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졸수재 조성기 문론 연구

        이향배 한국한문교육학회 2000 한문교육논집 Vol.15 No.-

        17世紀末 朝鮮 黨爭熾熱 禮訟相劇而政敎凌夷 風俗頹廢也 當此之時 有志於篤信聖學之士 幾稀 況且有更張舊弊而一新世道經綸天下者乎. 於是有自布衣雖不與廷論而欲救時弊更新世道者 拙修齋趙聖期(1638-1695)是也. 拙修齋 幼抱大志 一意以聖賢爲期 曾魁司馬初試 因病廢擧業也 自是以後退居一室 杜門謝客 而三十年間探究學問 常以窮理達源 措之於日用 發之於事業 爲學問之標準也 又以思索爲學之方 自云唯深信是理之必可以思得也 有志於一新世道 與當時土友 爭論時弊曰今日之急務 莫善於尙質救文 此所以講求實德實用之學矣. 由是其論及文風而與士友爭辨文弊 然識見相異 各是其說 不分孰是孰非 拙修齋之論則本於理學 强調實用也. 蓋拙修齋以爲文當衛道明理 救世澤物爲用 惟載道之文當之. 欲作載道之文宜以體行爲本也 又以爲文貴實用 以議論與功用論之 則六經 該備議論功用 當爲實用文之典範 而漢唐宋諸家之文 則不無長短損益而不失議論功用之實 至於明及我東之文 文雖浮華而無可用之實 故文弊益甚 此拙修齋所以甚斥浮華無實之文也. 由此觀之則文之實用 當該備議論功用 使之經世衛道者爲大也. 非但有是 爲其道文行三者一致 拙修齋力求藉於實德實行之溫藉和平也 故曰溫藉和平而無實之文 不如有實狂肆之文 又曰人無實見則以散緩爲和平 衰颯爲溫籍 不免錯誤也 此所以力說文本以無實德實用 自成溫籍和平也 至於論文之法則在於事理爲論 以今觀古也 論文之序則先看其大體實用實事實功之所在次而可 氣象言語偏全粹駁之不齊也 有其大體實用實事實功則文辭雖粗魯狂肆之短而不可廢也. 然則拙修齋文論之價値 何也 上述諸論 與一般理學家之說 相通者 多矣 然時有古今 當務有異 所以大體雖相似而詳究其說則可見其所不同矣 拙修齋之文論 因其俗儒有浮華無實之文弊 欲救其短而提起者也 故其論主以實用之文勸勉士友而力辨浮華無實之文害於實用也. 此拙修齋所以救其文弊而更新世道之策者也. 然以文學觀之則其說以道爲過重 自傷文質彬彬之道 不免矯枉過直之失也 然 强調道文行三者一致而實用文學者 所以一般士類與夫實學派之說自有差別而惟拙修齋之所有特論也.

