타데이터 설계 관련 전문가와의 면담 결과를 추가하여 실무적인 측면을 반영하였다. 분석 결과 식별영역, 법령영역, 내용영역, 이용영역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총 27개의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선정된 메타데이터 요소는 앞으로 안전기준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uggests an optimal design of the metadata elements for safety standards, which are currently managed by various ministries dispersively. For a system that enables consolidated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safety standards operations, the metadata elements of safety standards are designed based not only on the Dublin Core, which is representative descriptive metadata, but also on previous studies for safety standards regulations. Followed by the interview with specialists of safety standards and metadata design, the practical side of the safety standards management ledger from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PSS) is also reviewed. Twenty seven metadata elements are allocated into four representative areas: Identity Area, Law Area, Content Area, and Use Area. These elemen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consolidated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afety standards.

      • KCI등재

        재난안전분야 기업협력 공동연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이향이(Hyang-ee Lee),임수정(Soojeong Lim),박덕근(Dugkeu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기업이 참여하는 공동연구는 기술이 시장으로 나가는 통로이자, 기술이전의 방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재난안전분야 기업협력 공동연구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재난안전분야 학술지 4종에 수록된 공동저술 논문을 대상으로 기업소속 저자가 참여한 논문 786건을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기업협력 공동연구는 전체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데, 공저자 수가 적은(3인 이하) 논문은 감소하고 공저자 수가 많은 논문은 증가하였다. 이는 기업이 참여하는 재난안전분야 연구협력의 폭이 더 넓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참여비중을 고려한 저자점수를 통해 기관별 논문 생산성을 파악하고, 전체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전 시기에 걸쳐 기관생산성 및 중심성이 높은 기관은 소수의 대학이었고, 다수의 기업이 이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한 모습이 보인다. 분야별로는 건설, 엔지니어링, 전자 관련 기업과 공기업의 참여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분야 공동연구에 기업이 참여한 현황을 전체적으로 분석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번 분석을 통해 발견된 기관 간 협력관계는 기술이전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Enterprises’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on research is one of the effective and typical methods through which technologies go into the market or are transferred to other sectors. This study reviews enterprises’ participated collaboration research and analyzes their network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rea. From 2005 to 2016, 786 technical papers from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are compiled based on the authors whose affiliations are from enterprises. During the research period, collaboration research is found to be in an increasing trend in general. However, the number of technical papers with three or less authors is in a decreasing trend, whereas that with four or more authors is in an increasing trend. This fact implies that the range of enterprises’ collaboration research is widening. Technical paper productivity and each entity’s collaboration network are evaluated using participation-weight based author score. Over the research period, a few universities, which attract most of the enterprises, are found to have higher productivities and centralities. Public enterprises show higher participation weights. Also, sectors such as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electronics demonstrate higher weights. This study is particularly meaningful because enterprises’ participation status in collaboration research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rea is systematically analy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network analysis result from this study will be especially helpful in establishing technology transfer strategy.

      •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

        이향이(Hyang-ee Lee),박지홍(Ji Hong Park),송예슬(Yeseul Song)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국내 HCI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 수준에 이른데 비해, 학문적 지형도에 대한 조망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의 학문적 지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첫 번째 시도로, 최근 3 년간의 한국 HCI 학술대회 프로시딩을 대상으로 많은 양의 연구를 발표한 prolific 기관을 파악하고 각 기관의 내·외부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먼저, 논문발표 수 및 저자 참여비중을 고려해 prolific 기관을 선정하였다. prolific 기관은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KAIST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저자 분석을 통해 네 기관의 내·외부 협력 네트워크를 학과 단위로 살펴보았다. 각 기관은 서로 다른 협업행태 및 특징을 보였으며, 중심학과, 외부 협업 기관, 연구 관심주제도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특징을 보여주는 본 연구의 결과물은 HCI 분야 연구자들이 연구 전략을 수립하거나 협업 연구를 계획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HCI 학계를 파악하는 초기 연구로 기관 단위를 살펴봄으로써 거시적 시각을 유지하였는데, 이에 기반해 보다 구체적인 국내 HCI 분야 지식구조 및 네트워크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While the HCI research quality in Korea has reached to international level, few studies have visualized academic map of HCI field, especially of Korea.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applying bibliometric to identify the HCI scholarly network in Korea. We identified prolific institutions that have a high research productivity in HCI field, and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collaborative networks of those institutions using the HCI Korea conference proceeding. Findings include that the most prolific institutions are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IST. These institutions show quite differences in terms of collaborative patterns, central departments, external collaboration institutions, and research subjects. Each institution"s collaboration characteristics are also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HCI researchers especially when they establish research strategy or plan collaborative research. Also,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HCI in Korea.

