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이해명 한국영재학회 1999 영재교육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원,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KCI등재후보

        성호 이익의 실용 교육과정 사상 연구

        이해명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성호 이익의 실용 교육과정 체계를 (1) 실용 교육사상 (2) 실용 교육과정의 구성, 그리고 (3) 실용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려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1 차 자료로 성호의 문집인 '성호 사설'과 '하우록'을 이용하였고, 2 차 자료로 성호에 관한 관련 연구물을 참고하였다. 성호의 실용적 교육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호는 교육을 사회 발전의 수단이라는 기능적 교육관을 갖고 있다. 둘째, 실용적 지식이란 생활에 유용한 지식을 말한다. 유학의 공리공론이 아닌 과학 지식, 의약 지식, 산수 지식, 도량형 기기 사용 지식, 언문 지식 등이다. 셋째, 성호는 추상적 개념이나 원리와 같은 일반적 지식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 사용 할 수 있는 구체적 지식을 중시한다. 넷째, 사람의 능력은 다양하다. 따라서, 다양한 인간의 능력이 발휘 될 수 있는 평등한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성호는 교육과정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교육의 목적은 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교육내용은 통합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이론과 실제가 통합되고 교과와 교과가 통합되는 교육내용이 선정되어야 실용적인 교육이 될 수 있다. 셋째, 실용적인 교육은 책을 읽고 외우는 것이 아니라 실용 능력을 학습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은 훈련과 반복을 통한 경험의 축적이 중요하다. 넷째, 실용적인 교육의 결과는 실무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무 능력은 지필 검사보다는 추천이 유용하다. 그런데, 실용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개편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공정한 평가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능력이 연공이나 문벌에 의해서 평가되기 때문에 능력 있는 사람이 발탁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실무 능력이 중시되는 공정한 평가 제도가 정착되면 실용적 교육과정 운영이 정착 될 수 있다. 둘째, 문사의 능력만을 평가하는 과거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실용적인 능력의 평가는 지필 검사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실제 업무 수행 능력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과거 제도가 지필 검사와 추천이 합일되는 과천합일로 개선되어야 한다. 결국 성호가 생각하는 실용 교육과정의 체계는 실제 생활에 적응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교육의 기능은 사회적인 발전의 수단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배우는 내용이나 방법이 실용적인 것이 되어야 하고, 교육과정의 운영도 실무 능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analyse Lee Ike'e system of practical curriculum through perspectIVes of ⑴ educational philosophy, ⑵ curriculum and ⑶ curricular management. Sung Ho's "Sungho Sasul" and "Hawoo Rock" was used as primary sources and other works concerning Sungho was used as secondary sources. Sungho's educational philosoph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Sungho held functional VIew of education, seeing it as a tool of social development. Second, he defined practical knowledge as knowledge such that can be utilized in serVIce of material advancement. Third, he advocated the pursuit of practical knowledge, instead of abstract Confucian knowledge. He found areas such as mathematics, medicine, natural sciences, linguistics particularly important. Fourth, Sungho saw that indiVIduals have differing talents and that such dIVersity must be catered through an egalitaria curricular system. Therefore, Sungho advocated that the curriculum be organized through the following lines. First, the object of education must be fostering an indiVldual's life skills. Seco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integrated , spanning over both theory and practice, as well as different subject matters. Only such an integrated curriculum can make education practical in Sungho's sense. Third, practical education must be focused on accumulation of experience through practice and repetition, rather than rote learning. Fourth, evaluation must be made on criteria of practical ability, through recommendation rather than paper and pencil tests. But following institutional reforms must precede introduction of the practical system of curriculum for it to be effecIVe. First, a fair system of evaluation is needed. Second, examination system, preVIoualy focusing only on literary skills, must be changed to take practical skills into account. Specifically, paper and pencil tests should be replaced with a system of recommendation. Sungho's system of practical curriculum is focused on engendering an indiVIdual's ability to adapt to real-life situations. Since education is considered a tool of social development, contents and methods, and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must be geared to instruction of practical skills.

      • 과외 학습의 학업성적 결정 효과

        이해명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7 교과교육연구 Vol.- No.1

        선행 연구 결과는 과외가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외의 효과는 중학생에게는 있고 고등학생에게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경우도 극히 미미한 영향을 미칠 뿐이다.

      • 학교차가 중·고등 학생의 학업성적 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해명 단국대학교 1999 論文集 Vol.34 No.-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difference' on school attainment and the degree of the effects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is proved to be positive. The research was undertaken by following process: 1)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chool difference on the entire target population: 2) examining how the school difference affect academic achievement and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educationa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3) studying the degree of effects of school difference on individual school attainment.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was 1735 students from 16 middle schools and 1619 students from 25 high schools respectively. For analysing the data collected from geographically well represented schools. I used co-efficency, F-test and regresional analysis as main analytical tool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re is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ifference. The degree of effect of above mentioned two factors was neglgible. Furthermor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chool differenc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erminant structure of school attainment. Neverthless, this was not the case for the high school student. There was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ifference. The degree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difference went up to 10%. For high school student, the school difference have accompanied with extra teaching for the positive shool attainment. In sum, the school difference ha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erminant structure of high school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equaliz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the equalization policy can be rationalised for he middle school student but not for the high school student considering its impact on school attainment. Knowing that the school difference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erminant structure of high school student academic student,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equalization policy' to the all secondary schools will may lead to the unexpected structural inefficiency of our educ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