      • KCI등재

        晦峯 安圭容의 詩文學 硏究

        이향배 호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본고는 회봉 안규용의 생애와 한시 세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회봉은 연재 송병선으로 고제자로 평생 동안 산림에서 강학활동하며 존화양이의 의리사상을 실천하여 고고한 지조를 지키며 살다간 유학자이며 애국지사이다. 그의 문학 작품에는 그런 시대에 살아가면서 겪어야만 했던 갈등과 고민이 투영되어 있었다. 회봉은 載道的 문학관을 견지했다. 덕행을 문학의 근본으로 삼고 인품을 중시하는 문학론을 펼치고 있었다. 인품이 높은 사람이 훌륭한 시도 짓는다는 논리로서 덕행이 문학으로 승화되었을 때 훌륭한 문학이라고 본 것이다. 회봉의 한시세계는 대체로 창작시기별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회봉이 젊었을 때 불운한 시대를 만나 선비로서 품은 포부가 좌절되면서 내면적으로 방황하는 면모를 밝혔다. 회봉은 암담한 현실 속에서 겪어야 했던 좌절감과 갈등을 시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그의 시에는 회봉의 포부와 함께 호방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었다. 평생 동안 춘추의리를 실천한 회봉은 尊攘義理 사상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대명의리사상이 문학적으로 승화된 작품으로는 <誓東征壯士>와 <壽皇亭歌>였다. 그의 시에 투영된 존화양이의 의리사상은 일제에 대한 저항하는 대응논리이며 제국주의 문화에 맞서 인의도덕문화를 지켜내려는 인문정신의 발로였다. 회봉에 있어서 죽곡정사는 매우 중요한 공간이었다. 강회의 분위기를 읊은 시와 제자들에 대한 사랑을 드러낸 시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죽곡정사는 회봉의 학문탐구 공간이었다. 또한 <죽곡잡영>의 분석을 통해 정사 주변 경물은 靜觀의 대상이며 寓興의 知己였고, 심신 수양의 공간이며 풍류를 즐기는 장소였음을 밝혔다. 회봉이 산수를 유람하여 한시를 남겼다. 회봉이 맑은 승경을 유람하면서 자신을 반성하기도 하고 끊임없이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토로하였다. 또한 회봉이 자신의 내면에 쌓인 울분과 답답한 심경을 산수를 통해 해소했던 것이다. 회봉의 한시에는 우국충정과 춘추의리사상이 일관되게 점철되어 있었으며, 불우한 시대에 선비로 살아가면서 겪어야만 했던 갈등과 고민이 문학적으로 승화되어 있었다. 그의 시풍은 대체로 비분강개의 호방한 풍격을 지녔으며, 선비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take an in-depth study of Hoebong Ahn, Gyuyong’s life and his poetic artworks and activities. Hoebong was a loyal student of Yeonjae Song, Byungsun. He had devoted his whole life for teaching and put ‘revere th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 theory into practice. He was a Confucian scholar and a patriot who spent his life time to keep his fidelity. His agony and inner conflicts are reflected in his literature works. His literary philosophy put a great importance on a virtue and a noble character of human being. He appreciated that a person who has a noble character writes great poems. It shows that virtue can be sublimated into great literature works. His literature was analyzed by written time and by the main themes. First of all, Hoebong had to go through misfortunate time when he was young. His wishes were frustrated and he had to agonize over the dark reality of the age. His inner conflicts are analyzed through his literature. He sublimated his frustration and inner conflicts into great poetry. His poems express his ambitious wishes and vigorous spirit. He had put ‘revere th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 theory into practice and this was expressed in this poetry. His poetic artworks such as Suhdongjeonjangsa and Suhwangjeongga reflecting his royalty toward Ming. His ‘revere th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 and royalty toward Ming were against Japan and its imperialism. His humanitarianism was the groundwork of his humanity which tried to keep loyal and moral spirit. Jukgokjeongsa was a meaningful place for Heebong. It was a place for fostering academic research and this was revealed through his poetry analysis which expressed the atmosphere of the place and his love for his students. Besides, Jukgokjabyoung reflects that the scenery of the season was an object of appreciation and an appreciative friend of his. It was a place for cultivating his body and mind through tasting for the arts. Hoebong made tours to mountains and rivers national wide to write poems. Those tours made him reflect on himself and worry his nation. He also resolved his frustration and stuffy feeling through appreciating beautiful nature in mountains and rivers. His literature works expressed his consistent patriotic spirit and critical attitude(Chuchu-Euili) and sublimated his inner frustration and conflicts into great poetry. His poetry expresses his sorrowful indignation and broad spirit as well inner mind of a scholar.

      • KCI등재

        운정 성낙서의 유가 유신론

        이향배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8

        Wunjung Sung Raksuh was a scholar and politician who advocated for the evolution of Korean society into a developed country by incorporating aspects of humanities during periods of upheaval such as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Korean War, and the 5.16 revolution. His book Anyeopgi explored various ideologies, with the most prominent being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Korea was once a society heavily influenced by Confucian scholars until the 1970s, who failed to adapt to changing times and address the tasks that the country faced.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is invaluable as it provides a modern 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With industrialization, societal structures changed and new ethical problems arose. Sung Raksuh applied humanistic ethics, a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to address these issues and enhance civil awareness. He emphasized the need to reform the hermitic and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 society, urging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thical aspects of nation-building.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which called for a great paradigm shift in the Confucian society, was an ideology that tried to harmonize the materialist Western civilization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sought a paradigm shift in Confucian society by harmonizing Western materialist civiliz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establish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reating an advanced culture in Korea's pursuit of modernization. Furthermore, the theory deserves high regard for rediscovering and reinterpreting elements that met the expectations of the era from the declining Confucian tradition. It aimed to revive Confucianism in a modern sense during Korea's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to a modern society.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of Sung Raksuh is particularly valuable considering the continued challenge of Confucianism to adapt to the current times and its tendency to remain entrenched in outdated practices.