      • KCI등재

        형질세포종에서 병발된 강직성 척추염

        김용남 ( Yong Nam Kim ),이향이 ( Hyang Ee Lee ),상훈 ( Sang Hoon Lee ),연아 ( Yeon A Lee ),우두현 ( Doo Hyun Woo ),황보영 ( Young Hwangbo ),조경삼 ( Kyung Sam Cho ),박용구 ( Yong Koo Park ),양형인 ( Hyung In Ya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5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2 No.3

        Plasmacytomas are tumors composed of plasma cells of variable maturity, which are histologically identical to those seen in multiple myeloma. Ankylosing spondyl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probably resulting from the interaction of a genetic predisposition involving HLA-B27 with an environmental event such as enteric bacterial infection. Multiple myeloma has been intermittently reported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protracted stimulation of immunocytes by inflammatory lesions on the mucosal surfaces of the gastrointestinal, respiratory tracts may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multiple myeloma in some patients. We observed a 23 year 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plasmacytoma who subsequently developed ankylosing spondylitis. He was diagnosed as plasmacytoma 4 years ago and took a radiation therapy. There was no previous report of ankylosing spondylitis following plasmacytoma.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diseases is uncertain until now and further study should be needed.

      • KCI등재

        국내 재난안전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기술사업화 전략

        임수정(Lim, Soojeong),이향이(Lee, Hyang-ee),박덕근(Park, Dugk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for vitalization of disaster-safety industry. An integrated approach was utilized based on both business ecosystem analysis and patent network analysis. The business ecosystem analysis inspected the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in detail, while the patent network analysis examined technologically strong and weak areas by visualizing the linkages between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code structure and patent applicants in Korea. The integrated analysis found that the complementary assets of the disaster-safety technologies in business ecosystem had a strong development trend and many research entities in them. Disaster-safety technologies were also concentrated in the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sectors. This study suggests a positive structure for technological commercialization,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applied in vitalizing disaster-safety industry in Korea 본 연구는 재난안전산업에 대한 기술사업화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술산업 생태계 분석과 특허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였고, 비즈니스 생태계 관점에서 통합 표시하여 재난안전기술의 생태계 영역과 기술의 발전강도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통합적 분석 결과, 재난안전산업 생태계 내에서는 보완재 영역의 기술이 발전정도가 높고 출원인의 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재난안전기술은 예·경보시스템 분야에 편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산업 기술사업화 선순환시스템을 제시하였고, 연구결과는 재난안전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산업 핵심기술 도출

        임수정(Lim Su jung),유림(Lee Yu rim),이향이(Lee Hyang ee),박덕근(Park Dug keu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5

        In this study, disaster-safety related technologies in Korea and several select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were compiled to find core technologies using patent network analysis.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Korea s disaster-safety industry were also suggested.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signalling systems (G08B), 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G06F), early warning and forecasting data processing systems (G06Q) were found as common core technologies in disaster-safety sector. Among others, pictorial communication (H04N), Manipulater (B25J), climatology (G01W), digital information transmission (H04L), were found to be most active and, therefore, receiving most attentions in USA, Japan, Europe, and Korea, respectivel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objective foundation for disaster-safety industry vitaliz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olicies.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산업 관련 기술현황을 파악하고,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국가별 핵심기술을 분류하였다. 또한 타국가 대비 국내 기술개발이 미흡한 분야를 도출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신호 호출시스템(G08B),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G06F), 예경보 및 예측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G06Q) 분야가 현재 재난안전분야 핵심기술로 도출되었다. 국가별 핵심기술분야의 특징으로는 미국이 화상통신(H04N) 분야, 일본이 메니퓰레이터(B25J) 분야, 유럽이 기상학(G01W) 분야, 한국은 디지털 정보 전송(H04L) 분야의 연구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재난안전기술 개발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재난안전산업 활성화 및 육성정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