      • KCI등재

        草廬 李惟泰의 書簡에 나타난 출처사상

        이향배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5 No.-

        The Ideas of Obtaining and Retiring from the Public Office Appeared on the Letter of Choryeo Lee You-tae / Lee Hyang-bae 병자호란 후 세상에 나아갈 의가 없다던 초려는 효종의 밀지를 받고 북벌정책을 돕기 위해 조정에 나아갔다. 청음 김상헌신독재 김집우암 송시열동춘당 송준길 등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대지(大志)를 실행하려 했으나 낙당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초려는 초야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효종 말년 초려는 밀지를 받고 다시 나아갔지만 뜻을 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민심부터 얻어야 한다고 생각한 초려는 전무후무한 4만여 자의 장문 기해봉사를 준비했다. 조선 사회 전체를 정치경제군사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개혁하고자 하는 방안을 세우고 이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는 민심을 안정시키면서 국력을 신장시키는데 절실했던 사안들이었다. 현종은 15년간 조정 신료들과 이 소문(疏文)의 실행여부를 두고 검토하였지만 끝내 실천하지 못했다. 초려의 출처는 바로 이런 대지(大志)를 실행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었다. 조정에 나가서는 적극적으로 개혁을 실천하려 했고 향리로 물러나서는 세상과 단절하지 않고 세상을 걱정하고 순리에 응하는 낙천(樂天)을 겸하는 처세(處世)를 견지했다. 세상에 저촉되지 않고 시의(時宜)에 입각하여 출처를 결정했기 때문에 공업(功業)의 성패 여부는 부차적인 문제였다. 권모술수가 난무하는 정치 풍토 속에서 공맹의 뜻을 본받고 패도가 아닌 인의도덕에 입각하여 산림으로서의 역할을 다하려 한 초려의 자세는 후인의 귀감이 될만 하다. 이는 한국사상사에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대목이며 대단히 의미 있는 사상이라 하겠다.

      • KCI등재후보

        艮翁 李獻慶의 古文論 硏究

        이향배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anong's paleography. Ganong, who read writings by wise governments like Sagi, Jwassi, and Jangju from his childhood, devoted his lifetime to the study of ancient writings. Ganong thought that Do should be consistent with Mun, made Yukgyeong a foundation, and considered Jejabaekga right-winger. He suggested a way to learn Gi, Byeon, Hwa, Yeomhan, and Gamgae and to approach Yukgyeong through Jejabaekga's writings. He also emphasized that we should accumulate Jeong and Sang and induce Gi and Byeon, absorbed in Yukgyeong. Ganong thought that the power of sages' and writers' writings came from Gi. He suggested the way of Yanggi and Jieon to reach sages' writings. Although Yanggi and Jieon complemented each other, Ganong thought much of Jieon through Yanggi. He thought Jieon possible after developing Gi. That's because he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correct Munro in order to write well and it started from Jieon. He preached the necessity of learning the style of the writings by the deceased. Ganong thought Confucianist scholars were different from Sahangas because the one understood the style of Yukgyeong Saseo in fame-wealth-centered way of thinking, while the other in blance-oriented way of thinking. He showed that we should return to Yukgyeong Saseo with the balance of fame and wealth by making Yeomrakjehyeon a rule in Uirinonbyeon and masters of Tang and Song in writing. As a result, Ganong's paleography can be concluded as a discussion of the way to approach Yukgyeong Saseo with taking it as a main part. 본고는 간옹의 고문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어려서부터 사기좌씨장주 등을 비롯하여 제가들의 글을 독파한 간옹은 평생동안 고문을 추구해왔다. 도와 문이 일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간옹은 도가 육경에 있기 때문에 문에서 육경을 근본으로 삼고 제자백가를 우익으로 보았다. 그는 제자백가의 글을 통해 氣變華廉悍感慨 등을 배우고 육경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육경에 침잠하여 正과 常을 축적하여 奇와 變을 이끌어 내야 함을 역설했다. 간옹은 聖賢의 문장과 문사의 문장의 分岐가 氣에서 비롯된다고 파악했다. 성현의 문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養氣와 知言을 제시했다. 養氣와 知言의 관계는 상보적이지만 이중 간옹은 養氣를 통한 知言을 중시했다. 氣를 길러야 知言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문장을 잘하는데는 문로를 바로잡아야 하는데 그것은 지언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고인들의 체제를 두루 익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육경 사서의 체재를 유가는 明理를 위주로, 사한가들은 藻華를 위주로 이해했기 때문에 서로 달라졌다고 본 간옹은 의리논변에서는 염락제현을, 문장에서는 당송대가를 법삼아 明理와 藻華를 갖추어 육경사서로 귀숙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간옹의 고문론은 육경사서를 主로 삼고 이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